KR200480078Y1 -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78Y1
KR200480078Y1 KR2020150004390U KR20150004390U KR200480078Y1 KR 200480078 Y1 KR200480078 Y1 KR 200480078Y1 KR 2020150004390 U KR2020150004390 U KR 2020150004390U KR 20150004390 U KR20150004390 U KR 20150004390U KR 200480078 Y1 KR200480078 Y1 KR 200480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rushing
plate
uni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숙
Original Assignee
황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숙 filed Critical 황인숙
Priority to KR2020150004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파쇄측 표면에 복수의 수평형 설치홈이 서로 이격되면서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에 위치되면서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판의 각 수평형 설치홈 내로 수용되는 수용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전면에는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요철부가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파쇄판; 그리고, 상기 각 단위파쇄판과 상기 베이스판 간의 접촉면을 따라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가 제공되며, 이로써 베이스판과 파쇄판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유지 비용의 절감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crushing plate for jaw crusher}
본 고안은 조 크러셔(Jaw crush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 크러셔를 이루는 파쇄플레이트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제조 단가 및 유지비용을 확연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 크러셔는 암반 혹은, 광석 등을 적당한 크기로 파쇄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 크러셔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파쇄플레이트 및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형 파쇄플레이트와 협력하여 상기 고정형 파쇄플레이트와의 사이로 투입된 광석을 파쇄하는 이동형 파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 제20-306703호, 등록특허 제10-0870223호,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117931호, 미국등록특허 US585763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조 크러셔에 사용되는 각 파쇄플레이트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판(20)을 베이스판(10)에 단순히 접촉시켜 볼트(30)로써 체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정형 파쇄플레이트 및 이동형 파쇄플레이트 간의 가압에 따른 광석의 파쇄 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볼트(30)의 체결 해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특히, 상기한 볼트(30)의 체결 해제로 인한 문제점으로 인해 파쇄판(20)이 베이스판(10)으로부터 이격될 경우에는 파쇄물에 대한 파쇄 작업시 상기 파쇄판(20)은 파쇄물과 베이스판 사이에서 양측으로부터 동시적인 충격을 제공받게 됨에 따라 상기 파쇄판(20)도 파쇄물과 동일하게 파쇄되려는 힘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상기 파쇄판(20)의 손상 발생이 잦을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는 베이스판(10)이 하이망간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파쇄판(20)은 상기 베이스판(10)에 비해 고가의 하이크롬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파쇄판(20)의 각 부위 중 상기 베이스판(10)과의 볼트(30) 체결을 위한 부위는 상기 볼트(3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의 형성시 충격이나 파쇄물의 파쇄 작업 중 상기 볼트(30)와의 반복적인 부딪힘 현상에 의해 손상이 자주 발생되었던 문제점 역시 있다.
특히, 상기 파쇄판(20)의 경우는 전체가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한 부위의 파손이나 마모가 발생될 경우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며, 이로써 유지 비용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의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쇄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베이스판과 파쇄판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유지 비용의 절감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는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파쇄측 표면에 복수의 수평형 설치홈이 서로 이격되면서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에 결합되며,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판의 각 수평형 설치홈 내로 수용되는 수용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전면에는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요철부가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이크롬 재질의 복수의 단위파쇄판; 상기 각 단위파쇄판 및 상기 베이스판 간의 접촉면을 따라 구비되면서 수지폼, 실리콘, 접착제,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충격 완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위파쇄판들은 그의 배면 중 상기 수용돌기를 제외한 부위가 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서로 인접된 각 단위파쇄판끼리는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베이스판에의 결합에 의해 단일의 파쇄판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각 수평형 설치홈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가로지르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상면 및 저면이 점차 확장되는 구조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파쇄판에 각각 형성되는 수용돌기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면 및 하면이 점차 확장되는 구조의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측편에서 상기 각 단위파쇄판을 끼워맞춤 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에는 상기 각 단위파쇄판 중 최 외곽측에 위치되는 두 단위파쇄판에 대한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충격 완화부재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프레임에 의해 안착 위치를 안내받는 두 단위파쇄판에는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단턱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는 파쇄판을 복수의 단위파쇄판으로 분할 형성하여 베이스판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부위에 대한 파손이나 마모시 이렇게 파손 혹은, 마모된 부위의 단위파쇄판만 교체하면됨에 따라 전체적인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단위파쇄판은 상기 베이스판에 끼워맞춤 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장형의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볼트에 의한 충격 발생이 원천적으로 제거됨으로써 파손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고안의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는 각 단위파쇄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충격 완화부재가 개재되고, 이러한 충격 완화부재는 완충의 역할 뿐만 아니라 각 단위파쇄판을 베이스판에 고정시키는 접착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각 단위파쇄판의 유동 및 유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는 크게 베이스판(100)과, 복수의 단위파쇄판(200)과, 충격 완화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특히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은 상기 베이스판(100)에 끼워맞춤 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0)에 접착 고정 및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과 베이스판(100) 간의 충격 전달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0)은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조 크러셔(도시는 생략됨)에 장착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판(100)은 각 단위파쇄판(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가인 하이망간 재질로 이루어진 블럭체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판(100)의 각 면 중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파쇄측 표면에는 복수의 수평형 설치홈(110)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수평형 설치홈(110)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표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각 수평형 설치홈(110)들은 상기 베이스판(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수평형 설치홈(110)이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의 홈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위파쇄판(200)은 파쇄물에 직접 맞닿으면서 상기 파쇄물을 파쇄시키는 부위로써, 수평 방향으로 긴 구조의 블럭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복수로 제공되면서 그 각각이 상기 베이스판(100)에 조립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은 상기 베이스판(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도를 갖는 하이크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파쇄측 표면에 위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은 그의 배면(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각 수평형 설치홈(110) 내로 수용되는 수용돌기(210)가 각각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전면(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면)에는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요철부(220)가 요철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용돌기(210)는 상면 및 하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측편에서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파쇄판(20)을 복수로 분할하여 형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중 어느 한 부위에 대한 파손이나 마모가 발생될 경우 이 파손 혹은, 마모된 부위를 갖는 단위파쇄판(200)만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의 증가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각 단위파쇄판(200)은 그 각각이 상기 수용돌기(210)와 수평형 설치홈(110) 간의 대응되는 구조를 통해 조립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볼트(30)를 이용하여 설치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조립이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요철부(220)는 각 단위파쇄판(200)마다 하나씩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각 단위파쇄판(200)의 수량이 증가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조립상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요철부(220)는 각 단위파쇄판(200)마다 넷 이상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어느 한 단위파쇄판(200)의 파손이나 마모의 발생시 교체되는 부위가 크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로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220)는 각 단위파쇄판(200)마다 둘 혹은, 셋이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조립상의 편리함이나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적인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는 파쇄물의 파쇄시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을 통해 제공되는 충격이 상기 베이스판(100)으로 전달됨을 완화시키는 부위이다.
즉, 파쇄물의 파쇄시 각 단위파쇄판(200)을 통해 제공되는 충격이 베이스판(100)으로 온전히 전달될 경우 이 충격력이 오히려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에 역으로 전달되어 해당 단위파쇄판(200)을 파쇄시키는 현상이 발생됨을 고려할 때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과 베이스판(100) 간으로 전달되는 충격의 완화를 통해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하이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각 단위파쇄판(200)의 경우는 강도가 매우 크다는 재질적인 특성상 정밀한 기계 가공을 하기가 극히 어렵기 때문에 수용돌기(210)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하이망간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100)의 수평형 설치홈(110) 내로 조립된다 하더라도 서로 간의 유격이 불규칙적으로 발생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한 충격 완화부재(30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의 수용돌기(210)와 상기 베이스판(100)의 수평형 설치홈(110) 간의 유격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충격 완화부재(300)는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과 상기 베이스판(100) 간의 접촉면을 따라 구비된다.
특히,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는 수지폼, 실리콘, 접착제,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임을 제시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가 실리콘임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각 단위파쇄판(200)과 상기 베이스판(100) 간의 접촉면에 제공되는 충격력이 원활히 완화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충격 완화부재(300)가 접착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파쇄물의 파쇄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각 단위파쇄판(200)이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유동되거나 혹은,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파쇄측 표면에 안내프레임(400)이 더 구비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안내프레임(400)은 각 단위파쇄판(200)의 안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들을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로써 베이스판(100)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도중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를 과도하게 압착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각 단위파쇄판(200)과 베이스판(100) 간의 맞닿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안내프레임(400)은 각 단위파쇄판(200)이 설치되는 모든 부위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 중 최 외곽측에 위치되는 두 단위파쇄판(201,202)이 안착되는 부위에만 제공된다.
이는, 상기 두 단위파쇄판(201,202)이 베이스판(100)에 각 단위파쇄판(20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그 조립의 기준이되는 부위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두 단위파쇄판(201,202)의 위치만 정확히 유지시킨다면 여타의 단위파쇄판 역시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프레임(400)의 두께는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프레임(400)에 의해 안착 위치를 안내받는 두 단위파쇄판(201,202)에는 상기 안내프레임(40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단턱홈(230)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프레임(400)의 두께에 대한 특징 및 상기 단턱홈(230)에 대한 특징을 통해 충격 완화부재(300)의 두께가 적정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금형 공정 혹은, 단조 공정을 통해 베이스판(100)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성형함과 더불어 기계 가공을 통해 각 수평형 수용홈(110) 및 각 단위파쇄판(200)이 안착되는 면을 균일하게 가공함으로써 베이스판(100)이 제조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베이스판(100)의 각 단위파쇄판(200)이 안착되는 면 및 각 수평형 수용홈(110)의 표면에 충격 완화부재(300)를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는 실리콘임을 그 예로 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의 형성은 상기한 각 표면에 실리콘을 적당한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적당한 두께라 함은 대략 1~2cm 정도의 두께로써 각 단위파쇄판(200)의 부착에 따른 압축률을 고려한 두께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판(100)에 안내프레임(400)을 장착하며,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안내프레임(400)은 상기 베이스판의 표면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단위파쇄판(201)의 상단이 위치되는 부위 및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단위파쇄판(202)의 하단이 위치되는 부위에 각각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판(100)과는 별개로 제조된 각 단위파쇄판(200)을 상기 베이스판(100)의 파쇄측 표면에 각각 장착하며,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한 각 단위파쇄판(200)은 그의 수용돌기(210)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수평형 설치홈(110)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0)의 측부로부터 끼워맞춤 방식으로 각각 장착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각 단위파쇄판(200)들의 장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들을 상기 베이스판(100)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충격 완화부재(300)인 실리콘이 상기 단위파쇄판(200)과 베이스판(100) 간의 접촉면 전체에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된 각 과정의 순차적인 진행을 통해 본 고안의 파쇄플레이트에 대한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파쇄플레이트는 그의 사용 도중 어느 한 단위파쇄판(200)의 파손이나 마모가 발생될 경우 해당 단위파쇄판(200)을 베이스판(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단위파쇄판(200)으로 교체함으로써 그의 유지 보수가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파손 혹은, 마모된 단위파쇄판(200)을 베이스판(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충격 완화부재(300)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파손 혹은, 마모된 단위파쇄판(20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나, 이러한 파손 혹은, 마모된 단위파쇄판(200)에 열을 가하게 되면 해당 단위파쇄판(200) 및 베이스판(100) 간의 접촉 부위에 위치된 충격 완화부재(300)의 녹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는 파쇄판을 복수의 단위파쇄판(200)으로 분할 형성하여 베이스판(1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부위에 대한 파손 혹은, 마모시 이렇게 파손 혹은, 마모된 부위의 단위파쇄판(200)만 교체하면됨에 따라 전체적인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단위파쇄판(200)은 상기 베이스판(100)에 끼워맞춤 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장형의 볼트(30)를 이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볼트(30)에 의한 충격 발생이 원천적으로 제거됨으로써 파손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는 각 단위파쇄판(200)과 베이스판(100) 사이에 충격 완화부재(300)가 개재되고, 이러한 충격 완화부재(300)는 완충의 역할 뿐만 아니라 각 단위파쇄판(200)을 베이스판(100)에 고정시키는 접착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각 단위파쇄판(200)의 유동 및 유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100. 베이스판 110. 수평형 설치홈
200. 단위파쇄판 210. 수용돌기
220. 요철부 230. 단턱홈
300. 충격 완화부재 400. 안내프레임

Claims (3)

  1.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파쇄측 표면에 복수의 수평형 설치홈이 서로 이격되면서 각각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에 결합되며, 배면에는 각 수평형 설치홈 내로 수용되는 수용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전면에는 파쇄물의 파쇄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이크롬 재질의 복수의 단위파쇄판;
    상기 각 단위파쇄판 및 베이스판 간의 접촉면을 따라 구비되면서 수지폼, 실리콘, 접착제,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충격 완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위파쇄판들은 그의 배면 중 상기 수용돌기를 제외한 부위가 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에 밀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서로 인접된 각 단위파쇄판끼리는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베이스판에의 결합에 의해 단일의 파쇄판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각 수평형 설치홈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가로지르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의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위파쇄판에 각각 형성되는 수용돌기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구조의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측편에서 상기 각 단위파쇄판을 끼워맞춤 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파쇄측 표면에는 상기 각 단위파쇄판 중 최 외곽측에 위치되는 두 단위파쇄판에 대한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충격 완화부재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프레임에 의해 안착 위치를 안내받는 두 단위파쇄판에는 상기 안내프레임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단턱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KR2020150004390U 2015-06-30 2015-06-30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KR200480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90U KR200480078Y1 (ko) 2015-06-30 2015-06-30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90U KR200480078Y1 (ko) 2015-06-30 2015-06-30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746 Division 2014-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78Y1 true KR200480078Y1 (ko) 2016-04-12

Family

ID=5579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90U KR200480078Y1 (ko) 2015-06-30 2015-06-30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53B1 (ko) * 2018-06-01 2019-02-11 정수길 균일 파쇄 기능을 가지는 죠크러셔
WO2020226262A1 (ko) * 2019-05-03 2020-11-12 정병일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CN112337540A (zh) * 2020-12-01 2021-02-09 马鞍山甬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矿山破碎机齿板用固定机构
CN117282504A (zh) * 2023-10-16 2023-12-26 上海雄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反击破的反击衬板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753B1 (ko) * 2018-06-01 2019-02-11 정수길 균일 파쇄 기능을 가지는 죠크러셔
WO2020226262A1 (ko) * 2019-05-03 2020-11-12 정병일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CN112337540A (zh) * 2020-12-01 2021-02-09 马鞍山甬宁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矿山破碎机齿板用固定机构
CN117282504A (zh) * 2023-10-16 2023-12-26 上海雄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反击破的反击衬板结构
CN117282504B (zh) * 2023-10-16 2024-03-12 上海雄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反击破的反击衬板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078Y1 (ko) 조 크러셔용 파쇄플레이트
EP1963019B1 (en) A liner component for use in mining and quarrying industries
EP2730337B1 (en) Crusher wear resistant liner
CN204755668U (zh) 制动衬片保持装置、制动衬片和衬片支架
US20130075508A1 (en) Cone crusher v seat wear members
JPH07284680A (ja) 衝撃ヘッドクラッシャー
JP6723101B2 (ja) 解体道具用交換可能チップ
KR101220822B1 (ko) 프레스 장치
CN109642414A (zh) 用于拆除工具的可替换工作部件
US8857917B2 (en) Cutting tool mounting assembly
EP2810718A1 (en) Crushing jaw with plate retainer
EP2644275B1 (en) Jaw crusher
EP3558531B1 (en) Jaw plate retainer
KR101221679B1 (ko) 편심방지핀이 구비되는 프레스 금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거푸집 간격유지구
US20150174580A1 (en) Means for securing jaw plates in a jaw crusher
KR20190107386A (ko) 죠크러셔 안전장치
KR102518847B1 (ko) 파쇄 도구용 투스 블록
CN211246767U (zh) 双楔面锁紧装置和具有其的反击破碎机
CN103495465A (zh) 一种具有缓冲作用的破碎机上的上反击架
WO2014158068A1 (en) System for a crushing plate, and a fastening plate and a crushing profile for the system
KR20070111826A (ko) 건설 중장비 구조물의 연결부 틈새 조정장치
EP2990119A1 (en) Crushing jaw with jaw plate retainer
CN110062660B (zh) 用于颚式破碎机的颚板
KR101761192B1 (ko) 볼트 및 이를 구비한 커터조립체
KR20090066895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