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41Y1 -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41Y1
KR200479641Y1 KR2020150005470U KR20150005470U KR200479641Y1 KR 200479641 Y1 KR200479641 Y1 KR 200479641Y1 KR 2020150005470 U KR2020150005470 U KR 2020150005470U KR 20150005470 U KR20150005470 U KR 20150005470U KR 200479641 Y1 KR200479641 Y1 KR 200479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white noi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경
Original Assignee
유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경 filed Critical 유대경
Priority to KR2020150005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색소음스위치가 동작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타인에게 주의 또는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경적음을 사용시에 백색소음이 스피커 또는 보조스피커를 통해 110~120 데시벨 이상으로 출력되어도 타인이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오히려 스트레스 해소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스위치를 통해 자동차로 근접하는 동물들에게 경각심을 유발하도록 함으로써, 타인뿐만 아니라 동물로 인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은 전자제어유닛(ECU)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주의/경계의 의미를 갖는 소리로 타인에게 전달시에 그 타인의 불쾌감 유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되 특정한 청각패턴을 갖지 않는 소리인 백색소음(white noise)이 스피커를 통해 음향신호로 타인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제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백색소음은 비가 오는 소리, 폭포수 소리, 파도가 치는 소리 및 나뭇가지가 바람에 스치는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SOUND SYSTEM FOR VEHICLE}
본 고안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색소음스위치가 동작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타인에게 주의 또는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경적음을 사용시에 백색소음이 스피커 또는 보조스피커를 통해 110~120 데시벨 이상으로 출력되어도 타인이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오히려 스트레스 해소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스위치를 통해 자동차로 근접하는 동물들에게 경각심을 유발하도록 함으로써, 타인뿐만 아니라 동물로 인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CAR)는 교통이나 운송의 가장 기본이 되는 수단으로 현재의 자동차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System:ECU)을 통해 엔진, 미션, 현가장치 및 조향장치 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되었으며, 대중화의 힘을 얻어 하루에도 수 백만대의 자동차가 그 목적에 따라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여,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교통안전법이나 도로교통법 등을 숙지하여 서로 대화를 시도하지 않더라도 자동차에 설치된 다양한 구성 등을 통해 서로 의사를 전달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시행되고 있다.
그 예로, 운전자가 자동차 주위의 불특정다수인이나 다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주의나 경고 등을 스피커에 의해 소리신호로 전달하기 위한 경적(警笛,klaxon)이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경적은 그 용도의 목적 성취를 위해 110~120데시벨(dB)의 세기를 갖도록 규정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자동제어장치를 통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세기로 울리는 경적은 안전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듣는 이들의 입장에서는 듣는 운전자 여하에 따라 불쾌감을 유발하여 자칫 운전자들 간의 상해가 따르는 시비가 붙거나 그 소리 세기에 의해 놀래는 일이 빈번하여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에는 기계의 오작동으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소음에 해당하는 소리의 세기는 60~70데시벨을 기준으로 정하고 있는 반면에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적의 소리 세기는 그 기준치보다 약 50~60데시벨 이상을 넘고 있어 타인에게 경각심을 일으키는 장점은 있으나 소음 이상의 단순한 소리로 인하여 잦은 경적을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하여 운전자들 간의 다툼이나 안전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17735호(211.02.18)인 '초음파스피커를 이용한 차량 경적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경적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전면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보행자감지부와, 경적음을 출력하는 초음파스피커와, 상기 보행자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초음파스피커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 조정부와, 음원 제공부에서 제공되는 경적음 음원을 상기 초음파스피커로 출력되도록 경적음을 처리하는 경적음처리부와, 상기 경적스위치로부터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행자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방향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초음파스피커의 방향을 조정하고 상기 경적음처리부에서 처리된 경적음을 상기 초음파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보행자감지부를 통해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초음파스피커로 출력되는 경적음의 세기를 경적음처리부에서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가 불쾌감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경적음은 보행자에게 사용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이 아닌, 원거리에 있는 다른 차량에도 주의 신호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소리의 세기(110~120데시벨)가 정해져 있으나 종래기술은 이러한 기준치 세기의 출력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종래기술의 효과를 만족하기 위한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경제적으로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적의 소리신호 세기를 유지함과 동시에 잦은 경적을 사용시에도 타인에게 불쾌감이 아닌, 들을수록 기분이 좋아지는 즉, 스트레스의 해소는 물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소리를 경적으로 사용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은 전자제어유닛(ECU)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주의/경계의 의미를 갖는 소리로 타인에게 전달시에 그 타인의 불쾌감 유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일정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되 특정한 청각패턴을 갖지 않는 소리인 백색소음(white noise)이 스피커를 통해 음향신호로 타인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제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백색소음은 비가 오는 소리, 폭포수 소리, 파도가 치는 소리 및 나뭇가지가 바람에 스치는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색소음은 자동차의 방향전환스위치, 경적스위치 및 비상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자동차에 별도로 설치된 백색소음스위치의 온/오프 선택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제어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향제공수단은 자동차의 양측 전/후방에 서로 이웃하도록 각각 한 쌍이 설치되어 상기 백색소음을 자동차 외부로 출력하는 보조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향제공수단은 동물만이 들을 수 있는 음역대인 20,000Hz(헤르쯔) 이상의 주파수 세기를 갖는 고주파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신호는 자동차 실내에 별도로 설치된 고주파스위치의 온/오프 선택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제어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보조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음향제공수단이 실행시에 색상, 문자, 숫자 및 동적이거나 정적인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표시수단을 자동차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차량의 외부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백색소음을 업/로드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다수의 상기 백색소음이 소리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에 구비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기에 소리파일형식으로 저장된 상기 백색소음을 상기 메모리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 구비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백색소음스위치가 동작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타인에게 주의 또는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경적음을 사용시에 백색소음이 스피커 또는 보조스피커를 통해 110~120 데시벨 이상으로 출력되어도 타인이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오히려 스트레스 해소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스위치를 통해 자동차로 근접하는 동물들에게 경각심을 유발하도록 함으로써, 타인뿐만 아니라 동물로 인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초음파스피커를 이용한 차량 경적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이 구비된 자동차 실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의 보조스피커가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음향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이 구비된 자동차 실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의 보조스피커가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향시스템은 크게 음향제공수단(110)으로 이루어진 백색소음스위치(111)와 고주파스위치(113) 그리고 표시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백색소음스위치(111)는 전자제어유닛(2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오프(On/Off)가 가능하도록 방향전환스위치에 구비되며, 운전자가 경적스위치를 사용하여 경적음을 발생시에 그 경적음이 백색소음(white noise)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백색소음은 가청 주파수를 커버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되 특정한 청각패턴을 갖지 않는 소리인 비가 오는 소리, 폭포수 소리, 파도가 치는 소리 및 나뭇가지가 바람에 스치는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백색소음은 타인(본 고안에서는 다른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를 의미한다)의 귀에 쉽게 익숙해지기 때문에 작업에 방해되는 소리로 들리지 않으며, 오히려 거슬리는 주변 소음을 덮어주는 작용을 하는 소리신호로 이와 같은 백색소음을 경적음으로 사용시에 운전자가 잦은 경적스위치를 사용시에도 듣는 타인이 불쾌감을 느끼기보다는 기분이 좋아지거나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역할을 하게 되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Oral Privacy(구두정보보호)' 보호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백색소음을 이용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 또는 법률로 제정할 정도로 그 효과가 입증되어 있다.
아울러, 백색소음스위치(111)는 경적음을 울리는 스피커(210)와 연결되어 백색소음이 타인에게 소리신호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차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서로 이웃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보조스피커(11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향전환스위치의 진행방향에 배치되는 보조스피커(115)를 통해 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표시부(120)는 표시수단(125)을 통해 다른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현재 자동차가 전환하고자 하는 진행방향으로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나아가, 스피커(210) 또는 보조스피커(115)를 통해 소리신호로 출력되는 백색소음은 후술하는 연결부(130)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백색소음 소리파일을 중 어느 하나를 운전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의 백색소음스위치(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반향전환스위치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자동차의 종류나 목적 등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계기판이나 핸들(경적스위치) 등에 설치되거나 경적음 이외에 방향스위치가 작동시 스피커(210) 또는 보조스피커(115)를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주파스위치(113)는 전자제어유닛(2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자동차 실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오프(On/Off)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스피커(210) 또는 보조스피커(115)를 통해 동물만이 들을 수 있는 고주파신호를 자동차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주파신호는 타인이 아닌, 동물만이 들을 수 있는 음역대인 20,000Hz(헤르쯔) 이상의 주파수 세기를 갖도록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는 백색소음을 통해 타인과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는 있지만, 동물들은 이러한 백색소음에 노출되어 있어도 타인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야간에 야생동물보호구역을 운행중인 경우, 동물과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로드킬(road kill)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하여, 음역대가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비 가청주파수 음역대를 갖는 20,000Hz(헤르쯔) 이상의 고주파신호가 지속적으로 자동차 외부로 출력될 수 있게 고주파스위치(113)를 온(On) 상태로 유지하여 야생동물지역을 운행함으로써, 백색소음으로 인한 타인뿐만 아니라, 고주파신호에 의해 동물에 의한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6 참조)
또한 표시부(120)는 전자제어유닛(200) 및 방향전환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후방의 타인에게 그 의사를 표시수단(125)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구성으로 하우징(121) 및 발광패널(123)을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예컨대, 하우징(121)은 자동차 후방에 위치하는 타인이 발광패널(123)로 표시되는 표시수단(125)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실내에 고정설치되며, 발광패널(123)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함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발광패널(123)은 전자제어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21)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음향제공수단(110)의 동작에 따라 발광가능한 표시수단(125)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표시수단(125)은 발광가능한 색상,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며, 비교적 발열이 적은 다수의 엘이디가 등 간격으로 배열된 표면실장형 엘이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발광패널(123)은 필요에 따라 음향제공수단(110)이 동작시에만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 후방에서 운행하는 다른 자동차의 운전자가 음향제공수단(110)을 실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야생동물보호구역 내에서 다수의 자동차가 서로 운행중인 경우, 어느 하나의 자동차가 고주파신호를 전달하면서 주행하게 되면 다른 운전자 특히, 애완동물이 동승하고 있는 자동차는 아무 이유없이 짓거나 우는 소리를 낼 수 있어 타인에게 의도하지 않은 피해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여,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해 고주파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자동차의 후방에 위치하는 발광패널(123)을 통해 '고주파신호가 작동 중입니다' 또는 '신호방출중입니다'라는 문자로 이루어진 표시수단(125)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운전자가 현재 고주파신호가 방출 중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6 참조)
또한 연결부(130)는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종류의 백색소음을 운전자가 업/로드 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메모리(131) 및 연결단자(133)를 포함한다.
예컨대, 메모리(131)는 전자제어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종류의 백색소음이 wav, mp3, wma, m4a, ogg, avi, mid, flac, mov, amr, aac, au, aif, raw, dvf, vox, cda, gsm, dss 및 wmv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파일형식으로 저장되어 백색소음스위치(111)가 동작시에 스피커(210) 또는 보조스피커(115)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전자제어유닛(200)에 의해 제어된다.
예컨대, 연결단자(133)는 메모리(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자동차 실내에 USB 단자 형식으로 형성되며, 운전자가 단말기(스마트폰 또는 노트북 등)에 파일형식으로 저장된 백색소음이 메모리(131)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리분석부(140)는 외부 자동차에서 출력되는 백색소음의 종류를 자동차에 설치된 마이크(미도시)로 입력과 동시에 분석하여 그 분석된 백색소음의 종류와 동일한 종류의 백색소음이 운전자 자동차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아무리 백색소음이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지 않는 소리라 하여도 서로 다른 종류의 백색소음이 사방에서 방출시에 듣는 운전자에 따라 그 소리 자체를 소음으로 들을 수 있다. 하여, 외부에서 출력되는 백색소음의 종류에 따른 파형 변화 등을 소리분석부(140)에서 분석하고, 그 분석된 종류와 같은 백색소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자동제어유닛(200)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백색소음이 소음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음향시스템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백색소음스위치(111)가 동작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타인에게 주의 또는 경각심을 주기 위한 경적음을 사용시에 백색소음이 스피커(210) 또는 보조스피커(115)를 통해 110~120 데시벨 이상으로 출력되어도 타인이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오히려 스트레스 해소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향시스템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고주파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스위치(113)를 통해 자동차로 근접하는 동물들에게 경각심을 유발하도록 함으로써, 타인뿐만 아니라 동물로 인한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음향제공수단 111: 백색소음스위치
113: 고주파스위치 115: 보조스피커
120: 표시부 121: 하우징
123: 발광패널 125: 표시수단
130: 연결부 131: 메모리
133: 연결단자 200: 전자제어유닛
210: 스피커

Claims (6)

  1. 전자제어유닛(ECU)이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주의/경계의 의미를 갖는 소리로 타인에게 전달시에 그 타인의 불쾌감 유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가청 주파수를 커버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일정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되 특정한 청각패턴을 갖지 않는 소리인 백색소음(white noise)이 스피커(210)를 통해 음향신호로 타인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제공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백색소음은 비가 오는 소리, 폭포수 소리, 파도가 치는 소리 및 나뭇가지가 바람에 스치는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소음은
    자동차의 방향전환스위치, 경적스위치 및 비상스위치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자동차에 별도로 설치된 백색소음스위치의 온/오프 선택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으로 제어되어 상기 스피커(210)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제공수단(110)은
    상기 스피커(210) 이외에 자동차의 양측 전/후방에 서로 이웃하도록 각각 한 쌍이 설치되어 상기 백색소음을 자동차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에 의해 제어되는 보조스피커(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제공수단(110)은
    동물만이 들을 수 있는 음역대인 20,000Hz(헤르쯔) 이상의 주파수 세기를 갖는 고주파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신호는 자동차 실내에 별도로 설치된 고주파스위치(113)의 온/오프 선택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으로 제어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210) 또는 상기 보조스피커(11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은
    상기 음향제공수단(110)의 실행시에 색상,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25)을 자동차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자동차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표시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은
    상기 백색소음을 업/로드할 수 있는 연결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30)는
    다수의 상기 백색소음이 소리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제어유닛(200)에 구비되는 메모리(131); 및
    상기 메모리(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기에 소리파일형식으로 저장된 상기 백색소음을 상기 메모리(131)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자동차에 구비되는 연결단자(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KR2020150005470U 2015-08-17 2015-08-17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KR200479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70U KR200479641Y1 (ko) 2015-08-17 2015-08-17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70U KR200479641Y1 (ko) 2015-08-17 2015-08-17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641Y1 true KR200479641Y1 (ko) 2016-02-22

Family

ID=5544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470U KR200479641Y1 (ko) 2015-08-17 2015-08-17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1770B2 (en) 2018-02-19 2021-02-23 Kyoung Sik KIM System for notifying of arrival at subway station and providing station information by using integrated smartphone positio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8534A1 (ja) 2010-05-26 2011-12-01 三菱電機株式会社 擬似音制御装置、擬似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移動体
JP2013014286A (ja) 2011-07-06 2013-01-24 Casio Computer Co Ltd 車両接近通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8534A1 (ja) 2010-05-26 2011-12-01 三菱電機株式会社 擬似音制御装置、擬似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移動体
JP2013014286A (ja) 2011-07-06 2013-01-24 Casio Computer Co Ltd 車両接近通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1770B2 (en) 2018-02-19 2021-02-23 Kyoung Sik KIM System for notifying of arrival at subway station and providing station information by using integrated smartphone positio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7698B2 (en) Sound-based vehicle safety system
JP7066318B2 (ja) 車両の外部音合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137902B2 (en) Adaptive interactive voice system
US103511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direction detection in a vehicle
US20180034951A1 (en) Earpiece with vehicle forced settings
US20130208912A1 (en) Simulation of engine sounds in silent vehicles
JP5975579B2 (ja) 車両接近通報装置
US20170354196A1 (en) Augmented audio enhanced perception system
KR20000070673A (ko) 차량 충돌 경고 시스템
US9731650B2 (en) Enhanced sound generation for quiet vehicles with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capabilities
JP2011207389A (ja) 車両用発音装置
JP2005333573A (ja) 警笛装置
US10019902B2 (en) Enhanced sound generation for quiet vehicles with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capabilities
CN106347207A (zh) 具有发送器位置的无声喇叭信号
EP1943127A1 (en)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1589157B2 (en) Audio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dio device for a vehicle
KR200479641Y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음향시스템
CN106218499A (zh) 汽车智能喇叭装置、控制方法及汽车
TW201617247A (zh) 車載多媒體系統與控制方法
JP2013024753A (ja) 運転支援システム
GB2514267A (en) Smart Honking
KR2021009687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789822B2 (en) Mirror controller unit for emergency vehicle warning devices
KR20140071084A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차량의 경보장치
Vegt Designing sound for quiet c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