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52Y1 -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552Y1
KR200479552Y1 KR2020140008342U KR20140008342U KR200479552Y1 KR 200479552 Y1 KR200479552 Y1 KR 200479552Y1 KR 2020140008342 U KR2020140008342 U KR 2020140008342U KR 20140008342 U KR20140008342 U KR 20140008342U KR 200479552 Y1 KR200479552 Y1 KR 200479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easy
mov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연
Original Assignee
김복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연 filed Critical 김복연
Priority to KR2020140008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ㄱ'자 커브나 'ㄷ'자 커브를 돌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노동력이 필요하고 물건의 손상이나 손실 없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운반용구의 손실이 있는데, 본 고안품인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거나 상차나 하차가 편리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짐을 운반이 가능하고 다 사용하고 나서 용기의 적재가 용이하고 적재된 용기의 분리가 쉬워 바쁜 공사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의 상단 걸림턱(20) 내측으로 나일론끈을 걸어 끌어 어느 방향으로나 운반이 용이하다.
운반 및 보관시 다량의 용기를 동시에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고 고안하여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고안해 낸 것인데,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1~1.5㎝ 외부로 말려 돌출되어 형성된 외측 돌기(11)와 , 외측돌기(11)의 외부에서 1~2㎝ 아래로 설치되며 운반 및 적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20)을 4~5개를 포함하며, 상부면의 직경은 50~60㎝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5~7°하향 경사지고, 하부면의 직경은 45~50㎝이고, 용기 본체의 바닥이 지면에서 이격되게 하부면에서 지면방향으로 0.2~0.5㎝ 돌출되고 폭이 2㎝인 하부돌기(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이다.

Description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Carrying vessel moving at a construction site}
본 고안은 아파트나 각종 빌딩, 건설현장에서 공정별로 시공되는 모든 자재나 재료들 특히 고층건축물의 내부 미장공사, 도장공사에 소요되는 콘크리트 몰탈을 수용하거나 이동시 이동 통로 상의 요철에 구애됨이 없이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어 편리하고 사용 후 보관시 밀착하여 적재가 가능해 용기의 부피가 감소해 적재가 용이하며 보관 후 분리가 쉽고 움직임이 편리한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각종 빌딩, 건설현장에서 공정별로 시공하는 모든 자재나 공구들의 이동시 턱이 있거나 모서리가 있는 경우 또한 문안으로 이동시 문의 너비가 12㎝이므로 미장공사에 필요한 도구를 사람의 손으로 들고가거나 등에 짐을 지고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ㄱ'자 커브나 'ㄷ'자 커브를 돌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노동력이 필요하고 기존의 운반기구는 통상 나무판을 이용하여 운반함으로써 작업자의 등에 밀착되어 접촉부위에 쉽게 멍이 들거나 타박상을 입게 되며 운반기구와의 잦은 마찰에 의해 피부가 벗겨지는 등 작업자에게 큰 피해를 주어 작업능력을 저하시키거나 물건의 손상이나 손실 등 운반용기의 손실이 있고 작업자의 신체에도 상해를 입히거나 상처를 입히기 마련이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거나 상차나 하차가 편리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짐을 옮기는데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라 함은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칭하는 것으로 섬유 같은 강화제로 복합시켜, 기계적 강도, 내열성, 장력이나 내충격성을 강화시킨 플라스틱으로서, 섬유보강수지 또는 강화플라스틱이라고 한다.
FRP는 상온 상압에서 성형가능하고 산, 알카리, 염, 용제류, 해수 등의 부시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지니고 있어 내식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내열, 내수, 내식,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FRP 일반 성형품은 전기절연성이 우수하고 비자성체로 전파투과성이 우수하다.
또한 비강도, 비탄성이 우수하고 경량으로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열적 특성으로는 열변형 온도가 높아 내열성이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중장비를 이용하여 자재를 운반하는데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하거나, 특히 미장공사시 시멘트에 혼합되는 모래 등은 작업자가 등에 매는 운반기구를 이용하여 운반한다.
또한 미장공사시 시멘트에 혼합되는 모래 등은 얇은 강판을 롤을 통하여 원통형으로 구부리고 이음매를 용접한 후 뚜껑과 바닥이 되는 상, 합판을 클램핑 방식으로 부착한 드럼통을 이용하는데 이동이 불편하고 사용 후 보관시 부피가 증가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이 부족한 공사현장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20-0269753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호 절개된 구조를 갖는 드럼" 한국공개특허 10-2006-0133931 "점프수레" 한국등록실용 20-0448906 "플라스틱 용기" 한국등록실용 20-0347337 "건설자재 운반용 인력기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운반용기(10)의 본체는 FRP재질로 0.5~0.7㎝의 두께로 구성되어 견고하고, 용기 전체는 길이방향으로 40~50㎝인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용기 본체의 이동시 나이론끈을 걸이 구멍(12)에 걸어, 끌고 다니기가 용이하여 보관 및 작업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1~1.5㎝ 외부로 말려 돌출되어 형성된 외측 돌기(11)와 , 외측돌기(11)의 외부에 1~2㎝ 아래로 설치되며 운반 및 적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20)을 4~5개를 포함하며, 용기 상부면의 직경은 50~60㎝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5~7°하향 경사지고, 용기 하부면의 직경은 45~50㎝이고, 용기 본체의 바닥이 지면에서 이격되게 하부면에서 지면방향으로 0.2~0.5㎝ 돌출되고 폭이 2㎝인 하부돌기(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를 제작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ㄱ'자 커브나 'ㄷ'자 커브를 돌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노동력이 필요하고 물건의 손상이나 손실 없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운반용구의 손실이 있는데, 본 고안품인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고 상차나 하차가 편리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짐의 운반이 가능하고 다 사용하고 나서 용기본체의 적재가 용이하고 적재된 용기 본체의 분리가 쉬워 공간이 부족한 공사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의 상단인 외측 돌기(11)의 걸이 구멍(12)에 나일론끈을 걸어 끌고 다니기가 용이하다.
또한 다량의 용기를 좁은 장소에 보관이 가능하며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건설현장에서 비용을 줄이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품인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품인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품인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건설현장에서 건물의 층별로 한 장소에서 모래와 시멘트, 물 등을 혼합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건설 현장에서 운반구와 리어카는 아파트의 출입구나 문 등을 통과하기 어렵고 협소한 장소에서 방향전환이 어려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제약이 따르며 일반적인 운반구는 문지방과 같은 요철부분을 통과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무리하게 문지방을 통과할 경우 문지방을 훼손시킬 수 있으므로 문지방과 같은 요철부분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문지방 위를 덧씌워 완만한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덮개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몰탈이 담긴 용기는 상당히 무거워 운반구에서 하차시키기가 어렵고 몰탈의 사용이 끝날 때까지 운반구를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층에 대한 내장공사시에도 여러 개의 운반구가 필요하지만 협소한 장소에 여러 대의 운반구나 리어카를 보관할 수가 없다.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 자재 및 시멘트, 도료, 콘크리트를 담는 FRP를 이용한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1~1.5㎝ 외부로 말려 돌출되어 형성된 외측 돌기(11)와, 외측돌기(11)의 외부에 1~2㎝ 아래로 설치되며 운반 및 적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20)을 4~5개를 포함하며, 용기 상부면의 직경은 50~60㎝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5~7°하향 경사지고, 용기 하부면의 직경은 45~50㎝이고, 용기 본체의 바닥이 지면에서 이격되게 하부면에서 지면방향으로 0.2~0.5㎝ 돌출되고 폭이 2㎝인 하부돌기(30)로 형성되어 있어 많은 용기를 적재시 부피가 줄고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품은 용기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하향 경사져서 적재시 많은 용기를 밀착하여 적재를 할 수 있어서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보관 후 사용하기 위해 꺼낼 때 걸림턱(20)을 잡고 꺼내면 분리가 용이하고 또한 하부면에 있는 하부돌기(30)도 분리가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FRP 용기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측 돌기(11) 및 용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 돌기(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측 돌기(11)에는 운반시 끈을 장착할 수 있는 걸이 구멍(12)이 0.5~0.7㎝로 있어 걸이 구멍(12)에 나일론 끈을 매어 끌면서 이동하면운반이 용이하다.
본 고안품인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장력이나 내충격성이 강한 FRP 용기인데 FRP 용기의 두께는 0.5~0.7㎝의 두께여서 얇고 가벼워서 공사현장에서 운반이 용이하고 운반시 용기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FRP 용기의 내부 본체에 미장공사시 혼합되는 시멘트 몰탈을 담고 걸이 구멍(12)에 나일론 끈을 매단 후 작업자가 공사할 장소에 FRP 용기를 이동하여 미장공사에 필요한 모든 자재를 운반한다.
미장공사가 다 끝난 후에는 FRP 용기 다수 개를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보관하는 데 다수개의 FRP 용기를 하나씩 차례대로 적재가 가능하다.
FRP 용기는 가볍고 용기본체의 상단부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1~1.5㎝외부로 말려 돌출되어 형성된 외측 돌기(11)가 있고 외측돌기(11)의 외부에서 1~2㎝ 아래로 설치되며 운반 및 적재가 용이하기 위한 걸림턱을 4~5개로 구성되어 밀착하여 적재를 해도 하부에 있는 FRP 용기와 상부에 있는 FRP 용기는 완전 밀착이 일어나지 않고 포개어 지지 않는다.
상기 걸림턱(20)은 상부 FRP 용기와 하부 FRP 용기를 분리할 때도 이용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20)의 안쪽인 용기 본체(10)에는 나일론끈을 걸기 위한 걸이 구멍(12)이 설치되어 용기에 내용물을 적재한 후 다른 장소로 이동시에 나일론 끈을 걸이 구멍에 끼우고 나일론 끈을 잡아당겨서 이동할 수 있다.
나일론 끈의 끝부분에는 육각형 모양의 대롱을 매어 목적지까지 운반시에 손가락에 가해지는 하중을 육각형 대롱의 전부분으로 집결시켜 주어서 통증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감각마비 증상 등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나일론끈 끝부분에 육각형 모양의 대롱을 설치하여 운반을 더욱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외측 돌기(11)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돌기(11)는 용기 본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각각 원주형태로 말려서 구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부에는 저면의 중심에서 하부쪽으로 하부돌기(30)가 0.2~0.5㎝ 돌출되어 있는데 적재된 용기의 분리가 용이하고 이동시 마찰이 적다.
용기의 하부면에 있는 하부돌기(30)는 밑부분이 지면과 공간을 이루어 0.2~0.5㎝ 돌출되고 폭이 2㎝로 구성되어 이동시 마찰을 줄이는 동시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이격되어 적재 후 다시 사용하기 위해 분리시 잘 빠지고 용기의 운반시 마찰이 적어 힘이 적게 들고 바닥에 닿지 않아 이동을 많이 해도 용기의 손상이 없어 오래 사용이 가능해 경제적이다.
상기 하부돌기가 0.2㎝ 미만으로 돌출되면 분리시 상하부 용기와의 간격이 좁아 분리가 어렵고 0.5㎝를 초과하면 이동시 불편하고 용기 적재시 용기의 부피가 커져 공간을 많이 차지해 협소한 공사현장에서 사용이 어렵고 무거운 것을 적재한 후 운반할 때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용기를 적재하였을시 부피가 감소하고 분리가 용이하여 꺼내기가 쉽다.
본 고안의 하부돌기(30)는 하부면에서 지면 방향으로 0.2~0.5㎝ 튀어나온 것으로 구성되어 본체를 다수 개 적재하였을 때 적재가 용이하고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 꺼낼 때 꺼냄이 용이하면서 바닥에서 밀고 다닐 때 마찰이 적어 본체(10)가 마모가 되거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돌기(30)의 폭은 2㎝인데 2㎝를 초과하면 마찰력이 증가하고 재료비 상승의 원인이 된다.
상기 하부돌기(30)는 하부면에 3~5개로 구성되고 용기가 밀착하여 적재되었을 때 상부 FRP 용기와 하부 FRP 용기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하고 지면과의 마찰을 줄여서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증가시켜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품은 세대별 출입구에 있는 12㎝의 문지방을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고 'ㄱ', 'ㄷ' 자 커브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자재나 짐의 손상없이 상차나 하차가 편리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짐을 옮길 수 있는 아주 편리한 운반용기를 고안하였다.
현장에서 이동시 모든 공구와 자재를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고 상차나 하차 운반시 안정감을 주면서 마찰이 적어 이동이 수월하고 모래나 시멘트 벽돌 운반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공사현장에서 모든 자재나 공구들을 이동할 시에 12㎝의 문지방 있는 관계로 문지방을 완만한 경사로 만들어야만 기존의 인력거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번거로움 때문에 공사현장에서는 사람들이 손으로나 등짐으로 자재를 운반하여 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을 주기도 하였으나 , 본 고안품은 문지방의 완만한 경사를 만드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필요한 자재들을 손상없이 많은 양을 한꺼번에 안전하게 옮길수 있어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본 발명품은 12㎝의 문지방을 자유롭게 오르고 내릴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자유로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코너를 돌 때 안정감이 있어 용기에 실은 물건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필요한 자재들을 손상 없이 안전하게 옮길 수 있어서 편리하고 능률적이며 경제적이다.
본 고안품은 작업자가 안전하면서도 간편히 작업할 수 있고 공기가 빠르고 인건비가 절약되어 전체공사비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미장공사시에 이동시 불편을 줄이고 사용 후 보관시 부피가 증가하여 많을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고안품은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는 미장공사나 도장공사시 필요한 도구를 이동 통로 상의 요철에 구애 없이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어 편리하고 사용후 보관시 용기들이 밀착하여 부피가 감소해 적재가 용이하며 보관 후 분리가 쉽고 움직임이 편리한 운반용기에 관한 것인데, FRP 재질로 만들어 견고하고 용기를 사용 후 적재시 밀착하여 부피가 감소해 보관이 용이하여 다수의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0: 용기 본체 11: 외측돌기
12: 걸이 구멍 20: 걸림턱
30 :하부돌기

Claims (3)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부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1~1.5㎝ 외부로 말려 돌출되어 형성된 외측 돌기(11)와, 외측돌기(11)의 외부에 1~2㎝ 아래로 설치되며 운반 및 적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턱(20)을 4~5개를 포함하여 적재를 해도 하부에 있는 용기와 상부에 있는 용기는 완전 밀착이 일어나지 않고 포개어 지지 않으며, 용기 상부면의 직경은 50~60㎝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5~7°하향 경사지고, 용기 하부면의 직경은 45~50㎝이고, 용기 본체의 바닥이 지면에서 이격되게 하부면에서 지면방향으로 0.2~0.5㎝ 돌출되고 폭이 2㎝인 하부돌기(30)로 구성되어 이동시 마찰을 줄이는 동시에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이격되어 적재 후 다시 사용하기 위해 분리시 잘 빠지고 용기의 운반시 마찰이 적어 힘이 적게 들고 바닥에 닿지 않아 이동을 많이 해도 용기의 손상이 없어 오래 사용이 가능되고,
    상기 용기의 본체(10)는 FRP재질로 구성되며 0.5~0.7㎝의 두께로 구성되고, 용기본체(10)의 크기는 길이방향으로 40~50㎝이고,
    외측돌기(11) 외부의 하단 걸림턱(20)의 안쪽에 0.5~1㎝의 걸이 구멍(12)을 내고 걸이 구멍(12)에는 나일론끈을 걸어 운반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2. 삭제
  3. 삭제
KR2020140008342U 2014-11-13 2014-11-13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KR200479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42U KR200479552Y1 (ko) 2014-11-13 2014-11-13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42U KR200479552Y1 (ko) 2014-11-13 2014-11-13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552Y1 true KR200479552Y1 (ko) 2016-02-11

Family

ID=5535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342U KR200479552Y1 (ko) 2014-11-13 2014-11-13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5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0Y1 (ko) 2005-08-19 2005-11-09 주식회사 엠씨씨 분리가 쉽고 미끄러지지 않는 천연물 일회용 용기
CN201371975Y (zh) * 2008-12-17 2009-12-30 伍新权 一种套袋塑料桶
CN203186671U (zh) * 2012-12-27 2013-09-11 何淦辉 水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0Y1 (ko) 2005-08-19 2005-11-09 주식회사 엠씨씨 분리가 쉽고 미끄러지지 않는 천연물 일회용 용기
CN201371975Y (zh) * 2008-12-17 2009-12-30 伍新权 一种套袋塑料桶
CN203186671U (zh) * 2012-12-27 2013-09-11 何淦辉 水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0779B1 (en) Closure device for a pipe/wall aperture
US5472220A (en) Bucket dolly
US10329091B2 (en) Collapsible debris chute and debris removal method
US9487226B2 (en) Container system for transporting one or more objects by pulling a rope
RU2728918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проволоки с наполнителем
US20140086512A1 (en) Palletless bulk bag
BRPI0806586A2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manejar contêineres e contêiner
US20060006276A1 (en) Product hanger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200479552Y1 (ko) 건설현장에서 움직이는 운반용기
US10947010B2 (en) Stackable bucket system
CN211769730U (zh) 吊装装置
WO2013004770A1 (en) A flexible container for bulk material
US202000021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JP5548463B2 (ja) ダクト蓋
US10046909B2 (en) Dumpster pads
CN217623628U (zh) 砂袋存储、运输一体装置
US9174706B2 (en) Dock anchor
BR102017021770A2 (pt) lona retrátil contra queda de granéis sólidos, para evitar desperdício de material durante carga e descarga de navios
CA2843694C (en) Dock anchor
CN211997080U (zh) 一种改进的移动式搭吊料斗
JP7251785B2 (ja) コンクリート原料収納袋用カバー
CN215285696U (zh) 一种配合装配式一体化屋面施工块材吊运的吊架
JP3130315U (ja) 産業廃棄物コンテナー用屋根構造
GB2263898A (en) Bulk containers
KR102023404B1 (ko) 비계용 생명줄 걸이 와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