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49Y1 -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 Google Patents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549Y1
KR200479549Y1 KR2020150007290U KR20150007290U KR200479549Y1 KR 200479549 Y1 KR200479549 Y1 KR 200479549Y1 KR 2020150007290 U KR2020150007290 U KR 2020150007290U KR 20150007290 U KR20150007290 U KR 20150007290U KR 200479549 Y1 KR200479549 Y1 KR 200479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late
handling
transparen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담
Original Assignee
김예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담 filed Critical 김예담
Priority to KR2020150007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2Transparent tops, e.g. with lighting means under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테두리 프레임 내에 장착되되 반대편 위치의 책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상판 플레이트; 상기 투명판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서 누운 사람이 상기 투명판에 놓인 책을 넘기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는 책 핸들링용 관통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터널;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 터널 내외로 출입되면서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1 손잡이가 마련되는 투명 받침 플레이트;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레일블록과, 상기 다수의 레일블록을 연결하되 상기 책이 지지되는 책 받침부와, 상기 책 받침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책 받침부에 접근되면서 상기 책 받침부와 함께 상기 책의 단부를 지지하는 책 클램프와, 상기 책 받침부와 상기 책 클램프를 연결하되 노출 단부에 헤드가 마련되는 연결봉과, 상기 책 클램프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연결봉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책 클램프를 상기 책 받침부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판 상에 안착되는 책을 클램핑시키는 책 클램핑 유닛;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 플렉시블 가능한 주름관이 연결되고,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조명기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 타측에 마련되되 상기 조명기구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필기구 수납용 컬럼;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에 결합되어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을 개폐하되 제2 손잡이와 힌지를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들에 각각 결합되는 휠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Functional desk}
본 고안은,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 관한 것이다.
책상은 앉아서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사무를 보거나 할 때에 앞에 놓고 쓰는 상의 총칭으로서, 일반 가정을 비롯하여 학교,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종전의 책상은 다리가 있는 사각의 평상으로 된 책상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6693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871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3419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7163호 등에 개시된 것처럼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책상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앉아 생활하기가 곤란한 사람의 경우, 일반적인 책상을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즉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픈 사람의 경우, 주로 누워서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데, 이들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책상을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6693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871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3419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27163호
본 고안의 목적은,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테두리 프레임 내에 장착되되 반대편 위치의 책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상판 플레이트; 상기 투명판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서 누운 사람이 상기 투명판에 놓인 책을 넘기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는 책 핸들링용 관통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터널;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 터널 내외로 출입되면서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1 손잡이가 마련되는 투명 받침 플레이트;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레일블록과, 상기 다수의 레일블록을 연결하되 상기 책이 지지되는 책 받침부와, 상기 책 받침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책 받침부에 접근되면서 상기 책 받침부와 함께 상기 책의 단부를 지지하는 책 클램프와, 상기 책 받침부와 상기 책 클램프를 연결하되 노출 단부에 헤드가 마련되는 연결봉과, 상기 책 클램프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연결봉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책 클램프를 상기 책 받침부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판 상에 안착되는 책을 클램핑시키는 책 클램핑 유닛;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 플렉시블 가능한 주름관이 연결되고,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조명기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 타측에 마련되되 상기 조명기구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필기구 수납용 컬럼;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에 결합되어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을 개폐하되 제2 손잡이와 힌지를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들에 각각 결합되는 휠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책 클램핑 유닛은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블록은 도브 테일(dove tail)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책 받침부에는 상기 책이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책 클램프의 일측에는 날개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는 상기 투명 받침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안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에는 내부 관찰이 가능한 내부 관찰창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책이 놓인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투명 받침 플레이트가 일부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책 클램핑 유닛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레일과 레일블록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필기구 수납용 컬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서 필기구 수납용 컬럼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책이 놓인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1의 배면도, 도 5는 도 4에서 투명 받침 플레이트가 일부 열린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책 클램핑 유닛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레일과 레일블록의 단면 구조도, 도 9는 필기구 수납용 컬럼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은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판 플레이트(110)와, 상판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다수의 필기구 수납용 컬럼(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 플레이트(110)는 테두리 프레임(111)과, 테두리 프레임(111) 내에 장착되되 반대편 위치의 책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판(120)는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한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적용될 수 있으며, 테두리 프레임(111) 내에 장착된다.
이처럼 상판 플레이트(110)의 대부분 영역이 투명판(120)으로 될 경우,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 누워 상판 플레이트(110)를 바라보는 사람이 투명판(120)을 통해 투명판(120)에 놓인 책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판(120)의 중심부에는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가 형성된다.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는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서 누운 사람이 투명판(120)에 놓인 책을 넘기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전술한 것처럼 상판 플레이트(110)에 투명판(120)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부 영역에 누워 상판 플레이트(110)를 바라보는 사람이 투명판(120)을 통해 투명판(120)에 놓인 책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투명판(120)의 전체 영역이 막혀 있는 경우라면 누운 상태에서 책을 넘길 수 없다. 따라서 주변 사람의 도움 없이도 누운 상태에서 책을 넘길 수 있도록 투명판(120)에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누운 상태에서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를 통해 손을 집어넣어 그 상부의 책을 넘길 수 있다. 이때,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로 책이 아래로 떨어지면 곤란하기 때문에 책은 조작이 용이한 책 클램핑 유닛(140)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면에서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의 주변에는 다수의 슬라이딩 터널(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처럼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가 슬라이딩 터널(123) 내외로 출입되면서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때,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 역시, 투명한 재질로 적용된다.
도 5처럼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를 개방할 경우에는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를 통해 책을 넘길 수 있으며, 도 4처럼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에 의해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가 차폐될 경우에는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를 통해 책을 볼 수도 있고, 혹은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를 지지면으로 하여 누워서 필기할 수 있다.
슬라이딩 터널(123)에는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의 이동을 제안하는 스토퍼(124)가 마련된다. 따라서 도 4처럼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를 닫으면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가 스토퍼(124)에서 멈추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를 쉽게 조작하기 위해 투명 받침 플레이트(125)에는 그 일측에 제1 손잡이(126)가 마련된다.
상판 플레이트(110) 상에는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의 주변 영역으로 한 쌍의 레일(130)이 마련된다. 그리고 한 쌍의 레일(130)에 책 클램핑 유닛(14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책 클램핑 유닛(140)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책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함으로써 책이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책 클램핑 유닛(140)은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를 사이에 두고 책 핸들링용 관통구(12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책의 사이즈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모든 책에 적용되기 위해 한 쌍의 책 클램핑 유닛(140)은 레일(130) 상에서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책 클램핑 유닛(140)의 구조를 살펴보면, 책 클램핑 유닛(140)은 레일(1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레일블록(141)과, 다수의 레일블록(141)을 연결하되 책이 지지되는 책 받침부(142)와, 책 받침부(142)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되 책 받침부(142)에 접근되면서 책 받침부(142)와 함께 책의 단부를 지지하는 책 클램프(143)와, 책 받침부(142)와 책 클램프(143)를 연결하되 노출 단부에 헤드(144a)가 마련되는 연결봉(144)과, 책 클램프(143)의 상부 영역에서 연결봉(144)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책 클램프(143)를 책 받침부(142)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130)과 책 클램핑 유닛(140)의 하부를 이루는 레일블록(141)은 도 8처럼 도브 테일(dove tail) 형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책 클램핑 유닛(140)이 레일(130)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책 받침부(14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이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a)가 결합된다. 이처럼 책 받침부(142)에 미끄럼 방지용 패드(142a)가 결합되기 때문에 책의 단부가 책 받침부(142)에 놓여 지지될 때,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책 클램프(143)의 일측에는 날개 플랜지(143a)가 형성된다. 날개 플랜지(143a)는 책 클램프(143)을 들어 올리고자 할 때,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45)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천장을 보고 바닥에 누운 사람이 책 클램프(143)의 날개 플랜지(143a) 영역을 상부로 밀면 책 받침부(142)로부터 책 클램프(143)가 이격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책장을 넘긴 후, 책 클램프(143)를 밀었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45)로 인해 책 클램프(143)가 책 받침부(142) 쪽으로 이동되면서 책 받침부(142)와 함께 책의 단부를 클램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면 일측에는 포켓(115)이 마련된다. 포켓(115)은 집게 형태가 혹은 주머니 형태일 수 있는데, 메모장, 지우개, 풀 등의 필기구를 넣어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는 조명기구(150), 필기구 수납용 컬럼(160), 그리고 휠 부재(170)가 더 적용된다.
조명기구(150)는 누워서 책을 볼 때, 조명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이때, 조명기구(150)를 용이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명기구(150)에는 플렉시블 가능한 주름관(151)이 연결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가능한 주름관(151)의 단부에는 슬라이더(152)가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더(152)는 상판 플레이트(110)의 하면 타측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55)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이드(155)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조명기구(150)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쉽게 조정할 수 있다.
필기구 수납용 컬럼(160)은 상판 플레이트(1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필기구 수납용 컬럼(160) 내에 연필, 샤프, 볼펜, 자, 등의 필기구를 수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기구 수납용 컬럼(160)에는 도 9 및도 10처럼 덮개(161)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161)에는 제2 손잡이(162)가 마련되며, 힌지(163)로 인해 필기구 수납용 컬럼(160)에서 회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휠 부재(170)는 필기구 수납용 컬럼(160)들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휠 부재(170)가 단순히 롤러 타입으로 되어 있으나 휠 부재(170)에는 이동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부속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에서 필기구 수납용 컬럼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필기구 수납용 컬럼(260)에 내부 관찰이 가능한 내부 관찰창(26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기구 수납용 컬럼(260)에 내부 관찰창(261)이 마련될 경우, 덮개(161)를 열지 않더라도 필기구 수납용 컬럼(260) 내에 필기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특정 장애인을 포함하여 허리가 심하게 아파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상판 플레이트 111 : 테두리 프레임
115 : 포켓 120 : 투명판
121 : 책 핸들링용 관통구 123 : 슬라이딩 터널
124 : 스토퍼 125 : 투명 받침 플레이트
126 : 제1 손잡이 130 : 레일
140 : 책 클램핑 유닛 141 : 레일블록
142 : 책 받침부 142a : 미끄럼 방지용 패드
143 : 책 클램프 143a : 날개 플랜지
144 : 연결봉 144a : 헤드
145 : 탄성부재 150 : 조명기구
151 : 주름관 152 : 슬라이더
155 : 슬라이딩 가이드 160 : 필기구 수납용 컬럼
161 : 덮개 162 : 제2 손잡이
163 : 힌지 170 : 휠 부재

Claims (8)

  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테두리 프레임 내에 장착되되 반대편 위치의 책이 보이도록 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상판 플레이트;
    상기 투명판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에서 누운 사람이 상기 투명판에 놓인 책을 넘기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는 책 핸들링용 관통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터널;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 터널 내외로 출입되면서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1 손잡이가 마련되는 투명 받침 플레이트;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주변 영역에서 상기 상판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레일블록과, 상기 다수의 레일블록을 연결하되 상기 책이 지지되는 책 받침부와, 상기 책 받침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책 받침부에 접근되면서 상기 책 받침부와 함께 상기 책의 단부를 지지하는 책 클램프와, 상기 책 받침부와 상기 책 클램프를 연결하되 노출 단부에 헤드가 마련되는 연결봉과, 상기 책 클램프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연결봉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책 클램프를 상기 책 받침부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판 상에 안착되는 책을 클램핑시키는 책 클램핑 유닛;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
    플렉시블 가능한 주름관이 연결되고,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조명기구;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하면 타측에 마련되되 상기 조명기구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상판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필기구 수납용 컬럼;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에 결합되어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을 개폐하되 제2 손잡이와 힌지를 구비하는 덮개; 및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들에 각각 결합되는 휠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 클램핑 유닛은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책 핸들링용 관통구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블록은 도브 테일(dove tail)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 받침부에는 상기 책이 미끄러지는 것을 저지시키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 클램프의 일측에는 날개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는 상기 투명 받침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안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수납용 컬럼에는 내부 관찰이 가능한 내부 관찰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KR2020150007290U 2015-11-10 2015-11-10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KR200479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90U KR200479549Y1 (ko) 2015-11-10 2015-11-10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90U KR200479549Y1 (ko) 2015-11-10 2015-11-10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549Y1 true KR200479549Y1 (ko) 2016-02-26

Family

ID=5544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290U KR200479549Y1 (ko) 2015-11-10 2015-11-10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226B1 (ko) * 2017-01-12 2017-04-27 이상미 전자 교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575Y1 (ko) 1998-10-30 2002-04-22 옥천석 독서대
KR200320684Y1 (ko) 2003-05-01 2003-07-22 김현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독서대
KR100979301B1 (ko) 2007-11-21 2010-09-01 추선주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575Y1 (ko) 1998-10-30 2002-04-22 옥천석 독서대
KR200320684Y1 (ko) 2003-05-01 2003-07-22 김현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독서대
KR100979301B1 (ko) 2007-11-21 2010-09-01 추선주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226B1 (ko) * 2017-01-12 2017-04-27 이상미 전자 교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5137B2 (ja) 万能書見台
US7845611B1 (en) Door operated page turne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books
CN204541276U (zh) 一种阅读书架
CN101357025A (zh) 舒适保健看书架与多用途台灯一体化的学习器具
US20110109074A1 (en) Book page holder
KR200479549Y1 (ko) 누워 사용하는 기능성 책상
KR20210041217A (ko) 이동이 편리한 책걸상
US20060065167A1 (en) Desk with tilt-adjustable tops
KR100956292B1 (ko) 독서지지대가 구비된 책
CN106983286A (zh) 防近视的学生书桌
KR200451562Y1 (ko) 연필꽂이 겸용 필통
KR101492186B1 (ko) 독서대 겸용 책상
KR200479361Y1 (ko) 책 고정 기구
KR200413791Y1 (ko) 누워서도 사용 가능한 투명 독서대
KR102582340B1 (ko) 책넘김 방지기구
CN201260504Y (zh) 舒适保健看书架与多用途台灯一体化的学习器具
CN205180748U (zh) 老年人阅读书报支架
KR20190068685A (ko) 책 고정 도구
CN209106510U (zh) 一种桌椅两用式活动板
KR200413793Y1 (ko) 누워서도 사용 가능한 투명 독서대
CN202354771U (zh) 便携易调式书本阅读支撑板
KR200465293Y1 (ko) 밑줄긋기용 자가 구비된 독서대
CN201366855Y (zh) 携带方便倾斜度可调阅读夹
CN2688137Y (zh) 折叠式护眼纠姿读写仪
KR20090050298A (ko) 스탠드업 지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