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37Y1 -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 Google Patents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37Y1
KR200479437Y1 KR2020140000736U KR20140000736U KR200479437Y1 KR 200479437 Y1 KR200479437 Y1 KR 200479437Y1 KR 2020140000736 U KR2020140000736 U KR 2020140000736U KR 20140000736 U KR20140000736 U KR 20140000736U KR 200479437 Y1 KR200479437 Y1 KR 200479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ing
fastening
horizontal suppor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052U (ko
Inventor
김기성
신종석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0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3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블록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블록과 밀착되어 상기 블록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블록 고정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에 상기 블록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CARRIER COMPRISING FIXING PART OF THE BLOCK}
본 고안은 선박의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조선 등과 같은 대형 선박은 선박 구조물을 블록화하고, 그 블록을 각각 조립한 후 취합하는 방식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이때, 각 블록을 가공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블록은 캐리어(CARRIER)에 탑재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블록을 수평하게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와 'A'형상의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A-캐리어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캐리어에 의해 블록을 단순히 지지할 경우에는 블록이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지주 등이 캐리어와 블록에 각각 용접되어 블록이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용접방식에 의해 블록이 캐리어에 고정될 경우에, 지주는 다시 블록 및 캐리어로부터 절단되어야 하며, 지주의 절단으로 인해 블록의 표면에 손상이 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블록을 캐리어에 고정시킬 때마다 지주를 제작하여 블록에 용접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0647084호 (2006.11.10.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블록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블록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블록과 밀착되어 상기 블록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블록 고정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에 상기 블록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블록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록 고정부 본체; 상기 블록 고정부 본체에 연결되되 상기 블록 고정부 본체가 상기 블록과 마주보게 되는 면에 장착되는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에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홈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블록 고정부를 1차적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블록 고정부는, 상기 고정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패드가 상기 블록과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드의 위치를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홈과 상기 블록 고정부의 일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에 상기 블록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블록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록 고정부의 고정패드가 블록 고정부 본체로부터 멀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에 블록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에 블록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록 고정부의 고정패드가 블록 고정부 본체로부터 멀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10)는 선박을 구성하는 블록을 지지 및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수평지지부(100), 수직지지부(200) 그리고 블록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100)는 블록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 벌의 수직지지부(200)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100)는 전체적으로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상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하고자 하는 블록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100)의 상면에는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0)이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0)은 블록 고정부(300)가 수평지지부(100) 상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일반적인 레일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가이드레일(120)은 단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져서 블록 고정부(300)가 가이드레일(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나, 블록 고정부(300)를 가이드레일(120) 상에 장착 한 후에 가이드레일(120)의 단부가 차폐되는 구조를 가져서 블록 고정부(300)가 가이드레일(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이드레일(120)은 별도로 제작된 레일이 수평지지부(100)에 장착되지 않고, 수평지지부(100) 상에 일정 폭으로 형성된 한 쌍의 슬릿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부(100)에는 체결대(130) 및 체결대(130)에 장착되는 체결부재(150)가 제공되어 블록 고정부(300)가 수평지지부(100)에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대(130)는 수평지지부(100)의 양 측면에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판재 형태일 수 있으며, 체결대(130)에는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체결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대(130)에 체결홈(135)이 더 많이 형성될수록 체결대(130)에 고정되는 블록 고정부(300)의 위치가 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체결부재(150)는 체결홈(135)에 삽입되는 형태를 갖는 핀 형상일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체결부재(150)의 분실 방지를 위해서 체결부재(150)를 체결대(130) 또는 블록 고정부(300)에 끈 등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체결대(130)는 판재 형태 이외에도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고, 수평지지부(100)의 측면 이외에도 수평지지부(100)의 저면에 장착되어 수평지지부(100)와 블록 고정부(300)를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150)로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그 밖에도 블록 고정부(300)를 수평지지부(1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는 수평지지부(100) 및 블록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안정된 지지를 위해서 두 개 이상의 수직지지부(200)가 한 벌이 되어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0)는 두 개의 기둥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상단부는 서로 결합되고 하단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A'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블록 고정부(300)는 수평지지부(100)에 제공된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며 블록을 수평지지부(1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블록 고정부 본체(310), 고정패드(320), 위치조절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고정부 본체(310)는 블록 고정부(300)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저면에 이송부재(311)가 장착되어 가이드레일(120)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고정부 본체(310) 양 측면에는 체결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홀(341)이 형성된 고정판(34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블록 고정부 본체(310)에 고정판(340)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고 블록 고정부 본체(310)와 수평지지부(100)가 체결부재(150)로 연결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수평지지부(100)와 블록 고정부(300)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며, 수평지지부(100)와 블록 고정부(300)가 체결되는 구조나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블록 고정부 본체(310)에는 위치조절부(330)가 장착될 수 있는 암나사부가 블록 고정부 본체(3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을 수평지지부(100) 상에 안착시킬 경우 블록과 블록 고정부 본체(310)가 마주보게 되는 면에는 고정패드(320)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패드(320)는 블록과 밀착되어 블록을 수평지지부(100)에 고정시키며 블록과의 접촉 시 블록 표면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패드(320)는 위치조절부재(330)에 의해 블록 고정부 본체(310)와 연결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330)는 블록 고정부 본체(310)와 고정패드(320)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블록 고정부 본체(310)의 암사나부에 장착되되 블록 고정부 본체(310)보다 긴 길이를 가져서 일단은 블록 고정부 본체(310)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타단은 고정패드(320)와 연결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330)의 타단은 고정패드(320) 내부에 장착된 별도의 너트(미도시) 등과 체결되어 위치조절부재(330)가 회전될 때에도 고정패드(320)는 회전하지 않고 블록 고정부 본체(310)와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절부재(330)의 돌출된 부분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패드(320)가 블록 고정부 본체(310)와 멀어지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패드(320)가 블록 고정부 본체(310)와 가까워질 수 있다.
그러나, 수평지지부(100) 상에 장착되는 블록 고정부(300)의 위치설정이 체결대(130) 및 체결부재(150)만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져서 고정패드(320)가 블록과 밀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위치조절부재(330)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무패드(320)는 블록 고정부 본체(310)에 접착물질 등으로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에 블록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2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블록(2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야 하므로 적정한 높이의 수직지지부(200)와 적정한 길이의 수평지지부(100)로 이루어진 캐리어(10) 상에 블록(20)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건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블록(20)이 수평지지부(100)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한 쌍의 블록 고정부(300)를 가이드레일(120) 상에서 이동시켜 블록(20)의 양 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체결대(130) 상에 형성된 체결홈(135)과 블록 고정부 본체(310)의 고정판(340)에 형성된 고정홀(341)이 일직선 상에 오는 위치에서 체결부재(150)를 고정홀(341) 및 체결홈(135)에 삽입시키면 블록 고정부 본체(310)는 체결대(130)에 고정되게 되어 가이드레일(120) 상에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 때, 고정패드(320)와 블록(20)의 양 측면이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조절부재(330)의 일단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패드(320)가 블록 고정부 본체(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블록(2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패드(320)와 블록(20)이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패드(32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 블록(2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블록(20)은 표면의 손상 없이 수평지지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20)의 조립이 완성되어 블록(20)을 캐리어(1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체결부재(150)를 체결홈(135)과 고정홀(341)로부터 분리한 후 블록 고정부 본체(310)를 수평지지부(100)의 양 끝단 쪽으로 이동시키면 블록(20)이 캐리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10)는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블록(20)을 캐리어(10) 상에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접 등으로 인한 블록(20)의 표면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작업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블록 고정부(300)가 이동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블록(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캐리어(10)의 활용도가 향상되어 캐리어(10) 제작 경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수평지지부(100)와 블록 고정부(300)의 체결 구조에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에 블록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블록(2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100')의 측면에는 수평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슬릿 형상의 체결홈(10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홈(105)은 수평지지부(100') 측면을 관통하여 가이드레일(120') 상에서 이송부재(311')가 이동하는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50')는 체결홈(105)을 관통하여 이송부재(311')와 체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볼트 또는 핀 형상의 체결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고정부 본체(310')는 전술된 고정판(340)과 위치조절부재(330)가 생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송부재(311')에는 체결부재(150')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미도시) 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20)을 캐리어(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블록(20)을 수평지지부(100') 상에 안착시킨 후 한 쌍의 블록 고정부(300')를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시켜 블록(20)의 양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체결부재(150')를 블록 고정부(300')의 이송부재(311')에 형성된 암나사부 또는 체결홀에 억지 끼움시키면, 블록 고정부 본체(310')가 체결부재(150')와 체결되어 수평지지부(100') 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고정패드(320)를 블록(20)과 밀착시키기 위해서 위치조절부재(330)를 조작하지 않아도 고정패드(320)가 블록(20)과 밀착될 수 있으며, 체결홈(105)이 수평지지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 고정부(300')의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20: 블록
100: 수평지지부 120: 가이드레일
130: 체결대 150,150': 체결부재
200: 수직지지부 300: 블록 고정부
310: 블록 고정부 본체 320: 고정패드
330: 위치조절부재

Claims (5)

  1. 선박의 블록을 지지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 및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블록과 밀착되어 상기 블록을 상기 수평지지부 상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블록 고정부; 및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블록 고정부를 1차적으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블록 고정부 본체;
    상기 블록 고정부 본체에 연결되되 상기 블록 고정부 본체가 상기 블록과 마주보게 되는 면에 장착되는 고정패드; 및
    상기 고정패드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패드가 상기 블록과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패드의 위치를 2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홈과 상기 블록 고정부의 일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에 상기 블록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캐리어.
KR2020140000736U 2014-02-03 2014-02-03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KR200479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36U KR200479437Y1 (ko) 2014-02-03 2014-02-03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736U KR200479437Y1 (ko) 2014-02-03 2014-02-03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52U KR20150003052U (ko) 2015-08-12
KR200479437Y1 true KR200479437Y1 (ko) 2016-01-27

Family

ID=5401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736U KR200479437Y1 (ko) 2014-02-03 2014-02-03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955B1 (ko) * 2017-11-09 2019-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52U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850B2 (en) Bed frame connector
USD724418S1 (en) Reinforcing bar support for bond beam blocks
KR101259458B1 (ko) 앵커 체인 스토퍼의 위치 조절 구조체
TWI607723B (zh) 滑軌總成
KR200479437Y1 (ko) 블록 고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CN101405532A (zh) 支撑装置
KR10154494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564812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KR20160135475A (ko) 케이블 체인 받침바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체인 가이드 시스템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JP7239888B2 (ja) 治具
KR101742847B1 (ko) 슬롯 결합 방식을 갖는 차량용 루프랙
JP2014169531A (ja) 床用目地装置
KR101140929B1 (ko) 용접 캐리지를 위한 이동식 레일 지지대
JP2008119586A (ja) 塗装済みバンパーの仮置き台
CN204770265U (zh) 汽车零部件定位装置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KR20160065638A (ko) 형강 빔을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대
CN110665763B (zh) 灯具件灌胶用定位装置
KR101149471B1 (ko) 너트용접기용 지지장치
KR101523907B1 (ko) 원호 용접 지그
JP6189152B2 (ja) テーブル
CN209491471U (zh) 一种挖掘机履带梁导向装置焊接夹具
CN219553592U (zh) 一种用于晶圆存储盒的承载装置
KR101434491B1 (ko)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