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789Y1 -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 Google Patents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789Y1
KR200478789Y1 KR2020150005089U KR20150005089U KR200478789Y1 KR 200478789 Y1 KR200478789 Y1 KR 200478789Y1 KR 2020150005089 U KR2020150005089 U KR 2020150005089U KR 20150005089 U KR20150005089 U KR 20150005089U KR 200478789 Y1 KR200478789 Y1 KR 200478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link
beverage
discharg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화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5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7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임의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음료 배출구가 구비되어 평상시는 음료 배출구가 드러나지 않아 보관에 용이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료를 마시거나 따를 때 음료 배출구가 나타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에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는 음료용 컵에 있어서, 개구부 상단의 일측에는 임의로 음료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배출부가 구성되고, 반대측에는 배출부를 가압하여 배출구가 개폐되게 하는 구동부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와 구동부의 사이에는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배출막과, 상기 배출막의 상단에 연결되는 배출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하로 동작되는 구동버튼과, 구동버튼의 하단에 구성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스프링과, 상기 구동버튼의 락킹을 해제하는 해제레버와, 해제레버의 전방에 구성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과, 구동버튼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버튼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되어 상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링크와, 축링크에 좌우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각 단부와 배출링크의 각 단부 사이에 구성되는 원주링크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버튼의 일측에는 구동버튼을 락킹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링크의 중단에는 상기 구동버튼의 구동력과 역방향의 힘을 축링크에 제공하게 하는 구동힌지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출구를 통해 음료를 마시기에도 편리하고 음료를 따를 때도 음료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게 음료를 따를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A drink cup having an outlet for drink}
본 고안은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임의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음료 배출구가 구비되어 평상시는 음료 배출구가 드러나지 않아 보관에 용이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료를 마시거나 따를 때 음료 배출구가 나타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배출구를 통해 음료를 마시기에도 편리하고 음료를 따를 때도 음료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게 음료를 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컵은 음료나 주류 등의 액체를 담아 음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는 음료나 주류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컵몸체를 들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가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컵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여 조금씩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그 사용처에 따라 여러 가지 재질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종이컵,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인리스 컵, 주로 커피나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머그컵,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리컵, 커피숍 등에서 테이크-아웃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컵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컵에는 용도에 따라서 이동할 때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이 구비되거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통상 음료용 컵들이 원통형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입의 크기가 작은 사용자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음료를 마실 때 입의 좌우로 음료가 흘러 넘치게 되고, 음료를 다른 용기에 따를 때도 음료가 한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66728호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0466728호(유아용 다용도 컵)에 따르면, 음료나 이유식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들이 편안하게 잡고 바닥에 남은 소량의 물까지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다용도 컵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와 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를 덮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뚜껑처럼 끼워지고 양측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 상에는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입으로 물 수 있는 산 또는 오리 주둥이 형상의 나팔꼭지가 형성되고, 상기 나팔꼭지의 산마루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을 덮는 연질의 덮개 막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 막에는 그 덮개 막의 중심을 지나는 하나 이상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유아용 다용도 컵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고안은 돌출되어 유아들이 쉽게 입으로 물 수 있는 나팔꼭지가 형성됨으로써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들이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나팔꼭지가 형성되는 뚜껑이 추가로 구성되어 보관 및 관리에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할 때마다 뚜껑을 설치 및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에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는 음료용 컵에 있어서, 개구부 상단의 일측에는 임의로 음료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배출부가 구성되고, 반대측에는 배출부를 가압하여 배출구가 개폐되게 하는 구동부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와 구동부의 사이에는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배출막과, 상기 배출막의 상단에 연결되는 배출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하로 동작되는 구동버튼과, 구동버튼의 하단에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스프링과, 상기 구동버튼의 락킹을 해제하는 해제레버와, 해제레버의 전방에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과, 구동버튼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버튼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되어 상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링크와, 축링크에 좌우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의 각 단부와 배출링크의 각 단부 사이에 구성되는 원주링크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버튼의 일측에는 구동버튼을 락킹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링크의 중단에는 상기 구동버튼의 구동력과 역방향의 힘을 축링크에 제공하게 하는 구동힌지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을 사용함으로써, 임의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음료 배출구가 구비되어 평상시는 음료 배출구가 드러나지 않아 보관에 용이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료를 마시거나 따를 때 음료 배출구가 나타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배출구를 통해 음료를 마시기에도 편리하고 음료를 따를 때도 음료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설치된 배출구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게 음료를 따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나타나지 않은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나타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나타나지 않은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나타난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의 구동부 및 연결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의 구동부에 대한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개략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을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의 구동부 및 연결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의 구동부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고안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에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는 음료용 컵에 있어서, 개구부 상단의 일측에는 임의로 음료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배출부(100)가 구성되고, 반대측에는 배출부(100)를 가압하여 배출구가 개폐되게 하는 구동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100)와 구동부(300)의 사이에는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부(2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00)는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배출링크(120)의 이동거리에 따른 형상변형이 되며 배출링크(120)의 원위치 복귀시 원상태로 복구 되도록 형성된 배출막(110)과, 상기 배출막(110)의 상단에 삽입 연결되는 배출링크(120)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막(110)은 형상변형에 따른 원상복귀가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클로로프렌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하로 동작되는 구동버튼(310)과, 구동버튼(310)의 하단에 구성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스프링(320)과, 상기 구동버튼(310)의 락킹을 해제하는 해제레버(330)와, 해제레버(330)의 전방에 구성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340)과, 구동버튼(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버튼(3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링크(35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구동링크(350)에 연결되어 상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링크(210)와, 축링크(210)에 좌우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220)와, 상기 연결링크(220)의 각 단부와 배출링크(120)의 각 단부 사이에 구성되는 원주링크(230)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버튼(310)의 일측에는 구동버튼(310)을 락킹하는 걸림돌기(3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버튼(310)의 일측으로 구성된 해제레버(311)는 걸림턱(312)이 형성된 내측에 구성되어 걸림돌기(311)의 잠김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링크(350)의 중단에는 상기 구동버튼(310)의 구동력과 역방향의 힘을 축링크(210)에 제공하게 하는 구동힌지(351)가 구성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구동버튼(310)은 축링크(210)의 단부에 바로 결합구성되어 그 구성을 단순화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음료용 컵의 개구부 일측이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되는데, 이부위에 배출부(100)가 구성되는 것이다.
즉, 컵의 개구부 상단 일측에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배출막(110)이 구성되고, 배출막(110)의 상단에 배출링크(120)가 구성되어 상기 배출링크(120)가 외측으로 밀림에 따라 컵의 원주에서 벌어져 음료의 배출구가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00)의 반대 측에 음료의 배출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동하는 구동버튼(310)을 포함하는 구동부(300)가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30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음료의 배출구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동하는 구동버튼(310)이 구성되고, 상기 구동버튼(310)의 하측에는 구동버튼(3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스프링(320)이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구동버튼(310)에 눌림 동작이 발생한 후 다시 구동버튼(310)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버튼(310)의 일측에는 구동버튼(310)이 락킹되게 하는 걸림돌기(311)가 형성되고, 컵의 손잡이(11)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311)에 대응되는 걸림턱(312)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구동버튼(310)에 눌림동작이 일어 난후 상기 구동스프링(320)에 의해 바로 복원되지 않고 잠금되게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구동버튼(310)을 눌러 음료의 배출구가 나타나게 한 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버튼(310)의 락킹을 해제하는 해제레버(330)가 구성되어 해제레버(330)를 누름으로써 걸림턱(312)에 락킹되어 있는 걸림돌기(311)가 해제되고 구동버튼(310)이 락킹 해제되어 구동스프링(3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버튼(310)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됨과 동시에 각 링크에 배출구가 나타날 때와 반대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어 음료의 배출구가 다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해제레버(330)의 구동버튼(310)측에는 레버스프링(340)이 구성되어 해제레버(330)의 누름 동작이 일어나 구동버튼(310)이 잠금해제된후에는 해제레버(330)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버튼(310)의 일측에는 구동링크(350)가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350)의 반대측에는 연결부(200)의 축링크(210)가 연결되는데, 상기 구동링크(350)의 중단에는 구동힌지(351)가 구성되어 구동버튼(310)에 누름동작을 하게 되면 구동링크(350)가 지렛대의 역할을 하게 되어 반대측에 연결되어 있는 축링크(210)를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링크(210)의 반대측에는 한 쌍의 연결링크(220)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20) 반대측에는 각각 원주링크(230)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원주링크(230)는 컵의 개구부 외측으로 각각 원주를 따라서 구성되어 배출부(100)의 배출링크(12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구동버튼(310)을 누르게 되면 구동버튼(310)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링크(350)의 일측이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구동링크(350)의 구동힌지(351)를 기준으로 반대측이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축링크(210)가 함께 밀려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축링크(210)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링크(220)가 각각의 반대측에 연결되어 있는 원주링크(230)를 밀어주게 되고 상기 원주링크(230)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링크(120)가 컵의 반대 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배출부(100)에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배출구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버튼(310)을 축링크(210)의 단부에 바로 결합구성되어 그 구성을 단순화하여 실시하게 되면 힘의 전달이 명확하게 이루어져 배출막(110)의 변형이 명확 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10 : 본체 11 : 손잡이
100 : 배출부 110 : 배출막
120 : 배출링크 200 : 연결부
210 : 축링크 220 : 연결링크
230 : 원주링크 300 : 구동부
310 : 구동버튼 311 : 걸림돌기
312 : 걸림턱 320 : 구동스프링
330 : 해제레버 340 : 레버스프링
350 : 구동링크 351 : 구동힌지

Claims (5)

  1.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에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는 음료용 컵에 있어서,
    개구부 상단의 일측에는 임의로 음료의 배출구가 개폐되는 배출부(100)가 구성되고,
    반대측에는 배출부(100)를 가압하여 배출구가 개폐되게 하는 구동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100)와 구동부(300)의 사이에는 링크로 구성되는 연결부(200)가 포함되며,
    상기 배출부(100)는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배출막(110)과, 상기 배출막(110)의 상단에 연결되는 배출링크(12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하로 동작되는 구동버튼(310)과, 구동버튼(310)의 하단에 구성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스프링(320)과, 구동버튼(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버튼(3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링크(350)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구동링크(350)에 연결되어 상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링크(210)와, 축링크(210)에 좌우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220)와, 상기 연결링크(220)의 각 단부와 배출링크(120)의 각 단부 사이에 구성되는 원주링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버튼(310)의 일측에는 구동버튼(310)을 락킹하는 걸림돌기(311)가 형성 되고,
    상기 구동버튼(310) 일측으로는 락킹을 해제하는 해제레버(330)와, 해제레버(330)의 전방에 구성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340)을 포함하는 걸림턱(312)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링크(350)의 중단에는 상기 구동버튼(310)의 구동력과 역방향의 힘을 축링크(210)에 제공하게 하는 구동힌지(35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막(110)은 형상변형에 따른 원상복귀가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클로로프렌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링크(210)의 단부에는 구동스프링(320)으로 탄성지지되는 구동버튼(310)이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5. 삭제
KR2020150005089U 2015-07-29 2015-07-29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KR200478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89U KR200478789Y1 (ko) 2015-07-29 2015-07-29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89U KR200478789Y1 (ko) 2015-07-29 2015-07-29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789Y1 true KR200478789Y1 (ko) 2015-11-27

Family

ID=5486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89U KR200478789Y1 (ko) 2015-07-29 2015-07-29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78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7717B1 (en) 2001-12-12 2003-05-06 David Keck Non-spill beverage container
JP2012520806A (ja) 2009-03-20 2012-09-10 シェフン コーポレイション 変形可能注ぎ口付き注入デバイス
CN202665075U (zh) * 2012-07-13 2013-01-16 蔡琦琦 便捷防洒杯
KR101373638B1 (ko) 2012-09-14 2014-03-12 (주)매직코스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7717B1 (en) 2001-12-12 2003-05-06 David Keck Non-spill beverage container
JP2012520806A (ja) 2009-03-20 2012-09-10 シェフン コーポレイション 変形可能注ぎ口付き注入デバイス
CN202665075U (zh) * 2012-07-13 2013-01-16 蔡琦琦 便捷防洒杯
KR101373638B1 (ko) 2012-09-14 2014-03-12 (주)매직코스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034B2 (en) No-spill drinking container
US11937714B2 (en) Training cup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US5893472A (en) Spout for valve assembly
US20120067910A1 (en) Straw assembly
KR102061312B1 (ko)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KR200453141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TWM570300U (zh) Combined straw container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200478789Y1 (ko) 개폐식 음료 배출구가 구비된 음료용 컵
US20150272360A1 (en) Combined baby bottle, sippy cup, and dry storage container
CN107651312A (zh) 保温瓶
US6766915B2 (en) Drink container for small children
TWI683640B (zh) 組合式吸管容器
EP3059180B1 (en) Weaning clip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JP2000238821A (ja) 飲料容器の蓋体
JP2020142808A (ja) コップ状蓋体付き容器
JP2014028650A (ja) 乳幼児用飲料容器
CN201602521U (zh) 一种幼儿用水杯
KR200209040Y1 (ko) 캔음료용다용도덮개
KR102279721B1 (ko) 유아용품
KR102162890B1 (ko) 빨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빨대컵
EP1530935A1 (en) Valve for drinking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