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759Y1 -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 Google Patents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759Y1
KR200478759Y1 KR2020130009542U KR20130009542U KR200478759Y1 KR 200478759 Y1 KR200478759 Y1 KR 200478759Y1 KR 2020130009542 U KR2020130009542 U KR 2020130009542U KR 20130009542 U KR20130009542 U KR 20130009542U KR 200478759 Y1 KR200478759 Y1 KR 200478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fixed
guid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016U (ko
Inventor
박정규
박석민
Original Assignee
박정규
박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박석민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2020130009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75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5/00Arrangements for making or setting sta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트랙터의 동력을 받아 구동되며 복수의 타인이 구비된 타인바가 회전가능하게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로터가 양단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트랙터의 후방이 연결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비산되는 작물을 차단하는 상방가이드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로터의 하부에 위치하며 구동부재가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의 안쪽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비산되는 작물을 차단하는 측방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집초기의 후방에 상방가이드와 그러한 상방가이드를 중심으로 양쪽에 측방가이드가 대향되게 설치되고, 이러한 상방가이드의 전후방 길이조절 및 상하방향 각도조절은 물론 측방가이드의 전후방 길이조절 및 좌우방향 각도조절을 통하여 집초되는 작물이 상방 또는 양측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집초열을 정확하면서 안정되게 만들어주어 베일러에 의한 결속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Rear guide of Hay collector for crop bounce protection}
본 고안은 집초기에 설치되는 후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집초기에 의한 집초과정에서 집초되는 작물이 손실없이 안정되게 모여지면서 베일러에 의한 후속잡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작물 ?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초기(Hay Rake)란 예취기 및 콤바인으로 베어 눕힌 사료용 작물(볏짚, 보리, 호밀, 수단 등)을 베일러(결속기)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폭 별로 작물을 집초하여 한줄로 모아주는 기계장치이다.
집초기는 작업장 이동방식에 따라 구동바퀴에 의해 기계를 끌고 가는 견인식과 구동바퀴 없이 트랙터에 부착되어 들고 이동하는 링크식으로 구분되고, 작물을 한줄로 모아주는 로터(rotor)의 수에 따라 1로터 방식 및 2로터 방식의 집초기로 구분된다.
아울러 양쪽의 로터 프레임이 90도로 접히는 폴더형과 접히지 않는 고정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고정형은 작업폭이 평균 4.5m 이하이고, 폴더형은 작업폭이 5m 이상에 적용한다.
이와 같은 집초기의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 10-0880689호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 집초기"를 통해 이미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한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 집초기의 구성을 보면, 상단 일측부에 수평 돌출된 손잡이부와, 하단부에는 바퀴부와, 중단축에는 고정 설치된 제어 캠이 형성된 수직 샤프트와; 주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주동력을 전달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되 중심부에는 상기 수직 샤프트가 관통되는 로터 캡과; 상기 로터 캡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측 외면에는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는 베벨기어가 마련되어 회동하고, 내부 수용부에는 충진된 기어 오일 및 상기 제어캠을 수용하고,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집초 암이 상기 제어캠의 캠트랙에 접속 회동하도록 관통 설치되는 밀폐형의 로터 박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 각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파지부와; 상기 로터 캡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가 끼워져 가이드 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파지부를 각 0°와 각 90°에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이 가이드 홈 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 편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더 마련되어, 수직 샤프트의 손잡이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제어캠의 회동각을 각 0°와 각 90°로 제어하여 집초작업과 분산작업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집초기는 작물의 모아줌에 있어서 정확한 폭 조절이 어려우며, 타인이 작물을 집초하는 과정에서 양측부 또는 상부로 쳐내는 튐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튐 현상이란 로터가 회전하면서 타인 바에 연결된 타인이 작물을 중앙으로 집초하여 모아주는 과정에서 작물의 양이 많은 경우 모여진 작물을 타인이 다시 건드려 바깥쪽으로 쳐내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후속 작업기인 베일러가 작물을 깨끗하게 걷어 올리지 못하게 되어 결속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게 되면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결속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집초기의 후방에 집초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집초되는 작물이 정확하고 균일하면서 손실없이 집초열을 이루도록 하여 후속 작업인 결속작업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는 트랙터의 동력을 받아 구동되며 복수의 타인이 구비된 타인바가 회전가능하게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로터가 양단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트랙터의 후방이 연결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비산되는 작물을 차단하는 상방가이드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로터의 하부에 위치하며 구동부재가 설치되는 연결프레임의 안쪽 끝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비산되는 작물을 차단하는 측방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는 제1구멍이 구비된 제1받침브라켓이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단에는 상기 제1받침브라켓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전후길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1구멍과 제1전후길이조절공에 제1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상부프레임의 전단이 메인프레임으로부터 길이조절 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에는 한 쌍의 제1고정공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되는 상방가이드는 전단 중앙에 상기 상부프레임의 제1고정공과 일치되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 되면서 제1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각도조절공과 제1고정구멍이 형성된 제1힌지브라켓이 구비되는 하부고정부재와, 상기 하부고정부재의 후단 상면에 접면되어 제1고정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재와, 서로 접면되어 고정되는 상기 하부고정부재와 상부고정부재의 사이에 전단이 내재되면서 함께 고정되며 후단의 어느 한면에는 다수의 제1포켓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집초판과, 일단은 상기 수평집초판의 제1포켓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고정부재와 수평집초판과 상부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1고정볼트에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한쪽 끝단에는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받침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에는 상기 제2받침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길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2구멍과 제2길이조절공을 제2체결부재로 체결하여 하부프레임이 연결프레임으로부터 길이조절 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에는 한 쌍의 제2고정공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되는 측방가이드는 전단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제2고정공과 일치되어 좌우방향으로 각조조절이 되면서 제2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각도조절공과 제2고정구멍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2힌지브라켓과, 전단에 상기 제2힌지브라켓의 체결공과 일치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상하길이가 조절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길이조절공이 형성된 전방고정부재와, 상기 전방고정부재의 후단 측면에 접면되어 제2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방고정부재와, 서로 접면되어 고정되는 상기 전방고정부재와 후방고정부재의 사이에 전단이 내재되면서 함께 고정되며 후단의 어느 한면에는 다수의 제2포켓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직집초판과, 일단은 상기 수직집초판의 제2포켓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고정부재와 후방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2고정볼트에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예초된 작물을 바인의 회전에 의해 중앙으로 집초하여 하나의 집초열을 만드는 집초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집초기의 후방에 상방가이드와 그러한 상방가이드를 중심으로 양쪽에 측방가이드가 대향되게 설치되고, 이러한 상방가이드의 전후방 길이조절 및 상하방향 각도조절은 물론 측방가이드의 전후방 길이조절 및 좌우방향 각도조절을 통하여 집초되는 작물이 상방 또는 양측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집초열을 정확하면서 안정되게 만들어주어 베일러에 의한 결속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고안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고안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 상방가이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 상방가이드가 전후 길이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 상방가이드가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 측방가이드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 측방가이드가 전후 길이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 측방가이드가 길이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5c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 측방가이드가 상하 길이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에 관한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타인(1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120)가 한 쌍을 이루면서 양단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0)과, 그러한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00)과, 상부프레임(200)의 끝단에 설치되는 상방가이드(300)와, 로터(120)의 하부에 위치한 연결프레임(140)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400)과, 그러한 하부프레임(400)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측방가이드(5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도 1 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인프레임(100)은,
트랙터(도면중 미도시)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그 양측에는 로터(120)가 대향되게 설치되며, 로터(120)의 중심축에는 복수의 타인(131)이 하향 설치된 다수의 타인바(130)가 방사형태로 설치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받는 로터(120)의 구동에 따라 타인바(130)와 함께 타인(131)이 회전되면서 초지지면의 작물을 긁어 모아주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집초기는 로터(120)가 한 쌍을 이루는 2로터 방식으로 예시된 것이며, 트랙터를 중심으로 후방의 대향된 양쪽에 위치하는 로터(120) 중 일측의 로터(120)는 트랙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타측의 로터(1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타인바(130)에 설치된 타인(131)이 지면의 작물을 안쪽으로 긁어 모아 하나의 집초열을 만들게 된다.
로터(120)는 하부에 메인프레임(100)과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40)이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프레임(140)에는 바퀴와 같은 구동부재(150)가 설치되고, 이러한 구동부재(150)는 로터(120)와 함께 타인바(130)가 초지지면으로부터 수평을 이루면서 트랙터와 함께 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동시에 로터(120)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프레임(200)은,
전술한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때 도 2 및 도 3a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200)의 전단이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의 제1구멍(111) 한 쌍이 저면에 형성된 제1받침브라켓(110)이 설치되고, 상부프레임(200)의 전단 상면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1전후길이조절공(210)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이때 제1구멍(111)간의 이격 거리와 제1전후길이조절공(210) 간의 이격 거리는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진다.
메인프레임(100)의 제1받침브라켓(110)에는 상부프레임(200)의 전단이 안착되면서 서로 일치하는 제1구멍(111)과 제1전후길이조절공(210)에 제1체결부재(160)가 너트와 함께 체결됨에 따라 제1받침브라켓(110)을 통해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상부프레임(200)의 전단이 직각을 이루면서 결합되고, 제1받침브라켓(110)의 제1구멍(111)과 일치되어 결합되는 제1전후길이조절공(210)의 위치에 따라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상부프레임(200)의 연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방가이드(300)는,
전술한 상부프레임(200)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되게 설치되어 집초과정에서 상방으로 튀어 오르는 작물의 비산 방지를 위하여 타인바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부프레임(200)의 후단 양측면에는 상방가이드(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1고정공(220)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방가이드(300)은 도 3a 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200)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공(220)에 일치되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200)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끼워지는 한 쌍의 제1힌지브라켓(311)이 전단에 형성되고, 대향된 후단은 수평한 바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고정부재(310)가 구비된다.
하부고정부재(310)의 전단에 위치한 제1힌지브라켓(311)의 측면에는 호형의 다수개 구멍 또는 호형의 장공으로 구성된 제1각도조절공(312)과 그러한 제1각도조절공(3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고정구멍(313)이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제1힌지브라켓(311)을 상부프레임(200)의 후단 양측면으로 끼운 후 상부프레임(20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공(220) 및 제1힌지브라켓(311)의 제1각도조절공(312)과 제1고정구멍(313)을 일치시킨 다음 그 일치된 한 쌍의 제1고정공(220)과 제1각도조절공(312) 및 제1고정구멍(313)을 제1체결볼트(230)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이러한 제1체결볼트(230)의 조임과 풀림을 통해 도 3b 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200)으로부터 하부고정부재(310)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 하부고정부재(310)와 후술되는 상부고정부재(330)에 함께 결합되는 수평집초판(320)이 제1힌지브라켓(311)의 각도조절에 따라 상하방향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하부고정부재(310)의 후단 상면에는 하부고정부재(310) 후단의 수평한 바 형상과 상응한 형상을 가지는 상부고정부재(330)가 서로 접면된 상태에서 제1고정볼트(340)를 통해 서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하부고정부재(310)와 상부고정부재(330)를 제1고정볼트(340)로 고정시킬 때 하부고정부재(310)와 상부고정부재(330)의 내면 사이에는 수평집초판(320)의 전단이 내재되도록 함으로써 하부고정부재(310)와 상부고정부재(330)에 의해 수평집초판(320)의 후단이 함께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수평집초판(320)은 수평한 판형으로 구성되며, 부채꼴 형태가 되도록 메인프레임(100)의 반대쪽인 후방으로 갈수로 좌우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수평집초판(320)의 형상 및 재질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집초과정에서 상방으로 튀어 오르는 작물을 차단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수평집초판(320)은 탄성력을 가질수 있도록 상면 또는 저면 또는 상면과 저면 모두에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포켓부(321)를 형성하고, 이러한 제1포켓부(321)에는 제1탄성부재(322)를 설치하여 제1탄성부재(322)의 일단은 제1포켓부(321)에 끼워지도록 하며, 제1탄성부재(322)의 타단은 하부고정부재(310)와 수평집초판(320)과 상부고정부재(330)를 서로 연결해주는 제1고정볼트(340)를 통해 연결된다.
하부프레임(400)은,
도 4 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대향된 양쪽 로터(120) 하부의 연결프레임(140) 안쪽 끝단에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하부프레임(400) 또한 연결프레임(140)으로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즉, 연결프레임(140)의 안쪽 끝단 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구멍(142)이 구비된 제2받침브라켓(141)이 설치되고, 하부프레임(400)의 전단 상면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2전후길이조절공(410)이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이때 제2구멍(142)간의 이격 거리와 제2전후길이조절공(410)의 이격 거리는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진다.
연결프레임(140)의 제2받침브라켓(141)에 하부프레임(400)의 전단이 끼워지면서 서로 일치하는 제2구멍(142)과 제2전후길이조절공(410)에 제2체결부재(460)와 너트가 체결되면 제2받침브라켓(141)과 하부프레임(400)의 전단은 서로 결합되며, 이때 도 5a 에서와 같이 제2구멍(142)과 일치되어 결합되는 제2전후길이조절공(410)의 위치에 따라 연결프레임(140)으로부터 하부프레임(400)의 연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측방가이드(500)는,
전술한 각각의 하부프레임(400) 후단에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측방으로 튀는 작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측방가이드(500)의 설치위치는 타인바(130)의 타인(131)이 작물을 가운데로 모은 후 상측으로 상승되는 최고 높이 지점 바로 아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부프레임(400) 후단에는 도 4 에서와 같이 측방가이드(5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2고정공(420)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측방가이드(500)는 하부프레임(400)의 후단 상하면에 형성되는 제2고정공(420)에 일치되어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단에는 하부프레임(400)의 후단 상하면을 감싸면서 마주하는 상하면에 호형의 다수개 구멍 또는 호형의 장공으로 구성된 제2각도조절공(431) 및 제2각도조절공(431)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고정구멍(432)이 형성되며, 대향된 후단에는 그 측면에 체결공(433)이 형성된 제2힌지브라켓(430)이 구비된다.
제2힌지브라켓(430)의 전단이 하부프레임(400)의 후단 상하면에 끼워져 도 5b 에서와 같이 하부프레임(400)의 후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고정공(420)과 제2힌지브라켓(430)의 제2각도조절공(431) 및 제2고정구멍(432)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일치된 한 쌍의 제2고정공(420)과 제2각도조절공(431) 및 제2고정구멍(432)을 제2체결볼트(440)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이러한 제2체결볼트(440)의 조임과 풀림을 통해 하부프레임(400)의 후단으로부터 제2힌지브라켓(430)이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 되면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제2힌지브라켓(430)에는 후술되는 전방고정부재(510)와 후방고정부재(530) 및 수직집초판(520)이 함께 결합되면서 제2힌지브라켓(430)의 각도조절에 따라 수직집초판(520)의 좌우방향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2힌지브라켓(430)의 후단에는 도 4 에서와 같이 전단 측면을 따라 상하길이조절공(511)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수직한 바 타입의 전방고정부재(510)가 위치되며, 제2힌지브라켓(430)의 후단에 형성된 체결공(433)과 상하길이조절공(511)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450)와 너트를 통해 서로 체결됨에 따라 이러한 체결볼트(450)의 조임과 풀림에 의하여 도 5c 와 같이 제2힌지브라켓(430)의 후단으로부터 전방고정부재(510)가 상하방향 이동되면서 길이조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전방고정부재(510)의 후단 측면에는 수직한 바 타입의 후방고정부재(530)가 접면된 상태에서 제2고정볼트(540)로 고정되며, 이때 전방고정부재(510)와 후방고정부재(530) 내면 사이에 수직집초판(520)의 전단이 내재되도록 하여 함께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수직집초판(520)은 수직한 판형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수직집초판(520)의 형상 및 재질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집초과정에서 양측방으로 튀는 작물을 차단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수직집초판(520)은 탄성력을 가질수 있도록 양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포켓부(521)를 형성하고, 이러한 제2포켓부(521)에는 제2탄성부재(522)를 설치하여 제2탄성부재(522)의 일단은 제2포켓부(521)에 끼워지도록 하며, 제2탄성부재(522)의 타단은 전방고정부재(510)와 수직집초판(520)과 후방고정부재(530)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2고정볼트(540)를 통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의해 작물이 집초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된 집초기가 초지지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양쪽의 로터(120)에 의해 타인바(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러한 타인바(130)의 회전에 의해 타인바(130)에 설치된 타인(131)이 예초된 작물을 긁어 가운데로 모아주게 되면서 하나의 집초열을 만들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타인(131)에 의해 모아지는 작물이 집초열을 이루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비산되는 작물은 메인프레임(100)과 연결된 상부프레임(200)의 상방가이드(300)에 의해 차단되며, 양측으로 비산되는 작물은 연결프레임(140)과 연결된 양쪽 하부프레임(400)의 측방가이드(500)에 의해 차단되면서 상방가이드(300)와 양 측방가이드(500)가 이루는 터널형태의 가이드를 통하여 작물의 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작물의 불필요한 비산을 방지하고 집초열을 정확하면서 안정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방가이드(300)는 전후방향을 따라 길이조절은 물론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측방가이드(500) 또한 전후방향을 따라 길이조절됨은 물론 좌우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됨은 물론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집초열을 정확하면서 안정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으며, 집초열의 높이는 물론 집초열의 좌우폭을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어 집초된 작물을 일정한 분량씩 결속하는 베일러에 의한 후속작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메인프레임 110 : 제1받침브라켓
111 : 제1구멍 120 : 로터
130 : 타인바 131 : 타인
140 : 연결프레임 141 : 제2받침브라켓
142 : 제2구멍 150 : 구동부재
160 : 제1체결부재 200 : 상부프레임
210 : 제1전후길이조절공 220 : 제1고정공
230 : 체결볼트 300 : 상방가이드
310 : 하부고정부재 311 : 제1힌지브라켓
312 : 제1각도조절공 313 : 제1고정구멍
320 : 수평집초판 321 : 제1포켓부
322 : 제1탄성부재 330 : 상부고정부재
340 : 제1고정볼트 400 : 하부프레임
410 : 제2전후길이조절공 420 : 제2고정공
430 : 제2힌지브라켓 431 : 제2각도조절공
432 : 제2고정구멍 433 : 체결공
440 : 제2체결볼트 450 : 체결볼트
460 : 제2체결부재 500 : 측방가이드
510 : 전방고정부재 511 : 상하길이조절공
520 : 수직집초판 521 : 제2포켓부
522 : 제2탄성부재 530 : 후방고정부재
540 : 제2고정볼트

Claims (5)

  1. 복수의 타인이 구비된 타인바를 회전시켜주는 로터가 양단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중앙부위는 트랙터의 후방과 연결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 설치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어 타인의 집초과정에서 상방으로 비산되는 작물을 차단하는 상방가이드;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로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프레임의 안쪽 끝단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 설치된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되어 타인의 집초과정에서 측방으로 비산되는 작물을 차단하는 측방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에는 제1구멍이 구비된 제1받침브라켓이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단에는 상기 제1받침브라켓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전후길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1구멍과 제1전후길이조절공에 제1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상부프레임의 전단이 메인프레임으로부터 길이조절 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에는 한 쌍의 제1고정공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되는 상방가이드는,
    전단 중앙에 상기 상부프레임의 제1고정공과 일치되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 되면서 제1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각도조절공과 제1고정구멍이 형성되는 제1힌지브라켓이 구비된 하부고정부재;
    상기 하부고정부재의 후단 상면에 접면되어 제1고정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상부고정부재;
    서로 접면되어 고정되는 상기 하부고정부재와 상부고정부재의 사이에 전단이 내재되면서 함께 고정되며, 후단의 어느 한면에는 다수의 제1포켓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집초판;
    일단은 상기 수평집초판의 제1포켓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고정부재와 수평집초판과 상부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1고정볼트에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한쪽 끝단에는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받침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에는 상기 제2받침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길이조절공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상기 제2구멍과 제2길이조절공을 제2체결부재로 체결하여 하부프레임이 연결프레임으로부터 길이조절 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에는 한 쌍의 제2고정공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되는 측방가이드는,
    전단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제2고정공과 일치되어 좌우방향으로 각조조절이 되면서 제2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각도조절공과 제2고정구멍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2힌지브라켓;
    전단에 상기 제2힌지브라켓의 체결공과 일치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상하길이가 조절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길이조절공이 형성된 전방고정부재;
    상기 전방고정부재의 후단 측면에 접면되어 제2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후방고정부재;
    서로 접면되어 고정되는 상기 전방고정부재와 후방고정부재의 사이에 전단이 내재되면서 함께 고정되며, 후단의 어느 한면에는 다수의 제2포켓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직집초판;
    일단은 상기 수직집초판의 제2포켓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고정부재와 후방고정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제2고정볼트에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KR2020130009542U 2013-11-20 2013-11-20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KR200478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42U KR200478759Y1 (ko) 2013-11-20 2013-11-20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42U KR200478759Y1 (ko) 2013-11-20 2013-11-20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16U KR20150002016U (ko) 2015-05-28
KR200478759Y1 true KR200478759Y1 (ko) 2015-11-12

Family

ID=5351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42U KR200478759Y1 (ko) 2013-11-20 2013-11-20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75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89B1 (ko) 2007-07-25 2009-01-29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집초기
KR200443646Y1 (ko) 2008-10-09 2009-03-06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89B1 (ko) 2007-07-25 2009-01-29 주식회사 삼원농기계 내장형 캠트랙의 반전집초기
KR200443646Y1 (ko) 2008-10-09 2009-03-06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16U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21045U (zh) 枸杞株间与田垄割草机
KR101106618B1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HU182488B (en) Swath harvesting machine connected with rough fodder processing device
KR200478759Y1 (ko) 작물 튐 방지를 위한 집초기용 후방 가이드
US5056304A (en) Apparatus for mowing grass or similar vegetation
EP0242932B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CN109315092A (zh) 一种农业旋耕装置
KR20070049025A (ko) 농작물 수확장치
CN108738719B (zh) 牧草捡拾集条机
JP5812315B2 (ja) 草刈り作業機
JP2005013041A (ja) 農作業機
JP2535256Y2 (ja) 草刈機
JP4719561B2 (ja) 農作業機
CN204443176U (zh) 一种秸秆还田装置
KR101623846B1 (ko)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JP4113314B2 (ja) 葉切機
KR20190000230U (ko) 예초기
KR20110039407A (ko) 예초정리용 상부커버
KR101118775B1 (ko) 사료용 작물 절단장치
KR20044364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예취기용 가이드
JP4705477B2 (ja) 農作業機
CN209628021U (zh) 一种农业旋耕装置
CN208095066U (zh) 一种秸秆收割粉碎及残膜捡拾分离机
KR102018574B1 (ko) 원형칼날이 부착된 농업용 콤바인의 픽업장치
EP3179843B1 (en) Mo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