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846B1 -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846B1
KR101623846B1 KR1020160031216A KR20160031216A KR101623846B1 KR 101623846 B1 KR101623846 B1 KR 101623846B1 KR 1020160031216 A KR1020160031216 A KR 1020160031216A KR 20160031216 A KR20160031216 A KR 20160031216A KR 101623846 B1 KR101623846 B1 KR 101623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rop
rotor
plat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16003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하는 농업용 예취기로서, 예취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본체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예취 전 작물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작물을 유연하게 하는 컨디셔너와, 본체에 설치되어 컨디셔너에 의해 타격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MULTI-PURPOSE MOWER FOR AGRICULTUR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하는 농업용 예취기로서, 예취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예취기란 트랙터의 일측에 장착되어 곡식, 사료작물, 갈목 등의 작물을 베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예취방식에 따라 씨클바(sickle bar mower)방식과 디스크(disk mower)방식의 예취기가 있으며, 작업 대상에 따라 미맥용, 목초용, 갈목용 예취기가 있다.
이러한 종래 농업용 예취기는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일측에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 내부공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터부와, 커터부에 의해 절단된 작물을 두들기거나 눌러주는 컨디셔너(condition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국내의 사료 작물 중 옥수수, 갈대, 극동 6호, 수단그라스 등과 같은 작물의 경우 그 길이가 2.5M이상이고 대공이 굵고 양이 많아, 종래 농업용 예취기를 사용할 경우, 예취 후 배출과정에서 막힘 현상이 유방되어 예취된 작물을 후방으로 배출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컨디셔너가 예취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예취 후에 컨디셔너 기능과 배출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해야 관계로 예취된 작물이 후방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빈번히 막히었으며, 예취기에 전달되는 트랙터의 구동동력 소모가 매우 심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컨디셔너가 본체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어 보리나 옥수수 등의 알곡작물을 예취할 때 컨디셔너에 의해 영양적 가치가 큰 알곡이 대거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462539 Y1
작물을 예취함에 있어 예취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알곡이 있는 작물을 예취함에 있어 알곡 손실율을 줄일 수 있으며 예취 후 작물을 건조함에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작물을 효과적으로 예취 및 집초하여 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를 제공함에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와, 본체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예취 전 작물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작물을 유연하게 하는 컨디셔너와, 본체에 설치되어 컨디셔너에 의해 타격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와, 본체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예취부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대칭회동에 의해 작물의 집초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집초 드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와, 본체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예취 전 작물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작물을 유연하게 하는 컨디셔너와, 본체에 설치되어 컨디셔너에 의해 타격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예취부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대칭회동에 의해 작물의 집초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집초 드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예취전 작물의 대공 및 잎에 손상을 주어 작물의 수분이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수분 증발효과를 높이고 작물을 유연하게 하여 예취 및 집초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알곡이 있는 작물을 예취함에 있어 컨디셔너를 탈거하여 사용함으로써 작물의 알곡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예취작업과 집초작업을 유기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예취된 작물을 후방으로 원할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측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디셔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중 높낮이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의 본체 높이 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를 통한 본체의 틸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를 통한 본체의 틸팅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집초 드럼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분해 확대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와 집초 드럼부에 의한 작물의 예취 및 집초과정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측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디셔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는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 및 집초하는 농업용 예취기로서, 본체(100)와, 가이드부(200)와, 컨디셔너(300)와, 예취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높낮이 조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랙터는 일 예이며 기타 경운기와 같은 농업용 운송수단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판(120)과, 본체 상판(120)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미도시)과, 측면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트랙터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600)를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140)는 예취 작업시 작업장 지면에 닿아 스키방식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받침부재(140)에 별도의 휠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체(100)의 상단에는 본체(100)의 내부의 상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전방 커버(162)와 측방커버(164)가 설치될 수 있다. 전방 커버(162)와 측방커버(164)는 예취 작업시 본체(100)의 내부로 들어온 작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부(200)는, 본체(100)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본체(100) 전단의 양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220)와 돌출부재(220)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재(220)의 하면에는 후술할 끼움부재(36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끼움홈(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200)는 작물을 예취할 때 작물이 한 방향으로, 즉 트랙터가 진행하는 반대 방향으로 가지런히 쓰러지도록 하는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컨디셔너(300)는 가이드부(200)에 설치되어 예취 전 작물에 타격을 가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로터(320)와, 로터 고정부(340)와, 브라켓(360)과, 로터 구동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 로터(320)는 원형의 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타격날개(322)가 지그 재그로 설치된다. 여기서, 타격 로터(320)는 트랙터의 전진에 의하여 자유 회동하거나 로터 구동부(380)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로터 고정부(340)는 타격 로터(320)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타격 로터(320)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판(342)과, 한 쌍의 측면판(342)을 연결하는 수평바(344)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 구동부(380)는 한 쌍의 측면판(342)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타격 로터(320)의 일단과 결합하여 타격 로터(320)를 회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로터 구동부(380)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360)은 수평바(344)의 양측을 가이드부(200)의 돌출부재(22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돌출부재(220)의 끼움홈(222)에 끼워지는 끼움부재(362)와, 끼움부재(362)와 돌출부재(220)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364)와, 돌출부재(2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체결편(366)으로 구성되며 나사 체결를 통하여 수평바(344)를 가이드부(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컨디셔너(300)의 구성에 의하면, 예취 전 작물의 대공 및 잎에 손상을 주어 작물의 수분이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작물의 수분 증발효과를 높이여 예취후 작물을 건조함에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물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작물의 예취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알곡작물, 가령 옥수수나 보리 등을 예취함에 있어 컨디셔너(300)를 탈거한 후 사용함으로서 작물의 알곡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예취기에 전달되는 트랙터의 구동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종래 농업용 예취기의 경우 컨디셔너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본체(100)의 후방에 본체(100)와 일체로 설치되고 예취 후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물의 알곡 손실율이 심각하였다. 그리고 예취 후에 컨디셔너 기능과 배출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해야 관계로 예취된 작물이 후방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빈번히 막히었으며 예취기에 전달되는 트랙터의 구동동력 소모가 매우 심하였다.
예취부(400)는, 본체(100)의 양 받침부재(140)에 걸쳐 설치되는 길이방향의 판형 예취대(420)와, 예취대(42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판형 캐리어(440)와, 판형 캐리어(440) 양측에 설치되는 캡형 캐리어(4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취대(420)에는 복수개의 디스크 회동축(422)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며, 예취대(420)의 내부에는 각 회동축(422)이 회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미도시)가 연속적으로 맞물려 있다.
판형 캐리어(440)는 작물을 예취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디스크판(442)과 캐리어판(444)을 포함한다.
디스크판(442)은 작물을 예취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는 회동하면서 작물의 하단을 벨 수 있도록 길이방향 외부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예취날(442a)이 형성된다.
캐리어판(440)은 예취된 작물을 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디스크판(442)에 고정되어, 바람직하게는 디스크판(442) 상면에 부착 결합되어, 디스판(442)과 함께 회동하며 그 중심부가 판형으로 이루어지되 가장자리에는 상향 절곡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절곡날개(444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날개(444a)는 예취날(442a)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부수적으로 예취날(442a)에 의해 미쳐 예취되지 않은 작물을 예취하게 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절곡날개(444a)는 가장자리에 대칭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형 캐리어(440)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판형 캐리어(440-1, 440-2, 440-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판형 캐리어(440-1, 440-2, 440-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판형 캐리어(440)가 다수개로 이루어진 경우, 다수의 디스크판(442)에 의하여 작물이 예취되므로 예취의 속도가 현저히 증가된다. 또한, 디스크판(442)에 의해 예취된 작물과 후술할 캡형 캐리어(460)의 예취날(462a)에 의해 예취되어 이동된 작물이 분산 처리되게 된다. 그 결과 작물의 예취와 후방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판형 캐리어(440)가 없는 경우에는 전방으로부터 직접 이동된 작물과 또는 양 가장자리에서 이동된 작물이 중앙부에 집중되어 작물의 예취와 후방 배출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캡형 캐리어(460)는 디스크판(462)과, 캐리어 캡통(46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판(462)은 예취대(420)에 형성된 회동축(422)에 결합되어 회동축(422)과 함께 회동하며 가장자리에는 예취날(462a)이 형성된다. 디스크판(462)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판(442)의 디스크판(442a)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전방으로부터 예취부의 가장자리로 이동된 작물을 예취하는 역할을 한다.
캐리어 캡통(464)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디스크판(462)에 고정되어 디스크판(462)과 함께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캐리어 캡통(464)의 측면에는 다수의 수평날개(464a)와 수직날개(464b)가 구비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절곡날개(464c)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평날개(464a)는 캐리어 캡통(46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층으로 구비되고 수직날개(464b)는 수평날개(464a)와 수평날개(464a)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수평날개(464a), 수직날개(464b) 및 절곡날개(464c)는 디스크판(462)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절단함과 동시에 중앙부의 판형 캐리어(440)로 이동시킨다. 특히, 수평날개(464a)가 다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키가 큰 작물을 절단하고 배출시키는 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캡형 캐리어(46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예취대(420)의 양측에 설치되되 각각은 수평날개(464a), 수직날개(464b) 및 절곡날개(464c)가 서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캡형 캐리어(46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취대(420)의 최외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캡형 캐리어(460-1)와 그 안쪽에 위치하는 제2 캡형 캐리어(46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캡형 캐리어(460-1) 중 어느 하나에는 트렉터의 엔진 회전축과 연결되어 예취대(420) 내부의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 회전축(466)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캡형 캐리어의 상측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박스(480, 도 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캡형 캐리어(460-1)는 전방으로부터 예취대(422)의 최외곽 가장자리로 이동된 작물을 예취함과 동시에 예취대(422)의 안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수평날개(464a)와 수직날개(464b)는 캐리어 캡통(464)의 외주연에 네 측면에 방사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 캡형 캐리어(460-2)는 전방으로부터 이동된 작물을 예취함과 동시에 제1 캡형 캐리어(460-1)로부터 이동된 작물을 본체(100)의 중앙부를 통하여 후방으로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 캡형 캐리어(460-1)와 달리 수평 날개(464a)와 수직날개(464b)가 네 측면에 모두 구비될 필요 없이 양 측면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중 높낮이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의 본체 높이 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를 통한 본체의 틸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부를 통한 본체의 틸팅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부(600)는 트랙터에 고정되는 지지부(610)와, 지지부(610)의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며 본체(100)와 연결되어 본체(100)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유동부재(640)와, 유동부재(640)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동부재 구동부와, 일단과 타단이 지지부(610)와 유동부재(6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동부재(640) 이동시 유동부재(640)의 균형을 잡아주는 균형바(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동부재 구동부는 유동부재(64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유압실린더(6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620)는 유동부재(640)와 지지부(610)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위치하고 일단과 타단은 지지부와 유동부재(6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유압실린더(620)의 양 단부인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의 단부에는 회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의 관통공(620a)이 형성된다.
한편, 높낮이 조절부(600)는 유압실린더(620)와 나란하게 위치하되 일단과 타단이 지지부(610)와 유동부재(6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부재(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50)는 후술할 본체(100)의 틸팅기능을 위한 구성으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과 타단에는 고리(652)가 형성되는데 일단에 형성된 고리(652)에는 연장바(654)가 탄성부재(650)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고리(652)에는 유동부재(640)에 구비되는 회전축(S)이 끼워진다. 여기서, 연장바(656)는 한 쌍의 판형 암(614)에 구비되는 회전축(S)의 중심에 결합 고정된다.
균형바(630)는 본체(100)의 높이 조절시 유동부재(640)의 균형을 잡아줌으로써 본체(100)의 수평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두 개로 이루어져 탄성부재(650)와 유동부재 구동부 아래에 나란하게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균형바(630)의 양 단부에는 탄성부재(650)와 유압실린더(620)와 동일한 방향의 관통공(630a)이 형성된다.
유동부재(6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채널형태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양 측면에는 탄성부재(650), 유압실린더(620) 및 균형바(63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640a)이 형성되며 결합공(640a)에 대응되는 다수의 회동축(S)이 구비된다.
지지부(610)는 트랙터에 결합 고정되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612)와, 지지대(612)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판형 암(6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판형 암(614)은 지지부(610)와 유동부재(640)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유동부재(640) 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한 쌍의 판형 암에(614)에는 탄성부재(650), 유압실린더(620) 및 균형바(630)의 일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614a)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다수의 회전축(S)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높이 조절부의 탄성부재(650), 유압실린더(620) 및 균형바(630)는 본체(100)의 상승 또는 하강시 각각의 일단이 동시에 지지부(610)의 각 회전축(S)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타단은 유동부재(640)의 각 회전축(S)을 중심으로 하측 또는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유동부재(640)의 균형이 유지됨으로써 본체(100)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600)을 통한 본체(100)의 높이 조절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유압이 실린더(620)에 공급되는 경우 유압에 의해 피시톤 로드를 인입시켜 유동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본체(100)는 상승하게 된다. 유압이 해제되는 경우 본체(100)의 하중에 의해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고 이에 따라 유동부재(64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본체(100)는 하강한다. 본체(100)의 하강시에는 탄성부재(630)가 본체(100)를 지탱하게 된다. 여기서, 유압실린더(620)는 단동실린더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예취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가령 작업장 간 이동시에는 실린더 내부에 유압을 가함으로써 본체(100)를 상승시켜 본체(100)의 받침부재(140)가 지면과 떨어지게 하고, 예취 작업시에는 유압을 해제함으로써 본체가 하강되도록 하고 본체의 받침부재(140)가 지면에 닿게 함으로써 예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유압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부재(630)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후술할 높낮이 조절부(600)의 틸팅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부(600)는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각 높낮이 조절부(600)는 본체(100)의 중심, 구체적으로는 본체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 가로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본체(100) 중심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부(600)는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본체(100)가 틸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령 작업장의 지면이 굴곡지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을 일정 범위내로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높낮이 조절부(600)는 좌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와 본체(10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664)와, 우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와 본체(10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662)를 더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부(600)는 외부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좌우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탄성부재(650)의 탄성력과 함께 제1 연결부재(664)와 제2 연결부재(662)의 비대칭 상하 이동에 의해 본체(100)를 틸팅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664)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좌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와 본체(100)에 좌우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제2 연결부재(662)는 일단은 우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에 좌우 회전이 차단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좌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의 전면에는 제1 연결부재(664)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이루어진 돌출 회전축(644)이 구비되고, 우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의 전면에는 제2 연결부재(662)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 쌍의 삽입부재(642)가 구비된다.
제1 연결부재(664)와 제2 연결부재(662)는 좌우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단면이 채널형태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재(664)의 일단에는 유동부재(640)의 돌출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제1 결합공(664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 결합공(664b)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662)의 일단에는 연결부재(640)의 삽입부재(642)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제2 연결부재(662)의 측면에는 한 쌍의 결합공(662a)이 형성되며 이 결합공(662a)에는 체결구(R)가 끼워져 제2 연결부재(640)의 일단을 유동부재(640)에 좌우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662)의 타단에는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3 결합공(662b)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제1 연결부재(664)와 제2 연결부재(662)가 결합되도록 브라켓(122, 도 8참조)이 설치되며 브라켓(122)에는 제1 연결부재(664)와 제2 연결부재(662)의 타단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회전축(124)과 제2 회전축(126)이 설치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높낮이 조절부(600)를 통한 본체(100)의 틸팅 동작을 살펴본다. 참고로, 도 8의 (a)~ (c)는 본체(100)의 상판과 높낮이 조절부(600)의 상부 정면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9는 제2 회전축(126)을 중심으로 도 8의 (b)와 (c)를 재구성한 것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수평이 유지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좌측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제2 연결부재(662)의 일단은 우측 유동부재(640)에 좌우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제1 연결부재(664)의 일단은 좌측 유동부재(6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관계로, 본체(100)의 좌측이 (b)와 같이 상측으로 팅틸되면서 제1 연결부재(664)가 좌측으로 기울어짐과 동시에 좌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가 큰 폭으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우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유동부재(640)는 소폭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동부재(640)의 상측 이동에 의해 좌측 높낮이 조절부(600)의 탄성부재(650)는 수축 후 팽창하게 되며 유동부재(6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00)는 수평을 기준으로 20도 범위내에서 틸팅된다. (c)의 경우 본체(100)의 우측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는 (b)와 동작원리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체(100)의 틸팅범위를 전반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본체(100)의 틸팅범위는, 제2 회전축(126)을 중심으로 상하 20도 범위내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체(100)의 좌측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본체 수평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20도 범위내에서, 그리고 우측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하측으로 20도 범위내에서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20도를 벗어날 경우 본체(100)의 안정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는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 및 집초하는 농업용 예취기로서, 본체(100)와, 본체(100)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00)와, 본체(100)에 설치되어 가이드부(200)에 의해 가이드 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400)와, 예취부(400)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대칭 회동에 의해 작물의 집초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집초 드럼부(5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본체(100), 가이드부(200), 예취부(400) 및 추가 구성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집초 드럼부(5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집초 드럼부를 설명하기 위한 본체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분해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예취부와 집초 드럼부에 의한 작물의 예취 및 집초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원통형의 집초 드럼(520)과, 집초 드럼(5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동축(미도시)과, 집초 드럼(52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장방향의 돌기(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방향의 돌기(540)에는 작물의 배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형태의 부가돌기(542)가 부착되도록 나사 체결공(540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집초 드럼(520)은 예취부(400)의 작물 배출력에 의해 자연구동될 수 있다.
집초 드럼부(500)는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드럼 구동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럼 구동부(560)는 회동축과 결합되는 유압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부(400)와 상호 유기적 작용에 의해 작물을 예취 및 집초함으로써, 특히 키가 큰 작물을 예취함에 있어 알곡 손실율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일정한 집초폭으로 집초가 가능하며 예취부(400)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집초 드럼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일정한 폭의 집초와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료작물의 경우 별도의 집초기계를 사용하지 않아도 일정한 폭으로 집초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 및 집초하는 농업용 예취기로서, 본체(100)와, 본체(100)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00)와, 가이드부(200)에 설치되어 예취 전 작물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작물을 유연하게 하는 컨디셔너(300)와, 본체(100)에 설치되어 컨디셔너(300)에 의해 타격된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400)와, 예취부(400)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대칭회동에 의해 작물의 집초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집초 드럼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본체(100), 가이드부(200), 컨디셔너(300), 예취부(400), 집초 드럼부(500) 및 추가 구성에 대하여는 상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바 그 구성에 대한 설명 및 효과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의 구성에 따르면, 작물의 예취전 컨디셔너(300)에 의해 작물의 대공 및 잎에 손상을 주어 작물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예취부(400)나 집초 드럼부(500)에서의 예취와 집초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에 전달되는 트랙터의 구동동력 소모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200: 가이드부
300: 컨디셔너 320: 타격 로터
322: 타격 날개 340: 고정부
360: 브라켓 380: 로터 구동부
400: 예취부 420: 예취대
440: 판형 캐리어 460: 캡형 캐리어
500: 집초 드럼부 520: 집초 드럼
540: 돌기 560: 드럼 구동부
600: 본체 높이조절부 610: 지지부
620: 유동부재 구동부 630: 균형바
640: 유동부재 650: 탄성부재
662: 제2 연결부재 664: 제1 연결부재

Claims (23)

  1.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 및 집초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 이동시 상기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예취 전 상기 작물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작물을 유연하게 하는 컨디셔너;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디셔너에 의해 타격된 상기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2.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 및 집초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 이동시 상기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 된 상기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 및
    상기 예취부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대칭 회동에 의해 상기 작물의 집초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집초 드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3. 트랙터에 장착되어 작물을 예취 및 집초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 이동시 상기 작물을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예취 전 상기 작물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작물을 유연하게 하는 컨디셔너;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디셔너에 의해 타격된 상기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 및
    상기 예취부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대칭 회동에 의해 상기 작물의 집초 및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집초 드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너는,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타격날개가 지그 재그로 설치되는 타격 로터와, 상기 타격 로터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로터 고정부와, 상기 로터 고정부를 상기 가이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고정부는,
    상기 타격 로터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을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너는,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 로터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타격 로터를 회동시키는 로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구동부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는,
    예취대와, 상기 예취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물을 예취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판형 캐리어와, 상기 판형 캐리어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물을 예취하는 동시에 상기 판형 캐리어측으로 이동시키는 캡형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캐리어는,
    상기 예취대에 형성된 회동축에 결합되며 가장자리에 예취날이 형성되는 디스크판과, 상기 디스크판에 고정되며 중심부가 판형으로 이루어지되 가장자리에는 상향 절곡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절곡 날개가 형성되는 캐리어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캐리어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형 캐리어는,
    상기 예취대에 형성된 회동축에 결합되며 가장자리에 예취날이 형성된 디스크판과, 상기 디스크판에 고정되되 측면에는 다수의 수평날개와 수직날개가 구비되고 상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절곡날개가 구비되는 캐리어 캡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형 캐리어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날개, 상기 수직날개 및 상기 절곡 날개가 서로 다른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작물의 판형 캐리어측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초 드럼부는,
    원통형의 집초 드럼과, 상기 집초 드럼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집초 드럼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의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장방향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초 드럼부는,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어 상기 집초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압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트랙터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동부재 구동부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지지부와 상기 유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동부재 이동시 상기 유동부재의 균형을 잡아주는 균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 구동부는,
    사선방향으로 위치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지지부와 상기 유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유압실린더와 나란하게 위치하되 일단과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유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 상기 유압실린더 및 상기 균형바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회전축이 구비된 한 쌍의 판형 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단동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동부재는 유압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가 인입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유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하중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가 인출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본체의 가로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좌측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상기 유동부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우측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상기 유동부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
    좌·우측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함께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비대칭 상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를 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좌측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상기 유동부재와 상기 본체에 좌우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일단은 상기 우측 높낮이 조절부의 상기 유동부재에 좌우 회전이 차단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각각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은,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 20도 범위 내에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KR1020160031216A 2016-03-16 2016-03-16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KR101623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216A KR101623846B1 (ko) 2016-03-16 2016-03-16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216A KR101623846B1 (ko) 2016-03-16 2016-03-16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846B1 true KR101623846B1 (ko) 2016-06-07

Family

ID=5619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216A KR101623846B1 (ko) 2016-03-16 2016-03-16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8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763A (ko) * 2008-02-13 2009-08-18 최규섭 자립형 목초 수확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절단유닛
KR200462539Y1 (ko) 2012-05-25 2012-09-14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KR200466126Y1 (ko) * 2012-06-29 2013-04-03 박정규 예취기용 디스크장치
KR101396427B1 (ko) * 2013-05-22 2014-05-20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763A (ko) * 2008-02-13 2009-08-18 최규섭 자립형 목초 수확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절단유닛
KR200462539Y1 (ko) 2012-05-25 2012-09-14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KR200466126Y1 (ko) * 2012-06-29 2013-04-03 박정규 예취기용 디스크장치
KR101396427B1 (ko) * 2013-05-22 2014-05-20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집초기용 로터 어셈블리의 집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9315C2 (ru) Опора ножевого бруса жатки для уборк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US8051633B2 (en) Cutterbar adjustment support for a crop harvesting header
US8601779B1 (en) System for cutterbar support having torsion device with elastic material and load limiting apparatus
US10980174B2 (en) Agricultural mowing device
US20220071090A1 (en) Reel assembly of an agricultural header
JPH09509823A (ja) 切断工具
EP38799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rms of an agricultural header
US4211060A (en) Mowing rotor
EP3657929B1 (en) Electric powered disc mower
KR101623846B1 (ko)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CN111432627A (zh) 用于收割机械的辊和辊组、收割机械以及割台
EP3744168A2 (en) Crop conditioner hood with integrated swathboard
CN113301798B (zh) 分体式拨禾轮联合收割机割台
EP1719400A1 (de) Mähbalken für Scheibenmähwerke
KR20160092268A (ko) 자주식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초 장치
US4348857A (en) Rotary mower conditioner
CN205071687U (zh) 切草机及其切刀
CN105052432A (zh) 切草器
KR101118775B1 (ko) 사료용 작물 절단장치
KR20230155189A (ko) 지면에 근접하여 절단이 가능하고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작물 예취기
JPH0452094B2 (ko)
EP3179843B1 (en) Mowing machine
EP2708106B1 (en) An agricultural mower
CN2334156Y (zh) 一种锥型轮刀回转切割器
KR20230069353A (ko) 지면에 근접하여 절단이 가능한 작물 예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