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39Y1 -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539Y1
KR200462539Y1 KR2020120004442U KR20120004442U KR200462539Y1 KR 200462539 Y1 KR200462539 Y1 KR 200462539Y1 KR 2020120004442 U KR2020120004442 U KR 2020120004442U KR 20120004442 U KR20120004442 U KR 20120004442U KR 200462539 Y1 KR200462539 Y1 KR 200462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crop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2020120004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6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취기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취기의 전방에 메인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이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작물의 예취시에 작물이 예취기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에서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며, 측면에는 회전중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중심구멍에 대하여 가장자리에는 부채꼴 모양으로 다수의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홀더와;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각 고정홀더의 회전중심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조립되고, 상기 조절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고정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된 한 쌍의 회동프레임; 및 상기 각 회동프레임의 단부에 조립 고정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가이드의 높낮이 조절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이가 낮은 작물은 물론, 높이가 높은 작물도 무리없이 지지토록 하여 안정된 작물의 예취가 가능토록 하고, 그에 따른 후속적인 작업이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예취기용 가이드장치{Guide device for Mower}
본 발명은 예취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농업용 트랙터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예취하는 예취기의 선단부에서 예취된 농작물이 안정되게 정리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예취 대상 농작물에 따라 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예취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취기(刈取機, mower)는 곡식?풀?잡목 등을 베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작업 대상에 따라 미맥용(米麥用)?목초용(牧草用)?잡목용(雜木用) 등이 있는데, 보통은 작물 수확용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사료작물 예취용은 모우어(mower)라 칭하고 있다.
예취폭(刈取幅)에 따라서 전용형과 부속작업기형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보통 작물의 예취상태에 따라서 인력견인형 예취기와 인력압진형 예취기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트랙터의 부착 방식에 따라 전방 예취기와 후방 측면 예취기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전방 예취기는 트랙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하되 트랙터와 일렬로 예취기가 위치되어 예취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며, 후방 측면 예취기는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하여 트랙터 옆으로 예취부가 위치하여 예취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작물용 예취기는 작물의 길이가 약 1.5m 이하의 작물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어 국내에서 호밀, 보리 등 길이가 비교적 짧은 작물에 주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사료가치가 높은 옥수수, 수단그라스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작물의 재배가 늘어남에 따라 옥수수 등 길이가 2m 이상 되는 작물을 원활하게 예취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도 1은 종래 예취기에 의해 길이가 긴 작물의 예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작물을 전방에서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고정된 전방 가이드에 작물의 중간 부분이 꺽여 예취되면서 예취부 안으로 인입되지 못해 작물이 앞에서 질질 끌려가는 상황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기계의 오동작이 발생하게 되는 등 예취 작업에 상당한 곤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길이가 작은 작물은 물론, 길이가 긴 작물도 안정적으로 예취할 수 있는 예취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허문헌1은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서, 이러한 특허문헌1의 내용을 살펴보면, 트랙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농작물을 예취하는 블레이드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취기 본체; 상기 예취기 본체 상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의 쓰러지는 방향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수단;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예취된 농작물의 쓰러지는 방향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수단; 상기 예취기 본체 상에 설치되며 작물을 상기 블레이드 측으로 유도하는 제1보조가이드수단; 및 상기 제2가이드수단 상에 설치되며 잡초를 상기 블레이드 측으로 유도하는 제2보조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예취기 본체 상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단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1회동부재 내에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이 상기 예취기 본체 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1은 후방 측면 예취기 즉, 농업용 트랙터의 측면으로 예취기가 설치되어 트랙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농작물을 예취하도록 된 것이어서, 옥수수와 같이 보다 강한 줄기로 이루어지는 작물의 예취에는 적합하지 못한데다가, 단지 작물이 예취기쪽으로 넘어지는 것만을 받쳐주는 것에 불과하였다.
특허문헌2는 예취기의 정면으로부터 작물을 예취하도록 된 전방 예취기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열로 재배된 작물 경작지에 투입되는 조사료 수확기의 예취기구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방에 힌지축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취대; 상기 프레임과 예취대 사이에 연결되고, 예취대의 회동 위치를 변동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예취대로 유입되는 작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확 가능한 작물의 길이를 2배까지 확장할 수 있어서 수확의 편이성과 효율이 증대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는 전면에 접촉 가능한 작물을 최대한 넓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있어도, 키가 큰 작물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하는 장치가 없어서 예취되는 작물이 일정하게 정리되지 못하고, 특히 예취기 쪽으로 쓰러지는 작물을 적절하게 정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43646호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8947호
본 발명은 예취기의 정면으로부터 작물을 수확토록 하는 전방예취기와 후방 측면 예취기에 적용할 수 있으면서, 높낮이의 충분한 조절이 가능하여 수확하는 대상 작물에 맞추어 작업을 할 수 있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제작이 용이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추어 안정적으로 작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예취기의 가이드장치의 제공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취기의 전방에 메인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이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작물의 예취시에 작물이 예취기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에서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며, 측면에는 회전중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중심구멍에 대하여 가장자리에는 부채꼴 모양으로 다수의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홀더와;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각 고정홀더의 회전중심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조립되고, 상기 조절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고정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된 한 쌍의 회동프레임; 및 상기 각 회동프레임의 단부에 조립 고정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메인프레임과 회동프레임 및 가이드가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추고 있어서 가이드에 접촉하는 작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되고, 고정홀더에 대하여 상기 회동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높이가 낮은 작물이든 높은 작물이든 대상 작물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홀더는 메인프레임의 후방을 감싸듯이 결합되는 고정홀더 브라켓과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홀더가 메인프레임에 견고하게 조립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동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커버가 회동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면, 한 쌍의 회동프레임을 연결하여 보다 견고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측에서 예취되는 작물이 튀어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프레임의 바깥쪽에 측면커버를 더 설치하여 작물이나 흙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가이드의 양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러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가이드는 쓰러지는 작물을 충분히 받쳐줄 수 있지만, 가이드면을 타고 양 옆으로 쓰러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작물이 일정하게 정열되지 못하고 양 측으로 분산됨으로써 이후의 작업량을 추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러그가 가이드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쓰러지는 작물을 더욱 고르게 추스려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고정홀더의 후방에는 실린더 힌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단에는 피스톤로드 힌지브라켓이 설치되어 실린더 힌지브라켓과 피스톤로드 힌지브라켓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됨으로써 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회동각을 조절토록 된 것이다.
이에 따라, 회동프레임의 상?하 높이 조절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의 적용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트랙터 등의 유압을 그대로 연결하여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일일이 프레임을 손으로 들어서 회동시킨 후 고정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제작이 용이하고, 충분한 강성을 지님으로써 안정적인 작물의 지지가 가능한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높낮이의 조절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이가 낮은 작물은 물론, 높이가 높은 작물도 무리없이 지지토록 하여 안정된 작물의 예취가 가능토록 하고, 그에 따른 후속적인 작업이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예취기에 의한 예취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예취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 부분의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분리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는 대별하여 메인프레임(10)과, 고정홀더(20)와, 회동프레임(30) 및 가이드(40)로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10)은 예취기나 트랙터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사각의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져 있고, 예취기 등에 고정하기 위한 부속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20)는 한 쌍으로 되어 메인프레임(10)의 양 측에서 거리를 두고 조립 고정되는 것으로서, 밑면이 메인프레임(10)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이나 볼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각 고정홀더(20)는 전방과 상측이 개구된 조립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회전중심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중심구멍(22)을 중심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다수의 조절구멍(23)이 전방에 배열되어 있다.
각 고정홀더(20)의 조립홈(21)에는 상기 회동프레임(30)의 일측 단부가 조립되는데, 회동프레임(30)의 단부 측면에는 조립구멍(32)과 고정구멍(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립구멍(32)은 고정홀더(20)의 회전중심구멍(22)과 일치시켜서 회동핀(2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구멍(33)은 고정홀더(20)의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절구멍(23)에 일치시켜서 고정핀(26)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회동프레임(30)의 내측으로는 커버(35)가 설치되어 양 회동프레임(30)을 연결함으로써 보다 큰 강성을 갖추게 되는데, 이 커버(35)는 하측으로부터 작물조각이나 흙이 튀어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회동프레임(30)의 외측으로도 측면커버(36)가 더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40)는 길게 형성된 것으로서 각 회동프레임(30)의 단부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데, 양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판형의 러그(41)가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는 메인프레임(10)이 예취기나 트랙터 등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사용하게 되는데, 예취하고자 하는 작물의 높이에 따라 회동프레임(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예취하고자 하는 작물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고정홀더(20)에 형성된 여러 개의 조절구멍(23) 중에서 낮은 위치의 조절구멍(23)에 회동프레임(30)의 고정구멍(33)을 맞추고 고정핀(26)을 끼워서 고정시키면, 회동프레임(30)은 낮은 각도로 전방을 향하면서 가이드(40)가 지면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반대로, 예취하고자 하는 작물의 높이가 옥수수와 같이 높은 경우에는 고정홀더(20)에 형성된 조절구멍(23) 중에서 높은 위치의 조절구멍(23)에 회동프레임(30)의 고정구멍(33)을 맞추고 여기에 고정핀(26)을 끼워서 고정시키면, 회동프레임(30)의 선단부인 가이드(40)가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4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옥수수와 같은 키가 큰 작물(50)의 상단부를 지지하면서 이동하여 작물이 예취기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대상 작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26)을 뺀 상태에서 회동프레임(30)을 회동시켜서 원하는 각도를 조절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핀(26)을 조절구멍(23)과 고정구멍(33)에 연속하여 끼움으로써 회동프레임(30)을 고정시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취 작업 중에 지면으로부터 흙이나 예취된 작물파편이 튀어올라올 수 있는데, 본원 가이드장치에서는 회동프레임(30)에 설치된 커버(35)와 측면커버(36)에 의해서 그러한 파편들이 차단되어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40)의 양 측단에 설치된 러그(41)는 작물이 가이드(40)의 양 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모아줌으로써, 예취된 작물이 일정하게 정리되도록 하여 후속적인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단지 고정홀더(20)의 조절구멍이 없고, 별도의 유압실린더(60)가 더 설치되어 회동프레임(30)의 회동 조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고정홀더(20)의 배면으로는 실린더 힌지브라켓(62)이 조립되어 이 실린더 힌지브라켓(62)에 유압실린더(60)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회동프레임(30)의 중간에는 피스톤로드 힌지브라켓(63)이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60)의 피스톤로드(61)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더(20)와 실린더 힌지브라켓(62)의 사이에는 메인프레임(10)의 배면과 저면을 감싸듯이 조립되는 고정홀더 브라켓(65)이 더 구비되어 실린더 힌지브라켓(62)의 견고한 조립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60)는 예취기나 트랙터에 적용되는 유압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동프레임(30)을 수동적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이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회동프레임(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각종 프레임이나 브라켓 등의 구성요소들은 그 형상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고, 조립되는 위치 또한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20 ; 고정홀더
21 ; 조립홈 22 ; 회전중심구멍
23 ; 조절구멍 25 ; 회동핀
26 ; 고정핀 30 ; 회동프레임
32 ; 조립구멍 33 ; 고정구멍
35 ; 커버 36 ; 측면커버
40 ; 가이드 41 ; 러그
50 ; 작물 60 ; 유압실린더
61 ; 피스톤로드 62 ; 실린더 힌지브라켓
63 ; 피스톤로드 힌지브라켓 65 ; 고정홀더 브라켓

Claims (5)

  1. 예취기의 전방에 메인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이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작물의 예취시에 작물이 예취기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에서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며, 측면에는 회전중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중심구멍에 대하여 가장자리에는 부채꼴 모양으로 다수의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홀더와;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각 고정홀더의 회전중심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프레임의 전방으로 조립되고, 상기 조절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고정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된 한 쌍의 회동프레임; 및
    상기 각 회동프레임의 단부에 조립 고정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의 내측으로는 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의 외측으로는 측면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양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러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의 후방에는 실린더 힌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일단에는 피스톤로드 힌지브라켓이 설치되어 실린더 힌지브라켓과 피스톤로드 힌지브라켓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됨으로써 이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회동각을 조절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가이드장치.
KR2020120004442U 2012-05-25 2012-05-25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KR200462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42U KR200462539Y1 (ko) 2012-05-25 2012-05-25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42U KR200462539Y1 (ko) 2012-05-25 2012-05-25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539Y1 true KR200462539Y1 (ko) 2012-09-14

Family

ID=4755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42U KR200462539Y1 (ko) 2012-05-25 2012-05-25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846B1 (ko) 2016-03-16 2016-06-07 박정규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46Y1 (ko) 2008-10-09 2009-03-06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
JP2011155925A (ja) 2010-02-02 2011-08-18 Yanmar Co Ltd 自走式乗用草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46Y1 (ko) 2008-10-09 2009-03-06 박정규 예취기용 가이드
JP2011155925A (ja) 2010-02-02 2011-08-18 Yanmar Co Ltd 自走式乗用草刈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846B1 (ko) 2016-03-16 2016-06-07 박정규 농업용 다기능 예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8771B1 (en) Hood divider adjustment apparatus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US9474209B2 (en) Lifting system for a harvester with a pivotable cylinder
RU2598916C2 (ru) 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с ножевым барабаном
US20120324854A1 (en) Self-Leveling Four-Bar Linkage for Suspending a Header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CN208523274U (zh) 一种起垄栽培式果园用避障割草机
EP3440920B1 (en) Outer stalk divider
KR101106618B1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KR200462539Y1 (ko) 예취기용 가이드장치
KR200443646Y1 (ko) 예취기용 가이드
US2835095A (en) Spring-loaded bail for stripper type cotton harvesters
US9642308B2 (en) Crop lifter with angle and finger adjustment
US3989272A (en) Variable offset hitch
US9992937B2 (en) Pruning apparatus
JP5680333B2 (ja) 刈取り作業機
CN211064170U (zh) 一种果园垄上仿形割草机
KR20044364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예취기용 가이드
KR20090004773U (ko) 구근채굴기의 줄기절단부 고,저 조절장치
KR200461182Y1 (ko) 예초기용 농작물 가이드
JP2018102164A (ja) コンバイン
KR200290431Y1 (ko) 지면의 형상에 따라 제초가 가능한 농기계용 제초기
JP5248955B2 (ja) 芝刈り機
JP5530415B2 (ja) コンバイン
JP2522463Y2 (ja) 複数条刈り用バインダー
US1123398A (en) Stub-cutter attachment for corn-harvesters.
JP2008245530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