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79Y1 - 타악기용 채 - Google Patents

타악기용 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79Y1
KR200478279Y1 KR2020140003291U KR20140003291U KR200478279Y1 KR 200478279 Y1 KR200478279 Y1 KR 200478279Y1 KR 2020140003291 U KR2020140003291 U KR 2020140003291U KR 20140003291 U KR20140003291 U KR 20140003291U KR 200478279 Y1 KR200478279 Y1 KR 200478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cussion instrument
rod
elastic core
han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최순호
Original Assignee
이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성 filed Critical 이우성
Priority to KR2020140003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악기용 채에 관한 것으로, 목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탄성심재가 구비된 봉; 상기 봉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봉의 타측에 결합되는 타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용 채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가볍게 하여 채의 무게중심이 연주에 적합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봉의 탄성력을 높임으로써 연주 시 좋은 음색을 낼 뿐만 아니라 연주자의 손목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악기용 채{Stick for percussion instrument}
본 고안은 타악기용 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전통 타악기인 장구 또는 꽹과리를 연주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구채 또는 꽹과리채와 같은 타악기용 채에 관한 것이다.
금속으로 이루어진 꽹과리나 목재에 가죽을 씌워 만든 장구 등의 전통 타악기는 주로 전용 채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방식으로 연주된다.
이와 같이 전통 타악기를 연주하는데 사용하는 채는 대나무 뿌리 막대기와 같이 가늘고 긴 목재로 이루어진 봉의 일측에 가죽이나 천을 감아 손잡이로 이용하고, 반대편 끝 부분에는 둥근 형상의 타격구를 연결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통 타악기용 채는 장기간 타악기를 연주할 경우 봉의 특성상 부러지거나 습기에 의해 휘어지는 일이 빈번하여 연주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목재로 이루어진 봉은 탄성력이 현저하게 부족하여 연주시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해야 하는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전통 타악기용 채는 상기와 같이 가죽, 소창, 붕대, 실 등으로 감아서 손잡이를 만들기 때문에 손잡이 부분의 무게가 무거워져 손잡이와 타격구 사이의 무게중심이 고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9334호(2004.04.22)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를 가볍게 하여 채의 무게중심이 연주에 적합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봉의 탄성력을 높임으로써 연주 시 좋은 음색을 낼 뿐만 아니라 연주자의 손목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타악기용 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탄성심재가 구비된 봉; 상기 봉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봉의 타측에 결합되는 타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용 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스폰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심재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은 표면이 방습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심재는 상기 타격구가 배치된 상기 타측의 직경이 상기 손잡이가 배치된 상기 일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가볍게 하여 채의 무게중심이 연주에 적합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봉의 탄성력을 높임으로써 연주 시 좋은 음색을 낼 뿐만 아니라 연주자의 손목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에 구비된 탄성심재에 후육부가 부가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에 구비된 탄성심재에 후육부가 부가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100)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탄성심재(112)가 구비된 봉(110), 봉(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120) 및 봉의 타측에 결합되는 타격구(130)를 포함한다.
봉(110)은 대나무 뿌리 등의 목재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탄성심재(112)가 구비된다.
이러한 봉(110)의 표면에는 습기 등으로 인한 봉(110)의 휨과 같은 변형과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방습코팅처리 한다. 이와 같은 방습코팅은 목재용 오일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데, 대나무 뿌리 또는 건조한 대나무 뿌리를 목재용 오일에 침지하거나 분사함으로써 코팅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목재용 오일은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목재의 방습용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탄성심재(112)는 봉(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봉(110)의 내부에 억지끼움되어 봉(110)에 일체화된다.
탄성심재(112)는 탄성력을 구비한 재질로 이루어져 타악기를 채(100)로 타격할 때 목재로 형성되는 봉(110)의 휨을 방지하면서도 봉(110) 자체의 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 탄성심재(112)는 습기 등으로 인한 부식의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한다.
또한, 탄성심재(112)는 타격구(130)가 배치된 측의 직경이 손잡이(120)가 배치된 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후육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육부(114)는 타격구(130)가 배치되는 선단으로부터 손잡이(130) 배치되는 후단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탄성심재(112)가 전체적으로 다단구조를 이루도록 하는데, 이러한 후육부(114)의 길이는 연주자의 연주 특성에 따라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후육부(114)는 탄성심재(112)의 직경을 변화시켜 후육부(114)가 설치된 부분의 탄성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비해 다소 감소되도록 한다.
즉, 후육부(114)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봉(110)이 더욱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후육부(114)의 길이 및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봉(110)이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연주자의 패턴에 따라 원활한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연주 시 발생하는 피로도를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육부(114)의 길이를 조절하여는 타격구(130)가 배치된 봉(110)의 선단 부분의 무게를 연주자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손잡이(120)는 연주자가 타악기용 채(100)를 파지하는 부분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스폰지 재질로 형성된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스폰지는 유연성, 내충격성 및 복원성이 우수하면서도 매우 가벼운 재질로서 이러한 재질로 형성된 손잡이(120)는 연주자에게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손잡이 쪽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악기용 채(100)는 전통적인 제작방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도 제작이 가능하고, 봉(110)의 탄성을 증가하여 연주자의 연주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변형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토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타악기용 채
110: 봉 112: 탄성심재
114: 후육부 120: 손잡이
130: 타격구

Claims (5)

  1. 목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탄성심재가 구비된 봉;
    상기 봉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봉의 타측에 결합되는 타격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심재는
    상기 타격구가 배치되는 타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배치되는 일단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형성되는 후육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육부의 직경은 상기 손잡이가 배치된 부분의 상기 탄성심재 일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용 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스폰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용 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심재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용 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은 표면이 방습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악기용 채.
  5. 삭제
KR2020140003291U 2014-04-24 2014-04-24 타악기용 채 KR200478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91U KR200478279Y1 (ko) 2014-04-24 2014-04-24 타악기용 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91U KR200478279Y1 (ko) 2014-04-24 2014-04-24 타악기용 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279Y1 true KR200478279Y1 (ko) 2015-09-14

Family

ID=5434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91U KR200478279Y1 (ko) 2014-04-24 2014-04-24 타악기용 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7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924B2 (ja) * 1996-11-01 2000-01-31 株式会社ミツトヨ 磁気エンコー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924B2 (ja) * 1996-11-01 2000-01-31 株式会社ミツトヨ 磁気エンコー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1435B2 (ja) 打楽器用スティック
US20130239778A1 (en) Multi Task Drumstick
US3990699A (en) Game bat
US20140066235A1 (en) "Silencer" Pickle Ball Paddle
JPS59207167A (ja) ゲ−ムラケツト特にテニスラケツト
US5993325A (en) Flexible swing weight
KR200478279Y1 (ko) 타악기용 채
CN202355799U (zh) 一种球拍线
GB2462191A (en) A hurley stick
US20120144975A1 (en) Multipurpose drumstick
US5913740A (en) Flat beam aerodynamic tennis racquet
JP6776883B2 (ja) テニスラケットフレーム
KR20140125526A (ko) 타악기용 장구채 및 그 제조방법
US4151995A (en) Tennis racket with playable throat area
US20040053715A1 (en) Variable weight end structure for sporting equipment handles
US8814731B2 (en) Flexible racquet handle
CN205541873U (zh) 一种镂空式吸汗架子鼓打击棒
US1451836A (en) Racket for tennis and similar games
KR200283871Y1 (ko) 우드볼 말렛
US20080305898A1 (en) Vented shaft for a lacrosse stick
KR20170040445A (ko) 공격형 파워스윙 라켓
JP2007108230A (ja) 指揮棒及び指示棒
KR200488118Y1 (ko) 강도 보강 타격체
US20180133563A1 (en) Weighted tennis racket
KR101910343B1 (ko) 배드민턴 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