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18Y1 - 강도 보강 타격체 - Google Patents

강도 보강 타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18Y1
KR200488118Y1 KR2020180000680U KR20180000680U KR200488118Y1 KR 200488118 Y1 KR200488118 Y1 KR 200488118Y1 KR 2020180000680 U KR2020180000680 U KR 2020180000680U KR 20180000680 U KR20180000680 U KR 20180000680U KR 200488118 Y1 KR200488118 Y1 KR 200488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ody portion
groove portion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준
Original Assignee
최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준 filed Critical 최은준
Priority to KR2020180000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63B59/52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made of wood or bambo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강도 보강 타격체가 개시된다. 강도 보강 타격체는, 길이 방향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홈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홈부에 부착되며 바디부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부착되는 보강부와, 보강부를 바디부에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도 보강 타격체{REINFORCEMENT HIT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당구 큐대 또는 야구 방망이 등에 적용되며 내구성이 강화된 강도 보강 타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 게임에서 당구큐대 또는 큐(이하, "당구큐대"라 총칭한다.)를 사용하여 당구공을 타격하는데, 이러한 용도의 큐대는 통상적으로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서 당구공을 타격하는 상대와 손잡이 부분인 상.하대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큐대로 사용자가 당구공을 타격할 때 한손에는 브리지를 형성하여 상부대의 진행방향을 안내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하부대를 잡고 당구공을 순간적으로 타격한다.
그러나 당구 큐대를 이용하여 당구공을 계속적으로 타격하는 경우, 큐대의 일부분이 휘거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128209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당구공 또는 야구공 등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휘거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강도 보강 타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길이 방향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홈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홈부에 부착되며 바디부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부착되는 보강부와, 보강부를 바디부에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홈부는 바디부의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는 홈부의 내부에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 고정되며 부채꼴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와 보강부는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는 바디부의 둘레에 3개, 5개, 8개, 또는 10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는 단풍나무 재질이고, 보강부는 대나무, 풀푸레나무, 흑단나무, 참나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홈부에 바디부 재질과 상이한 재질의 보강부를 접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 보강 타격체는 당구공 또는 야구공 등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휘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강화되는 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강도 보강 타격체(100)는, 길이 방향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홈부(11)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홈부(11)에 부착되며 바디부(1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부착되는 보강부(20)와, 보강부(20)를 바디부(10)에 접착하는 접착부재(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강도 보강 타격체(100)는 당구 큐대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강도 보강 타격체(100)는 봉형상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대상물을 타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강도 보강 타격체(100)는 당구 큐대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상체를 타격하는 야구 배트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디부(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봉형상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단풍 나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본 실시예에서 단풍 나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구공 또는 야구공 등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소정의 목재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디부(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파직감을 향상시키도록 연장된 길이를 달리한 상태로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당구공을 타격하는 일측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바디부(10)를 파지하는 부분의 직경이 타격하는 부분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파지하는 부분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당구공을 안정적으로 타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바디부(10)의 외표면에는 홈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는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는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10)의 외표면에 3개가 등간격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홈부(11)는 3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개, 8개 또는 10개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바디부(10)의 외표면에 홈부(11)가 형성되는 것은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강부(2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홈부(11)는 바디부(10)의 외표면에 인입된 상태로 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홈부(11)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바디부(10)의 외표면에 인입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홈부(11)는 바디부(10)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바디부(10)의 표면에 인입되는 깊이를 달리하면서 바디부(10)의 표면에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부(11)에는 보강부(20)가 부착될 수 있다.
보강부(20)는 홈부(1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홈부(1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강부(20)는 홈부(11)의 인입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홈부(11)의 삼각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20)는 본 실시예에서, 홈부(11)에 접착된 상태에서 바디부(10)와 함께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20)는 부채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부(1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바. 바디부(10)와 함께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20)는 바디부(10)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홈부(11)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바, 바디부(10)의 측면 보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부(20)는 바디부(1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어 바디부(10)의 외표면에 형성된 홈부(1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20)는 바디부(10)에 형성된 홈부(11)에 삽입된 상태로 보강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바디부(10)의 재질과 상이한 대나무, 풀푸레나무, 흑단나무, 참나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보강부(20)는 대나무, 풀푸레나무, 흑단나무, 참나무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디부(1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적절한 강도를 갖는 소정의 목재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보강부(20)는 홈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부재(30)에 의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30)는 목공용 접착제로 적용되는 것으로 보강부(20)가 홈부(11)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강도 보강 타격체(100)는, 당구 큐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몸체를 이루는 바디부(10)의 외표면에 형성된 홈부(11)에 바디부(10)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의 보강부(20)를 접착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 보강 타격체(100)는 당구공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휘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강화되는 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의 바디부(110)의 외표면에 홈부(111)가 5개로 형성되고, 5개의 홈부(111)의 각각에는 5개의 보강부(12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120)는 보다 효과적인 보강 작용으로 내구성 향상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는 바디부(210)의 외표면에 홈부(211)가 8개로 형성되고, 8개의 홈부(211)의 각각에는 8개의 보강부(22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220)는 보다 효과적인 보강 작용으로 내구성 향상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강도 보강 타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타격체(300)는 야구 방망이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보강부(320)는 야구 방망이의 바디부(310)의 길이 방향의 외표면에 복수개로 삽입 고정되는 바, 야구 방망이를 이용한 야구공의 타격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구성 강화 작용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110, 210 310...바디부 11, 111, 211...홈부
20, 120, 320...보강부 30...접착제

Claims (4)

  1. 길이 방향의 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홈부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홈부의 인입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바디부의 홈부에 부착되며, 상기 바디부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부착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를 바디부의 홈부에 접착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홈부는 상기 바디부의 표면의 내부로 인입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홈부의 내부에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 고정되며 부채꼴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와 보강부는 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단풍나무 재질이고, 상기 보강부는 대나무, 풀푸레나무, 흑단나무, 참나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타격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바디부의 둘레에 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3개, 5개, 8개 또는 10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타격체.
  4. 삭제
KR2020180000680U 2018-02-12 2018-02-12 강도 보강 타격체 KR200488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80U KR200488118Y1 (ko) 2018-02-12 2018-02-12 강도 보강 타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80U KR200488118Y1 (ko) 2018-02-12 2018-02-12 강도 보강 타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18Y1 true KR200488118Y1 (ko) 2018-12-14

Family

ID=6466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680U KR200488118Y1 (ko) 2018-02-12 2018-02-12 강도 보강 타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1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0417A (en) * 1998-05-15 2000-01-04 Young Bat Co., Inc. Baseball bat
JP2011087817A (ja) * 2009-10-23 2011-05-06 Lonwood:Kk 野球用バット
US8801527B2 (en) * 2011-12-21 2014-08-12 Mark Larson Pool cue
KR20160128209A (ko) 2015-04-27 2016-11-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성질량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당구큐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0417A (en) * 1998-05-15 2000-01-04 Young Bat Co., Inc. Baseball bat
JP2011087817A (ja) * 2009-10-23 2011-05-06 Lonwood:Kk 野球用バット
US8801527B2 (en) * 2011-12-21 2014-08-12 Mark Larson Pool cue
KR20160128209A (ko) 2015-04-27 2016-11-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성질량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당구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0908A (en) Training bat
US7651418B2 (en) Structured lacrosse stick
US7611428B2 (en) Bat with flexible handle
US6908401B2 (en) Shaft for use in golf clubs and other shaft-based instrumen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14187B2 (en) Badminton racket
US20130239778A1 (en) Multi Task Drumstick
US20030166419A1 (en) Pool cue
US8981194B2 (en) Drumstick
US20200290243A1 (en) Hockey Stick
US20040121864A1 (en) Lacrosse handle
JP2002011131A (ja) 野球用又はソフトボール用バット
US20130023360A1 (en) Weighted swing training apparatus
KR200488118Y1 (ko) 강도 보강 타격체
US20080274842A1 (en) Sports racket
EP2556863A1 (en) Racquet handl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US20090048032A1 (en) Shaft of cue sticks
US20090149285A1 (en) Baseball bat utilizing stepped dowels
US7044861B1 (en) Reinforced cue stick
US4655449A (en) Racket having a grip member spaced from the handle
US20110162512A1 (en) Reinforced drum stick
US8795107B2 (en) Symmetrical wood composite bat
US20090170626A1 (en) Two hang grip
JP3203562U (ja) バット
KR200390783Y1 (ko) 야구용 나무 방망이
US20030224865A1 (en) Tubular sport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