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66Y1 - Grill - Google Patents

Gr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66Y1
KR200478266Y1 KR2020140002606U KR20140002606U KR200478266Y1 KR 200478266 Y1 KR200478266 Y1 KR 200478266Y1 KR 2020140002606 U KR2020140002606 U KR 2020140002606U KR 20140002606 U KR20140002606 U KR 20140002606U KR 200478266 Y1 KR200478266 Y1 KR 200478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plate
handle
fram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6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대욱
Original Assignee
허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대욱 filed Critical 허대욱
Priority to KR2020140002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6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6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판과 하판에는 다수의 철대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은 걸쇠와 손잡이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상판과 하판의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하며, 이에 따라, 상기 철대에 묻은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씻어내는 것이 편리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and fixed by a latch and a knob. Therefo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and separated easi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ll plate which is convenient to wash foreign substances such as oil stains,

Description

구이판{GRILL}Grub {GRILL}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판과 하판에는 다수의 철대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은 걸쇠와 손잡이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상판과 하판의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하며, 이에 따라, 상기 철대에 묻은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씻어내는 것이 편리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and fixed by a latch and a knob. Therefo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and separated easil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ll plate which is convenient to wash foreign substances such as oil stains,

고기 등의 음식물을 굽거나 훈제/훈연할 때 사용되는 구이판은, 일반적으로 상하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판에 고기나 기타 음식물을 올려놓고 상판으로 하판을 덮는 구성이다.(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269호 참조)The grill plate used for grilling or smothering / smoking the food such as meat is generally composed of upper and lower plates, and meat or other food is placed on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covered with the upper plate. -0377269)

종래에는 현대인들이 주말이나 휴일 또는 휴가 시에 스트레스를 풀고 재충전의 기회를 갖기 위해 바다나 산 등의 교외로 여행을 가거나 캠핑을 즐기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Conventionally, it is common for modern people to travel to the suburbs of the sea or mountain, or enjoy camping, in order to relieve the stress and get a chance to recharge during the weekend, holiday or vacation.

이와 같이 자연을 찾아 스트레스를 풀고 재충전의 기회를 가질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기나 기타 음식물을 야외에서 먹게 된다.When they find nature and have the opportunity to relax and recharge, most people eat meat or other food outdoors.

특히, 음식물을 구워먹거나 익혀 먹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인데, 이와 같이 음식물을 구워먹거나 익혀 먹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석쇠나 구이판에 고기를 구워 먹는 것이 있다.Particularly, it is most common to bake foods or to eat them. As such,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baking or eating food is grilling meat on a grill or grill plate.

상기 석쇠나 구이판 등은 가열기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굽거나 익힐 수 있도록 한다.The grill, the griddle, etc. are placed on the heater and the food is baked or cooked while the food is placed on the heater.

일반적으로 구이판은 격자 무늬로 형성된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하판을 가지며,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조리하고자하는 음식물을 놓고 조리한다.Generally, the griddle has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formed of a net pattern formed by a grid pattern, and the food to be cooked is plac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cooked.

상기 상하판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를 잡고 구이판을 뒤집음으로써 음식물을 고루 익힐 수 있다.On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hinged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handle, so that the food can be cooked by turning the plate while holding the handl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격자 무늬의 그물망으로 형성된 상하판은, 음식물의 조리가 끝나고 나서 구이판을 설거지할 때, 상기 격자 무늬 사이사이에 끼어있는 기름때 등을 제거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plates formed of a mesh pattern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oil mist, etc., sandwiched between the grid patterns when dishes are washed after food is cooked.

또한, 상판과 하판이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이판을 설거지할 때 불편하고, 힌지결합 부분에 찌든 기름때 등을 깨끗이 씻어내기 힘들다.
Also, since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re hinged together, it is inconvenient when washing the grill plate, and it is difficult to wash the stained grease when the hinge joining portion is cleaned.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판과 하판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걸쇠와 손잡이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는 구성이고, 상기 상판과 하판에는 다수의 철대를 형성하여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철대에 찌든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깨끗이 씻어낼 수 있는 구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and fixed by a latch and a handle so as to completely separat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ll plate which is capable of thoroughly rinsing foreign materials such as grea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판 프레임, 상기 하판 프레임의 한쌍의 마주보는 변을 연결하되, 하향 절곡된 제1 하판 철대와, 상기 제1 하판 철대의 하향 절곡부를 연결하는 제2 하판 철대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 상측에 형성되되 상판 프레임과 상기 상판 프레임의 한쌍의 마주보는 변을 연결하는 상판 철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 일측에 형성된 걸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하판 프레임의 타측에는 오목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하판 손잡이가 상기 오목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상판 프레임이 상기 하판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판 프레임의 내부면적이 상기 하판 프레임의 내부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이판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plate frame, comprising: a lower plate frame; a first lower plate arm resting on a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lower plate frame; An upper plat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including a top plate frame and a top plate frame connecting a pair of opposed sides of the top plate frame, a la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And a hand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wherein a recess is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frame, the lower plate handl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ss, and the upper plate frame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late frame, And an inner area of the upper frame is smaller than an inner area of the lower frame.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중앙부에 오도록 형성된 구이판을 제공한다.Further, the handle provides a grill plate which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receptacle.

또한, 상기 하판 손잡이에는 상기 상판 손잡이의 일부 혹은 전체가 수용되는 홈이 더 형성되는 구이판을 제공한다.Further, the lower plate handle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 receiving a part or the whole of the upper plate handle.

삭제delete

또한, 상면이 평편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구이판을 제공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grill further comprising a lid having a flat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는 절개부와, 상기 덮개 상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덮개 손잡이와, 상기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기공이 더 형성되는 구이판을 제공한다.
The lid includes a cut port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d and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lid, a lid hand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upper surface, and a guide portion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And a plurality of air holes formed in a symmetrical manner are further formed.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은 한쪽 방향으로만 설치된 철대를 포함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끝난 후 상기 철대에 묻은 기름때 등의 이물질을 깨끗이 씻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ll plate includes a bar that is installed only in one direction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oil stains on the bar can be cleaned after the cooking of the food is finished.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은 걸쇠에 의해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 상판과 하판이 포개어 지는 부분에 생긴 기름때도 깨끗이 씻어낼 수 있다.Also, sinc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an be connected and separated by a latch, even the grease generated in a portion whe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overlapped can be washed cleanly.

또한, 상기 걸쇠는 상기 상판과 하판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결합되어, 수용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이판을 뒤집었을 때에도 상기 걸쇠에 의해 상판과 하판이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without being shaken to the left and right, the latch can cook foo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even when the plate is turned over,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not separated by the latch, Food can be cooked.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중앙부에 오도록 형성하여, 상기 구이판의 상하 방향이 반대가 되더라도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항상 중심에 오도록 하여, 상기 구이판의 상하 방향과 관계없이 손잡이에 전해지는 열기를 일정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것이 편리해 진다.In addition, the handle is formed so as to come to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receptac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is always at the center even i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tick is reversed, , Which makes it easier for the user to grasp the handle.

또한, 하판 손잡이에는 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홈은 상판이 하판에 겹쳐질 때, 항상 같은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과, 상판과 하판이 겹쳐진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urther, grooves are formed in the lower plate handle, and the grooves serve to guide the upper plate to always come to the same position when the upper plate overlaps with the lower plate, and to preven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rom moving in the overlapped state.

또한, 상기 하판 프레임의 타측에 하판 손잡이가 연결되는 오목부를 더 형성하여, 상판 손잡이가 하판 손잡이와 겹쳐졌을 때, 상판 손잡이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The lower plate frame further includes a concave portion to which the lower plate handle is connected so that the upper plate handle is not shaken when the upper plate handle is overlapped with the lower plate handle.

또한, 상기 상판 프레임의 내부 면적이 상기 하판 프레임의 내부 면적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소재가 적게 사용되기 때문에, 구이판 자체의 무게가 감소된다.Further, since the inner area of the upper frame is smaller than the inner area of the lower frame, the weight of the roaster itself is reduced because less material is used.

또한, 상기 구이판은 사각 형상의 덮개로 덮어지는데, 상기 덮개를 덮음으로써, 상기 구이판을 훈제/훈연 조리시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한다.Also, the grill plate is covered with a rectangular lid. By covering the lid plate, the grill plate can be used for smoked / fried food, and the food can be evenly cooked.

또한, 상기 덮개의 측면에는 상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절개부로부터 나와있는 손잡이는 가열되는 정도가 약해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 뜨거움을 덜 느낄 수 있으며, 손잡이가 밖으로 나와 있으므로, 덮개에 의해 덮여 있는 구이판을 조금만 움직일 경우, 상기 덮개를 들어올리지 않고 손잡이에 의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 the side surface of the lid further includes a cut-out portion so that the handle can be protruded to the outside. The handle, which is protruded from the cut-out portion, is weakly heated so that the user feels less heat when holding the knob. Therefore, when the grill plate covered by the lid is slightly moved,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by the handle without lifting the lid.

또한, 상기 덮개에는 손잡이를 더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덮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hand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cover.

또한, 상기 덮개 상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사용하여 조리할 때, 열원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가 계속 덮개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맛 좋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Further,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so that when the lid is cooked using the lid, the smoke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does not stay inside the lid and can escape to the outside, have.

즉, 상기 통기공으로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가 빠져나와 숯불 등을 사용할 때에도 불이 꺼지지 않고 음식이 조리되는 것이다.
That is, even when a gas such as carbon dioxide escapes into the vent hole and uses a charcoal fire or the like, the fire is not extinguished and the food is cook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손잡이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구이판을 덮는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절단된 덮개 내부의 구이판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l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 side view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ll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ll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Fig. 5; Fig.
Fig. 8 is a plan view of Fig. 5;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covering the gril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of use showing a grill plate inside the cut lid.
FIG. 11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grill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손잡이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구이판을 덮는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절단된 덮개 내부의 구이판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l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ll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ll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ll portion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covering the gril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use state view showing a grill plate inside the lid,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구이판(1)은 상기 구이판(1)에 조리하고자하는 음식물을 넣은 상태에서, 숯불 등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되, 상기 구이판(1) 전체를 뒤집어 숯불에 놓음으로써 음식물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다.Generally, the grill plate (1) can be cooked by using charcoal or the like while food to be cooked is placed in the grill plate (1), and the whole grill plate (1) hav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이판(1)은, 하판 프레임(3a)과 상기 하판 프레임(3a)의 한쌍의 마주보는 변을 연결하되, 하향 절곡된 제1 하판 철대(5a)와 상기 제1 하판 철대(5a)의 하향 절곡부를 연결하는 제2 하판 철대(5b)를 포함하는 하판(3), 상기 하판 상측에 형성되되, 상판 프레임(4a)과, 상기 상판 프레임(4a)의 한쌍의 마주보는 변을 연결하는 상판 철대(5c)를 포함하는 상판(4), 상기 상판(4) 일측에 형성된 걸쇠(6), 상기 상판(4) 및 상기 하판(3)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7, 7a, 7b)를 포함한다.The grating plate 1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air of opposite sides of a lower plate frame 3a and the lower plate frame 3a with a first lower plate arm 5a bent downward, A lower plate 3 including a second lower plate arm 5b connecting a downward bent portion of the first lower plate arm 5a, a lower plate 4 formed on the upper plate 4a and a pair of upper plate frames 4a A latch 6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4 and a handle 6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7, 7a, 7b).

상기 하판(3)과 상기 상판(4)은 사각 형상으로 상기 구이판(1) 형상의 기본틀로써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하판(3)과 상판(4)의 길이가 폭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하였다.The lower plate 3 and the upper plate 4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basic frame in the shape of the grating plate 1.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plate 3 and the upper plate 4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Respectively.

상기 하판 프레임(3a)에는 다수개의 하판 철대(5a, 5b)가 하판(3)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In the lower plate frame 3a, a plurality of lower plate stands 5a and 5b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3 in parallel.

상기 하판 철대(5a, 5b)는, 하판 프레임(3a)의 한쌍의 마주보는 변 중 짧은 길이의 한쌍의 변에서 하향 절곡되는 제1 하판 철대(5a)와, 상기 제1 하판 철대(5a)의 하향 절곡부에서 외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2 하판 철대(5b)로 이루어진다.The lower plate units 5a and 5b include a first lower plate unit 5a bent downward at a pair of shorter sides of a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lower plate frame 3a, And a second lower plate arm 5b formed outwardly bent from the downward bent portion.

상기 제1 하판 철대(5a)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판 철대(5b)는 제1 하판 철대(5a)에 올려진 음식물이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하는 역할을 한다.The food to be cooked can be placed on the first lower plate unit 5a and the second lower plate unit 5b prevents the food placed on the first lower plate unit 5a from falling out.

즉, 상기 하판 프레임(3a)에는 다수의 제1 하판 철대(5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판 철대(5a) 중 가장자리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하판 철대(5a)에는 제2 하판 철대(5b)가 연결형성된다.That is, a plurality of first lower plate units 5a are formed on the lower plate frame 3a and two first lower plate units 5a formed on the edge of the first lower plate unit 5a are provided with second lower plate units 5b Are connected.

따라서, 상기 제1, 2 하판 철대(5a, 5b)에 의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가 형성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receiving portion 2 capable of receiving food can b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lower plate rests 5a and 5b.

또한, 상기 상판 프레임(4a)에는 다수개의 상판 철대(5c)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판 철대(5c)는 상기 상판(4)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The top plate frame 4a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op plate units 5c. The top plate unit 5c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4, as shown in FIGS.

상기 음식물은 바베큐용 고기 등이 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육류를 조리할 경우, 상기 육류로부터 기름이 흘러나와 상기 상판 철대(5c)에 묻게 된다.The food may be meat for barbecue. When meat is cooked as described above, oil flows from the meat to be buried in the upper plate 5c.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판(3)은 상기 하판(3)의 길이방향으로만 형성된 하판 철대(5a, 5b)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구이판에 사용되었던 그물망처럼 교차되는 부분이 없어 기름때 등이 끼지 않으며, 틈새가 적어 손쉽게 설거지를 할 수 있다.Since the lower plate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ower plate rests 5a and 5b 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3, there is no intersecting portion like a net used in the conventional plate It does not get stuck on oil, and it can easily wash dishes because there are few gaps.

상기 상판(4)도 상판 철대(5c)가 길이 방향으로만 형성되므로, 상기 하판(3)과 마찬가지로 기름때 등이 끼지 않으며, 손쉽게 설거지를 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plate 4 is also form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plate 4 can be easily washed without oiling or the like as in the case of the lower plate 3.

하판 철대(5a)와 상판 철대(5c)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나, 상기 철대(5a, 5c)를 폭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하판 철대(5a)와 상판 철대(5c)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lower plate 5a and the upper plate 5c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lower plates 5a and 5c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wer plate 5a and the upper plate 5c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상판 프레임(4a)의 일측에는 걸쇠(6)가 더 형성되어, 상기 상판(4)을 상기 하판(3)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a latch 6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4a to couple and separate the upper plate 4 to and from the lower plate 3.

상기 걸쇠(6)는 일측이 상기 상판 프레임(4a)에 연결되어 타측이 상기 상판 프레임(4a) 내부 방향으로 구부러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One side of the latch 6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4a,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to a hook shape bent inward of the upper frame 4a.

상기 걸쇠(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 프레임(3a)에 걸리되, 상기 걸쇠(6)의 일측 또는 타측은 상기 하판 철대(5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해, 상판(4)과 하판(3)이 결합했을 때 상기 상판(4)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1 and 2, the latch 6 is hooked on the lower plate frame 3a so th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atch 6 is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arm 5a, And the lower plate 3 are coupled, the upper plate 4 is prevented from moving left and right.

즉, 상기 걸쇠(6)는 상기 상판(4)과 상기 하판(3)을 결합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결합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상판(4)이 하판(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latch 6 serves not only to engage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but also to determine the engaging position and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upper plate 4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3 do.

또한, 상기 상판(4)이 걸쇠(6)에 의해 상기 하판(4)과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상판(4)과 하판(3)의 결합된 부분이 없어, 기름때 등이 끼지 않으며, 사용이 끝난 구이판(1)을 설거지할 때 손쉽게 상기 구이판(1)을 설거지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plate 4 is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plate 4 by the latch 6, there is no joined portion between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The user can easily wash the grill plate 1 when the used grill plate 1 is washed.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판(4) 및 하판(3)의 타측에는 손잡이(7)가 더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7 is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상기 손잡이(7)는 상기 하판(3) 타측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하판 손잡이(7a)와, 상기 상판(4) 타측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판 손잡이(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handle 7 includes a lower plate handle 7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3 and an upper plate handle 7b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4. [

상기 손잡이(7)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할 때, 상기 음식물을 골고루 익히기 위해 구이판(1)을 뒤집는 경우 등 구이판(1)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handle 7 is provided for facilitating the use of the grill plate 1 when the user cooks food or when the grill plate 1 is turned over to evenly cook the food.

상기 손잡이(7)를 이용해 상기 구이판(1) 자체를 뒤집어 구이판(1) 내부에 들어있는 음식물을 따로 뒤집어줄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다.The grill plate 1 itself can be turned upside down by using the handle 7 so that the food inside the grill plate 1 is not required to be turned upside down.

상기 손잡이(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2), 즉, 구이판(1) 높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handle 7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2, that is, the height of the roasting plate 1. [

상기 구이판(1)은 숯불 등의 열원 위에 올려짐으로써 음식물을 익히고, 상기 구이판(1)을 뒤집어서 음식물을 골고루 익힌다.The grill plate 1 is placed on a heat source such as a charcoal fire to cook food, and the grill plate 1 is turned upside down and the food is uniformly cooked.

이때, 상기 손잡이(7)에는 열원으로부터 열이 전달되는데, 상기 손잡이(7)의 위치를 상기 수용부(2)의 높이의 중앙에 오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이판(1)을 똑바로 놓았을 때와 뒤집어 놓았을 때 상기 손잡이(7)가 열원과 항상 같은 거리에 오도록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7)를 이용하기에 편리하고, 구이판(1)이 놓여지는 방향에 관계없이 열전도가 가장 적게 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heat source to the handle 7. When the position of the handle 7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receiving portion 2, the position of the handle 1 when the grill plate 1 is placed upright, The handle 7 is always at the same distance as the heat sourc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handle 7 and the heat conduction is minimized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ill 1 is plac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7)는 상판(4)과 하판(3)으로부터의 거리가 같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handle 7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stance from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이때, 하판 손잡이(7a) 및 상판 손잡이(7b)는 측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판 손잡이(7a)와 상기 상판 손잡이(7b)가 겹쳐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하판 손잡이(7a)와 상판 손잡이(7b)를 동시에 쥠으로써, 상기 구이판(1)을 뒤집을 때 별도의 상판(4) 고정부재가 없더라도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lower plate handle 7a and the upper plate handle 7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ide, and the lower plate handle 7a and the upper plate handle 7b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lower plate handle 7a, And the top plate grip 7b are simultaneously pulled out, so that the food does not spill even when the top plate 4 is not provided with another fixing member when the flue plate 1 is turned upside down.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7)는 상기 하판 손잡이(7a)와 상기 상판 손잡이(7b)가 겹쳐짐으로써 형성되는데, 상기 하판 손잡이(7a)에는 상기 상판 손잡이(7b)의 일부 혹은 전체가 수용되는 홈(8)이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7 is formed by overlapping the lower plate handle 7a and the upper plate handle 7b, and a part or the whole of the upper plate handle 7b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late handle 7a. (Not shown).

상기 홈(8)은 상판(4)과 하판(3)의 손잡이(7a, 7b)가 겹쳐질 때, 상기 손잡이(7a, 7b)가 겹쳐지는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The groove 8 serves as a guide for easily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knobs 7a and 7b are overlapped when the knobs 7a and 7b of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are overlapped.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8)이 형성된 손잡이(7a, 7b)를 도 3에 도시하였다.The grips 7a and 7b formed with the groove 8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

도 3에 따르면, 상기 홈(8)은 하판 손잡이(7a)에 형성된다.According to Fig. 3, the groove 8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handle 7a.

상기 하판 손잡이(7a)는 일단이 하판 프레임(3a)에 연결되어 절곡됨으로써, 측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One end of the lower plate handle 7a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frame 3a and is bent, so that the side plate is formed in an 'a' shape.

또한, 상기 상판 손잡이(7b)는 일단이 상판 프레임(4a)에 연결되어 절곡됨으로써, 측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Further, the upper plate handle 7b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frame 4a at one end thereof and bent so that the side plate is formed in an 'a' shap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판 프레임(3a)과 연결형성된 하판 손잡이(7a)의 일단에는 상기 상판 손잡이(7b)의 일단이 수용되는 홈(8)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8 is formed at one end of a lower plate handle 7a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frame 3a to receive one end of the upper plate handle 7b.

상기 하판 손잡이(7a)와 상판 손잡이(7b)는 원형의 봉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하판 프레임(3a)과 연결된 하판 손잡이(7a)의 일단은 홈(8)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금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lower plate handle 7a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frame 3a is formed to be slightly thicker so that the groove 8 can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handle 7a and the upper plate handle 7b, .

상기 홈(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 손잡이(7b)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groove 8 is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handle 7b can be received as shown in FIG.

즉, 상기 홈(8)과 상기 상판 손잡이(7b)의 일단의 형상을 같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판 손잡이(7b)가 상기 홈(8)을 따라 상기 하판 손잡이(7a) 위에 겹쳐지는 것이다.That is, by forming the shape of one end of the groove 8 and the upper plate knob 7b to be the same, the upper plate knob 7b is overlapped on the lower plate knob 7a along the groove 8.

이때, 상기 홈(8)은 상기 상판 손잡이(7b)를 가이드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홈(8)에 의해 상기 상판 손잡이(7b)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At this time, the groove 8 not only guides the upper plate knob 7b but also prevents the upper plate knob 7b from moving by the groove 8.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 손잡이(7b) 외부와 상기 하판 손잡이(7a) 내부가 겹쳐지도록 상기 손잡이(7)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7 can be formed so that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knob 7b overlaps the inside of the lower plate knob 7a.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 손잡이(7a) 내부에 홈(8)을 형성하고, 상기 홈(8)에 상기 상판 손잡이(7b) 전체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4, a groove 8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handle 7a so that the entire upper plate handle 7b is received in the groove 8. As shown in Fig.

상기 상판(4)이 상기 하판(3) 위에 덮어질 때, 상기 상판 손잡이(7b)가 상기 하판 손잡이(7a)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상판(4)이 항상 같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pper plate 4 is covered on the lower plate 3, the upper plate knob 7b is guided along the lower plate knob 7a so that the upper plate 4 can always be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또한, 상기 상판 손잡이(7b) 전체가 상기 홈(8)에 수용되면, 상기 상판 손잡이(7b)와 하판 손잡이(7a)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상판(4)이 상하좌우 혹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 시킨다.When the entire upper plate handle 7b is received in the groove 8, the upper plate handle 7b and the lower plate handle 7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plate 4 is moved in the up- .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판 프레임(3a) 타측에는 오목부(9)가 더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9) 하측에 상기 하판 손잡이(7a)가 연결된다.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9 is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frame 3a, and the lower plate handle 7a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ss 9.

또한, 상기 상판 프레임(4a)이 상기 하판 프레임(3a)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판 프레임(4a)의 내부면적이 하판 프레임(3a)의 내부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이판(1)을 제공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4a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a so that the upper frame 4a is received in the lower frame 3a.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 프레임(3a) 타측변의 중앙에 오목부(9)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8, a concave portion 9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frame 3a.

즉, 구이판(1)의 후방(손잡이가 형성된 방향)에서 바라본 오목부(9)가 형성된 하판 프레임(3a)은 '

Figure 112014030799209-utm00001
' 형상의 홈으로써 형성된다.That is, the lower plate frame 3a formed with the concave portion 9 viewed from the back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is formed) of the grating plate 1 is'
Figure 112014030799209-utm00001
'Shaped grooves.

상기 오목부(9)의 하측에는 하판 손잡이(7a)가 연결된다.A lower plate handle 7a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ss 9.

상판(4)이 하판(3) 상측을 덮으면, 상판 손잡이(7b)는 하판 손잡이(7a)와 겹쳐진다.When the upper plate 4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3, the upper plate grip 7b overlaps the lower plate grip 7a.

상판(4)이 하판(3)을 덮었을 때, 오목부(9)는 상판 손잡이(7b)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When the upper plate 4 covers the lower plate 3, the concave portion 9 serves to support the upper plate grip 7b so that it is not swayed from side to side.

또한, 상판 프레임(4a)은 하판 프레임(3a)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Also, the upper frame 4a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frame 3a.

즉, 상판 프레임(4a)을 형성하는 네 개의 변이 하판 프레임(3a)의 내부에 들어오도록 상기 상판 프레임(4a)의 크기를 형성하여, 상판 프레임(4a)의 내부면적이 하판 프레임(3a)의 내부면적보다 작도록 하였다.That is, the upper plate frame 4a is sized so that the four sides forming the upper plate frame 4a enter the lower plate frame 3a, so that the inner area of the upper plate frame 4a is smaller than the inner area of the lower plate frame 3a Is smaller than the internal area.

이때에도 상기 걸쇠(6)는, 하판 프레임(3a)의 일측변에 걸려 제1 하판철대(5a)에 의해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latch 6 is hook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3a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lower frame arm 5a.

상판 프레임(4a)이 하판 프레임(3a)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더라도, 구이판(1)을 이용해 음식을 조리하는데 무리가 없으며, 소재가 적게 사용되기 때문에, 구이판(1) 자체의 무게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Even if the upper plate frame 4a is form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plate frame 3a, there is no problem in cooking food using the plate 1, and the weight of the plate 1 itself is reduced There are advantages.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구이판(1)은 수용부(2)에 음식물을 넣어 굽거나 익히는 조리뿐만 아니라, 육류의 훈제 조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면이 평편한 덮개(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ll plate (1)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0)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n order to enable smoked cooking of meat, as well as cooking the food in the receptacle (2) have.

상기 덮개(10)는 구이판(1)의 상판(4)과 하판(3)을 모두 덮어, 숯불 등의 열원으로부터의 열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훈제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The lid 10 covers both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of the griddle plate 1 and prevents the heat from a heat source such as charcoal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도 9에 본 고안에 따른 덮개(10)를 도시하였으며, 도 10 및 도 11에 본 고안에 따른 덮개를 사용한 구이판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하였다.FIG. 9 shows the l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and 11 show the state of use of the lid using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이판(1)은 손잡이(7)를 포함하는데, 상기 손잡이(7)는 상기 덮개(10)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9 to 11, the grill plate 1 includes a handle 7, which is preferably not covered by the lid 10.

훈제조리법은 숯불 등의 직접 열원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열원에 의한 열기(뜨거운 연기)에 의해 조리되는 것이다.In the smoked cooking method, food is not cooked by a direct heat source such as charcoal but cooked by heat (hot smoke) by the heat source.

상기 손잡이(7)가 덮개(10)로 덮여져 열기에 노출된다면, 조리가 완료된 후, 상기 손잡이(7)가 뜨거워져 곧바로 음식을 덜어내기 힘들다.If the handle 7 is covered with the lid 10 and is exposed to the heat, 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handle 7 becomes hot and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remove the foo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덮개(10) 일측면에는 상기 손잡이(7)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절개부(11)가 더 형성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utout portion 11 for exposing the handle 7 to the outside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li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0)로 상기 구이판(1)을 덮으면, 손잡이(7)가 절개부(1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덮개(10) 내부가 뜨겁더라도 손잡이(7)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음식물을 덜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9 and 10, when the lid 10 is covered with the grating plate 1, the handle 7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cutout 11, and the inside of the lid 10 is heated The handle 7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the user can take out the food.

또한, 상기 덮개(10) 상면 중심부에는 덮개 손잡이(13)가 더 형성된다. Further, a lid handle 13 is furthe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0.

상기 덮개 손잡이(13)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10)를 덮었다 열었다 하는 것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ver handle 13 is formed in a 'C' shape in a cross se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ver the cover 10 and open it.

상기 덮개(10) 상면에는 상기 덮개(10) 상면을 관통하는 통기공(12)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덮개 손잡이(13)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A vent hole 12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0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0. The vent hole 12 is symmetrical about the lid handle 13.

본 고안에서는 상기 덮개 손잡이(12)를 기준으로 덮개(10) 양측에 각각 두 개의 통기공(12)를 형성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wo ventilation holes 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d 10 with reference to the lid handle 12.

상기 통기공(12)은 고기 등의 음식물이 고기의 중심부터 익게 함으로써 고기가 타거나 덜 익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음식의 맛과 영양을 더할 수 있다.The vents 12 can be used to prevent the meat from burning or becoming less ripe by allowing the food such as meat to ripen from the center of the meat, as well as to enhance the taste and nutrition of the food.

즉, 상기 통기공(12)으로 숯불 등의 열원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예를 들면,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갈 수 있어, 불이 꺼지지 않고 고기를 익힐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moke (for example, carbon dioxide) generated by a heat source such as charcoal can escape through the vent hole 12, so that the meat can be cooked without being turned off.

본 고안에 따른 덮개(10)는 상면이 평편한 사각형상으로써 제공되는데, 상기 구이판(1) 하부에 일정한 크기의 열원이 제공될 때, 상기 열원에 의해 발생한 열기는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열기는 상기 덮개(10)에 의해 음식물이 위치한 방향으로 유도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1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flat upper surface. When a heat sour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below the grill plate 1,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rises, And is guided by the lid 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d is located.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1)은 길이가 폭 보다 긴 직사각 형상이다.The grating plat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shape whos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상기 구이판(1)에 음식물을 넣고, 상기 구이판(1)을 열기를 발생시키는 열원 위에 올려놓은 후, 덮개(10)로 상기 구이판(1)을 덮음으로써 훈제조리하게 된다.Food is put into the grill plate 1 and the grill plate 1 is placed on a heat source generating heat and then the grill plate 1 is covered with the lid 10 to be smoked.

열원으로부터 상승한 열기는 상기 음식물을 익히는데 쓰이거나, 더 상승하여 덮개(10)의 상면에 부딪히게 된다.The heat rising from the heat source is used to cook the food, or it rises further and strik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0.

상기 덮개(10)의 상면에 부딪힌 열기는 진행 방향을 바꾸어 다시 음식물을 향하게 되고, 이때, 상기 덮개(10)의 상면은 평편하고, 상기 상면과 구이판(1)에 있는 음식물의 거리는 일정하므로, 상기 음식물이 동시에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top surface of the lid 10 is fla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food in the grill plate 1 is constant, The food can be made evenly at the same tim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4)과 하판(3)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손잡이(7, 7a,7b)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7, 7a, 7b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respectively.

즉, 상기 상판(4)의 일측에 형성된 걸쇠(6) 대신에 한 쌍의 손잡이(7a, 7b)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구이판(1)을 뒤집거나 옮길 때,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7)를 사용함으로써, 조금 더 편리하게 구이판(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by forming a pair of knobs 7a and 7b instead of the latch 6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4, when the user turns the grill plate 1 upside down or moves the handle 7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grill plate 1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상기 손잡이(7) 또한, 상기 상판(4)과 하판(3)이 상호간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걸쇠(6)를 형성하는 대신에 손잡이(7)를 형성하더라도, 상기 역할을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다.Since the handle 7 also serves to prevent the upper plate 4 and the lower plate 3 from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even if the handle 7 is formed instead of forming the latch 6, There is no difficulty in performing.

상기와 같은 구이판(1)의 사용상태도를 도 11에 도시하였다.The use state of the above-described grating plate 1 is shown in Fig.

도 10에 따르면, 상기 구이판(1)의 손잡이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덮개(10)에도 상기 절개부(11)이 두 개 형성되도록 하였다.According to FIG. 10, since the handle of the grill plate 1 is formed on both sides, two cut-out portions 11 are formed in the lid 10 as well.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 구이판 2 : 수용부
3 : 하판 3a : 하판 프레임
4 : 상판 4a : 상판 프레임
5a : 제1 하판 철대 5b : 제2 하판 철대
5c : 상판 철대 6 : 걸쇠
7 : 손잡이 7a : 하판 손잡이
7b : 상판 손잡이 8 : 홈
9 : 오목부 10 : 덮개
11 : 절개부 12 : 통기공
13 : 덮개 손잡이
1: griddle 2: receptacle
3: lower plate 3a: lower plate frame
4: top plate 4a: top plate frame
5a: first lower plate unit 5b: second lower unit unit
5c: top plate, 6: latch
7: Handle 7a: Lower plate handle
7b: Top plate handle 8: Home
9: recess 10: cover
11: incision section 12: ventilation hole
13: Cover handle

Claims (6)

하판 프레임, 상기 하판 프레임의 한쌍의 마주보는 변을 연결하되, 하향 절곡된 제1 하판 철대와, 상기 제1 하판 철대의 하향 절곡부를 연결하는 제2 하판 철대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 상측에 형성되되, 상판 프레임과, 상기 상판 프레임의 한 쌍의 마주보는 변을 연결하는 상판 철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 일측에 형성된 걸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하판 프레임의 타측에는 오목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하판 손잡이가 상기 오목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상판 프레임이 상기 하판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판 프레임의 내부면적이 상기 하판 프레임의 내부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이판.
A lower plate frame and a lower plate which is connected to a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lower plate frame and includes a first lower plate unit and a second lower plate unit connecting the downward bent portion of the first lower plate unit, ;
An upper plate formed on the lower plate and including a top plate frame and a top plate bar connecting a pair of opposite sides of the top plate frame;
A la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And a hand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recessed por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frame, the lower plate handl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Wherein an inner area of the upper plate fram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n inner area of the lower plate frame so that the upper plate frame is received in the lower plate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 중앙부에 오도록 형성된 구이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andle is formed to come to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receiv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 손잡이에는 상기 상판 손잡이의 일부 혹은 전체가 수용되는 홈;이 더 형성된 구이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plate handle has a groove in which a part or the whole of the upper plate handle is received.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이 평편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구이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grill plate further comprising a cover having a flat upper surfa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는 절개부와
상기 덮개 상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덮개 손잡이와,
상기 덮개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기공이 더 형성되는 구이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cutout port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d and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handle;
A cover hand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plurality of air vent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andle, wherein the air vents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KR2020140002606U 2014-03-31 2014-03-31 Grill KR20047826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606U KR200478266Y1 (en) 2014-03-31 2014-03-31 Gr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606U KR200478266Y1 (en) 2014-03-31 2014-03-31 Gri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266Y1 true KR200478266Y1 (en) 2015-09-16

Family

ID=5434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606U KR200478266Y1 (en) 2014-03-31 2014-03-31 Gr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66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37Y1 (en) * 2003-04-29 2003-07-28 송영수 Roa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37Y1 (en) * 2003-04-29 2003-07-28 송영수 Ro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0159A (en) Multi smoke cooker
US9943188B2 (en) Food cooker
JP6638136B2 (en) Baking device with foldable heat generator and baking plate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1796419B1 (en) Apparatus roaster with slidable and rotatable meat roast plate
KR101006018B1 (en) Multipurpose Charcoal Roaster
US20120031918A1 (en) Interchangeable pan
US1569544A (en) Frying basket
US20060283334A1 (en) Multipurpose waffle iron set
KR101562498B1 (en) Baking oven
US20180098665A1 (en) Cooking accessory and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cooking accessory
KR101300863B1 (en) charcoal fire roast machine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KR101768042B1 (en) Work table for multi-type chicken cooking
KR200478266Y1 (en) Grill
US5579680A (en) Smokeless grill for indoor use
CN206120097U (en) Broiler is fried in shallow oil to pentahapto no. 1
KR200424157Y1 (en) Housing apparatus of the roaster
KR101719455B1 (en) Roasting Device Using Onggi
KR200207275Y1 (en) Smoke roster
JP2006029622A (en) Pan set for cooking and heating cooker
AU765383B1 (en) A cooking device
KR200335328Y1 (en) Double-faced Cookware
KR100733270B1 (en) Device of meat roaster
KR200392576Y1 (en) Attaching and detaching b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