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992Y1 -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 Google Patents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992Y1
KR200477992Y1 KR2020150002058U KR20150002058U KR200477992Y1 KR 200477992 Y1 KR200477992 Y1 KR 200477992Y1 KR 2020150002058 U KR2020150002058 U KR 2020150002058U KR 20150002058 U KR20150002058 U KR 20150002058U KR 200477992 Y1 KR200477992 Y1 KR 200477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wing
golf
correc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혁
Original Assignee
이성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혁 filed Critical 이성혁
Priority to KR2020150002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992Y1/ko
Priority to PCT/KR2015/010579 priority patent/WO2016159466A1/ko
Priority to US14/922,223 priority patent/US93707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의 스윙시 선행하는 팔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제작된 중량의 교정구에 의해 스윙의 관성모멘트가 분산되지 않고 어깨에 집중되어 어깨 턴을 향상시키고, 스윙의 아크가 일정하도록 팔로우스루까지의 선행하는 팔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임팩트를 향상시키며, 또한 중량운동으로 인한 올바른 근력의 발달로 비거리를 증가시키는 골프의 스윙동작을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골프의 스윙동작을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구에 있어서, 팔꿈치가 접혀지지 않고 펼쳐지도록 보호하고, 내측부에 수납부(14)가 형성된 보호대 몸체(10)로 이루어지는 교정구 보호대(102)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의 수납부(14)에 수납되고, 스윙시 손목 방향으로 무게를 증가되도록 하여 스윙을 위한 팔과 어깨의 회전동작시 무게를 회전반경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스윙 아크(arc)를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를 팔에 차고 팔굽이 굽혀지지 않도록 감싸서 고정하는 연결고정수단(10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베이스 중량체(20)와 원심 중량체(22)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중량체(22)는 상기 베이스 중량체의 길이(A)보다 원심 중량체의 길이(B)가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WEIGHTED APPARATUS FOR IMPROVING SHOULDER TURN AND EXTENDED SWING ARC IN GOLF}
본 고안은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스윙시 중요한 어깨 턴과 일정한 스윙 아크의 형성 및 향상을 위해 관성모멘트를 이용하고, 골프 클럽이 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관성 모멘트가 어깨 턴에 집중되도록 선행하는 팔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관성 모멘트를 최대화하기 위한 중량이 배분되어 있으며, 스윙시에는 선행하는 팔이 팔로우스루까지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크기의 스윙 아크를 만들고, 정확한 임팩트를 향상시키며, 중량 운동으로 인해 근력이 발달되어 비거리 또한 향상시키는 관성 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각종 클럽을 손으로 잡고 상체와 하체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스윙을 함으로써 공을 타격하여 목표지점으로 쳐내는 운동이다.
이때, 골프에서의 스윙동작은 기본 자세인 어드레스부터 피니쉬에 이르기까지 반드시 어깨의 자연스러운 턴 동작이 필요하고 피니쉬를 제외한 테이크백,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팔로우스루에 이르도록 선행하는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고, 특히 팔로우스루에서는 양팔굽이 굽혀지지 않고 클럽이 목표지점을 향해 뻗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정확성과 비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매우 중요한 스윙동작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어깨 턴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게감이 있는 클럽이나 무거운 링을 클럽에 끼워서 스윙을 하며 관성에 의한 어깨 턴을 향상시키고 또한 스윙아크를 항상 크게 갖기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반동에 의한 클럽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서 백스윙시 양 팔꿈치가 모두 굽혀지는 잘못된 동작으로 스윙 아크의 크기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굽혀진 팔꿈치로 인해 어깨의 회전을 위한 관성 모멘트가 약하게 되어 어깨 턴을 효과적으로 따라 하지 못함으로써 골프 매니아들의 소망인 방향성과 비거리를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2000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윙 교정성과 유연성 및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팔에 중량을 장착하여 골프의 스윙시 중량에 의해 발생된 관성모멘트의 에너지로 어깨의 턴을 향상시키고 중량으로 근력을 향상시켜서 비거리 또한 우수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골프의 팔로우스루까지의 스윙 동작시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고 일정한 크기의 아크를 항상 유지하여 임팩트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팔꿈치 받침대를 포함한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피니쉬를 제외한 팔로우스루까지의 스윙시 선행하는 팔의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도록 받침대를 구비하여 팔꿈치가 굽혀지며 관성모멘트의 에너지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너지가 어깨 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도록 받침대를 구비하며 스윙시 관성모멘트가 최대한 발생하도록 몸의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손목쪽에 중량을 배분하여 백스윙시 어깨턴을 향상하고 다운 스윙시 팔굽이 펴진 상태에서 어깨를 중심으로 자연스러운 회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아크를 크게 유지할 수 있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어깨 턴을 향상시키는 관성모멘트의 크기 조절을 위해 교정구의 중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또는 어깨쪽 보다는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손목쪽에 무게를 더 배분하도록 이루어지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도록 구비한 교정구의 무게 배분이 손목쪽 방향으로 1/4 지점에 총무게의 반이상이 배분되고 손목을 감싸도록 구비하여 스윙 아크를 유지하도록 하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프의 스윙동작을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구에 있어서, 팔꿈치가 접혀지지 않고 펼쳐지도록 보호하고, 내측부에 수납부(14)가 형성된 보호대 몸체(10)로 이루어지는 교정구 보호대(102)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의 수납부(14)에 수납되고, 스윙시 손목 방향으로 무게를 증가되도록 하여 스윙을 위한 팔과 어깨의 회전동작시 무게를 회전반경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스윙 아크(arc)를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를 팔에 차고 팔굽이 굽혀지지 않도록 감싸서 고정하는 연결고정수단(10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베이스 중량체(20)와 원심 중량체(22)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중량체(22)는 상기 베이스 중량체의 길이(A)보다 원심 중량체의 길이(B)가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의 하단 내측부에 삽입 수납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수납부(28)에는 무게 조절 중량체(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의 하단 상측부에는 고정홈(34)을 갖는 안착 고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고정부(32)에는 고정돌부(38)를 구비한 무게조절 중량체(36)가 끼워져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는 상하부에 벨크로를 부착하고 각각의 스윙 교정용 중량체 및 무게 조절 중량체를 상하부에 부착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대 몸체(10)에는 손목을 감싸도록 모래를 채워서 만든 중량체 밴드 또는 철가루를 채워서 만든 중량체 밴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에 따르면, 골프의 유연성 및 근력이 향상되어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스윙시 중량으로 발생한 관성모멘트가 어깨에 집중되어 어깨의 턴을 향상시키고, 팔굽이 일정하게 펴진 상태에서 스윙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스윙아크가 일정한 크기를 항상 유지하여 임팩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중량물이 팔굽이 굽혀지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시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반동을 줌으로써 골프 회전에 필요한 팔, 어깨, 허리 근육들을 스트레칭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트레칭된 근육으로 부드럽게 스윙을 할 수 있어 상해를 방지하고 오래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중량으로 향상된 관성모멘트로 인해 골프 스윙의 궤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일관된 방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골프를 손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일실시예의 중량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중량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이용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고안은, 골프의 스윙동작을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구에 있어서, 팔꿈치가 접혀지지 않고 펼쳐지도록 보호하고, 내측부에 수납부(14)가 형성된 보호대 몸체(10)로 이루어지는 교정구 보호대(102)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의 수납부(14)에 수납되고, 스윙시 손목 방향으로 무게를 증가되도록 하여 스윙을 위한 팔과 어깨의 회전동작시 무게를 회전반경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스윙 아크(arc)를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를 팔에 차고 팔굽이 굽혀지지 않도록 감싸서 고정하는 연결고정수단(10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베이스 중량체(20)와 원심 중량체(22)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중량체(22)는 상기 베이스 중량체의 길이(A)보다 원심 중량체의 길이(B)가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의 하단 내측부에 삽입 수납부(28)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수납부(28)에는 무게 조절 중량체(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도 1은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일실시예의 중량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중량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를 이용한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본 고안의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100)는 골프 스윙시 팔굽을 감싸고 회전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무게를 수납하는 교정구 보호대(102), 팔굽은 펴지도록 하고 어깨와 회전의 턴을 유지하며 스윙시에 반동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에 수납 설치되는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 및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상술하여 보면, 팔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보호대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대 몸체(10)의 좌우측부에는 몸체 날개부(12,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가 수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 날개부(12,13)에는 연결 고정수단(106)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상단부 또는 후부에는 수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14)는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가 수납되도록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일측부에 형성된 몸체 날개부(12,13)에는 연결 고정수단(106)이 고정 설치되는바, 상기 연결 고정수단(106)은 상기 몸체 날개부(12)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 고리부(16)와, 상기 몸체 날개부(13)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고리부(16)와 대응하여 각각 끼워져서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 밴드부(18)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4)에는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가 수납 설치되는바,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골프의 스윙시, 즉 백스윙시 팔에 적용하는 중량을 배분하여 어깨 턴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스윙시 팔꿈치가 굽혀지거나 팔이 외전 또는 내전되는 움직임을 전체적으로 제한하도록 팔을 감싸주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는 땀이 잘 배출되고 통풍이 잘 이루어지는 메쉬망 재질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상단부와 하단부의 무게가 서로 다르게 배분되어 있는바, 상단부의 길이(A)와 하단부의 길이(B)가 2:1의 비율로 형성되거나 3:1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부의 길이(A)의 무게는 0.5kg, 하단부의 길이(B)는 1.5.kg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적인 예시일 뿐 다양하게 변경 적용됨을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베이스 중량체(20)와, 원심 중량체(22)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중량체(20)는 팔을 자연스럽게 감쌀 수 있도록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베이스 중량체(20)의 연장된 하부에는 원심 중량체(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심 중량체(22)의 양측부에는 좌우로 연장되어 날개부(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23)는 상기 몸체 날개부(12,13)에 결합되어 팔목을 안정되게 잡아주고,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스윙시 몸통과 제한된 팔의 연결부분인 어깨에 중량체를 이용하여 향상된 스윙의 관성모멘트의 에너지가 모아지게 되어 어깨의 턴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제한된 팔과 손의 연결부분인 손목에 스윙의 에너지가 이동하여 코킹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중량체가 추가된 교정구 보호대(102)에 의해 팔꿈치가 굽혀지거나 팔이 외전 또는 내전되는 움직임을 전체적으로 제한하도록 팔을 감싸며 백스윙시 어깨턴과 손목의 코킹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무게를 배분하도록 스틸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나아가서는 연질 또는 경질의 무게를 갖는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4)에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가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여 보면, 스윙 교정용 중량체(108)는 베이스 중량체(24)와, 상기 베이스 중량체(24)의 하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원심 중량체(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심 중량체(26)는 삽입 수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수납부(28)에는 무게 조절 중량체(30)가 수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조절 중량체(30)는 상기 원심 중량체(26)에 삽입되어 다양한 무게를 배분하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무게 조절 중량체(30)는 0.1kg -2.0kg에 따라 다양하게 삽입하여 사용자가 스스로에게 적합한 무게와 스윙 패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느끼는 무게에 따라 자연스러운 스윙을 유도하고 무리한 스윙에 따른 하중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는데에 따라 팔과 어깨를 보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골프 클럽의 스윙시 반동에 의한 클럽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탑 스윙시 선행하는 -왼쪽- 팔꿈치가 굽혀지며 스윙의 크기(arc)가 작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량을 상하에 각각 다르게 배분하되 스윙시에 회전축에서 먼 팔꿈치 아래 부분에 중량의 배분이 더 이루어져서 관성모멘트를 최대로 발생하여 어깨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어깨쪽 보다는 손과 손목 쪽에 중량감이 느껴지도록 하여 팔꿈치가 펴진 상태에서 스윙 아크의 크기를 최대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의 손목쪽 1/4 지점에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의 총 무게의 반이 상이 배분되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의 보호대 몸체(10)에는 바람직하기로는 손목쪽에는 손목을 감싸도록 모래를 채워서 만든 중량체 밴드를 형성하거나 철가루를 채워서 만든 중량체 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 밴드는 손목을 감싸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는 본 고안의 교정구 보호대(102)의 수납부(14)에 스윙 교정용 중량체(108)가 수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이때,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8)에는 무게 조절 중량체(30)가 삽입 수납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스윙 교정용 중량체(110)는 베이스 중량체(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중량체(24)의 하단부에 연장되어 원심 중량체(26)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원심 중량체(26)에는 안착 고정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 고정부(32)의 일측 내면부에는 고정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 고정부(32)에는 무게조절 중량체(36)가 삽입 안착된다.
이때, 상기 무게조절 중량체(36)는 일측면부에 고정돌부(38)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고정돌부(38)가 상기 고정홈(34)에 끼워져서 수납된다.
한편, 상기 안착 고정부(32)의 일측면 내측 모서리부에는 경사지게 결합턱(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조절 중량체(36)를 결합시 미끄러지듯이 원할하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의 수납부(14)에 스윙 교정용 중량체(110)가 수납 결합되고,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10)의 안착 고정부(32)에는 무게조절 중량체(36)가 끼워져서 결합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중량체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벨크로 등과 같은 접착수단(11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의 상하면을 상기 접착수단(112)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수단(112)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무게를 제공하고 조합함으로써 호환성이 우수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가 삽입된 교정구 보호대(102)를 팔목에 차고 스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 사시도로서,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이동하여 하프 스윙에 이르는 동안의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의 무게가 손목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회전 반동 거리(C)의 아크(arc)가-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고 회전반경을 최대로 하면서 -충분히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스윙시 임팩트 순간에서부터 풀 팔로우 스루의 스윙에 이르는 동안의 스윙 회전 반동 거리(D)의 아크(arc)가 - 팔꿈치가 굽혀지지 않고 회전반경을 최대로 하면서 -충분히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보호대 몸체(10)에 관성모멘트의 형성을 위한 중량체를 다양한 벨크로 등의 부착수단 및 고정수단을 이용하거나 모래 또는 철가루를 넣어 재봉함으로써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보호대 몸체 12,13 : 몸체 날개부
14 : 수납부 16 : 고정 고리부
18 : 고정 밴드부 20,24 : 베이스 중량체
22,26 : 원심 중량체 28 : 삽입 수납부
30 : 무게 조절 중량체 32 : 안착 고정부
34 : 고정홈 36 : 무게 조절 중량체
38 : 고정돌부
A : 베이스 중량체의 길이 B : 원심 중량체의 길이
C, D : 회전 반경
100 :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102 : 교정구 보호대
104 : 스윙 교정용 중량체 106 : 연결 고정수단

Claims (5)

  1. 골프의 스윙동작을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구에 있어서,
    팔꿈치가 접혀지지 않고 펼쳐지도록 보호하고, 내측부에 수납부(14)가 형성된 보호대 몸체(10)로 이루어지는 교정구 보호대(102)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의 수납부(14)에 수납되고, 스윙시 손목 방향으로 무게를 증가되도록 하여 스윙을 위한 팔과 어깨의 회전동작시 무게를 회전반경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스윙 아크(arc)를 크게 하기 위한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와;
    상기 교정구 보호대(102)를 팔에 차고 팔굽이 굽혀지지 않도록 감싸서 고정하는 연결고정수단(10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104)는,
    베이스 중량체(20)와 원심 중량체(22)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중량체(22)는 상기 베이스 중량체의 길이(A)보다 원심 중량체의 길이(B)가 작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의 하단 내측부에 삽입 수납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수납부(28)에는 무게 조절 중량체(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의 하단 상측부에는 고정홈(34)을 갖는 안착 고정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고정부(32)에는 고정돌부(38)를 구비한 무게조절 중량체(36)가 끼워져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교정용 중량체의 상하부에는 각각의 벨크로를 부착하고 크기가 다른 각각의 스윙 교정용 중량체를 상하부에 형성된 벨크로에 부착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 몸체(10)에는 손목을 감싸도록 모래를 채워서 만든 중량체 밴드 또는 철가루를 채워서 만든 중량체 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KR2020150002058U 2015-04-01 2015-04-01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KR200477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58U KR200477992Y1 (ko) 2015-04-01 2015-04-01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PCT/KR2015/010579 WO2016159466A1 (ko) 2015-04-01 2015-10-07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US14/922,223 US9370703B1 (en) 2015-04-01 2015-10-26 Golf swing correction apparatus using the moment of inert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58U KR200477992Y1 (ko) 2015-04-01 2015-04-01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992Y1 true KR200477992Y1 (ko) 2015-08-13

Family

ID=5401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058U KR200477992Y1 (ko) 2015-04-01 2015-04-01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70703B1 (ko)
KR (1) KR200477992Y1 (ko)
WO (1) WO20161594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63A (ko) * 2021-03-11 2022-09-20 임경민 골프 스윙 연습용 손목 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6026S1 (en) * 2018-05-02 2020-02-18 Cstech Us Veterinary orthopedic brace for elbow
USD895753S1 (en) 2019-02-25 2020-09-08 William Robinson, Jr. Golf swing trai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014B2 (ja) 1990-11-12 2001-01-22 オセー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ェー 磁気潜像を現像する方法および磁力記録装置
KR200471280Y1 (ko) 2013-10-30 2014-02-12 최동화 연습용 골프채 임시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623A (en) * 1905-05-06 1905-10-24 Charles Cross Goodrich Device for use in playing the game of golf.
US1414012A (en) * 1921-01-13 1922-04-25 Dutee W Flint Golf-stroke-guiding device
US2468580A (en) * 1945-11-09 1949-04-26 Anthony H Weis Instruction device
US3074723A (en) * 1960-03-22 1963-01-22 Esty Clement Golfing practice aid
US3658345A (en) * 1970-06-01 1972-04-25 Jack J Siggson Arm stabilizing device for golfers
US3990709A (en) * 1975-08-01 1976-11-09 Derogatis Vincent J Golfer's elbow stiffener
US4504054A (en) * 1981-09-16 1985-03-12 Jackson Emanuel L Elbow brace for bowlers and golfers
US5425539A (en) * 1994-01-21 1995-06-20 Steffes; Robert J. Golfer'3 s elbow stiffener apparatus
US5445385A (en) * 1994-05-09 1995-08-29 Brooks; Gary A. Golf training device
JP3127014U (ja) * 2006-09-05 2006-11-16 雍正企業股▲ふん▼有限公司 ゴルフスイング姿勢矯正器
KR20090012493U (ko) * 2008-06-03 2009-12-08 이수열 골프스윙 손목자세교정기
US7731597B1 (en) * 2008-12-22 2010-06-08 Burgess Stephen D Golf training device
KR20120042000A (ko) 2010-10-22 2012-05-03 선 중 김 골프 어드레스 자세 교정기
KR101325306B1 (ko) * 2012-03-02 2013-11-08 조용연 골프스윙 자세 교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014B2 (ja) 1990-11-12 2001-01-22 オセー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ェー 磁気潜像を現像する方法および磁力記録装置
KR200471280Y1 (ko) 2013-10-30 2014-02-12 최동화 연습용 골프채 임시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463A (ko) * 2021-03-11 2022-09-20 임경민 골프 스윙 연습용 손목 보호대
KR102549934B1 (ko) * 2021-03-11 2023-06-30 임경민 골프 스윙 연습용 손목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70703B1 (en) 2016-06-21
WO2016159466A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5013117A1 (en) Ergonomic exercising and bracing device
US8926455B2 (en) Apparatuses for improving throwing techniqu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0477992Y1 (ko) 관성모멘트를 이용한 골프 스윙용 교정구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ES2907936T3 (es) Instrumento de entrenamiento deportivo
KR101359481B1 (ko) 골프스윙연습기
KR101791304B1 (ko) 리본을 갖춘 스윙 연습용 골프채
US10071300B2 (en) Golf training aid
US11697052B2 (en) Golf hip-turn training device
US8157665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for correcting arm position and hip rotation sequence
US20080153615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7090588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0908374B1 (ko) 골프용 백스윙 자세교정기
US7762929B1 (en) Golf swing exercise device
KR101322507B1 (ko) 골프 자세 교정용 기구
US10918927B2 (en) Swing training device
KR100767818B1 (ko) 골프 스윙 교정구
KR101986435B1 (ko) 벨런스 스윙기기
KR101757916B1 (ko)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KR102121692B1 (ko) 엉덩관절의 회전성을 키워주는 스윙 연습기
KR20130070231A (ko) 멀티 스윙연습기
KR20110006506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0452022Y1 (ko) 공기저항을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구
JP2012205640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20230047712A (ko) 스윙연습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아이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