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916B1 -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 Google Patents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916B1
KR101757916B1 KR1020140145584A KR20140145584A KR101757916B1 KR 101757916 B1 KR101757916 B1 KR 101757916B1 KR 1020140145584 A KR1020140145584 A KR 1020140145584A KR 20140145584 A KR20140145584 A KR 20140145584A KR 101757916 B1 KR101757916 B1 KR 10175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wing
grip
beginner
lef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597A (ko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이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기 filed Critical 이동기
Priority to KR102014014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9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초보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초보자의 왼팔 바깥쪽 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에 안치되는 왼팔의 위팔을 상기 지지판부에 결속하여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에 의지하여 곧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속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초보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시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 및 결속부에 결속 지지되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안쪽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스윙 자세를 통해 스윙 과정에서 안정적인 손목 코킹이 유지되어 긴 비거리와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력수단을 통해 다운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을 강화하여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파지부 및 지지판부의 간편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Down swing posture straightener}
본 발명은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보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시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 및 결속부에 결속 지지되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안쪽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스윙 자세를 통해 스윙 과정에서 안정적인 손목 코킹이 유지되어 긴 비거리와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매 홀 마다 규정 타수가 정해져 있고, 규정 타수에 미달하는 언더 파 수가 많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경기로 알려져 있다.
상기 언더 파를 보다 많이 획득하기 위해서는 티 샷, 세컨 샷, 퍼팅 등의 모든 샷이 정확도를 가져야하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퍼팅을 제외한 샷에서는 주변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페어웨이 상에 보다 먼 비거리를 갖으며, 정확한 타구 비행 코스를 숙달한 플레이어가 그린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티 샷을 포함한 온 그린 이전의 샷에서는 대부분 백스윙과 다운스윙에 의해 샷을 이루게된다.
여기서, 상기 백스윙은 클럽 헤드의 위치에 따라 풀스윙, 쓰리 쿼터스윙, 하프 스윙 및 쿼터스윙 등의 다양한 스윙 위치로 구분하고 있으며, 플레이어의 신체 조건이나 또는 희망하는 비거리에 따라 체인지업 하면서 적용하고 있다.
상기 백스윙이 완료되면 공을 타격하기 위한 다운스윙이 이어지게된다.
여기서, 다운스윙은 톱스윙 이후 임팩트까지 골프클럽을 휘둘러 골프공을 타격하는 동작으로서 플레이어의 경기 실력 차이를 극명하게 가져오는 중요한 포인드가 되고 있다.
바람직한 다운스윙 자세를 살펴보면, 손목은 톱스윙의 형태를 유지한채 끌어내리면서 왼발 뒷꿈치에서 무릅과 허리 어깨 그리고 팔 순서로 회전하여 임팩트를 하는 것이다.
이때, 플레이어는 신체의 회전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타격하기 위해 골프클럽을 파지하는 왼팔이 곧게 펴진 상태에서 골프공을 타격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다운스윙 자세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긴 비거리와 함께 원하는 방향으로 공을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초보자들의 경우에는 다운스윙 과정에서 강하게 타격하고자 하는 마음이 앞서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이용하기 보다는 팔의 힘으로 타격하면서 팔이 안쪽으로 접혀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여 비거리가 짧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팔의 힘으로 타격할려고 하면 손목 코킹(cocking)이 일찍 풀어져 공의 구질이 슬라이스로 나오기 쉬워 희망하는 페어웨이로 정확하게 보내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초보자들은 최초 스윙 자세가 잘못 설정되면 나중에 바람직한 스윙 자세로 교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므로, 최초 스윙 자세를 설정시 바람직한 스윙 자세로 교정함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초보자의 다운스윙 자세를 바람직하게 교정해줄 수 있는 교정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초보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시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 및 결속부에 결속 지지되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안쪽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스윙 자세를 통해 스윙 과정에서 안정적인 손목 코킹이 유지되어 긴 비거리와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근력수단을 통해 다운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을 강화하여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파지부 및 지지판부의 간편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는 초보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초보자의 왼팔 바깥쪽 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에 안치되는 왼팔의 위팔을 상기 지지판부에 결속하여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에 의지하여 곧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속부;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하여 다운스윙을 연습하는 초보자의 근력을 증대시키는 근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초보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시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 및 결속부에 결속 지지되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안쪽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손목 코킹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근력수단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파지부의 타단에 결속되는 탄성로프와, 일단이 상기 탄성로프의 타단에 결속되는 결속끈과, 상기 결속끈의 타단에 결속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결속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지부와 탄성로프 사이 및 상기 탄성로프와 결속끈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에 의하면, 초보자가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시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 및 결속부에 결속 지지되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안쪽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스윙 자세를 통해 스윙 과정에서 안정적인 손목 코킹이 유지되어 긴 비거리와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근력수단을 통해 다운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을 강화하여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통해 파지부 및 지지판부의 간편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100)는 파지부(10)와, 지지판부(20)와, 결속부(3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0)는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어 초보자가 양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다운스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1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쿠션과 마찰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코팅 형성하여 우수한 파지감과 함께 파지하는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스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부(20)는 상기 파지부(10)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초보자의 왼팔 바깥쪽 부분을 접촉 지지하여 왼팔이 곧게 펴질 수 있도록 지탱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부(20)는 왼팔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긴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왼팔 바깥쪽 부분을 부드럽게 감싸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호 형상의 굴곡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0)와 지지판부(20)를 서로 간편히 탈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파지부(10)의 일단에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단턱(41a)이 형성되는 탈착홈(41)과, 상기 지지판부(20)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걸림턱(42a)이 형성되는 탈착돌기(42)로 구성된 탈착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제품의 사용이 요구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부(20)에 형성되는 상기 탈착돌기(42)를 상기 파지부(10)에 형성되는 상기 탈착홈(41)에 억지끼움하여 상기 탈착홈(41)의 단턱(41a)에 상기 탈착돌기(42)의 걸림턱(42a)이 걸려 견고히 고정되게 함으로, 상기 파지부(10)와 지지판부(20)의 결합을 간편히 완료하여 스윙 연습을 수행하면 된다.
반대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보관이나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탈착홈(41)에 끼워진 상기 탈착돌기(42)를 강제로 회수 이탈시켜 상기 파지부(10)와 지지판부(20)의 결속을 간편히 해제함으로,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제품을 보관하거나 이송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지지판부(20)에 안치되는 왼팔의 위팔을 상기 지지판부(20)에 결속하여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20)에 의지하여 곧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100)에서 결속부(30)는 일단이 상기 지지판부(2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밴드(31)와, 상기 밴드(31)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31)의 양끝단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는 벨크로(32)로 구체화되어, 상기 밴드(31)를 통해 상기 지지판부(20)에 위치되는 왼팔의 위팔을 간편히 결속 고정하도록 하나, 상기 결속부(30)를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하여 다운스윙을 연습하는 초보자의 근력을 증대시키는 근력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근력수단(50)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파지부(10)의 타단에 결속되는 탄성로프(51)와, 일단이 상기 탄성로프(51)의 타단에 결속되는 결속끈(52)과, 상기 결속끈(52)의 타단에 결속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결속판(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무실이나 집 등에 설치되는 문(1)과 문틀(2) 사이에 상기 결속끈(52)을 내입하여 상기 결속끈(52)에 결속되는 상기 결속판(53)이 문(1)과 문틀(2) 사이에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 상기 결속끈(52)과 함께 상기 결속끈(52)과 연결되는 상기 탄성로프(5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하여 스윙 연습을 수행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지부(10)에 상기 탄성로프(51)가 당겨지면서 탄력적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팔의 완력으로 상기 탄성로프(51)를 당기게 되므로 스윙을 연습 과정에서 스윙 자세를 교정함과 동시에, 팔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다소 힘이 약한 여자나 노약자의 경우에 스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51)의 탄성에 노출되는 시점에 상기 탄성로프(51)의 다소 높은 탄성력으로 인해 스윙 동작이 부드럽게 연결되지 않고 끊어져 스윙 연습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0)와 탄성로프(51) 사이 및 상기 탄성로프(51)와 결속끈(52) 사이에 각각 쉽게 팽창할 수 있는 탄성스프링(60);을 위치시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로프(51)의 탄성에 노출되는 시점에서 1차적으로 상기 탄성스프링(60)이 미약한 탄성력으로 먼저 팽창하면서 2차적으로 다소 높은 탄성력으로 상기 탄성로프(51)가 팽창하도록 유도하여, 힘이 약한 여자나 노약자도 부드러운 스윙 연습과 함께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10)에 연결되는 상기 근력수단(50)은 간편히 탈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연결고리(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근력운동을 원하는 경우에 상기 근력수단(50)을 간편히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100)는 초보자가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시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20) 및 결속부(30)에 결속 지지되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안쪽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스윙 자세를 통해 스윙 과정에서 안정적인 손목 코킹이 유지되어 긴 비거리와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근력수단(50)을 통해 다운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팔의 근력을 강화하고, 그 강화된 힘을 통해 용이하게 긴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40)을 통해 상기 파지부(10) 및 지지판부(20)의 간편한 분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여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100)는 다음과 같이 설치하여 스윙 연습을 수행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탈착수단(40)을 통해 파지부(10)와 지지판부(20)를 간편히 결합 고정한 후, 연결고리(3)를 통해 상기 파지부(10)와 근력수단(50)의 탄성로프(51)를 간편히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로프(51)의 끝단에 탄성스프링(60)이 형성되면 상기 탄성스프링(60)과 상기 연결고리(3)를 서로 연결함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무실이나 집 등에 설치되는 문(1)과 문틀(2) 사이에 상기 근련수단의 결속끈(52)을 내입하여 상기 결속끈(52)에 결속되는 상기 결속판(53)이 문(1)과 문틀(2) 사이에 걸려 고정되게 하여 상기 근력수단(50)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왼팔을 곧게 펼친 상태에서 왼팔 바깥쪽 부분을 상기 지지판부(20)에 안치한 후, 결속부(30)의 밴드(31)로 왼팔의 위팔을 감아 결속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0)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하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20) 및 결속부(30)에 결속 지지되어 곧게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자연스럽게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로 교정된다.
더욱이, 올바른 스윙 자세를 통해 스윙 과정에서 손목 코킹이 유지되어 긴 비거리와 샷의 정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동시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윙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지부(10)를 통해 상기 근력수단(50)의 탄성로프(51) 및 탄성스프링(60)이 당겨지면서 탄력적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팔의 완력으로 상기 탄성로프(51) 및 탄성스프링(60)을 당기게 되므로 스윙을 연습 과정에서 스윙 자세를 교정함과 동시에, 팔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윙 연습이 완료되어 제품의 보관이 요구되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수단(40)을 통해 상기 파지부(10)와 지지판부(20)의 결속을 간편히 해제한 후, 상기 파지부(10)와 상기 근력수단(50)의 연결을 해제하여 제품의 부피를 최소한 상태에서 간편히 보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100)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부(20)를 오른팔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문 2. 문틀
3. 연결고리
10. 파지부 20. 지지판부
30. 결속부 31. 밴드
32. 벨크로 40. 탈착수단
41. 탈착홈 41a. 단턱
42. 탈착돌기 42a. 걸림턱
50. 근력수단 51. 탄성로프
52. 결속끈 53. 결속판
60. 탄성스프링
100.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Claims (4)

  1. 골프의 다운스윙(Down swing) 자세를 교정하는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에 있어서,
    초보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골프클럽의 그립 형태로 형성되는 파지부(10);
    상기 파지부(10)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초보자의 왼팔 바깥쪽 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판부(20);
    상기 지지판부(20)에 안치되는 왼팔의 위팔을 상기 지지판부(20)에 결속하여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20)에 의지하여 곧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결속부(30); 및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하여 다운스윙을 연습하는 초보자의 근력을 증대시키는 근력수단(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초보자가 상기 파지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운스윙을 연습시 초보자의 왼팔이 상기 지지판부(20) 및 결속부(30)에 결속 지지되어 스윙 과정에서 왼팔이 안쪽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신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손목 코킹(cocking)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근력수단(50)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파지부(10)의 타단에 결속되는 탄성로프(51)와, 일단이 상기 탄성로프(51)의 타단에 결속되는 결속끈(52)과, 상기 결속끈(52)의 타단에 결속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을 갖는 결속판(5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지부(10)와 탄성로프(51) 사이 및 상기 탄성로프(51)와 결속끈(52)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스프링(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45584A 2014-10-24 2014-10-24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KR10175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584A KR101757916B1 (ko) 2014-10-24 2014-10-24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584A KR101757916B1 (ko) 2014-10-24 2014-10-24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97A KR20160048597A (ko) 2016-05-04
KR101757916B1 true KR101757916B1 (ko) 2017-07-14

Family

ID=5602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584A KR101757916B1 (ko) 2014-10-24 2014-10-24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809A (ko) 2019-07-18 2021-01-27 황성달 골프의 다운스윙 교정용 상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523A1 (en) * 2005-12-27 2007-07-05 Lesko John J Golf swing training device
WO2009064123A1 (en) 2007-11-15 2009-05-22 Young Sik Choi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523A1 (en) * 2005-12-27 2007-07-05 Lesko John J Golf swing training device
WO2009064123A1 (en) 2007-11-15 2009-05-22 Young Sik Choi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809A (ko) 2019-07-18 2021-01-27 황성달 골프의 다운스윙 교정용 상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97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3879B2 (ja) バッティングスウィングトレーニングマシン並びに方法
US7674185B2 (en) Training device for swing development
US7789765B2 (en) Golf training aid for pendulum putting motion and accepted chipping motion
US9039546B2 (en) Impact training device
US200702757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US20090011846A1 (en) Align-assure by GolfMasters
US20180243631A1 (en) Golf and exercise stretch device
US20130324331A1 (en) Rotational Mechanics Swing Aid Device
JP2022000273A (ja) 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補助具
TWI569859B (zh) 競技運動擺動訓練裝置及其使用方法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WO2003004111A1 (en) Basketball shoo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1757916B1 (ko) 다운스윙 자세 교정기
US10039968B2 (en) Training racket and method
US8206233B2 (en) Wrist positioning athletic device
US20020094879A1 (en) Golf swing practice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397928Y1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US10751593B2 (en) Strength training device for swingable sports equipment
US20170028286A1 (en) Train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KR101934967B1 (ko) 골프 퍼팅 교정기
KR101690667B1 (ko) 임팩트에서 폴로 스로의 손목 자세 교정기
JP3168586U (ja) 運動練習用具
KR20070011682A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JP2007061408A (ja) 運動練習用具
JP3162004U (ja) テニス練習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