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940Y1 -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 Google Patents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940Y1
KR200477940Y1 KR2020140009706U KR20140009706U KR200477940Y1 KR 200477940 Y1 KR200477940 Y1 KR 200477940Y1 KR 2020140009706 U KR2020140009706 U KR 2020140009706U KR 20140009706 U KR20140009706 U KR 20140009706U KR 200477940 Y1 KR200477940 Y1 KR 200477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powder
lid
coffee
storage cha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2020140009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분말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커피를 타서 마실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컵형상의 용기(100); 및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200);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200)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며, 하단부에는 커피분말토출구(214)가 형성되어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커피분말저장챔버(210);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를 개폐시키는 토출제어수단(200); 및 상기 커피분말저장챔버(210)의 상단부를 개폐시키는 저장챔버캡(21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tumbler}
본 고안은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분말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커피를 타서 마실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병에 비해 보온성과 휴대성이 좋기 때문에, 최근에 뜨거운 커피와 같은 음료를 담는 용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외출시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커피가 준비되지 않기 때문에, 전문점에서 커피를 주문하여 텀블러에 담아 테이크아웃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즉시, 커피를 마시기가 곤란하며, 또한, 값비싼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주문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1781호(2012.03.0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피분말을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외출시에 간편하게 커피를 타서 마실 수 있고 위생적인 관리도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컵형상의 용기(100); 및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200);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200)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며, 하단부에는 커피분말토출구(214)가 형성되어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커피분말저장챔버(210);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를 개폐시키는 토출제어수단(200); 및 상기 커피분말저장챔버(210)의 상단부를 개폐시키는 저장챔버캡(21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토출제어수단(220)은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와 정렬되는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20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20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202)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방부(202)는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와 뚜껑(200)의 직경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공(222)과 뚜껑(200)의 직경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표시부(226)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는 좌우로 분할되는 회전축(224)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20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224)이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축끼움공(20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은 상기 뚜껑(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커피분말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시에 간편하게 커피를 타서 마실 수 있다. 따라서 커피를 마시기 위해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사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고, 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도 절약된다.
또한, 커피분말의 토출을 제어하는 토출제어수단(220)이 회전판으로 이루어져서, 뚜껑(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회전판을 뚜껑(200)에서 분리하여 회전판과 뚜껑(200)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텀블러의 위생적인 관리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회전판의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컵형상의 용기(100)와,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는 외부용기(110)와 내부용기(120)로 이루어져서, 용기(100)는 이중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120)의 상단부가 외부용기(11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내부용기(120)와 외부용기(1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0)은 용기(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은 내부용기(12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의 뚜껑(200)은 커피분말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를 위해 뚜껑(200)에는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커피분말저장챔버(210)가 형성되고, 커피분말저장챔버(210)에 저장된 커피분말의 토출을 제어하는 토출제어수단(220)이 구비된다.
상기 커피분말저장챔버(210)는 상향으로 개방되며, 하단부에는 커피분말을 배출시키는 커피분말토출구(2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피분말저장챔버(210)의 상측을 저장챔버캡(216)에 의해 개폐되며, 이 저장챔버캡(216)은 회동가능하도록 뚜껑(200)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제어수단(220)이 관통공(222)을 갖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은 상면 중앙에 회전축(224)이 형성되어 이 회전축(224)이 뚜껑(200)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축끼움공(2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관통공(222)은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가 회전축끼움공(204)에서 이격되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회전축(224)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판이 회전되어 상기 관통공(222)이 커피분말토출구(214)에 정렬되면 커피분말저장챔버(210)에 저장된 커피분말이 토출되어 용기(100)로 낙하된다.
한편, 뚜껑(200)의 둘레부 일측에는 상기 토출제어수단(220) 즉, 회전판의 일부를 뚜껑(200)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부(202)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202)를 통해 회전판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어서 회전판을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부(202)는 커피분말토출구(214)와 회전판의 직경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판은 뚜껑(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판을 뚜껑(200)에서 분리가능하다. 커피분말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커피분말이 회전판과 뚜껑(200)의 저면 사이에 끼여서 지저분해질 수 있는데, 회전판이 뚜껑(200)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회전판과 뚜껑(200)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4)은 좌우로 분할되어 탄성력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끼움공(204)의 하단부는 축경되어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224)이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회전축(224)을 회전축끼움공(202)에 끼우고 빼기가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회전판의 관통공(222)과 커피분말토출구(214)의 정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표시부(226)가 형성된다. 이 표시부(226)는 관공통(222)과 회전판의 직경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되는데, 개방부(202)가 커피분말토출구(214)와 회전판의 직경방향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226)가 개방부(202)로 노출되어 보이면 관통공(222)이 커피분말토출구(214)와 정렬되어 커피분말이 토출되는 상태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222)이 하나만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관통공(222)이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표시부(226)도 관통공(22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미 설명부호는 230은 뚜껑(200)에 형성된 음료배출구이다. 이러한 음료 배출구(230)는 통상적인 텀블러에도 형성되는 것으로서, 음료배출구(230)도 회동식 배출구캡(232)에 의해 커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저장챔버캡(216)을 열고 커피분말저장챔버(210)에 커피분말을 담는다. 그리고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기(100)에 뜨거운 물을 먼저 담고, 상기 토출제어수단(220), 즉, 회전판을 조작하여 커피분말저장챔버(210)에 저장된 커피분말을 토출시킨다.
커피분말이 토출되어 용기에 낙하되면, 커피분말이 용기(100)에 담아진 물에 용해되어 음료, 즉, 커피가 태워진다. 이때 사용자가 회전판을 천천히 돌려서 회전판의 관통공(222)과 커피분말토출구(214)가 정렬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커피분말이 상대적으로 많이 토출되어 커피가 진하게 태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속도를 조절하여 커피의 농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텀블러에 커피분말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간편하게 커피를 타서 먹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이상에서는 토출제어수단(220)이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토출제어수단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용기 110. 내부용기
120. 외부용기 200. 뚜껑
202. 개방부 204. 회전축끼움공
210. 커피분말저장챔버 214. 커피분말토출구
216. 저장챔버캡 220. 토출제어수단
222. 관통공 224. 회전축
226. 표시부 230. 음료배출구
232. 배출구캡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컵형상의 용기(100); 및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개방부(202)가 형성된 뚜껑(200); 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200)에는 상향으로 개방되고 하단부에는 커피분말토출구(214)가 형성되어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커피분말저장챔버(210)와,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를 개폐시키는 토출제어수단(220)과, 상기 뚜껑(20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상기 커피분말저장챔버(210)의 상단부를 개폐시키는 저장챔버캡(216)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제어수단(220)은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와 정렬되는 관통공(222)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20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좌우로 분할되어 상기 뚜껑(200)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축끼움공(202)에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축(224)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공(222)과 상기 뚜껑(200)의 직경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표시부(226)가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뚜껑(200)의 개방부(202)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판의 일부를 밀어 회전시키면 상기 관통공(222)이 상기 커피분말토출구(214)와 정렬되어 상기 커피분말저장챔버(210)에 저장된 커피분말이 상기 용기(100)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9706U 2014-12-31 2014-12-31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KR200477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706U KR200477940Y1 (ko) 2014-12-31 2014-12-31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706U KR200477940Y1 (ko) 2014-12-31 2014-12-31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940Y1 true KR200477940Y1 (ko) 2015-08-21

Family

ID=5433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706U KR200477940Y1 (ko) 2014-12-31 2014-12-31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9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33B1 (ko) * 2019-07-29 2020-06-24 윤혜지 대상물의 개별 내장 및 추출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병 구조체
KR102324274B1 (ko) * 2020-06-25 2021-11-08 윤만상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WO2023080282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41Y1 (ko) * 2013-03-08 2014-06-19 전원 파우더 케이스를 구비하는 물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41Y1 (ko) * 2013-03-08 2014-06-19 전원 파우더 케이스를 구비하는 물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33B1 (ko) * 2019-07-29 2020-06-24 윤혜지 대상물의 개별 내장 및 추출이 허용되는 선택 조절형 병 구조체
KR102324274B1 (ko) * 2020-06-25 2021-11-08 윤만상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WO2023080282A1 (ko) * 2021-11-05 2023-05-11 주식회사 만상코리아 음료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컵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63549A1 (en) Tea and herb infusing beverage container
KR200477940Y1 (ko) 커피분말 보관기능을 가지는 텀블러
WO2012173462A2 (ko) 휴대용 3중 용기
US20130239821A1 (en) Container with Removable Bottom Tea Infuser
JPWO2019146145A1 (ja) 飲料抽出装置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US9212839B2 (en) Portable insulated ice dispenser
KR101505593B1 (ko)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KR200399930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
JP2004345742A (ja) 飲料容器
KR20180070042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JP6951501B1 (ja) 携帯用食品収納容器
KR102623823B1 (ko)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KR102212090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JP3075175B2 (ja) 液体容器
KR20220001940U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200316556Y1 (ko) 분말용 용기
KR101687000B1 (ko) 의약품 수납이 가능한 물통
KR20210079135A (ko) 텀블러를 구비한 알약케이스
CN207949546U (zh) 一种方便冲泡的容器
JP2013121848A (ja) 飲料容器
KR101817256B1 (ko) 텀블러
KR200443478Y1 (ko) 이중컵
JP4683739B2 (ja) 製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