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36Y1 - 부직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36Y1
KR200477636Y1 KR2020130005913U KR20130005913U KR200477636Y1 KR 200477636 Y1 KR200477636 Y1 KR 200477636Y1 KR 2020130005913 U KR2020130005913 U KR 2020130005913U KR 20130005913 U KR20130005913 U KR 20130005913U KR 200477636 Y1 KR200477636 Y1 KR 200477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fixing
nonwoven fabric
fixing pi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424U (ko
Inventor
이수일
Original Assignee
이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일 filed Critical 이수일
Priority to KR2020130005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3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4Details of locking-pins or split-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 마늘, 토마토, 상추 등과 같은 밭농사시 토양 위를 덮는 부직포를 고정하는 고정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에 고정된 고정핀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고정핀에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에 회수용끈을 결합하여 토양에 매립된 고정핀을 회수용끈을 당김으로써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부직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토양의 상부에 피복되는 부직포를 고정하는 부직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관통한 뒤 토양에 매립되도록 하단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을 잇고 중앙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 고리가 구비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고정핀과, 상기 구멍에 관통 결합하는 회수용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부직포 고정장치{fixing-apparatus for nonwoven}
본 고안은 고추, 마늘, 토마토, 상추 등과 같은 밭농사시 토양 위를 덮는 부직포를 고정하는 고정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에 고정된 고정핀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고정핀에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에 회수용끈을 결합하여 토양에 매립된 고정핀을 회수용끈을 당김으로써 회수할 수 있도록 한 부직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추, 마늘, 토마토, 상추 등과 같은 밭농사시 사용되는 부직포는, 주로 토양 위에 피복되어 비, 바람으로 인한 토양의 침식 또는 유실을 방지하고, 토양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낮,밤 기온차에 의해 형성되는 이슬을 토양으로 보내어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고, 비가 올 때 흙탕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병해충의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부직포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가격이 싸고 인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주소재로 하여 형성되며 표면 또는 전체가 검정색으로 이루어지고 일면 또는 양면에 UV코팅(UltraViolet coating)을 하여 햇빛에 강하게 형성하고, 배수성과 통기성을 확보하며 내농약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부직포를 토양에 피복할 때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 벽돌 등과 같은 중량체를 일정 간격으로 부직포의 상단에 배치하는데, 상기 중량체는 크기에 따라 차지하는 면적이 발생하여 씨앗의 분포량을 줄이게 되고 나아가 작업자가 작업시 중량체에 발이 부딪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한 것으로 철사를 '∩'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한 고정핀이 있는데, 상기 고정핀은 부직포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관통된 뒤 토양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핀(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을 잇는 수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고정핀은 토양에 매립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각각의 고정핀을 하나씩 수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거되지 못한 고정핀은 토양에 매립된 상태로 방치되기 때문에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야채 또는 과일을 수확한 후 토양을 갈아 엎을 때 수거되지 못한 고정핀이 토양 위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작업 차량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에 매립하는 고정핀에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고리에 회수용끈을 결합하여 매립된 고정핀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부직포 고정장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다수개의 고정핀을 한 묶음으로 정렬할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고정핀을 재활용할 수 있어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직포 고정장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토양의 상부에 피복되는 부직포를 고정하는 부직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관통한 뒤 토양에 매립되도록 하단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을 잇고 중앙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 고리가 구비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고정핀과, 상기 구멍에 관통 결합하는 회수용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리는, 상기 수평부를 꼬아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는, 좌우 양측이 하부 중앙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용끈은, 일정 간격으로 표시된 표시부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구멍을 통과한 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는, 토양에 꽂혀 고정될 수 있도록 선단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핀이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회수용끈이 외주면에 감기는 수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부직포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토양에서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고정핀이 일정 간격으로 부직포를 고정할 수 있어 낭비되는 고정핀의 개수를 줄여 이를 통해 고정핀의 구매에 사용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된 고정핀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어 재활용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부직포 고정핀을 도시한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의 보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고정장치(1)는, 토양(R)에 매립되는 고정핀(10)과, 상기 고정핀(10)에 구비된 고리(20)와, 상기 고리(20)에 삽입되는 회수용끈(30) 및 상기 고정핀(10)과 회수용끈(3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10)은, 토양(R)에 매립되도록 좌,우로 이격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을 잇는 수평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수직부(11)는 토양에 맞닿을 때 토양의 내측으로 매립이 용이하도록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2)는 수직부(11)의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11)와 수평부(12)는 하나의 금속봉을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10)은 금속봉을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직부(11)의 금속봉의 단면 형상이 노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직부(11)의 하부 끝단이 쐐기형 이외에도 금속봉의 단면 형상인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도 6 참조)
상기 고리(20)는, 상기 수평부(12)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회수용끈(30)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부(12)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 구비되며 중앙에 관통된 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회수용끈(30)이 구멍(21)을 통하여 결합한다.
상기 고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2)를 꼬아서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수평부(12)를 한 바퀴 회전시켜 고리(20) 및 구멍(2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리(20)는 수평부(12)와 별도로 형성한 뒤 용접을 통하여 수평부(12)에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별도로 형성하는 고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이 하부를 향할수록 중앙을 향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토양에 매립될 때 고리(20)의 하단이 토양을 파고들게 되어 고리(20)의 형태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토양(R)에 매립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고리(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2)를 꼬아서 형성한 뒤 90~180°로 비틀어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리(20)가 토양에 매립될 때, 상기 고리(20)가 토양에 맞닿아 형태가 망가져 고리(20)에 결합된 회수용끈(30)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고리(20)는 상기 수평부(12)의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고리(20)도 토양(R)의 내측으로 완전히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용끈(30)은, 상기 고리(20)의 구멍(21)에 관통 삽입되어 토양에 매립된 고정핀(10)을 수거할 때 작업자가 일단 또는 양단을 파지한 후 상방으로 들어올려 고정핀(10)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어 상기 고리(20)가 배치되는 표시부(31)와, 상기 고리(20)를 통과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 구비된 이탈방지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수용끈(30)은, 상기 고정핀(10)이 다수개 배치되는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밭농사시 하나의 구획이 대략 30~40M 이내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0)은 2M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구획이 30M 일 경우 상기 고정핀은 15개가 2M 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수용끈(30)은 31~32M 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31)는 고정핀(10)이 설치되는 간격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2M의 간격을 두고 표시되며 페인트 또는 색상펜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색상은 회수용끈(30)의 색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은 제외한 모든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회수용끈(30)이 흰색일 경우 표시부(31)로 사용되는 색상은 흰색, 회색을 제외한 모든 색상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구(32)는 회수용끈(30)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리(20)를 통과한 회수용끈(3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핀(10)을 토양에 고정하는 작업 중 회수용끈(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탈방지구(32)는, 회수용끈(30)이 고리(20)에서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핀(10)을 토양(R)에 매립하는 작업 중 상기 회수용끈(3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구(32)의 선단부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토양(R)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중 양단에 구비된 이탈방지구(32) 중 어느 하나를 토양(R)에 매립 고정하고, 이후 하나의 표시부(31)에 하나의 고정핀(10)을 배치한 뒤 상기 고정핀(10)을 일정 간격으로 부직포(100) 및 토양(R)에 매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32)는 도 2 의 원안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소재를 회수용끈(3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회수용끈(30)의 양끝단을 각각 매듭지어 매듭부위(33)를 형성하되, 상기 매듭부위(33)가 상기 고리(20)의 구멍(21)에 비해 큰 크기로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매듭부위(33)는, 매립되는 고정핀(10) 중 가장 먼저 매립되는 고정핀과 가장 나중에 매립되는 고정핀(10)의 고리(20)에 각각 지지되면서 고리(2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수용끈(30)을 고리(20)에 형성된 구멍(21)에 관통 삽입하되 하나의 회수용끈(30)을 다수개의 고정핀(10)에 결합하여 준비한 뒤, 작업자가 고정핀(10)을 고정할 위치에서 상기 회수용끈(30)의 일단을 토양(R)의 상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회수용끈(30)에 구비된 이탈방지구(32)를 통해 회수용끈(30)을 고정하되, 상기 이탈방지구(32)를 토양에 꽂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회수용끈(30)의 일단을 매듭지어 형성한 상기 매듭부위(33)가 가장 먼저 매립되는 고정핀(10)의 고리(20)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회수용끈(30)을 토양의 상부에 배치하면서 하나의 표시부(31)에 하나의 고정핀(10)을 배치한 뒤 상기 고정핀(10)을 토양(R)에 매립하는 것을 반복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10)을 보관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회수용끈(30)에 다수개의 고정핀(10)을 결합하여 한 묶음으로 형성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진 수납구(40)에 상기 고정핀(10)을 저장한 뒤 상기 수납구(40)의 외주면(42)을 따라 회수용끈(30)을 감는 형태로 보관한다.
이때, 상기 저장공간(41)은 양단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개방된 양단을 통해 한 묶음의 고정핀(10)이 각각 저장될 수 있고, 길이가 긴 회수용끈(30)을 외주면(42)에 감을 수 있어 길이가 긴 회수용끈(30)이 사용 전에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수납구(40)의 외주면(42)에는 양단을 통해 저장된 고정핀(10)에 각각 결합된 회수용끈(30)이 섞인 상태로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부위에 환형으로 돌출된 구획판(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구(40)의 개방된 입구에는 각각 복수개의 끼움홈(44)이 형성되어 상기 회수용끈(30)의 양단이 끼움홈(44)에 끼워진 상태로 수납구(40)의 외쥐면(42)에 감기게 된다.
상기 끼움홈(44)은 상기 회수용끈(30)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보관 및 운반시 회수용끈(3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상기 회수용끈(30)이 외주면(42)에 감길 때 회수용끈(30)을 고정하여 감기는 회수용끈(30) 사이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수납구(40)는 도 5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입구가 외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수용끈(30)이 넓어진 입구의 외주면에 맞닿으면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부직포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토양에서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고정핀이 일정 간격으로 부직포를 고정할 수 있어 낭비되는 고정핀의 개수를 줄여 이를 통해 고정핀의 구매에 사용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된 고정핀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어 재활용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부직포 고정장치 R : 토양 100 : 부직포
10 : 고정핀 11 : 수직부 12 : 수평부
20 : 고리 21 : 구멍
30 : 회수용끈 31 : 표시부 32 : 이탈방지구
33 : 매듭부위
40 : 수납구 41 : 저장공간 42 : 외주면
43 : 구획판 44 : 끼움홈

Claims (6)

  1. 토양의 상부에 피복되는 부직포를 고정하는 부직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00)를 관통한 뒤 토양(R)에 매립되도록 하단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수직부(11)와, 상기 수직부(11)의 상단을 잇고 중앙에 관통된 구멍(21)이 형성된 고리(20)가 구비된 수평부(12)로 이루어진 고정핀(10)과;
    상기 고리(20)의 구멍에 관통 결합하는 회수용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리(20)는 수평부(12)를 꼬아서 형성하고,
    상기 회수용끈(30)은,
    일정 간격으로 표시된 표시부(31)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구멍(21)을 통과한 뒤 토양(R)에 꽂혀 고정될 수 있도록 선단부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 이탈방지구(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30005913U 2013-07-17 2013-07-17 부직포 고정장치 KR200477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13U KR200477636Y1 (ko) 2013-07-17 2013-07-17 부직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13U KR200477636Y1 (ko) 2013-07-17 2013-07-17 부직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24U KR20150000424U (ko) 2015-01-28
KR200477636Y1 true KR200477636Y1 (ko) 2015-07-06

Family

ID=5248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913U KR200477636Y1 (ko) 2013-07-17 2013-07-17 부직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637A (zh) * 2015-08-19 2015-11-18 山西省农业科学院旱地农业研究中心 起垄覆地膜装置及其操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64344A1 (en) * 2017-06-01 2018-12-06 Nine Ip Limited Sheet fastening and anchoring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355A (ja) * 1993-06-08 1994-12-20 Asahi:Kk シート材の固定具
JPH10234909A (ja) * 1997-02-24 1998-09-08 Sanko:Kk ティーグランド凍結防止シート
KR200334812Y1 (ko) * 2003-09-19 2003-12-01 김경구 이중멀칭필름 고정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355A (ja) * 1993-06-08 1994-12-20 Asahi:Kk シート材の固定具
JPH10234909A (ja) * 1997-02-24 1998-09-08 Sanko:Kk ティーグランド凍結防止シート
KR200334812Y1 (ko) * 2003-09-19 2003-12-01 김경구 이중멀칭필름 고정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637A (zh) * 2015-08-19 2015-11-18 山西省农业科学院旱地农业研究中心 起垄覆地膜装置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24U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719B1 (en) Composite trampoline enclosure system
US8650796B1 (en) Device for protecting a fishing rod
US8789696B2 (en) Storage, transport, deployment and retraction bags for line and methods thereof
CN104378974A (zh) 具有保护壳的可缩回宠物拉手
KR200477636Y1 (ko) 부직포 고정장치
CN105764375A (zh) 具有改进的轴杆和肋条组合件的伞
US20080023358A1 (en) Bucket and cord
US9051753B1 (en) Tree mounted shelter assembly
US5730397A (en) Electric lawnmower cable supporting device
KR200477260Y1 (ko) 과일 보호용 봉지
JP2016509227A (ja) 電離放射線に対する防護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格納容器
KR101458146B1 (ko)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JP3179852U (ja) 植物および小動物の登はん防止具
CN204015435U (zh) 电子设备收纳用具
JP5886373B2 (ja) 倒木に対する牽引用フックの取付方法
JP2010216126A (ja) 区画形成表示装置
KR20140032059A (ko) 부직포 고정핀
JP2015218038A (ja) 鳥獣防護ネット
KR200411966Y1 (ko) 농작물 지지용 끈 인출 수단이 구비된 가방
JP6073699B2 (ja) 高所作業用の導入筒
JP5917581B2 (ja) 営巣材落下防止ネット
US20120291229A1 (en) Backpack storage apparatus
KR101563353B1 (ko) 케이블 가방
US9067710B2 (en) Remotely openable containmen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446845Y1 (ko) 구름방지 수박용 망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