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44Y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344Y1 KR200477344Y1 KR2020130007940U KR20130007940U KR200477344Y1 KR 200477344 Y1 KR200477344 Y1 KR 200477344Y1 KR 2020130007940 U KR2020130007940 U KR 2020130007940U KR 20130007940 U KR20130007940 U KR 20130007940U KR 200477344 Y1 KR200477344 Y1 KR 20047734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chromic
- color
- blind
- amount
- sunsh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 변색 물질과 정전기 발생 물질을 이용하여 차양부를 구현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상하 왕복 이동 또는 수평 이동으로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광 변색 물질 및 정전기 발생 물질을 구비하여,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상을 변화하여 자외선을 차단시켜 줌과 동시에 먼지를 청소하는 차양부; 하부 면에 차양부를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 설치하여 차양부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켜 주는 회동부; 및 창문의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 면에 회동부를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변색 물질과 정전기 발생 물질을 이용하여 차양부재를 구현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는 각종 빌딩, 주택, 아파트, 빌라, 병원, 도서관, 사무실과 같은 주거 및 사무환경의 창문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부의 유리창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자 외부의 시야를 차단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창문의 실내 측에서 차양부재를 상하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하거나,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창문을 통하여 투과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종류로는 일반 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 롤 블라인드 등이 있다.
블라인드의 차양부재는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따뜻하고 편안하며 세련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양부재는 디자인의 표현 및 실내분위기 연출 등이 우수하나, 자외선 등에 취약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 및 변질되며, 또한 단열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었다.
한편, 사용자는 이러한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과 분위기 및 기호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차양부재의 형태(특히, 색상)을 변화시키기를 원하나, 차양부재는 처음 설치 시의 한 가지 형태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차양부재의 색상을 변경하려는 경우에 다시 설치해야만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4169호(2006. 12.11 등록)는 디자인의 표현성 및 실내분위기의 연출성이 뛰어나고, 자외선 등에 의하여 변색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단열성이 우수하여 냉난방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용 차양부재, 이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및 버티컬블라인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블라인드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창문을 투과한 빛을 차단하는 차양부재에 있어서, 천연섬유, 합성섬유 중 1종이상의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천과; 상기 천의 일면에 적층되는 열 차단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차양부재의 열 차단 필름에 의하여 창문으로 투과되는 자외선, 적외선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우수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어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으며, 천이 자외선 등에 노화, 변색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양부재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차양부재와 같이 실내를 향하는 면이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천으로 이루어져 있어 따뜻하고 편안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단열효과, 에너지 소비절감, 천의 노화ㅇ변질 및 변색 방지 및 따뜻하고 편안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100439호(2010. 09.15 공개)는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과 분위기 및 사용자의 기호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블라인드 색상을 바꿀 수 있으며, 블라인드에 삽입되는 슬랫을 필터로 구현함에 따라 실내의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가변 블라인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색상이 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변형 블라인드 날개를 포함하며, 가변형 블라인드 날개는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슬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실내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블라인드를 이용하지만 블라인드 색상을 교체하여 여러 개의 블라인드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는, 차양부재의 형태(특히, 색상)을 변경하려는 경우에 다시 설치하거나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슬랫을 변경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블라인드는, 자외선을 차단할 때에 햇빛에 의한 조명 기능까지도 차단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다른 기능(예를 들어, 실내 공기 청결 기능 등)을 수행하지 않고, 오로지 햇빛을 차단하는 목적으로만 이용되어 기능적인 다양성이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블라인드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먼지 등이 적층되어지면서 지저분하게 되고,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다시 교환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고 비위생적으로 친환경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 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 변색 물질과 정전기 발생 물질을 이용하여 차양부재를 구현한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차양부재를 광 변색 물질을 이용해 구현하여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차양부재의 색상(즉, 색의 명도)이 변화되도록 해 줌과 동시에, 일조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햇빛을 투과시켜 주도록 한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차양부재를 정전기 발생 물질을 이용해 구현하여 정전기로 인해 실내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착시켜 주도록 한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조량에 따라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는 광 변색 물질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의 차양부재를 구현하도록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차양부재를 무독성의 정전기 방지 물질을 이용해 구현하여 정전기 방지 물질의 특성에 의해 먼지를 청소하도록 한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하 왕복 이동 또는 수평 이동으로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광 변색 물질 및 정전기 발생 물질을 구비하여,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상을 변화하여 자외선을 차단시켜 줌과 동시에 먼지를 청소하는 차양부; 하부 면에 상기 차양부를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 설치하여 상기 차양부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켜 주는 회동부; 및 창문의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 면에 상기 회동부를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양부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의 명도를 변화시켜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햇빛을 투과시켜 주는 광 변색 부재; 및 상기 광 변색 부재의 양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면 위에 형성되며, 정전기 발생 물질의 특성에 의해 먼지를 흡착하는 정전기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 변색 부재는, 헤테로폴리산을 구비한 광 변색제, 하이드록실을 구비한 분자 구조를 가진 광 변색 상승제,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구비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 또는 고분자 수지를 기 설정된 중량 비율로 포함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 변색 부재는, 헤테로폴리산을 구비한 광 변색제, 세라믹을 구비한 자외선 차단제,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구비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 또는 고분자 수지를 기 설정된 중량 비율로 포함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 변색 부재는, 헤테로폴리산을 구비한 광 변색제, 하이드록실을 구비한 분자 구조를 가진 광 변색 상승제, 세라믹을 구비한 자외선 차단제,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구비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 또는 고분자 수지를 기 설정된 중량 비율로 포함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양부는, 실내 측으로 안티클래어를 구비한 하드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 사이에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 변색 부재를 통과하는 햇빛에 의해 발생되는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양부는, 실내 또는 실외 측으로 빛 차단 안료를 이용하여 안료 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 사이에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햇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시켜 주는 열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열 차단 부재는, 실내 또는 실외 측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을 정도로 반투명한 메탈라이징 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햇빛의 일부를 반사시켜 단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양부는, 실내 측으로 안티클래어를 구비한 하드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 사이에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 변색 부재를 통과하는 햇빛에 의해 발생되는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부재; 및 실내 또는 실외 측으로 빛 차단 안료를 이용하여 안료 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 사이에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햇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시켜 주는 열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양부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의 명도를 변화시켜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햇빛을 투과시켜 주는 광 변색 부재; 및 상기 광 변색 부재의 양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면 위에 형성되며, 정전기 방지 물질의 특성에 의해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정전기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블라인드의 차양부를 광 변색 물질을 이용해 구현하여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차양부의 색상(즉, 색의 명도)이 변화되도록 해 줌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변화로 심미감을 증대시켜 줌과 차양부의 색상 변경 시에 다시 설치하거나 슬랫을 변경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광 변색 물질을 이용해 구현된 블라인드의 차양부가 일조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햇빛을 투과시켜 줌으로써,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햇빛에 의한 조명 기능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정전기 발생 물질을 이용해 구현된 블라인드의 차양부가 정전기로 인해 실내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착시켜 줌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도록 해 주는 기능적인 다양성을 구비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조량에 따라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는 광 변색 물질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의 차양부를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일조량에 따라 여러 가지의 화려한 색상으로 제공하여 실내 디자인 효과를 더욱더 증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블라인드의 차양부를 무독성의 정전기 방지 물질을 이용해 구현하여 정전기 방지 물질의 특성에 의해 먼지를 청소하도록 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해 적층되어지는 일반 먼지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까지도 저절로 청소되어 차양부를 지저분해져 교환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경제적이고 위생적으로 친환경적인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롤 블라인드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 차양부의 색상 변화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 차양부의 색상 변화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롤 블라인드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 차양부의 색상 변화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 차양부의 색상 변화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라인드(100)는, 고정부(110), 회동부(120), 차양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창문의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 면에 회동부(120)를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회동부(120)는, 고정부(110)의 하부 면에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면에 차양부(130)를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 설치하여 차양부(13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켜 준다.
차양부(130)는, 회동부(120)의 하부 면에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 설치되고, 회동부(120)의 상하 회동에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하거나, 회동부(120)의 좌우 회동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해 준다. 또한, 차양부(130)는, 광 변색 물질 및 정전기 발생 물질을 구비하여, 기 설정된 두께(예를 들어, 0.1~1.5(mm))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상(즉, 색의 명도)을 변화하여 자외선을 차단시켜 줌과 동시에 정전기 발생 물질의 특성에 의해 실내에서 발생되는 먼지(특히, 미세 먼지)를 흡착시켜 실내 먼지를 청소(즉,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도록)해 준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양부(130)는, 광 변색 부재(131), 하나 또는 두 개의 정전기 발생 부재(132)를 포함한다.
광 변색 부재(131)는, 광 변색 물질을 구비하여, 기 설정된 두께(예를 들어, 0.05~1.3(mm))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상(즉, 색의 명도)을 변화시켜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햇빛을 투과시켜 햇빛에 의한 조명 기능도 제대로 살려 주어, 햇빛의 일조량에 따른 색상의 변화로 심미감을 증대시켜 주며, 색상 변경을 위해 기존과 같이 다시 설치하거나 슬랫을 변경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거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광 변색 부재(131)는, 일조량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가지의 색상으로 변화시켜, 일조량에 따른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상의 변화로 심미감을 더욱더 증가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화려한 색상으로 제공하여 실내 디자인 효과를 더욱더 증대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변색 부재(131)는, 광 변색제, 광 변색 상승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을 기 설정된 중량 비율(0.5~35 : 0.5~25 : 99~40)로 포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변색 부재(131)는, 기 설정된 중량 비율 31 : 21 : 48로 광 변색제, 광 변색 상승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 변색제는, 예를 들어 헤테로폴리산 등과 같은 물질로서, 헤테로 폴리산은 P, Si, As, Mn, Ni, Te, I, Al, Cr, Ge, B, Ti, Ce, Co 등의 원소로 이루어진 제1그룹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하나를 중심 원소로 하며, Mo, W, V, Nb, Ta 등의 원소로 이루어진 제2그룹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다른 하나를 배위 원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 변색 상승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 그룹 등을 포함한 분자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서, 페놀 화합물, 폴리비닐알코올, Al2(OH)3, Mg(OH)3, 징크보레이트, 제올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은, 예를 들어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변색 부재(131)는, 광 변색제, 광 변색 상승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를 기 설정된 중량 비율(0.5~33 : 0.5~22 : 99~45)로 포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변색 부재(131)는, 기 설정된 중량 비율 33 : 21 : 46로 광 변색제, 광 변색 상승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사이드-1,4-부탄디올 공중합체(폴리부틸렌 테레프랄레이트 탄성체), 스타이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로마틱 폴리아마이드,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열방성 액정 고분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불소계수지, 폴리비닐크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베이클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변색 부재(131)는, 광 변색 상승제 대신에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자외선 차단제는 내마모성과 자외선 차단 특성을 더하기 위해서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등의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변색 부재(131)는, 광 변색제, 광 변색 상승제, 자외선차단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또는, 고분자 수지)을 기 설정된 중량 비율(0.4~30 : 0.4~20 : 0.2~10 : 99~40)로 포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변색 부재(131)는, 기 설정된 중량 비율 30 : 10 : 10 : 50으로 광 변색제, 광 변색 상승제, 자외선차단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또는, 고분자 수지)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정전기 발생 부재(132)는, 광 변색 부재(131)의 양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면 위에 형성되며, 정전기 발생 물질을 구비하여, 기 설정된 두께(예를 들어, 0.02~1(mm))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정전기 발생 물질의 특성에 의해 실내에서 발생되는 먼지(특히, 미세 먼지)를 흡착시켜 실내 먼지를 청소해 준다. 이에, 사용자가 정전기 발생 부재(132)에 흡착된 먼지를 쉽게 걸레 등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전기 발생 부재(132)는, 예를 들어 친환경 무독성의 실리콘 소재 등으로 투명하거나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실리콘의 특성상 정전기의 발생으로 실내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착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양부(130)는, 정전기 발생 부재(132) 대신에 정전기 방지 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정전기 방지 부재는 광 변색 부재(131)의 양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면 위에 기 설정된 두께(예를 들어, 0.02~1(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전기 방지 물질의 특성에 의해 먼지(특히, 미세 먼지)를 청소(즉,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전기 방지 부재는, 예를 들어 아크릴 겔과 내부 방지제를 혼합함과 아울러, 도전성 카본 블랙(Conductive Carbon Black), 카본 파이버(Carbon Fiber), 흑연(Black Lead) 및 나노 금속을 제외한 금속 파우더(Metal Powder)를 배제한 물질로, 투명하거나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특성상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여 종래와 같이 정전기에 의해 적층되어지는 일반 먼지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까지도 저절로 청소해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차양부(130)이 지저분해져 교환하는 경우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이고 위생적이다. 여기서, 내부 방지제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 폴리피롤(Polypyrrole: PPY),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사이오펜(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EDOT),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PAC),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PTP),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PPP), 폴리페닐 비닐(Polyphenylene Vinylene: PPV)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전기 방지 부재는, 예를 들어 정전기 방지 약품으로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전기 방지 약품은 도전성 카본 블랙, 카본 파이버, 흑연 및 나노 금속을 제외한 금속 파우더를 배제한 저분자 또는 고분자 방지 약품으로, 에스테르(Esters), 아민(Amines), 유기염(Organic Salt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양부(130)는, 광 변색 부재(131)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정전기 발생 부재(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정전기 발생 부재(132) 대신에 일부 또는 부분적으로 정전기 방지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광 변색 부재(131) 표면 위에 일정한 길이의 테두리 부분만을 정전기 방지 부재로 형성할 수 있고 그 외 부분을 정전기 발생 부재(132)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양부(130)는, 광 변색 부재(131), 하나 또는 두 개의 정전기 발생 부재(132)(또는, 정전기 방지 부재), 눈부심 방지 부재(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 변색 부재(131) 및 정전기 발생 부재(132)(또는, 정전기 방지 부재)는 도 2의 구성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눈부심 방지 부재(133)는, 실내 측으로 광 변색 부재(131)와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투명하거나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광 변색 부재(131)를 통과하는 햇빛에 의해 발생되는 눈부심을 방지해 준다. 특히, 광 변색 부재(131)이 밝은 색상(예를 들어, 노란색 등)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대해서, 밝은 색상으로 변화된 광 변색 부재(131)를 통과하는 햇빛에 의해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눈부심 방지 부재(133)에 의해 이러한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눈부심 방지 부재(133)는, 실내 측으로 광 변색 부재(131)와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예를 들어 안티클래어 등을 구비한 하드코팅으로 형성되어, 광 변색 부재(131)를 통과하는 햇빛에 의해 발생되는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하드코팅은 딥 코팅법, 에어 나이프법, 커튼 코팅법, 롤러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드코팅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바인더로서 다양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 등과, 이외에도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지도 이용할 수 있다.
안티클래어는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 입사광을 표면에서 산란시키고 주변 환경이 표면에 비추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이때 요철은 그 크기나 요철들 간의 피치(Pitch)에 대하여 외광의 난반사가 발생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안티클래어는 실리카(SiO2)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리카는 기 설정된 직경(예를 들어, 1~10(㎛))으로 형성시켜 주는데, 그 이유는 물성적으로 경도(Hardness)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뒤틀림(Curling)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헤이즈(Haze)를 저감시켜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양부(130)는, 광 변색 부재(131), 하나 또는 두 개의 정전기 발생 부재(132)(또는, 정전기 방지 부재), 열 차단 부재(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 변색 부재(131) 및 정전기 발생 부재(132)(또는, 정전기 방지 부재)는 도 2의 구성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열 차단 부재(134)는, 실내(또는, 실외) 측으로 광 변색 부재(131)와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투명하거나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광 변색 부재(131)(또는, 정전기 발생 부재(132))을 통과하는 햇빛에 포함된 적외선(또는, 자외선)을 차단시켜 적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차단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열 차단 부재(134)는, 실내(또는, 실외) 측으로 광 변색 부재(131)와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예를 들어 디아조스, 피란트론, 인디고이드, 카본블랙 등과 같은 빛 차단 안료를 이용하여 안료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 차단 부재(134)는,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을 정도로 반투명한 메탈라이징 코팅으로 실내(또는, 실외) 측으로 광 변색 부재(131)와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광 변색 부재(131)(또는, 정전기 발생 부재(132))를 통과하는 햇빛의 일부(특히, 적외선 또는 자외선)를 반사시켜 단열할 수도 있다. 이때, 메탈라이징 코팅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아연 등의 금속을 메탈라이징 증착법에 의하여 광 변색 부재(131)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열 차단 부재(134)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안료 코팅과 상술한 바와 같은 메탈라이징 코팅을 포함하여 실내(또는, 실외) 측으로 광 변색 부재(131)와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양부(130)는, 광 변색 부재(131), 하나 또는 두 개의 정전기 발생 부재(132)(또는, 정전기 방지 부재), 눈부심 방지 부재(133), 열 차단 부재(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 변색 부재(131) 및 정전기 발생 부재(132)(또는, 정전기 방지 부재)는 도 2의 구성 설명과 동일하고, 눈부심 방지 부재(133)는 도 3의 구성 설명과 동일하고, 열 차단 부재(134)는 도 4의 구성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롤 블라인드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라인드(100)는, 고정부(110), 회동부(120), 차양부(130), 회전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110)는 도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락한다.
회동부(120)는, 고정부(110)의 하부 면에 회전봉 형태로 회전 결합되어 설치되며, 회전부(14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여 차양부(130)를 감거나 풀어준다.
차양부(130)는, 회동부(120)에 연결 설치되고, 회동부(1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회동부(120)에 감기거나 풀린다.
회전부(140)는, 기어 등을 이용하여 회동부(120)와 연결되어 고정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회동부(1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도 7는 도 1에 있는 차양부를 버티컬 블라인드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라인드(100)는, 고정부(110), 회동부(120), 다수 개의 차양부(130), 회전부(14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하부 면에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레일(111)을 구비하며, 해당 레일(111)에 회동부(120)(즉, 롤러(121))가 장착되어, 해당 레일(111)을 따라 회동부(120)(즉, 롤러(121))를 좌우로 이동시켜 준다.
회동부(120)는, 다수 개의 롤러(121), 다수 개의 연결체(122), 다수 개의 회전체(123)를 구비하여, 회전부(14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롤러(121)는, 고정부(110)(즉, 레일(111))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운동으로 연결체(122)를 고정부(110)(즉, 레일(111))를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준다. 연결체(122)는, 일측이 롤러(121)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회전체(123)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며, 회전부(14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롤러(121)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회전체(123)는, 하단부에 차양부(130)가 고정 설치되며, 회전부(14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연결체(122)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차양부(130)는, 회동부(120)(즉, 회전체(123))에 고정 설치되고, 회동부(120)(즉, 연결체(1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거나, 회동부(120)(즉, 회전체(12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수평(즉,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부(140)는, 기어 등을 이용하여 회동부(120)(즉, 연결체(122) 및 회전체(123))와 연결되어 고정부(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회동부(120)를 좌우 이동(또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주는데, 즉 회동부(120)의 다수 개의 연결체(12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주며, 또한 회동부(120)의 다수 개의 회전체(12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도 8은 도 7에 있어 차양부의 색상 변화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양부(130)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상(즉, 색(예를 들어, 빨간색)의 명도)을 변화시키는 광 변색 물질을 구비하여,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햇빛을 투과시켜 햇빛에 의한 조명 기능도 제대로 살려 준다. 이때, 일조량의 크기는 광 변색 물질의 색상(색 명도) 변화 정도에 따라 기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조량의 크기는 광 변색 물질의 전체 색상(색 명도) 변화를 100(%)으로 보고 광 변색 물질의 색상(색 명도) 변화 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퍼센트로 나타낼 수도 있다.
도 8의 (가)와 같이, 일조량의 크기가 10~20(%)인 경우에 광 변색 물질에 의해 차양부(130)가 변화된 색상(빨간색의 명도)(예를 들어, 흰색에 가까움)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나)와 같이, 일조량의 크기가 30~60(%)인 경우에 광 변색 물질에 의해 차양부(130)가 변화된 색상(빨간색의 명도)(예를 들어, 분홍색에 가까움)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다)와 같이, 일조량의 크기가 70~100(%)인 경우에 광 변색 물질에 의해 차양부(130)가 변화된 색상(빨간색의 명도)(예를 들어, 빨간색에 가까움)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차양부(130)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이 클수록 색상(빨간색의 명도)을 진하게 해 주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반대로, 차양부(130)는, 광 변색 물질의 종류에 따라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이 클수록 색상(빨간색의 명도)을 연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에 있어 차양부의 색상 변화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양부(130)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의 색상(즉, 색(예를 들어,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보라색 등)의 명도)을 변화시키는 광 변색 물질을 구비하여, 일조량에 따른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시켜 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블라인드
110: 고정부
110: 레일
120: 회동부
121: 롤러
122: 연결체
123: 회전체
130: 차양부
131: 광 변색 부재
132: 정전기 발생 부재
133: 눈부심 방지 부재
134: 열 차단 부재
140: 회전부
110: 고정부
110: 레일
120: 회동부
121: 롤러
122: 연결체
123: 회전체
130: 차양부
131: 광 변색 부재
132: 정전기 발생 부재
133: 눈부심 방지 부재
134: 열 차단 부재
140: 회전부
Claims (10)
- 상하 왕복 이동 또는 수평 이동으로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광 변색 물질 및 정전기 발생 물질을 구비하여,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상을 변화하여 자외선을 차단시켜 줌과 동시에 먼지를 청소하는 차양부(130); 하부 면에 상기 차양부(130)를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 설치하여 상기 차양부(13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켜 주는 회동부(120); 및 창문의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 면에 상기 회동부(120)를 결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고정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부(130)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색의 명도를 변화시키는 광 변색 물질을 구비하여,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햇빛의 일조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햇빛을 투과시켜 주는 광 변색 부재(131); 및 정전기 발생 물질을 구비하여 상기 광 변색 부재(131)의 양면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면 위에 형성되며, 정전기 발생 물질의 특성에 의해 먼지를 흡착하는 정전기 발생 부재(132)를 포함하며;
상기 광 변색 부재(131)는 창문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의 일조량이 클수록 색의 명도를 진해지도록 변화시키거나 색의 명도를 연해지도록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색 부재(131)는,
헤테로폴리산을 구비한 광 변색제, 하이드록실을 구비한 분자 구조를 가진 광 변색 상승제,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구비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 또는 고분자 수지를 0.5~35 : 0.5~25 : 40~99의 중량 비율로 포함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색 부재(131)는,
헤테로폴리산을 구비한 광 변색제, 세라믹을 구비한 자외선 차단제,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구비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 또는 고분자 수지를 0.5~35 : 0.5~25 : 40~99의 중량 비율로 포함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색 부재(131)는,
헤테로폴리산을 구비한 광 변색제, 하이드록실을 구비한 분자 구조를 가진 광 변색 상승제, 세라믹을 구비한 자외선 차단제, 오가노실란의 가수분해물 또는 부분 축합물을 구비한 알콕사이드 가수분해 수화물 또는 고분자 수지를 0.4~30 : 0.4~20 : 0.2~10 : 40~99의 중량 비율로 포함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132)는,
실리콘 소재로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130)는,
실내 측으로 안티클래어를 구비한 하드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131)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 변색 부재(131)를 통과하는 햇빛에 의해 발생되는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부재(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130)는,
실내 또는 실외 측으로 빛 차단 안료를 이용하여 안료 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131)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투명하거나 상기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연한 색상으로 반투명하도록 형성되며, 햇빛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시켜 주는 열 차단 부재(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 부재(134)는,
실내 또는 실외 측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131)의 변화 색상이 보일 수 있을 정도로 반투명한 메탈라이징 코팅으로 상기 광 변색 부재(131)와 상기 정전기 발생 부재(132) 사이에 형성되어, 햇빛의 일부를 반사시켜 단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130)는,
상기 광 변색 부재(131)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위에 형성되며, 정전기 방지 물질의 특성에 의해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정전기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940U KR200477344Y1 (ko) | 2013-09-25 | 2013-09-25 | 블라인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940U KR200477344Y1 (ko) | 2013-09-25 | 2013-09-25 | 블라인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316U KR20150001316U (ko) | 2015-04-02 |
KR200477344Y1 true KR200477344Y1 (ko) | 2015-06-01 |
Family
ID=5303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940U KR200477344Y1 (ko) | 2013-09-25 | 2013-09-25 | 블라인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344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2664A (ko) | 2019-09-17 | 2021-03-25 | 박준석 | 인테리어 필름을 이용한 외부시선차단용 블라인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0567A (ja) * | 1996-05-23 | 1997-12-02 | Kunihiro Ichimura | 調光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面状材の製造方法 |
KR20040008257A (ko) * | 2002-10-25 | 2004-01-28 | 장병철 | 일방향 투시가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 |
KR20110078700A (ko) * | 2009-12-31 | 2011-07-07 | 장세진 | 에어필터의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
-
2013
- 2013-09-25 KR KR2020130007940U patent/KR20047734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0567A (ja) * | 1996-05-23 | 1997-12-02 | Kunihiro Ichimura | 調光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面状材の製造方法 |
KR20040008257A (ko) * | 2002-10-25 | 2004-01-28 | 장병철 | 일방향 투시가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 |
KR20110078700A (ko) * | 2009-12-31 | 2011-07-07 | 장세진 | 에어필터의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316U (ko) | 2015-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55359A1 (en) | Room Darkening Material And Architectural Covering Made From Same | |
EP3122983B1 (en) | Light masked smart glazing | |
JP5493225B2 (ja) | 近赤外線遮蔽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5126792B2 (ja) | 高透光性膜材料 | |
JP2011133586A (ja) | 近赤外線遮蔽性高透光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近赤外線ノイズ遮蔽材 | |
JP5146962B2 (ja) | 遮熱性膜材料 | |
KR20140139894A (ko) | 롤 블라인드의 열 차단용 필름 원단 및 이를 구비한 롤 블라인드 | |
JP2005089643A (ja) | 多機能透明性フィルムとこれを用いたロールスクリーン式カーテン及び洋傘 | |
KR200477344Y1 (ko) | 블라인드 | |
JP5422836B2 (ja) | 発熱性透光シートおよび発熱性透光膜屋根構造物 | |
CN115735044A (zh) | 具有静电保持的机动化动态遮光物和相关联方法 | |
JP6368913B2 (ja) | 遮熱性、保温性を有する高透光性膜材 | |
KR20140139372A (ko) | 롤 블라인드용 필름 원단과 이를 구비한 롤 블라인드 | |
JP2011195792A (ja) | 発熱性透光シートおよび発熱性透光膜屋根構造物 | |
KR20200085581A (ko) | 열차단 조성물 | |
CN201519033U (zh) | 免洗阻燃反射节能幕帘 | |
US20180274292A1 (en) | Solar Radiation Reflective and Infrared Radiation Emissive and Reflective Window Blinds | |
CN203499480U (zh) | 节能中空玻璃 | |
EP3677747A1 (en) | Sunshine shielding device and slat | |
CN210415815U (zh) | 一种光触媒自清洁窗帘布 | |
CN2823501Y (zh) | 可遮蔽视线的玻璃装置 | |
GB2629039A (en) | One-Way Blinds | |
JP2010196452A (ja) | 網戸付き窓装置 | |
CN202482226U (zh) | 一种建筑玻璃节能隔热贴膜 | |
KR200357876Y1 (ko) | 고기능 에너지 절약 창호유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