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46Y1 - 염색용기 - Google Patents

염색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46Y1
KR200477146Y1 KR2020140001238U KR20140001238U KR200477146Y1 KR 200477146 Y1 KR200477146 Y1 KR 200477146Y1 KR 2020140001238 U KR2020140001238 U KR 2020140001238U KR 20140001238 U KR20140001238 U KR 20140001238U KR 200477146 Y1 KR200477146 Y1 KR 200477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ttery
dyeing
hea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896U (ko
Inventor
김추봉
Original Assignee
김추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추봉 filed Critical 김추봉
Publication of KR20140004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염색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염색 용액을 수용하는 염색용기를 온열식으로 구현하여 염색을 하는 동안 염색 용액이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열식 염색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염색용기{Dyeing Container}
본 고안은 염색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 용액을 수용하는 염색용기를 온열식으로 구현하여 염색을 하는 동안 염색용기에 담긴 염색 용액이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열식 염색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고안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미용실 등에서 염색을 하고자 하는 경우, 염색하고자 하는 칼라(Color)에 따라 염모제 1제(염료, pH 조절제, 크림제, 컨디셔닝제, 안정제, 향료, 방부제 및 용제 등)와 염모제 2제(산화제, pH 조절제, 유화기제, 안정제, 향료, 방부제, 용제 등)를 하나의 용기에 혼합한 혼합액을 생성하고, 생성된 혼합액(염색 용액)을 붓 또는 빗 등을 이용하여 모발(Hair)에 바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혼합액(염색 용액)이 사람의 두피에 닿게 되는데, 혼합액(염색 용액)의 온도와 사람의 온도(체온)가 상이한 경우, 염색을 하고자 하는 대상이 차가움을 느껴 불쾌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염색 용액을 수용하는 염색용기를 온열식으로 구현하여 염색을 하는 동안 염색용기에 담긴 염색 용액이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열식 염색용기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반구형상의 볼(Bowl); 상기 볼을 둘러쌓는 형태의 용기 몸체; 상기 볼의 일측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돌출된 손잡이;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박스(Box) 형상의 받침부; 상기 볼의 하부면과 상기 용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볼이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을 발생하는 열발생부; 및 상기 손잡이 내에 내장되며, 상기 열발생부로 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 상기 배터리와 상기 열발생부 간을 연결하는 출력선 및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홈을 구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염색 용액을 수용하는 염색용기를 온열식으로 구현하여 염색을 하는 동안 염색용기에 담긴 염색 용액이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온열식 염색용기에 금속 재질의 볼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볼과 염색 용액이 직접 맞닿아 있으므로, 열전도를 위한 별도의 전도판 없이 염색 용액에 빠르게 열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박스 형상의 받침부로 인해, 염색용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온열식 염색용기에 내장된 배터리 및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전기 포트와 같이 한번 열을 가한 후 열이 서서히 식는 것이 아니라 전원이 인가되어 있으면 지속적으로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염색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도 동일한 온도의 염색 용액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온열식 염색용기에 전원 스위치와 충전 램프가 구비되어 염색 용액에 열이 가해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의 배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램프와 전원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염색용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와 충전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염색용기의 배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염색용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염색용기와 충전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볼을 발열판으로 이용하는 염색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100)는 볼(Bowl)(110), 열선(Hot-Wire)(112), 손잡이(120), 용기 몸체(130), 받침부(140), 충전 램프(Lamp)(142), 전원 스위치(Switch)(144), 바이메탈(Bimetal)(150), 전원공급부(310), 출력선(312), 배터리(Battery)(314) 및 충전홈(316)을 포함한다. 염색용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색용기(100)는 반구형상의 볼(110), 볼(110)을 둘러쌓는 형태의 용기 몸체(130), 볼(110)의 일측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돌출된 손잡이(120),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박스(Box)형상의 받침부(140), 볼(110)의 하부면과 용기 몸체(130) 사이에 설치되어, 볼(110)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열을 발생하는 열선(112), 받침부(140) 내에 내장되되, 열선(112)으로 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14), 배터리(314)와 열선(112) 간을 연결하는 출력선(312) 및 외부전원(410)을 공급받아 배터리(314)로 공급하는 충전홈(316)을 구비한 전원공급부(310)를 구비한다. 충전홈(316)은 전원 단자를 구비한다.
볼(110)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볼(110)은 금색 재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 플라스틱으로 확장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볼(110)은 바람직하게는 높은 열전도율(High Thermal Conductivity)을 가진 금속 재질(예컨대, 은, 구리 또는 철 등)로 형성된다. 또한, 볼(11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경우 열선(112)의 부착이 용이하고, 열선(112)으로부터 발산된 열의 전달이 용이하다. 여기서, 볼(110)은 반드시 반구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한(Concave) 형태를 띄는 경우 직사각 형태와 같이 오목한 모든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볼(110)에는 염색하고자 하는 칼라에 따라 염모제 1제(염료, pH 조절제, 크림제, 컨디셔닝제, 안정제, 향료, 방부제 및 용제 등)와 염모제 2제(산화제, pH 조절제, 유화기제, 안정제, 향료, 방부제, 용제 등)를 혼합한 혼합액(염색 용액)이 수용되며, 열선(112)에 의해 발생된 열을 혼합액(염색 용액)으로 전달하여 혼합액(염색 용액)이 기 설정된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일정 온도는 인체의 체온과 같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일정 온도는 36℃ 내지 48℃가 될 수 있다.
열선(112)은 볼(110)의 하부면과 용기 몸체(130) 사이에 설치되어, 볼(110)이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을 발생한다. 즉, 열선(112)은 배터리(314)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볼(110)로 전달한다. 이러한, 열선(112)의 배열 형태는 기본적으로 볼(110)의 하부면을 따라 배열된다. 즉, 열선(112)은 볼(110)의 하부면의 중점을 기준으로 원주(Circumference)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열선(112)은 볼(110)의 하부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평행되게 지그재그(Zigzag) 방향(도 3 참조)으로 배치된다. 이때, 동일한 간격(D)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거리값을 갖는다. 또한, 열선(112)은 볼(110)의 하부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10)의 일부에 배치된다. 즉, 열선(112)은 볼(110)의 형상(구면)을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10)의 하단까지만 배열될 수 있다. 물론, 열선(112)이 볼(110)의 한단까지만 배열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열선(112)은 볼(110)의 형상(구면)을 따라 전체에 배열되는 것으로 확장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열선(112)의 열전달의 원리는 유체의 흐름 내에 전기적으로 가열된 선이 있을 때 유속에 따른 열전달량의 증감이다. 또한, 열선(112)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외형을 지닐 수 있는데 두 개의 지지대 사이에 가는 금속선(텅스텐 또는 백금, 굵기: 약 2 ~ 20 μm)이 하나 위치하고 있는 I 형 프로브(Probe) 형태이거나,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니크롬선, 철크롬, 동니켈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유속에 따라 열전달량이 증감하고 이에 따라 열선(112)의 온도가 변화하는데 속도가 증가하여 열선(112)의 증가된 열전달량에 의해 온도가 감소하면 열선(112)의 저항이 감소하며, 속도가 감소하면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저항의 증가는 극히 미세한데, 이 미세한 저항변화를 브릿지회로(Bridge Circuit)를 사용하여 측정 가능한 전압으로 증폭할 수 있다. 이때, 열선(112)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인 회로적 구성에 의하여 정전류법(Constant Current Method)과 정온법(Constant Temperature Method)의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정전류법은 열선(112)에 일정한 전류를 가하고 열선(112)의 온도변화에 의한 저항의 변화가 열선에 걸리는 전압의 변화를 일으켜 이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정온법은 브릿지회로에 피드백(Feedback)을 가해 열선(112)의 저항 및 온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용기 몸체(130)는 볼(110)을 둘러쌓는 형태를 이룬다. 즉, 용기 몸체(130)는 볼(110)의 형상에 따라 반구형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용기 몸체(130)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볼(110)의 하부면에는 열선(112)이 부착될 수 있는데, 용기 몸체(130)가 플라스틱으로 구현되는 경우 용기 몸체(130)를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할 때 열선(112)이 부착될 수 있는 홈을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용기 몸체(130)가 금속으로 구현되는 경우 용기 몸체(130)를 주물(Casting), 판금(Sheet Metal) 또는 프레스(Press)할 때 열선(112)이 부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120)는 볼(110)의 일측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받침부(140)는 용기 몸체(130)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박스 형상을 이룬다. 충전 램프(142)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광하며,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비발광한다. 전원 스위치(144)는 배터리(314)로부터 열선(11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한다. 이러한, 전원 스위치(144) 및 충전 램프(142)는 받침부(140)의 표면, 용기 몸체(130)의 표면 또는 손잡이(120)의 표면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한다. 즉, 도 1 및 도 5에서는, 전원 스위치(144) 및 충전 램프(142)가 받침부(140)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원 스위치(144) 및 충전 램프(142)는 받침부(140)의 표면, 용기 몸체(130)의 표면 또는 손잡이(120)의 표면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바이메탈(150)은 출력선(312)와 인접하여 열선(112)의 양 끝단 중 어느 한 곳에 직렬 연결되거나 열선(112)의 중간의 한 구간을 끊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메탈(150)은 열선(112)의 온도에 따라 전기적으로 회로를 단락하면서 겹쳐지게 하거나 그 일단이 휘어져서 전기적으로 회로를 개방한다(도 2 참조). 이러한, 바이메탈(150)은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포개어 붙여 한 장으로 만든 막대 형태의 부품으로서, 열을 가했을 때 휘는 성질을 이용해 전기적으로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예컨대, 볼(110)의 하부면에 열선(112)을 설치하고 사용시에만 전원 스위치(144)를 이용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한다. 이때, 열선(112)의 전원은 배터리(314)로부터 공급되며, 열선(112)의 온도에 따라 바이메탈(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회로를 개폐한다. 즉, 바이메탈(150)의 전기적인 회로 개폐에 의해 결과적으로 볼(110)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예컨대, 36.5 ~ 48℃)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바이메탈(150)은 열팽창계수(즉,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수축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을 포개어 붙여서 만든다. 바이메탈(150)은 열선(112)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면 두 종류의 금속 중 열팽창계수가 큰 쪽이 더 많이 팽창하면서 반대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바이메탈(150)은 다시 온도가 내려가면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이러한, 바이메탈(150)은 팽창이 잘 되지 않는 금속으로 니켈(Ni)과 철(Fe)의 합금이 사용되며, 팽창이 잘 되는 금속은 니켈·망간·철의 합금, 니켈·몰리브데넘(Molybdenum)·철의 합금, 니켈·망간·구리의 합금 등이 사용된다. 즉, 바이메탈(150)은 열선(112)의 온도에 따라 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회로를 개폐하도록 한다.
전원공급부(310)는 받침부(140) 내에 내장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310)는 열선(112)으로 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14), 배터리(314)와 열선(112) 간을 연결하는 출력선(312) 및 외부전원(410)을 공급받아 배터리(314)로 공급하는 충전홈(316)을 구비한다. 또한, 충전홈(316)은 충전을 위한 전원 단자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310)는 받침부(140) 내부에 내장된다.
출력선(312)은 배터리(314)와 열선(112) 간을 연결하는 일종의 도선을 말한다. 배터리(314)는 외부전원(41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며, 기 충전된 전원을 출력선(312)을 경유하여 열선(112)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314)는 축전지 또는 2차 전지의 개념이다. 즉, 배터리(314)는 외부전원(41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축적하며, 전원 스위치(144)로 인해 전원이 인가되면 기 충전된 전원을 출력선(312)을 경유하여 열선(112)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배터리(314)는 납 축전지(일반적인 축전지), 알칼리 축전지(전해액으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축전지), MF 축전지(극판이 납 칼슘으로 구성되며, 가스 발생이 적고 전해액 보충이 필요 없으며 자기 방전이 적은 축전지)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충전홈(316)은 외부전원(410)을 공급받기 위한 일종의 입력단자를 포함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홈(316)에 외부전원(410)이 체결되어 외부전원(41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입력단자를 통해 배터리(314)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염색을 하고자 하는 경우, 염색용기(100)의 충전홈(316)에 외부전원(410)을 체결하여 염색용기(100) 내의 배터리(314)를 충전한다. 이때, 충전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 즉, 반드시 완충된 상태에서 염색용기(100)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전원(410)이 충전홈(316)에 체결된 상태에서 염색용기(100)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외부전원(410) 또는 염색용기(100)의 받침부(140) 표면에는 충전이 완충됨을 알리는 알림등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염색하고자 하는 칼라에 따라 염모제 1제와 염모제 2제를 염색용기(100)의 볼(110)에서 혼합하여 혼합액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는 염색용기(100)의 스위치를 온으로 전환하여 배터리(314)의 기 충전된 전원이 열선(112)으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열선(112)에 전원이 인가되면 충전 램프(142)가 발광된다.
즉, 사용자가 볼(110)에 염모제 1제와 염모제 2제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열선(112)에서는 지속적으로 열이 발생하여 볼(110)로 전달되고, 볼(110)로부터 지속적으로 전달된 열은 염모제 1제와 염모제 2제로 전달될 뿐 아니라, 혼합액(염색용액)에게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혼합액(염색용액)이 기 설정된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볼(110)에 담겨 있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혼합액(염색 용액)을 붓 또는 빗 등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모발에 바르게 된다. 이때, 열선(112)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염색용기(100)에 구비된 바이메탈(150)의 일단이 휘어져서 전기적으로 회로가 개방 되고, 다시 열선(112)의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바이메탈(150)의 일단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전기적으로 회로가 단락 되어 다시 열선(112)에 열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염색이 완료될 때까지 일정 온도가 유지된 염색용액을 염색 대상의 모발에 바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염색용기(100)는 배터리(314) 내장으로 인해 휴대가 용이하고 배터리(314)의 전원이 소모될 때까지 장시간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발이 풍성하거나 길이가 긴 경우에도 염색이 모두 완료될 때까지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용실과 같이 염색을 빈번하게 해야 하는 경우에도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염색용액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염색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염색용기(100)는 손잡이(120) 내에 전원공급부(310)를 포함하며, 별도의 온도 표시 램프(710) 및 램프 제어부(91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310)는 손잡이(120) 내에 내장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310)는 열선(112)으로 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14), 배터리(314)와 열선(112) 간을 연결하는 출력선(312) 및 외부전원(410)을 공급받아 배터리(314)로 공급하는 충전홈(316)을 구비한다. 또한, 충전홈(316)은 충전을 위한 전원 단자를 구비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선(312)은 배터리(314)와 열선(112) 또는 볼(110) 간을 연결하는 일종의 도선을 말한다. 배터리(314)는 외부전원(41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충전하며, 기 충전된 전원을 출력선(312)을 경유하여 열선(112)으로 공급한다.
손잡이(120)의 외측 일단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광하는 충전 램프(142)가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120)의 외측 타단에는 배터리(314)로부터 열발생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144)가 형성된다. 손잡이(120)의 외측 타단에는 복수의 램프(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 램프, 50℃ 램프 및 60℃ 램프)를 포함하는 온도 표시 램프(710)가 형성된다. 온도 표시 램프(7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램프는 다양한 온도를 나타내는 램프가 포함될 수 있다.
온도 표시 램프(710)는 램프 제어부(910)와 연결되며, 램프 제어부(910)는 열선(112) 또는 볼(11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램프 제어부(910)는 열선(112) 또는 볼(110)(열발생부)과 연결되며, 온도 표시 램프(710)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 램프, 50℃ 램프 및 60℃ 램프) 중 열선(112) 또는 볼(110)(열발생부)의 온도에 대응하는 램프가 점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램프 제어부(910)는 볼(110)(열발생부)의 온도가 약 40℃인 경우, 온도 표시 램프(710)에 포함된 40℃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며, 볼(110)(열발생부)의 온도가 약 50℃인 경우, 온도 표시 램프(710)에 포함된 50℃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며, 볼(110)(열발생부)의 온도가 약 60℃인 경우, 온도 표시 램프(710)에 포함된 60℃ 램프가 점등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염색용기 110: 볼
112: 열발생부 130: 용기 몸체
120: 손잡이 140: 받침부
142: 충전 램프 144: 전원 스위치
150: 바이메탈
310: 전원공급부 312: 출력단자
314: 배터리 316: 충전홈
410: 외부전원 710: 온도 표시 램프
910: 램프 제어부

Claims (7)

  1. 반구형상의 볼(Bowl);
    상기 볼을 둘러쌓는 형태의 용기 몸체;
    상기 볼의 일측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돌출된 손잡이;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박스(Box) 형상의 받침부;
    상기 볼의 하부면과 상기 용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볼이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을 발생하는 열발생부; 및
    상기 손잡이 내에 내장되며, 상기 열발생부로 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 상기 배터리와 상기 열발생부 간을 연결하는 출력선 및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홈을 구비한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발생부는,
    열선(Hot-Wir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볼의 하부면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평행되게 지그재그(Zigzag)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기 볼의 하부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기 볼의 일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광하는 충전 램프(Lamp); 및
    상기 손잡이의 외측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열발생부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Switch)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측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는 온도 표시 램프; 및
    상기 열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온도 표시 램프 중 상기 열발생부의 온도에 대응하는 램프가 점등하도록 하는 램프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용기.
KR2020140001238U 2013-02-26 2014-02-18 염색용기 KR2004771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80 2013-02-26
KR20130001480 2013-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96U KR20140004896U (ko) 2014-09-03
KR200477146Y1 true KR200477146Y1 (ko) 2015-05-18

Family

ID=5245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238U KR200477146Y1 (ko) 2013-02-26 2014-02-18 염색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371Y1 (ko) * 2018-08-24 2019-11-07 배세니 슈가 페이스트 온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674U (ko) * 1996-12-31 1998-10-07 김춘식 머리염색약 혼합용기
KR200274576Y1 (ko) * 2001-11-10 2002-05-06 엠엔지 주식회사 모발염색용 조색용기
US7389892B2 (en) * 2003-04-11 2008-06-24 Park Way Co., Ltd. Dye cup
JP3182311U (ja) * 2012-12-27 2013-03-21 有限会社センテージ 毛髪染料液加熱保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674U (ko) * 1996-12-31 1998-10-07 김춘식 머리염색약 혼합용기
KR200274576Y1 (ko) * 2001-11-10 2002-05-06 엠엔지 주식회사 모발염색용 조색용기
US7389892B2 (en) * 2003-04-11 2008-06-24 Park Way Co., Ltd. Dye cup
JP3182311U (ja) * 2012-12-27 2013-03-21 有限会社センテージ 毛髪染料液加熱保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96U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3553U (ja) 加熱装置付き車両用電池
US20070286665A1 (en) Cosmetic applicators containing heating elements
BRPI0621497A2 (pt) embalagem de máscara com corpo de aquecimento
JP2011161440A (ja) 加熱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
US1129018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external device
CN103954128B (zh) 加热炉
CN107146860A (zh) 电池单体、电池包及具有其的车辆
CN209641791U (zh) 热失控模拟装置
KR200477146Y1 (ko) 염색용기
CN105579244B (zh) 热变色墨的变色装置
CN105573379A (zh) 一种基于温差电效应的智能温控系统及其控温方法
CN211833225U (zh) 一种熔盐相变储热式卷发器
TWM527917U (zh) 一種自發電供電的燃氣具
CN109874185A (zh) 一种发热装置及发热设备
KR101825433B1 (ko)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손난로
JP6170731B2 (ja) 加温器
JP5019871B2 (ja) コードレスアンカ
KR200426341Y1 (ko) 헤어 아이론
CN205847620U (zh) 内置热电偶型远红外陶瓷加热器
CN209371371U (zh) 蓄热组件及蓄热设备
CN209283540U (zh) 一种电加热恒温控制装置
CN209691904U (zh) 一种控温式充电电池
CN212468529U (zh) 一种具有储能功能的布水器
KR100607637B1 (ko) 속눈썹 성형 기구
CN211184269U (zh) 一种电发器用温控电热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