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95Y1 -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95Y1
KR200476995Y1 KR2020150000943U KR20150000943U KR200476995Y1 KR 200476995 Y1 KR200476995 Y1 KR 200476995Y1 KR 2020150000943 U KR2020150000943 U KR 2020150000943U KR 20150000943 U KR20150000943 U KR 20150000943U KR 200476995 Y1 KR200476995 Y1 KR 200476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n
water
connection por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2020150000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61H13/005Hydraulic gum m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16K27/0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with pivotal obturating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밸브가 설치되는 세면대의 도기에 구강세정용 세정수가 공급되게 하는 고정접속구가 설치되게 하고, 구강세정기에 고정접속구에 체결 및 분리되는 연결접속구가 설치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구를 고정접속구에 체결 및 분리되게 하면서 구강세정기의 사용 및 보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FOR WATER TOOTHPICK}
본 고안은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밸브가 설치되는 세면대의 도기에 구강세정용 세정수가 공급되게 하는 고정접속구가 설치되게 하고, 구강세정기에 고정접속구에 체결 및 분리되는 연결접속구가 설치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구를 고정접속구에 체결 및 분리되게 하면서 구강세정기의 사용 및 보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세정기는 호스를 통해 세정수가 손잡이 내부의 통로에 유입되게 하고, 누름버튼을 눌러 통로를 막고 있는 밸브가 개방되게 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하는 것으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살로 칫솔이 닿기 힘든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말끔하게 제거되게 하는 동시에 잇몸을 마사지되게 하여 잇몸을 단단하게 해주는 것이다.
종래 본 출원인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52809호 및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68524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10)는 도 1 도시와 같이 급수레버(14)의 조작에 의해 냉수호스(17)를 통해 유입되는 냉수가 카트리지수납부(11)에 내장된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토수관(12)의 토수구(13)를 통해 배출되게 하거나, 온수호스(16)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가 카트리지수납부(11)에 내장된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토수관(12)의 토수구(13)를 통해 배출되게 하거나, 냉수호스(17) 및 온수호스(16)를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가 카트리지수납부(11)에 내장된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냉, 온수 혼합수가 되어 토수관(12)의 토수구(13)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를 경유하는 냉수 또는 온수 또는 냉, 온수 혼합수는 방향전환밸브(15)의 조작에 의해 세정수호스(18)로 공급되게 하는 한편, 너트(18b)에 의해 연결된 연결세정수호스(18a)를 경유하여 구강세정기(22)에 공급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누름버튼(24)을 눌러 통로를 막고 있는 밸브가 개방되게 하여 분사노즐(25)을 통해 분사되게 함으로써, 분사되는 물살로 칫솔이 닿기 힘든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말끔하게 제거되게 하는 동시에 잇몸을 마사지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구강세정기(22)의 손잡이(23)를 세면대의 도기(20)에 형성된 구멍(21)에 넣어 세워두거나 구멍(21)에서 빼서 당겨 사용함에 있어, 도기(21)의 구멍(21) 아래에 위치한 연결세정수호스(18a)가 온수호스(16)와 냉수호스(17) 및 온수호스(16)와 냉수호스(17)의 밸브에 간섭이 되어 연결세정수호스(18a)가 구멍(21)을 통해 당겨지지 않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고, 구강세정기(22)를 세면대의 도기(20) 구멍(21)에 세워놓음으로써, 위생적인 보관이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위생적인 보관을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의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68646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강세정기는 접속구가 연결된 급수호스가 호스케이스에 내장되게 하고, 상기의 급수밸브 일 측에 니플이 설치되게 하며, 상기 접속구가 상기 니플에 연결되게 하여, 세정수가 급수호스를 경유하여 구강세정기에 공급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누름버튼를 눌러 통로를 막고 있는 밸브가 개방되게 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게 함으로써, 분사되는 물살로 칫솔이 닿기 힘든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말끔하게 제거되게 하는 동시에 잇몸을 마사지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급수밸브 일 측의 니플이 수직 하향되게 설치되어 구강세정기의 접속구를 연결할 때, 반드시 뒤집어 연결하여야 불편함이 발생되었고, 수압에 의해 접속구가 니플에서 분리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급수밸브가 설치되는 세면대의 도기에 구강세정용 세정수가 공급되게 하는 고정접속구가 설치되게 하고, 구강세정기에 고정접속구에 체결 및 분리되는 연결접속구가 설치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구를 고정접속구에 체결 및 분리되게 하면서 구강세정기의 사용 및 보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는 냉수온수를 통해 유입되는 냉수, 온수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냉수, 온수 또는 냉, 온수의 혼합수가 되어 토수관의 토수구를 통해 급수되게 하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수납부에 내장되고, 냉수, 온수 또는 냉, 온수의 혼합수가 세정수호스로 공급되게 하는 방향전환밸브가 결합되는 급수밸브의 상기 세정수호스와, 선단에 분사노즐이 결합, 분리되고, 내부에 통로를 갖는 호스케이스가 형성되는 한편, 통로에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게 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호스케이스에 세정수가 공급되게 하는 급수호스가 내장되는 구강세정기의 상기 급수호스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호스에는 급수밸브에 인접하는 도기의 구멍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결합되는 고정접속구케이스의 내주면 상부에 제1핀의 상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되고, 제1핀의 하부에 제2핀과 스프링을 상, 하로 순차 수용하는 제2핀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제1핀이 눌려지면, 제2핀과 스프링이 동시에 눌려져 상기 제2핀이 차단하고 있는 제2핀케이스의 상부홀이 개방되어, 세정수호스의 세정수가 제2핀케이스 하부의 유입구를 경유하여, 상부홀, 제1핀 하단의 수평통로, 내부 중앙의 수직통로, 상단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고정접속구가 결합되게 하고, 상기 급수호스에는 제1핀이 눌려지게 하면서 고정접속구케이스의 연결구에 체결되게 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가 급수호스로 공급되게 하는 연결접속구가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접속구는 걸림판의 상부에는 연결구가, 걸림판의 하부에는 너트체결구가 형성되되, 연결구는 외주면이 수직면을 이루는 원형통체로,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부작동홀이 형성되고, 너트체결구는 원형통체로, 걸림판에 인접하는 끼움부로부터 그 아래로 상부수나사, 하부수나사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하부수나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암나사의 상부에 O링홈이 형성되며, 너트체결구의 끼움부 내주면에는 하부작동홀이 형성되고, 상부수나사의 내주면에는 제2핀케이스수용공간이 형성되되, 하부작동홀과 상부작동홀 사이에는 O링홈이 형성되며, 하부작동홀과 제2핀케이스수용공간 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접속구케이스와; 내부에 수직통로가 형성되는 원형통체로, 하부의 저면에 누름면이 형성되고, 수직통로의 상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되, 수직통로의 하단부 측벽에 수평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작동홀에 삽입되는 제1핀과;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원형통체로, 상부면 중앙에 상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 둘레면에 O링홈이 형성되되, 제2핀케이스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핀케이스와; 상부에는 머리부가, 하부에는 몸체부가 형성되고, 머리부와 몸체부 사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되, 플랜지의 상부와 머리부 사이에는 O링홈이 형성되어 O링이 결합되며, 머리부가 제1핀의 누름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부홀을 머리부와 O링이 개폐되게 하는 제2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연결접속구는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호스연결구가 돌출 형성되고, 호스연결구의 하부로 제1핀누름면, O링홈, 마개홈, 누름돌기수납홈이 순차적으로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누름돌기수납홈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내장되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O링홈에는 O링이, 마개홈에는 중앙에 수직의 마개홀이 형성된 마개가 각각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접속구케이스의 연결구가 삽입되는 연결구체결입구가 형성되고, 누름돌기수납홈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일 측에는 누름돌기가 형성되고, 누름돌기의 반대편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판체로, 중앙에 수직으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수납홈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돌기는 스프링의 중앙에, 누름돌기는 상기 누름돌기수납홈의 입구에 위치되는 체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판의 홀은 돌기 방향에 직선의 걸림면이 형성되고, 누름돌기 방향에 원호면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접속구의 제1핀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걸림면이 상기 고정접속구케이스 상단 연결구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접속구가 상기 고정접속구에 체결되게 하고, 상기 체결판의 누름돌기를 누르면 상기 걸림면이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결접속구가 상기 고정접속구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급수밸브(10)가 설치되는 도기(20)의 수직 구멍(21)에 구강세정용 세정수가 공급되게 하는 고정접속구(100)가 수직상태로 고정 설치되게 하고, 구강세정기(30)의 연결접속구(200)가 수직 하향되게 체결되게 하는 한편, 체결판(230)에 의해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연결접속구(200)가 고정접속구(100)에서 수압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구(200)를 고정접속구(100)에 체결 및 분리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강세정기가 세면대의 도기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접속구가 세면대의 도기에 설치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고정접속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접속구와 구강세정기의 연결접속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접속구가 고정접속구에 체결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접속구가 고정접속구에 체결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접속구가 고정접속구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접속구케이스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2핀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핀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접속구케이스의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판의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접속구에 체결판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는 급수밸브(10)의 급수레버(14) 조작에 의해 냉수호스(17)를 통해 유입되는 냉수가 카트리지수납부(11)에 내장된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토수관(12)의 토수구(13)를 통해 배출되거나, 온수호스(16)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가 카트리지수납부(11)에 내장된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토수관(12)의 토수구(13)를 통해 배출되거나, 냉수호스(17) 및 온수호스(16)를 통해 유입되는 냉, 온수가 카트리지수납부(11)에 내장된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냉, 온수 혼합수가 되어 토수관(12)의 토수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것과, 카트리지를 경유하는 냉수 또는 온수 또는 냉, 온수 혼합수가 방향전환밸브(15)의 조작에 의해 세정수호스(40)로 공급되는 것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고, 세정수호스(40)로 공급되는 세정수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접속구(100)에 의해 공급된다.
그리고 급수호스(32)가 호스케이스(31)에 내장되어, 세정수가 급수호스(32)를 경유하여 구강세정기(30)에 공급되게 하여 사용자가 버튼케이스(34)의 누름버튼(35)을 눌러 통로를 막고 있는 밸브가 개방되게 하여 분사노즐(36)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게 하는 것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고, 상기 급수호스(32)에 본 고안에 따른 연결접속구(200)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접속구(100)는 세면대의 도기(20)에 형성된 구멍(21)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도 3 및 도 8 도시와 같이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걸림판(116)이 도기(20)의 윗면에 면접되고, 구멍(21)을 수직으로 통과된 상부수나사(119)에 고정너트(21a)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구멍(21)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구강세정기(3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통(310)과 내통(311)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커버(300)가 결합되는데, 내통(311)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312)가 고정접속구케이스(110)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15)에 삽입되어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구강세정기(30)의 사용시에는 커버(300)를 당기면, 상기 돌기(312)가 걸림홈(115)에서 이탈되어 고정접속구케이스(1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접속구(100)는 고정접속구케이스(110)와, 제1핀(130)과, 제2핀케이스(140)와, 제2핀(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접속구케이스(110)는 도 8 도시와 같이 걸림판(116)의 상부에는 연결구(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걸림판(116)의 하부에는 너트체결구(117)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연결구(112), 걸림판(116), 너트체결구(117)는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112)는 외주면이 수직면(114)을 이루는 원형통체로 형성되는데, 상부면에 연속되는 측면에 경사면(113)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걸림홈(115)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부작동홀(122)이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경사면(113)의 하부는 상기 수직면(114)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게 되고, 상부는 상기 수직면(114) 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된다.
상기 너트체결구(117)는 원형통체로 형성되는데, 걸림판(116)에 인접하는 끼움부(118)로부터 그 아래로 상부수나사(119)와, 하부수나사(120)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하부수나사(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1)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121)의 상부에 O링홈(127)이 형성되어 O링(R)이 결합된다.
상기 너트체결구(117)의 끼움부(118) 내주면에는 하부작동홀(124)이 형성되고, 상부수나사(119)의 내주면에는 제2핀케이스수용공간(126)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작동홀(124)과 상부작동홀(122) 사이에는 O링홈(123)이 형성되어 O링(R)이 결합되며, 상기 하부작동홀(124)과 제2핀케이스수용공간(126) 사이에는 걸림턱(125)이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상기 제2핀케이스수용공간(126)은 하부작동홀(124) 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하부작동홀(124)은 상부작동홀(122) 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상기 상부작동홀(122)에는 상기 제1핀(130)이 삽입되어, 제1핀(130)의 상부가 출몰하게 된다.
상기 제1핀(130)은 도 11 도시와 같이 원형통체로 형성되는데, 내부 중앙에 수직통로(133)가 형성되고, 하부는 막혀서 저면에 누름면(131)이 형성되며, 수직통로(133)의 상부에는 배출구(134)가 형성되는 한편, 수직통로(133)의 하단부 측벽에는 수평통로(132)가 형성된다.
즉, 세정수는 수평통로(132) - 수직통로(133)를 경유하여 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2핀케이스(140)는 도 9 도시와 같이 내부에 작동공간(141)이 형성되는 원형통체로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 수직으로 상부홀(143)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유입구(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둘레면에는 O링홈(144)이 형성되어 O링(R)이 결합되며, 이 O링홈(114)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수평홀(145)이 작동공간(141)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핀(150)은 도 10 도시와 같이 상부에는 머리부(15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몸체부(152)가 형성되는데, 머리부(151)는 단면이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되며, 머리부(151)와 몸체부(152) 사이에는 플랜지(153)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153)의 상부와 머리부(151) 사이에는 O링홈(154)이 형성되어, O링(R)이 결합된다.
상기에 있어, 제2핀(150)은 머리부(151)와 O링(R)이 제2핀케이스(140)의 상부홀(143)을 막아주어, 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가 상부홀(143)을 통해 배출 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거나, 상기 제1핀(130)이 눌려짐에 따라 동시에 눌려져 머리부(151)와 O링(R)에 의해 막혀진 상부홀(143)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연결접속구(200)는 연결접속구케이스(210)와, 체결판(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접속구케이스(210)는 도 12 도시와 같이 상부커버(211)의 저면에 하부커버(219)가 나사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부커버(211)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호스연결구(2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호스연결구(212)의 하부로 제1핀누름면(213), O링홈(214), 마개홈(215), 누름돌기수납홈(216)이 순차적으로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마개홈(215)은 O링홈(214) 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O링홈(214)은 제1핀누름면(213) 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O링홈(214)에는 O링(R)이 결합되고, 상기 마개홈(215)에는 도 14 도시와 같이 중앙에 수직의 마개홀(241)이 형성된 마개(240)가 결합된다.
상기 누름돌기수납홈(216)의 저면에는 하부커버(219)가 결합되는데, 상기 하부커버(219)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연결구(112)가 삽입되는 연결구체결입구(22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230)은 도 13 도시와 같이 일 측에는 누름돌기(234)가 형성되고, 누름돌기(234)의 반대편에는 돌기(235)가 형성되는 판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홀(231)이 형성된다.
상기 홀(231)은 돌기(235) 방향에 직선의 걸림면(232)이 형성되고, 누름돌기(234) 방향에 원호면(233)이 형성된다.
상기의 걸림면(232)은 상기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연결구(112)에 형성된 경사면(113)을 따라 걸림홈(115)에 결합되거나 누름돌기(234)의 누름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의 누름돌기수납홈(216)에는 도 14 도시와 같이 상기 체결판(230)이 수평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체결판(230)의 돌기(235)가 먼저 삽입되어 이 돌기(235)가 스프링홈(217)에 위치하게 되고, 누름돌기(234)가 누름돌기수납홈(216)의 입구에 위치하게 되며, 하부커버(219)에 형성된 멈춤턱(220)에 의해 작동거리가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홈(217)에는 스프링(236)이 내장되어 상기 체결판(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 도시와 같이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상부작동홀(122)에 제1핀(130)이 삽입되는데, O링홈(123)에 결합된 O링(R)과, O링(R)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136)를 관통하여 배출구(134)가 상부에, 누름면이 하부에 각각 위치되게 하여 삽입되되, 제1핀(130)의 배출구(134)는 작동홀(122)을 통해 외부에 위치하게 되며, 누름면(131)의 저면은 제2핀케이스의 작동공간(141)을 통해 상부홀(143)을 막고 있는 제2핀(150)의 머리부(151) 상부면에 맞닿은 상태로 된다.
이어서 제2핀케이스수용홈(126)에는 제2핀케이스(140)가 삽입되는 한편, 제2핀케이스수용홈(126)의 내부에 제2핀(150)과, 스프링(242)이 삽입된다.
상기 제2핀케이스(140)는 암나사(121)에 마개(44)의 수나사(45)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마개(44)에 의해 제2핀케이스수용홈(126)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부면 가장자리가 걸림턱(125)에 맞닿을 때까지 마개(44)를 나사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2핀(150)은 플랜지(153)의 하부면과, 마개(44)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242)에 의해 머리부(151)가 상부홀(143)을 통과하여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상부홀(143)을 O링(R)과 함께 막아주게 된다.
상기에 있어, 제2핀케이스(140)의 하부 둘레면에 형성된 O링홈(127)에도 O링(R)이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접속구(100)는 세면대의 도기(20)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멍(21)에 너트체결구(117)가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걸림판(116)이 도기(20)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고정너트(21a)를 상부수나사(119)에 체결하게 되면, 끼움부(118)가 구멍(20)의 내주면에 위치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어서, 세정수호스(40)의 체결너트(41)를 하부수나사(120)에 체결되게 하되, 마개(44)의 하부에 패킹(P)이 위치되게 하여 체결너트(41)를 체결되게 하면 된다.
그리고 도 4 도시와 같이 연결접속구(200)의 연결접속구케이스(210) 상단에 형성된 호스연결구(212)에 종래 구강세정기(30)의 급수호스(32)가 조임구(33)로 결합되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접속구(100)는 구강세정기(30)의 미사용시에는 도 3 도시와 같이 커버(300)가 결합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커버(300)를 고정접속구(100)에서 분리한 후, 구강세정기(30)의 상기 연결접속구(200)가 상기 고정접속구(100)에 체결되게 하여 사용케 된다.
상기 연결접속구(200)는 도 4 도시와 같이 고정접속구(1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도 5 도시와 같이 연결접속구케이스(210)의 연결구체결입구(221)에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연결구(112)가 위치되게 한 후, 수직 하향되게 힘을 가하면, 체결판(230)의 걸림면(232)이 연결구(112)의 경사면(113)을 타고 내려가면서 수직면(114)에 위치하게 되어 스프링(236)을 압축하게 되고, 이어서 걸림홈(115)에 위치할 때 스프링(236)의 탄성에 의해 걸림면(232)이 도 6 도시와 같이 걸림홈(115)에 걸림 상태 된다.
상기에 있어, 체결판(230)의 홀(231)로 제1핀(130)의 배출구(134)와,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연결구(112)가 통과하게 하면서 상기와 같이 체결판(230)의 걸림면(232)이 연결구(112)의 걸림홈(115)에 걸림 된다.
이어서 도 2 도시와 같이 급수레버(14)를 조작하여 냉수, 온수 또는 냉, 온수 혼합수가 세정수호스(40)로 공급되게 하면, 도 7 도시와 같이 세정수호스(40) - 마개(44)의 통로(46)를 경유하여 제2핀케이스(140)의 작동공간(141)에 대기하고 있는 세정수가 상부홀(143) - 제1핀(130)의 수평통로(132) - 수직통로(133) - 배출구(134) - 연결접속구(200)의 호스연결구(212) - 급수호스(32)를 경유하여 구강세정기(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에 있어, 체결판(230)의 걸림면(232)이 걸림홈(115)에 걸림 되면, 도 7 도시와 같이 제1핀(130)의 배출구(134) 상부면이 연결접속구케이스(210)의 제1핀누름면(213)에 의해 아래의 방향으로 동시에 눌리게 되고, 이어 제1핀(130)의 누름면(131)에 의해 제2핀(150)이 아래의 방향으로 눌리게 되어, 제2핀케이스(140)의 상부홀(143)이 개방됨으로써, 세정수가 상부홀(143) - 제1핀(130)의 수평통로(132) - 수직통로(133) - 배출구(134) - 연결접속구(200)의 호스연결구(212) - 급수호스(32)를 경유하여 구강세정기(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구강세정기(30)의 누름버튼(35)을 눌러 통로를 막고 있는 밸브가 개방되게 하여 분사노즐(36)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게 함으로써, 분사되는 물살로 칫솔이 닿기 힘든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말끔하게 제거되게 하는 동시에 잇몸을 마사지하게 된다.
구강세정기(30)의 사용 후에는 급수레버(14)를 조작하여 급수가 차단되게 한 후, 체결판(230)의 누름돌기(234)를 눌러 체결판(230)을 탄성적 밀고 있는 스프링(236)이 압축되게 하면, 체결판(230)의 걸림면(232)이 걸림홈(115)에서 이탈되고, 이어서 연결접속구(200)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연결접속구(200)가 고정접속구(100)에서 분리된다.
100 : 고정접속구 110 : 고정접속구케이스
112 : 연결구 113 : 경사면
114 : 수직면 115 : 걸림홈
116 : 걸림판 117 : 너트체결구
118 : 끼움부 119 : 상부수나사
120 : 하부수나사 121 : 암나사
122 : 상부작동홀 123,127,144,154,214 : O링홈
124 : 하부작동홀 125 : 걸림턱
126 : 제2핀케이스수용공간 130 : 제1핀
131 : 누름면 132 : 수평통로
133 : 수직통로 134 : 배출구
140 : 제2핀케이스 141 : 작동공간
142 : 유입구 143 : 상부홀
145 : 수평홀 150 : 제2핀
151 : 머리부 152 : 몸체부
153 : 플랜지 200 : 연결접속구
210 : 연결접속구케이스 211 : 상부커버
212 : 호스연결구 213 : 제1핀누름면
215 : 마개홈 216 : 누름돌기수납홈
217 : 스프링홈 218 : 작동공간
219 : 하부커버 220 : 멈춤턱
221 : 연결구체결입구 230 : 체결판
231 : 홀 232 : 걸림면
233 : 원호면 234 : 누름돌기
235 : 돌기 236 : 스프링
240 : 마개 241 : 마개홀
242 : 스프링 300 : 커버
310 : 외통 311 : 내통
312 : 돌기 R : O링

Claims (4)

  1. 냉수온수를 통해 유입되는 냉수, 온수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냉수, 온수 또는 냉, 온수의 혼합수가 되어 토수관의 토수구를 통해 급수되게 하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수납부에 내장되고, 냉수, 온수 또는 냉, 온수의 혼합수가 세정수호스로 공급되게 하는 방향전환밸브가 결합되는 급수밸브의 상기 세정수호스와, 선단에 분사노즐이 결합, 분리되고, 내부에 통로를 갖는 호스케이스가 형성되는 한편, 통로에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게 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되며, 상기 호스케이스에 세정수가 공급되게 하는 급수호스가 내장되는 구강세정기의 상기 급수호스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호스(40)에는 급수밸브(10)에 인접하는 도기(20)의 구멍(21)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결합되는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내주면 상부에 제1핀(130)의 상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되고, 제1핀(130)의 하부에 제2핀(150)과 스프링(242)을 상, 하로 순차 수용하는 제2핀케이스(140)가 설치되며, 상기 제1핀(130)이 눌려지면, 제2핀(150)과 스프링(242)이 동시에 눌려져 상기 제2핀(150)이 차단하고 있는 제2핀케이스(140)의 상부홀(143)이 개방되어, 세정수호스(40)의 세정수가 제2핀케이스(140) 하부의 유입구(142)를 경유하여, 상부홀(143), 제1핀(130) 하단의 수평통로(132), 내부 중앙의 수직통로(133), 상단의 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고정접속구(100)가 결합되게 하고, 상기 급수호스(32)에는 제1핀(130)이 눌려지게 하면서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연결구(112)에 체결되게 하여, 배출구(134)를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가 급수호스(32)로 공급되게 하는 연결접속구(200)가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속구(100)는 걸림판(116)의 상부에는 연결구(112)가, 걸림판(116)의 하부에는 너트체결구(117)가 형성되되, 연결구(112)는 외주면이 수직면(114)을 이루는 원형통체로, 상단에 경사면(113)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걸림홈(115)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부작동홀(122)이 형성되고, 너트체결구(117)는 원형통체로, 걸림판(116)에 인접하는 끼움부(118)로부터 그 아래로 상부수나사(119), 하부수나사(120)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하부수나사(1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1)가 형성되며, 암나사(121)의 상부에 O링홈(127)이 형성되며, 너트체결구(117)의 끼움부(118) 내주면에는 하부작동홀(124)이 형성되고, 상부수나사(119)의 내주면에는 제2핀케이스수용공간(126)이 형성되되, 하부작동홀(124)과 상부작동홀(122) 사이에는 O링홈(123)이 형성되며, 하부작동홀(124)과 제2핀케이스수용공간(126) 사이에는 걸림턱(125)이 형성되는 고정접속구케이스(110)와;
    내부에 수직통로(133)가 형성되는 원형통체로, 하부의 저면에 누름면(131)이 형성되고, 수직통로(133)의 상부에는 배출구(134)가 형성되되, 수직통로(133)의 하단부 측벽에 수평통로(132)가 형성되며, 상부작동홀(122)에 삽입되는 제1핀(130)과;
    내부에 작동공간(141)이 형성되는 원형통체로, 상부면 중앙에 상부홀(14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구(142)가 형성되며, 하부 둘레면에 O링홈(144)이 형성되되, 제2핀케이스수용공간(126)에 설치되는 제2핀케이스(140)와;
    상부에는 머리부(151)가, 하부에는 몸체부(152)가 형성되고, 머리부(151)와 몸체부(152) 사이에는 플랜지(153)가 형성되되, 플랜지(153)의 상부와 머리부(151) 사이에는 O링홈(154)이 형성되어 O링(R)이 결합되며, 머리부(151)가 제1핀(130)의 누름면(131)에 맞닿은 상태로 상부홀(143)을 머리부(151)와 O링(R)이 개폐되게 하는 제2핀(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접속구(200)는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호스연결구(212)가 돌출 형성되고, 호스연결구(212)의 하부로 제1핀누름면(213), O링홈(214), 마개홈(215), 누름돌기수납홈(216)이 순차적으로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누름돌기수납홈(216)의 내측에는 스프링(236)이 내장되는 스프링홈(217)이 형성되며, O링홈(214)에는 O링(R)이, 마개홈(215)에는 중앙에 수직의 마개홀(241)이 형성된 마개(240)가 각각 결합되는 상부커버(211)와;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접속구케이스(110)의 연결구(112)가 삽입되는 연결구체결입구(221)가 형성되고, 누름돌기수납홈(216)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커버(219)와;
    일 측에는 누름돌기(234)가 형성되고, 누름돌기(234)의 반대편에는 돌기(235)가 형성되는 판체로, 중앙에 수직으로 홀(23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수납홈(216)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돌기(235)는 스프링(236)의 중앙에, 누름돌기(234)는 상기 누름돌기수납홈(216)의 입구에 위치되는 체결판(2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230)의 홀(231)은 돌기(235) 방향에 직선의 걸림면(232)이 형성되고, 누름돌기(234) 방향에 원호면(233)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접속구(100)의 제1핀(130)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걸림면(232)이 상기 고정접속구케이스(110) 상단 연결구(112)의 걸림홈(115)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접속구(200)가 상기 고정접속구(100)에 체결되게 하고, 상기 체결판(230)의 누름돌기(234)를 누르면 상기 걸림면(232)이 상기 걸림홈(115)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결접속구(200)가 상기 고정접속구(100)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KR2020150000943U 2015-02-10 2015-02-10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KR200476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43U KR200476995Y1 (ko) 2015-02-10 2015-02-10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43U KR200476995Y1 (ko) 2015-02-10 2015-02-10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95Y1 true KR200476995Y1 (ko) 2015-04-23

Family

ID=5343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943U KR200476995Y1 (ko) 2015-02-10 2015-02-10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93A (ko)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쎄지오 구강 세정기
KR20220112595A (ko) 2021-02-04 2022-08-11 (주)골든테크 다인용 구강세정장치
KR20230123319A (ko) 2022-02-16 2023-08-23 (주)골든테크 구강세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366U (ja) * 1991-10-31 1993-11-05 東陶機器株式会社 多目的吐水装置のホース差込み口の蓋構造
JPH0714404B2 (ja) * 1987-09-26 1995-02-22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口腔洗浄装置
JPH1080370A (ja) * 1997-09-19 1998-03-31 Toto Ltd 口腔洗浄装置を備えた洗面化粧台
KR200468646Y1 (ko) * 2013-05-13 2013-08-27 김진영 구강 세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404B2 (ja) * 1987-09-26 1995-02-22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口腔洗浄装置
JPH0581366U (ja) * 1991-10-31 1993-11-05 東陶機器株式会社 多目的吐水装置のホース差込み口の蓋構造
JPH1080370A (ja) * 1997-09-19 1998-03-31 Toto Ltd 口腔洗浄装置を備えた洗面化粧台
KR200468646Y1 (ko) * 2013-05-13 2013-08-27 김진영 구강 세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993A (ko)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쎄지오 구강 세정기
KR20220112595A (ko) 2021-02-04 2022-08-11 (주)골든테크 다인용 구강세정장치
KR20230123319A (ko) 2022-02-16 2023-08-23 (주)골든테크 구강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95Y1 (ko)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US11976448B2 (en) Filter water spout attached to basin faucet
KR200414654Y1 (ko) 수전 금구 장착형 구강 세정기
KR102308136B1 (ko)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RU25179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й регулируемой доз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моющих и/ил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через лейку душа
KR200478927Y1 (ko) 구강분사노즐을 구비한 샤워기
KR200452809Y1 (ko) 구강세척기 겸용 급수밸브
KR101789940B1 (ko)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KR20120126486A (ko) 원활한 토출기능과 필터기능이 구비된 샤워기헤드
KR200451850Y1 (ko) 구강 세척기
US20210071398A1 (en) Countertop basin faucet with oral cleaner
KR102409111B1 (ko) 청소용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0964839B1 (ko) 구강 세정기
KR100964838B1 (ko) 구강 세정기
JP5349089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120121507A (ko) 화장실 청소용 기구
KR200445902Y1 (ko) 구강세척기 겸용 급수밸브
KR100536956B1 (ko) 컵세척장치
JP2001220784A (ja) 浄水器付混合水栓
KR101729129B1 (ko) 분리 결합형 정수음용 수통
JP2003145081A (ja) 容器の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20130005839U (ko) 잇몸 세정장치
KR20130023447A (ko) 워터식 구강 세정기
JP3031200B2 (ja) 把手つき液体容器
CN215231543U (zh) 一种消毒液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