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940B1 -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 Google Patents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940B1
KR101789940B1 KR1020160131803A KR20160131803A KR101789940B1 KR 101789940 B1 KR101789940 B1 KR 101789940B1 KR 1020160131803 A KR1020160131803 A KR 1020160131803A KR 20160131803 A KR20160131803 A KR 20160131803A KR 101789940 B1 KR101789940 B1 KR 10178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member
tube
water
inlet
conne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표준
Original Assignee
박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표준 filed Critical 박표준
Priority to KR102016013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17/02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7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having means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supply of two or more fluids, e.g. water and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한 가지 제품으로 토출구의 크기가 각기 다른 다양한 수전에 구강 세정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며, 손잡이의 일측에는 일정 압력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노즐이 구비되고 손잡이의 다른 일측에는 노즐에 물이 공급되도록 튜브가 구비되는 몸체와, 튜브를 수전에 연결시켜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구와, 수전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튜브에 형성되는 유입구 사이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강 세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 {Tap Connection Water Irrigator}
본 발명은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의 토출구 크기가 여러 가지인 경우에도 간편하게 구강 세정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세정기는 수압을 이용하여 치아나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 해주는 기기를 말한다.
구강 세정기는 펌프에 의해 수압을 형성하는 펌프식과 수도에 연결하여 수압을 형성하는 직결식 등이 있다.
펌프식 구강 세정기의 경우 용기에 수용되는 세정액을 펌프로 압송하여 구강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구조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펌프 가동을 위해 전원공급이 필요하며 항상 세정액이 용기에 채워져 있어야 한다.
반면에, 직결식 구강 세정기는 수도에 호스를 연결시켜 곧바로 사용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전원공급이 필요 없다.
종래 수도 직결식 구강 세정기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654호에 수전 금구 장착형 구강 세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전 금구 장착형 구강세정기는 수전 금구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갖고, 타측으로는 상기 유입구에 선택적으로 유로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출구가 형성되는 밸브수단; 상기 제1 및 제2출구 중의 어느 하나에 일측이 연결되는 세정기 호스; 및 세정기 호스의 타측에 연결되어 분사 수류를 배출하는 세정기 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수단의 유입구와 수전 금구의 토출구는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즉, 수전 금구의 토출구에는 내부에 포말장치, 거름망 등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므로 밸브 수단의 유입구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여 수나사가 형성된다.
최근 들어, 수전 금구는 제품의 고급화, 디자인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토출구의 크기가 다양해지고 있고 나라별로도 토출구의 크기가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구강 세정기의 유입구를 수전 금구의 토출구 규격에 맞춰 다양하게 제조하거나 유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의 커넥터가 추가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크기의 토출구에 호환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하게 크기별로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거나 크기별로 여러 종류의 부속품이 필요 없는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는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일정 압력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노즐에 물이 공급되도록 튜브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튜브를 수전에 연결시켜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수전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튜브에 형성되는 유입구 사이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는 상기 노즐과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는 각각 앞쪽면에 교지부가 구비되고 뒷쪽면에 경사면이 구비되며 서로 등진 상태로 전후로 대칭 이동되는 한 쌍의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와, 상기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과 양쪽면이 각각 맞닿도록 구비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턱부재와 제2턱부재의 앞쪽면을 상기 수전에 형성되는 토출구 내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이간부재와, 상기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를 전후 대칭 슬라이딩 이동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이간부재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튜브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나사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는 각각 일측에 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이간부재는 상기 제1턱부재와 제2턱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경사캠면이 양측에 형성되는 캠과, 상기 브라켓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에는 상기 캠이 연결 설치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과 나사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조절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튜브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수직축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나사연결블록과, 상기 나사연결블록의 윗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고 형성하여 설치되고 각각 상기 아암을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연결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이 나사연결블록 주위로 통과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급수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에 의하면, 한 가지 제품으로 토출구의 크기가 각기 다른 다양한 수전에 구강 세정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제품 제조비용 및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의 고정구 및 패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의 고정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의 고정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의 고정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를 나타내는 고정구의 작동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에 있어서 튜브와 수전이 연결되는 부분을 확대한 측면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점선화살표는 물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2), 고정구(10) 그리고 패킹(5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몸체(2)는 상기 손잡이(3)의 일측에 물을 일정 압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노즐(4)을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 상기 노즐(4)에 물이 공급되도록 튜브(5)를 구비한다.
상기 튜브(5)는 상기 노즐(4)에 물을 공급하는 호스(6)와, 상기 호스(6)에 연결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7)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10)는 상기 튜브(5)를 수전(100)에 연결시켜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10)는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 이간부재(30) 그리고 브라켓(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는 각각 앞쪽면에 교지부(13), (23)를 구비하고 뒷쪽면에 경사면(14), (24)을 구비하며 상기 교지부(13), (23)가 서로 등진 상태로 전후로 대칭 이동된다.
상기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의 교지부(13), (23)가 구비되는 앞쪽면은 평면 또는 원주면의 일부(곡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지부(13), (2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톱니(나사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설계조건에 따라서 눌림에 의해 수축 가능한 고무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의 뒷쪽면에 구비되는 경사면(14), (24)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는 아암(16), (26)을 각각 일측에 구비하여 상기 브라켓(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이간부재(30)는 상기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의 뒷쪽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4), (24)과 양쪽면이 각각 맞닿는 한 쌍의 경사캠면(34)이 형성되는 캠(32)과, 상기 브라켓(4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에는 상기 캠(32)이 연결 설치되는 수직축(36)과, 상기 수직축(36)과 나사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32)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조절손잡이(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간부재(30)는 상기 캠(32)이 하향 이동되면 상기 제1턱부재(11)와 제2턱부재(20)를 앞쪽으로 동시에 대칭 이동시켜 제1턱부재(11)와 제2턱부재(20)의 앞쪽면을 수전(100)에 형성되는 토출구(102)의 내면 양측에 각각 밀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턱부재(11)와 제2턱부재(20)는 앞쪽 면에 형성되는 교지부(13), (23)가 상기 토출구(102)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103)를 물어 잡게 되어 토출구(102)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캠(32)은 대략 역삼각형이나 역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턱부재(11)와 제2턱부재(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수직축(36)의 하부에는 상기 상하조절손잡이(38)와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37)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조절손잡이(38)에는 상기 수직축(36)에 형성되는 수나사(37)와 조립되도록 너트(39)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를 전후 대칭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이간부재(30)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튜브(5)에 형성되는 유입구(8)와 나사결합된다.
다시 도 2~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유입구(8)에 형성되는 암나사(9)와 조립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42)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수직축(36)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관통구멍(44)이 형성되는 나사연결블록(41)과, 상기 나사연결블록(41)의 윗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고 형성하여 설치되고 각각 상기 아암(16), (26)을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홈(47)을 구비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연결블록(41)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주위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급수홈(4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지지블록(46)은 상기 캠(32)을 양측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블록(46)에는 상기 캠(32)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48)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캠(32)에는 상기 지지홈(48)에 조립되는 지지돌기(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50)은 상기 수전(100)과 상기 튜브(5) 사이를 밀폐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패킹(50)은 도 1 및 도 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0)의 주위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전(100)에 형성되는 토출구(102)의 끝부분 모서리와 상기 튜브(5)에 형성되는 유입구(8)의 끝부분 모서리와 사이를 밀폐한다.
상기 패킹(50)은 하측에 상기 유입구(8) 내면 둘레에 조립되는 조립부(52)가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의 사용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전(100)의 토출구(102)에 포말장치(미도시)가 설치된 경우 포말장치를 제거한 후 상기 고정구(10)를 토출구(102)에 고정시킨다.
즉 도 1 및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를 수전(100)의 토출구(102) 내부에 위치시킨 후 이간부재(30)를 통해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를 전후 대칭이동시켜 이빨(13), (23)을 토출구(102)에 형성되는 암나사(103)에 조립시킨다. 이때, 캠(32)은 상하조절손잡이(38)를 한쪽으로 회전시키면 경사캠면(34)이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의 경사면(14), (24)과 미끄럼접촉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턱부재(11)와 제2턱부재(20)는 각기 전진 이동되면서 간격이 벌어져 토출구(102) 내부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1턱부재(11)와 제2턱부재(20)가 수전(100)의 토출구(102) 내부에 고정되면 상기 브라켓(40)에 구비되는 나사연결블록(41)은 상기 토출구(102)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나사연결블록(41)에 상기 유입구(8)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튜브(5)의 유입구(8)에 형성되는 암나사(9)를 나사연결블록(41)의 수나사(42)에 조립시키며, 이때 상기 유입구(8) 끝부분 모서리와 토출구(102) 끝부분 모서리 사이에 상기 패킹(50)을 밀착시켜 토출구(102)와 유입구(8) 사이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튜브(5)가 나사연결블록(41)과 결합된 상태에서 수전(100)을 개방하게 되면 수돗물(세정수)이 상기 몸체(2)에 구비되는 노즐(4)에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도 1 참조)
상기 수전(100) 내부의 수돗물은 상기 토출구(102) 내부에서 상기 제1턱부재(11) 및 제2턱부재(20)의 양측을 지나 상기 나사연결블록(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급수홈(43)을 통과하여 밸브(7)에 형성되는 유입구(8)로 유입되고 상기 호스(6)를 통해 노즐(4)에서 분사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연결식 구강 세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청구범위,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2 : 몸체 3 : 손잡이 4 : 노즐
5 : 튜브 6 : 호스 7 : 밸브
8 : 유입구 9 : 암나사 10 : 고정구
11 : 제1턱부재 20 : 제2턱부재 13, 23: 교지부
14, 24 : 경사면 16, 26 : 아암 30 : 이간부재
32 : 캠 34 : 경사캠면 36 : 수직축
37 : 수나사 38 : 상하조절손잡이 39 : 너트
40 : 브라켓 41 : 나사연결블록 42 : 수나사
43 : 급수홈 44 : 관통구멍 46 : 지지블록
47 : 레일홈 50 : 패킹 52 : 조립부
100 : 수전 102 : 토출구 103 : 암나사

Claims (5)

  1.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일정 압력으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노즐에 물이 공급되도록 튜브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튜브를 수전에 연결시켜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수전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상기 튜브에 형성되는 유입구 사이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각각 앞쪽면에 교지부가 구비되고 뒷쪽면에 경사면이 구비되며 서로 등진 상태로 전후로 대칭 이동되는 한 쌍의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와,
    상기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과 양쪽면이 각각 맞닿도록 구비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턱부재와 제2턱부재의 앞쪽면을 상기 수전의 토출구 내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이간부재와,
    상기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를 전후 대칭 슬라이딩 이동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이간부재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튜브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나사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간부재는,
    상기 제1턱부재와 제2턱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경사캠면이 양측에 형성되는 캠과,
    상기 브라켓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에는 상기 캠이 연결 설치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과 나사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조절손잡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턱부재 및 제2턱부재는,
    각각 일측에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튜브의 유입구에 형성되는 암나사와 조립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수직축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나사연결블록과,
    상기 나사연결블록의 윗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고 형성하여 설치되고 각각 상기 아암을 수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홈을 구비하는 한쌍의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사연결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수전에서 토출되는 물이 상기 나사연결블록 주위로 통과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급수홈을 더 형성하는 구강 세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노즐과 연결되는 호스와,
    상기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KR1020160131803A 2016-10-12 2016-10-12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KR10178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03A KR101789940B1 (ko) 2016-10-12 2016-10-12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03A KR101789940B1 (ko) 2016-10-12 2016-10-12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940B1 true KR101789940B1 (ko) 2017-10-25

Family

ID=6029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803A KR101789940B1 (ko) 2016-10-12 2016-10-12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9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14B1 (ko) 2019-12-09 2020-02-17 정종범 수도직결형 무전원 구강세정기
KR20210091510A (ko) 2020-01-14 2021-07-2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전직결식 구강 세정기
KR20220068631A (ko) 2020-11-19 2022-05-26 박표준 물받이를 구비한 구강세정기
KR20220080833A (ko) 2020-12-08 2022-06-15 유완기 탈결합이 용이한 수전연결식 방향전환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459A (en) 1989-06-07 1990-07-17 Mathur Sandip K Dental hygiene device
KR100917681B1 (ko) 2008-03-05 2009-09-21 이강문 피팅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전금구 장착형 구강 세척기
CN203829081U (zh) 2014-03-12 2014-09-17 栾吉栋 一种牙齿清洗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459A (en) 1989-06-07 1990-07-17 Mathur Sandip K Dental hygiene device
KR100917681B1 (ko) 2008-03-05 2009-09-21 이강문 피팅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전금구 장착형 구강 세척기
CN203829081U (zh) 2014-03-12 2014-09-17 栾吉栋 一种牙齿清洗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58431 U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514B1 (ko) 2019-12-09 2020-02-17 정종범 수도직결형 무전원 구강세정기
KR20210091510A (ko) 2020-01-14 2021-07-2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전직결식 구강 세정기
KR20220068631A (ko) 2020-11-19 2022-05-26 박표준 물받이를 구비한 구강세정기
KR20220080833A (ko) 2020-12-08 2022-06-15 유완기 탈결합이 용이한 수전연결식 방향전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940B1 (ko) 수전 연결식 구강세정기
KR100625267B1 (ko) 구강 세척기
US20230193605A1 (en) Filter water spout attached to basin faucet
KR102308136B1 (ko) 원터치식 착탈 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
KR200414654Y1 (ko) 수전 금구 장착형 구강 세정기
CN202376246U (zh) 洗牙装置
KR200451850Y1 (ko) 구강 세척기
CN204092386U (zh) 一种清洁器
KR200476995Y1 (ko) 구강세정기 겸용 급수밸브의 구강세정기 연결장치
CN207996469U (zh) 一种采用板框机压滤出水快速冲洗滤布的冲洗装置
KR100964839B1 (ko) 구강 세정기
CN205710280U (zh) 台式饮用水单柱净水器
CN206430369U (zh) 一种带净水装置的电热水器
CN107320052B (zh) 洗碗机用进排水一体管件
KR20120006514U (ko) 비데용 분사노즐 장치
KR200468385Y1 (ko) 급수밸브의 구강 세정기 연결장치
CN112790974A (zh) 一种安装在洗牙器上的洗鼻器喷头
KR20120078011A (ko) 정수기용 필터 베이스
KR101337774B1 (ko) 구강 세정 시스템
KR200468646Y1 (ko) 구강 세정기
KR20160124602A (ko) 휴대용 치아 세정장치
CN216666608U (zh) 一种具有摆动伸展收折功能的水龙头
CN102715725B (zh) 可冲洗牙刷
KR20130023447A (ko) 워터식 구강 세정기
CN215306910U (zh) 便于携带的牙齿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