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75Y1 -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75Y1
KR200476975Y1 KR2020140002383U KR20140002383U KR200476975Y1 KR 200476975 Y1 KR200476975 Y1 KR 200476975Y1 KR 2020140002383 U KR2020140002383 U KR 2020140002383U KR 20140002383 U KR20140002383 U KR 20140002383U KR 200476975 Y1 KR200476975 Y1 KR 200476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angle
plates
plate
fo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우
Original Assignee
윤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우 filed Critical 윤성우
Priority to KR2020140002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7/00First-aid 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구조자(사용자)가 올라서게 되는 풋플레이트에 대한 각도 조절을 가능케 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전후 이격 배치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는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의 각 좌우 양단부(兩端部)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에 개재(介在)되도록 배치되는 풋플레이트; 상기 풋플레이트 좌우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사이드플레이트와 서로 마주하고, 각각의 전단부(前端部)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 및 상기 풋플레이트에 대한 변각(變角)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각수단은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 후단부(後端部)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1핀홀,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 후단부에 좌우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핀홀과의 동일선상에 배열되는 제2핀홀, 상기 제1앵글플레이트 후단부에서 상기 제1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제1대응핀홀, 상기 제2앵글플레이트 후단부에서 상기 제2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개의 제2대응핀홀, 상기 제1핀홀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대응핀홀에 끼워지는 제1핀, 그리고 상기 제2핀홀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대응핀홀에 끼워지는 제2핀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 FOOTBOARD}
본 고안은 구조자(사용자)가 올라서게 되는 풋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에 관한 기술이다.
각도조절이 가능한 발판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특1996-0013407호(1996.05.22.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발판의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 타석』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발판 하부에 전후좌우로 임의의 경사가지도록 하는 발판 경사 조절 장치를 설치하여 발판을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서, 실제 골프장의 경기 상황과 유사한 여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본 출원인은 심폐소생술 시, 최적의 가슴압박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구조자의 발이 올라서게 되는 풋플레이트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각종 의료장비나 수납용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는 등, 구조자에게 사용편의성 및 최적의 심폐소생술 시행에 기여할 수 있는 각도조절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전후 이격 배치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는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의 각 좌우 양단부(兩端部)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에 개재(介在)되도록 배치되는 풋플레이트;
상기 풋플레이트 좌우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사이드플레이트와 서로 마주하고, 각각의 전단부(前端部)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 및
상기 풋플레이트에 대한 변각(變角)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각수단은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 후단부(後端部)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1핀홀,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 후단부에 좌우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핀홀과의 동일선상에 배열되는 제2핀홀,
상기 제1앵글플레이트 후단부에서 상기 제1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제1대응핀홀,
상기 제2앵글플레이트 후단부에서 상기 제2핀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개의 제2대응핀홀,
상기 제1핀홀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대응핀홀에 끼워지는 제1핀, 그리고
상기 제2핀홀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대응핀홀에 끼워지는 제2핀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구조자의 발이 올라서게 되는 풋플레이트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구조자가 환자에게 최적의 가슴압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각종 의료장비나 수납용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풋플레이트 회동 개폐 및 발판 운반 등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풋플레이트와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에 대한 각도 조절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프론트플레이트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리어플레이트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제1사이드플레이트 측을 좌부(左部) 또는 좌방, 제2사이드플레이트 측을 우부(右部) 또는 우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크게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 풋플레이트(30),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 및 변각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사각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전후 이격 배치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한다.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방 상단이 낮고 후방 상단이 높은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B)의 각 좌우 양단부(兩端部)를 상호 연결한다.
결국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20A)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의 각 좌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20B)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의 각 우단부를 상호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는 각각의 접면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상호 간의 조립이 가능하다.
풋플레이트(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이 올라서게 되는 것으로,
사각 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풋플레이트(30)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에 개재(介在)되면서 아울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에 개재된다.
결국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풋플레이트(30)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가 이루는 사각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풋플레이트(30) 좌우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사이드플레이트와 서로 마주하는 사각 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해당 사이드플레이트'라 함은 상기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 각각과 마주하게 되는 사이드플레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 예로 제1앵글플레이트(40A)는 상기 풋플레이트(30)의 좌측 일단부에 구비됨에 따라 이에 인접한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20A)가 '해당 사이드플레이트'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 각각의 전단부(前端部)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에 힌지(H)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와 상기 풋플레이트(30)는 각각의 접면에 못이나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상호 간의 조립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와 이에 일체로 결합된 상기 풋플레이트(30)는 상기 힌지(H) 부위를 기준으로 회동 동작이 가능하다.
변각(變角)수단(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풋플레이트(30)에 대한 각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20A) 후단부(後端部)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1핀홀(51),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20B) 후단부에 좌우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핀홀(51)과의 동일선상에 배열되는 제2핀홀(52),
상기 제1앵글플레이트(40A) 후단부에서 상기 제1핀홀(51)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H)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제1대응핀홀(53),
상기 제2앵글플레이트(40B) 후단부에서 상기 제2핀홀(52)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H)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개의 제2대응핀홀(54),
상기 제1핀홀(51)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대응핀홀(53)에 끼워지는 제1핀(55), 그리고
상기 제2핀홀(52)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대응핀홀(54)에 끼워지는 제2핀(56)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n은 2이상의 정수로서, 본 고안에서는 도면 전반에 걸쳐 n이 4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앵글플레이트의 상하 폭 및 이에 형성되는 대응핀홀들 간의 간격 등에 대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 수(수량)를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변각수단(5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맞게 상기 풋플레이트(30)를 잡고 상기 힌지(H)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풋플레이트(30)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이후 상기 제1핀(55)을 서로 대응하고 있는 상기 제1핀홀(51)과 상기 제1대응핀홀(53)에 끼우고, 또 상기 제2핀(56)을 서로 대응하고 있는 상기 제2핀홀(52)과 상기 제2대응핀홀(54)에 끼움으로서, 상기 풋플레이트(30)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풋플레이트(30)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가 상기 풋플레이트(30)의 좌우 양단부 하부 측에 각각 구비됨으로서, 상기 풋플레이트(30) 하부 측에 수납공간(S)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S)에는 이에 수납 가능한 각종 의료장비나 수납용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플레이트(10B)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풋플레이트(30)의 후단부가 걸려 정지되는 스토퍼(60)가 구비된다.
따라서 후방으로 회동된 상기 풋플레이트(30)의 후단부가 상기 스토퍼(60)에 걸리게 됨으로서, 더 이상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풋플레이트(30)의 전단부(前端部)에는 이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세워지는 발 이탈 방지용 가드(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풋플레이트(30)에 올라선 사용자의 발은 상기 가드(70)에 의해 전방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리어플레이트(10B)의 상단부(上端部)에는 하방으로 요입 형성된 진입공간부(80)가 구비되고,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20A, 20B) 상부 측에 그립공간부(9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진입공간부(80)로 사용자의 손을 진입시켜, 하방 회동된 상기 풋플레이트(30)를 잡고 상방으로 쉽게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그립공간부(90)를 이용해 사용자가 손쉽게 본 고안의 각도조절발판을 운반하거나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심폐소생술 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속적인 가슴압박과 적절한 깊이로 압박해야만 심장과 뇌로 충분한 혈류를 전달하여 생존율을 올릴 수 있고, 또한 가슴압박 중단 시간이 길어지면 관상동맥관류압(CPP)이 떨어져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으며, 심정지 환자에 있어 구조자의 양질의 가슴압박은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가슴압박은 흉골과 손바닥이 떨어지지 않아야 하고, 압박과 이완의 비율이 동일해야만 오랫동안 정확한 가슴압박을 할 수 있고, 정확한 손의 위치와 올바른 깊이로 시행해야 양질의 가슴압박을 할 수 있다.
구조자의 위치 및 높이, 구조자의 수, 격려방법, 가슴압박 시간, 구조자의 피로도에 따라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침대의 높이, 매트리스의 종류, 보조 장비, 백보드의 사용, 발판의 사용과 같은 물리적 요소들도 고려되어야 한다.
심폐소생술 시행 시 편평한 발판을 이용한 구조자의 팔의 각도가 81.0±4.8°인 것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을 이용한 구조자의 팔의 각도가 84.0±5.2°로 수직에 가깝고, 환자 측으로 경사진 상기 풋플레이트(30)로 인해 구조자의 몸이 환자에게 기울게 되면서 환자의 흉골과 구조자의 팔이 이루는 각도가 좀 더 수직에 가깝게 자세가 이루어진다.
가슴압박 시행 결과, 본 고안의 발판을 사용하여 가슴압박을 한 경우, 평균 깊이가 52.5±6.1mm이고, 편평한 발판 사용 시 50.5±6.5mm 보다 더 깊은 가슴압박이 이루어졌고, 가슴압박 깊이 외에 적절한 가슴압박의 비율은 67.6%로 편평한 발판을 사용한 경우의 55.8%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A, 10B :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
20A, 20B :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
30 : 풋플레이트
40A, 40B :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
50 : 변각수단
51 : 제1핀홀 52 : 제2핀홀
53 : 제1대응핀홀 54 : 제2대응핀홀
55 : 제1핀 56 : 제2핀
60 : 스토퍼
70 : 가드
80 : 진입공간부
90 : 그립공간부

Claims (4)

  1. 전후 이격 배치되게 세워져 서로 마주하는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의 각 좌우 양단부(兩端部)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플레이트(10A, 10B)에 개재(介在)되도록 배치되는 풋플레이트(30);
    상기 풋플레이트(30) 좌우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사이드플레이트와 서로 마주하고, 각각의 전단부(前端部)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레이트(20A, 20B)에 힌지(H)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 및
    상기 풋플레이트(30)에 대한 변각(變角)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변각수단(50)은 상기 제1사이드플레이트(20A) 후단부(後端部)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1핀홀(51), 상기 제2사이드플레이트(20B) 후단부에 좌우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핀홀(51)과의 동일선상에 배열되는 제2핀홀(52), 상기 제1앵글플레이트(40A) 후단부에서 상기 제1핀홀(51)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H)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제1대응핀홀(53), 상기 제2앵글플레이트(40B) 후단부에서 상기 제2핀홀(52)과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관통 형성되되 상기 힌지(H) 부위를 기준으로 동일 원주 상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n개의 제2대응핀홀(54), 상기 제1핀홀(51)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대응핀홀(53)에 끼워지는 제1핀(55), 그리고 상기 제2핀홀(52)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대응핀홀(54)에 끼워지는 제2핀(5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앵글플레이트(40A, 40B)가 상기 풋플레이트(30)의 좌우 양단부 하부 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풋플레이트(30) 하부 측에 수납공간(S)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10B)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풋플레이트(30)의 후단부가 걸려 정지되는 스토퍼(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풋플레이트(30)의 전단부에는 이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세워지는 발 이탈 방지용 가드(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KR2020140002383U 2014-03-26 2014-03-26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KR200476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83U KR200476975Y1 (ko) 2014-03-26 2014-03-26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83U KR200476975Y1 (ko) 2014-03-26 2014-03-26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75Y1 true KR200476975Y1 (ko) 2015-04-21

Family

ID=5343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383U KR200476975Y1 (ko) 2014-03-26 2014-03-26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6202A (zh) * 2016-01-04 2016-05-25 孟红琳 脚踏式心肺复苏按压装置
KR20220076206A (ko) * 2020-11-30 2022-06-08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리 부종 방지 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88A (ko) * 2002-01-17 2003-07-28 김은해 의자용 발판 높이 조절장치
KR20120056056A (ko) * 2010-11-24 2012-06-01 김평진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101298882B1 (ko) * 2012-06-08 2013-08-21 정재환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588A (ko) * 2002-01-17 2003-07-28 김은해 의자용 발판 높이 조절장치
KR20120056056A (ko) * 2010-11-24 2012-06-01 김평진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101298882B1 (ko) * 2012-06-08 2013-08-21 정재환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6202A (zh) * 2016-01-04 2016-05-25 孟红琳 脚踏式心肺复苏按压装置
CN105596202B (zh) * 2016-01-04 2017-10-24 宜昌市第一人民医院(三峡大学人民医院) 脚踏式心肺复苏按压装置
KR20220076206A (ko) * 2020-11-30 2022-06-08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리 부종 방지 받침대
KR102468209B1 (ko) * 2020-11-30 2022-11-17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다리 부종 방지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37126B2 (en) An exercise device
US5383786A (en) Training manikin for practicing external cardiac massage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76975Y1 (ko) 심폐소생술용 각도조절발판
JP2013501544A (ja) 人間工学に基づいた姿勢を矯正するための勉強バックレスト
US10869803B1 (en) Chiropractic adjustment device
US8961374B2 (en) Health aid and method for treating pain
US20120271350A1 (en) Range of motion table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WO2013102250A1 (en) Gravity assisted spine decompressing apparatus
US9241865B2 (en) Roller massage apparatus
US20160324712A1 (en) Inversion table with neck support
CN106794372A (zh) 立式桨板核心促动器
JP2019195564A (ja) 健康器具
KR200476706Y1 (ko) 다리부종을 완화해주는 기구
KR102028189B1 (ko) 스탠딩 책상
CN206120657U (zh) 一种颈椎推拿床
US20150273265A1 (en) Backboard 3
TWI417086B (zh) With a massage function of the inverted machine
CN103690328A (zh) 一种骨科外伤用治疗装置
KR200469998Y1 (ko) 스탠딩 테이블
KR102093640B1 (ko)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CN105963923A (zh) 一种可折叠可调倾角的拉筋床
EP3593869A1 (fr) Dispositif d'ajustement postural multifonction
JP7297390B2 (ja) 机及び座位立位可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