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33Y1 - 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 - Google Patents

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33Y1
KR200476633Y1 KR2020140005321U KR20140005321U KR200476633Y1 KR 200476633 Y1 KR200476633 Y1 KR 200476633Y1 KR 2020140005321 U KR2020140005321 U KR 2020140005321U KR 20140005321 U KR20140005321 U KR 20140005321U KR 200476633 Y1 KR200476633 Y1 KR 200476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oupling plate
human body
acupressur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성분
Original Assignee
신성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분 filed Critical 신성분
Priority to KR2020140005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3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61H2201/5046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용자 자신의 중량과 인체의 무게 중심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지압과 운동을 동시에 제공하여 척추 교정과 인체의 골격을 감싸고 있는 근육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근육을 강화시켜 인체의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user with both a weight of a user and a center of gravity of a human body to provide a user with both acupressure and exercise to relax the muscles surrounding the skeleton of the huma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chiropractic and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capable of enhancing the immunity of the human body.

Description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motor-assisted chiropractor and a muscle-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용자 자신의 중량과 인체의 무게 중심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지압과 운동을 동시에 제공하여 척추 교정과 인체의 골격을 감싸고 있는 근육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근육을 강화시켜 인체의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user with both a weight of a user and a center of gravity of a human body to provide a user with both acupressure and exercise to relax the muscles surrounding the skeleton of the huma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chiropractic and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capable of enhancing the immunity of the human body.

우리 인체는 신비롭게도 생명에 중요한 기관은 모두 단단한 뼈로 둘러싸여 보호를 받고 있다. 인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뇌는 투구 모양의 두개골 속에 들어 있으며 심장, 폐, 간은 갑옷 모양의 흉곽(흉추, 흉골, 늑골, 늑연골로 구성)안에서 보호를 받는다. 뇌의 연속된 일부분이라 할 수 있는 척수도 뇌와 함께 중추 신경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신경이므로 단단한 척추로 둘러싸여 보호를 받고 있다.Our bodies are protected by mental and life-critical organs surrounded by hard bones. The most important brain in the human body is in the helmet-shaped skull, and the heart, lungs and liver are protected by an armor-shaped ribcage (composed of the thoracic, sternal, rib, and ribs). The spinal cord, which is a continuous part of the brain, is an important nerve that forms the central nervous system together with the brain, so it is protected by a hard spine.

도 1은 일반적인 척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척추의 측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vertebra in order to explain a structure of a general vertebr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는 모두 26개의 뼈(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천추 및 미추)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가 동그랗게 구멍이 뚫려 있어 마치 도너츠를 쌓아놓은 기둥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척추는 인체를 지지하는 대들보로서 머리를 지탱하는 한편, 자율 신경계를 보호하면서, 인체의 무게를 유기적으로 분산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척추는 척주관(척추뼈 내부에 형성된 기둥 모양의 공간)을 통해 척수를 보호하고 척수신경을 주관하기도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vertebra is made up of 26 bones (7 cervical vertebrae, 12 thoracic vertebrae, 5 lumbar vertebrae, cervical vertebrae and mica), and the central part is round And has the same shape. These vertebrae support the head as a supporting girdle of the body, while protect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has an important function to organically disperse the weight of the human body. The spine also protects the spinal cord through the chuck tube (a columnar space formed inside the vertebrae) and controls the spinal nerves.

이처럼 척추는 골격계를 형성하는 근간이 된다. 건강한 사람의 척추는 도 1과 같이 측면에서 볼 때 S자를 길게 늘린 형태로 되어 있어서 용수철처럼 탄력을 갖는다. 이는 척추에 가해지는 여러가지 충격을 흡수하여 척추 내부에 있는 척수, 즉 중추신경계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형태로서 만약 척추가 일직선이 되어 있다면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중추신경계에 큰 손상을 받게 된다. Thus, the spine becomes the basis for forming the skeletal system. As shown in Fig. 1, the vertebra of a healthy person has a shape that is elongated in the S-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has elasticity like a spring. This is to prevent the direct transmission of shock to the spinal cord, ie the central nervous system, by absorbing various impacts on the vertebrae. If the vertebrae are in a straight line, the impact on the spinal cord can cause serious damag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

정상인은 바닥에 바로 누워 있을 때 머리는 바닥에 닿고 경추부위는 떠 있으며 다시 흉추 부위는 바닥에 닿고 요추 부위는 뜨게 되며 천추와 미추 부위는 다시 바닥에 닿게 된다. 즉, 목과 허리 부위는 C자 모양으로 바닥과 떠 있어야 건강한 허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상인은 바로 섰을 때 머리의 중심에서 발바닥 중심까지 일자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턱관절장애가 있는 환자 특히 아래턱이 안으로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머리의 무게 중심축이 뒤로 빠지게 되므로 목이 앞으로 나와 일자목이 되면서 S자 형태의 척추가 사라지게 되며 전체적인 몸의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된다.When a normal person lies directly on the floor, the head touches the floor, the cervical part floats, the thoracic part touches the floor, the lumbar part floats, and the sacrum and the part of the cusp touch the floor again. In other words, the neck and waist are C-shaped and should be floating on the floor and can be said to be a healthy waist. In addition, a normal person should be made from the center of the head to the center of the foot when standing upright. In patients with jaw joint disorders, especially when the lower jaw is inside, the center of gravity axis of the head falls backward. The vertebrae disappear and the center of the whole body moves forward.

일상생활 중에 고개와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많이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세를 매일 반복하다 보면 서서히 등이 굽고 어깨는 안으로 오그라들어 똑바로 섰을 때 양팔이 재봉선보다 안쪽으로 들어오게 되며 허리는 뒤로 빠지게 된다. 사람이 태어났을 때 가지고 있던 건강한 S자 형태의 척추가 서서히 일자 또는 역C자 형태의 척추로 변해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세가 되면 내장이 눌리게 되고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병에 자주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바른 몸 자세를 유지한 것이 중요하고, 올바른 척추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예방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In daily life, I take a lot of postures to bend my head and back. When I repeat this posture every day, my back burns slowly. When my shoulders fall inward and stand upright, both arms come inward than the seam and the waist falls backward. . When a person is born, the healthy S-shaped vertebrae slowly turn into a dated or inverted C-shaped vertebrae. In such a position, the internal organs are pressed,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s abnormally infected and frequently infec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and prevention and treatment to maintain the correct spinal position is very important.

이와 같이, 인체의 척추 주변의 근육이 고정 자세 또는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해 딱딱하게 경직될 경우 척추 구조를 변하게 하여 광범위한 신경계 질환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내과적 또는 외과적 질환도 유발할수 있다. 이에 따라, 척추 주변 근육을 정확한 위치에서 이완시켜 척추 관련 통증 및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나, 대부분 동력을 이용한 지압 및 마사지 기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력을 이용한 기기들은 비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용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정에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Thus, if the muscles around the vertebrae of the human body are rigidly stiff due to a fixed posture or lack of exercise, the spinal structure may be changed to cause a wide range of neurological diseases and ultimately cause medical or surgical diseases. Accordingly, apparatus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pinal-related pain and diseases by relaxing the spinal muscles at precise positions have been developed, but most of them are powered by acupressure and massage devices, and these powered devices are costly Noise and vibration are generated not only at the side but also at the time of use.

동력형 지압기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는 무동력 지압기구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36593호(공개일 : 2012. 04. 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5564호(등록일 : 2003. 08. 2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6288호(공개일 : 2009. 06. 25.)외 다수가 제안되었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대다수의 무동력 지압기구들은 지압돌기를 이용하여 단순히 척추 주변의 근육에 물리적인 힘을 제공하는 단순 지압작용으로 근육 강화와 운동 효과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As a non-dynamic force applicator, which can solve some problems caused by a power type acupressure apparatus, there is a non-dynamic type acupressure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6593 (Published date: 2012. 04. 18.),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25564 : 2003. 08. 26.), Korean Utility Model 20-2009-0006288 (Published on June 25, 2009) and others have been proposed. However, most of the non-powered pressure devices known so far The muscular strengthening and exercise effects were not enough due to the simple acupressure action that simply provides physical force to the muscles around the vertebrae.

KR 10-2012-0036593 A, 2012. 04. 18.KR 10-2012-0036593 A, 2012. 04. 18. KR 20-0325564 Y1, 2003. 08. 26.KR 20-0325564 Y1, 2003. 08. 26. KR 20-2009-0006288 U, 2009. 06. 25.KR 20-2009-0006288 U, 2009. 06. 25.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체의 골격(척추) 주변의 피부와 근육에 지압과 스트레칭 운동을 동시에 제공하여 골격 교정과 인체의 골격을 감싸고 있는 근육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혈행개선, 근육을 강화시켜 인체의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roposed to provide both acupressure and stretching exercises to the skin and muscles around the skeleton (spine) of the human body to alleviate skeletal rectification and muscles surrounding the human body And to provide a non-powered chiropractic and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strengthening muscles and enhancing the immunity of the human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결합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인체의 등 부분의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상향 반구형 형상을 갖는 다수의 지압봉; 및 상기 받침대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고, 인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해 기울기가 변동하여 상기 받침대의 좌우측을 상하로 이동시켜 시소 운동하도록 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late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pedestal; A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arrang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and having an upward hemispherical shap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vertebrae of the back portion of the human body; And a pedestal installed at a lower center of the pedestal, the pedestal moving up and dow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so as to perform a seesaw motion by varying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 strength enhancing exercise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지압봉은 상기 척추 중 요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ar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lumbar spine.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지압봉 각각은 상기 결합판의 상부면으로부터 1cm 내지 5cm에서 선택된 높이를 가지되, 상기 인체의 등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1cm 내지 5cm에서 선택된 반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has a height selected from 1 cm to 5 c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back of the human body has a radius selected from 1 cm to 5 cm.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지압봉은 상기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4cm 내지 10cm에서 선택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폭방향으로는 5cm 내지 8cm에서 선택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are spaced from each other at a selected distance of 4 cm to 10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selected from 5 cm to 8 c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destal .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가 수평 상태에서 상기 지면과의 각도가 20°내지 40°에서 선택된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ppo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has an angle selected from 20 to 40 degrees with the ground in a horizontal state.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정 곡률을 갖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pporting base is formed of a circle having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ground or an oval having a certain curvature.

바람직하게, 상기 지압봉은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합판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cupressure rods are screw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to adjust the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판의 좌우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xing table installed on the pedestal to suppor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gaging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바람직하게, 상기 지압봉에 설치된 완충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hock absorber further includes a buffer cap provided on the pressure-sensitive bar.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음악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상기 지지대 또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에 걸리는 하중과 상기 받침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하중과 상기 기울기를 토대로 운동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회수를 토대로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pedestal for dis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s;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or the pedestal to sense a load applied to the pedestal and a tilt of the pedestal; And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number of movements based on the load and the inclina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calculating a momentum based on the measured number of movements, and displaying the amount of movement on the display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본 고안에 따르면, 이용자 자신의 중량을 이용하여 인체의 골격(척추 등)을 감싸는 근육을 지압하여 근육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인체의 무게 중심을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운동량을 제공하여 척추 교정과 근육을 강화시켜 인체의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user's own weight, the muscles wrapping the skeleton (spine etc.) of the human body are alleviated by shaking the muscles, and at the same time, the exercise amount is provided to the user by us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ody, The immunity of the human body can be improved.

더 나아가, 본 고안은 무동력 지압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따라 기존의 모터를 이용한 지압기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경쟁력이 우수하고,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지압 및 운동을 병행할 수 있어 이용자가 스스로 운동하는 생활 습관을 배양할 수 있고, IT(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운동량을 관리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motorized acupressure apparatus, it is more competitive than a conventional acupressure apparatus using a motor, so that the acupressure and exercise can be easily performed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regard to the place and tim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he lifestyle of the user to exercise by himself / herself, and to manage the exercise amount in conjunction with IT (smart phone).

도 1은 일반적인 척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척추의 측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상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에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정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vertebra to illustrate a general vertebral structure. FIG.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 strength enhanc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shown in FIG. 2, viewed from the bottom;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es shown in FIG. 2;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shown in FIG. 3;
6 is a front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es shown in FIG. 2;
FIGS.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 strength enhancing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contents in a non-powered chiropractic and a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spinal pressure and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shown in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하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정면도이다.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 strength enhanc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or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er shown in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er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front view .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는 받침대(11), 결합판(12), 다수의 지압봉(13) 및 지지대(14)를 포함한다. 2 to 6,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1, a coupling plate 12, a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13, .

받침대(11)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장방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1)는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길이가 고정되거나, 혹은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다단구조(안테나식 인출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11)는 이용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좌우측부에 인체의 엉치뼈와 등뼈가 지지되도록 길이방향으로는 40cm 내지 70cm가 되도록 형성하고, 폭방향으로는 13cm 내지 3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4, the pedestal 11 may have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The pedestal 11 may have a multi-stage structure (antenna drawing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or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The pedestal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40 cm to 70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ength of 13 cm to 30 cm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torso and spine of the human body i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user desirable.

도 2 및 도 4와 같이, 결합판(12)은 받침대(11)의 길이방향으로 중심부에 설치되는 대략 정방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받침대(11)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의 상부면에 탈착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and 4, the coupling plate 12 may have a substantially square plate-like structure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11,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 So that it can be detached. Preferably,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결합구조로서, 결합판(12)을 받침대(11)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받침대(11)의 상부에는 결합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결합판(12)에는 도 5와 같이, 결합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판(12)의 결합돌기(12-1)는 받침대(11)의 결합홈(11-1)에 억지끼움 체결방식으로 체결되거나, 혹은 나사 체결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detachably connect the coupling plate 1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 as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groove 11-1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11, And the coupling plate 12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rojection 12-1 as shown in FIG. The engaging projection 12-1 of the engaging plate 12 can be fastened to the engaging groove 11-1 of the pedestal 11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or in a screw fastening manner.

도 4 및 도 5와 같이, 결합판(12)의 상부에는 다수의 지압봉(13)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압봉(13)은 예컨대 2개 또는 4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척추의 요추 부위를 지압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4개가 이격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a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1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1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wo or four pressure-sensitive adhesive rods 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referably, four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shave the lumbar region of the vertebrae.

지압봉(13)은 도 4와 같이, 상향 반구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인체의 골격, 예를 들면, 인체의 등 부분의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척추 중 요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요추 중 3번, 4번, 5번을 기준으로 척추 근육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4, the dipstick 13 is formed to have an upward hemispherical shape,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skeletons of the human body,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ference to the spine of the back portion of the human body. Preferably, the lumbar vertebrae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lumbar spine. More preferably, the lumbar vertebrae are placed in contact with the spinal muscles based on the numbers 3, 4, and 5 of the lumbar vertebra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4개의 지압봉(13)은 서로 동일 높이와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압봉(13)은 친환경 세라믹 소재 또는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ur pressure-sensitive rods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nd diameter as each other. The pressure bar 13 may be made of eco-friendly ceramic material or wood.

본 고안에 따른 지압봉(13)은 결합판(12)의 상부면으로부터 1cm 내지 5cm, 바람직하게는 2cm 내지 4cm의 범위에서 선택된 높이로 형성하고, 지압봉(13)의 상부, 즉 인체의 등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는 1cm 내지 5cm, 바람직하게는 2cm 내지 3cm의 범위에서 선택된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봉(13) 간의 간격은 요추의 길이를 고려하여 받침대(11)의 길이방향으로는 4cm 내지 10cm, 바람직하게는 5cm 내지 8cm의 범위에서 선택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받침대(11)의 폭방향으로는 4cm 내지 7cm의 범위에서 선택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The acupressure stick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a height selected from the range of 1 cm to 5 cm, preferably 2 cm to 4 c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1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cupressure stick 13, Is formed to have a selected radius in the range of 1 cm to 5 cm, preferably 2 cm to 3 cm. The spacing between the acupressure rods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lected distance in the range of 4 cm to 10 cm, preferably 5 cm to 8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11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lumbar vertebra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elected distance in the range of 4 cm to 7 c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11.

본 고안에 따른 지압봉(13)은 결합판(12)의 상부에 일체로 제작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pressure bar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12,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지압봉(13)이 결합판(12)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억지끼움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지압봉(13)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봉(13)의 하부에 나사부(13-1)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결합판(12)의 상부에는 나사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pressure bar 13 is not possible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threaded portion 13-1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bar 13 and the screw groove 1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12 corresponding thereto.

지압봉(13)의 나사부(13-1)와, 결합판(12)의 나사홈(12-2)을 상호 체결하는 과정에서, 나사부(13-1)와 나사홈(12-2) 간의 조임 또는 풀림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지압봉(13)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용자의 신체 구조 및 욕구에 따라 지압봉(13)의 높이를 이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threaded portion 13-1 of the acupressure stick 13 and the threaded groove 12-2 of the engaging plate 12 to each other, the fastening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13-1 and the threaded groove 12-2 The height of the acupressure stick 13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loosening so that the height of the acupressure stick 13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and desire of the user.

한편, 지압봉(13)과 결합판(12)이 목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비교적 강도가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이용자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지압봉(13)과 결합판(12) 간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압봉(13)의 나사부(13-1)와, 결합판(12)의 나사홈(12-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사부(13-1)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체결앙카가 끼워지고, 이와 대응하여 결합판(12)의 나사홈(12-2)의 내부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앙카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od 13 and the coupling plate 12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weak strength such as wood or a plastic material,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bar 13 and the coupling plate 12 is deteriorated .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threaded portion 13-1 of the damping rod 13 and the threaded groove 12-2 of the engaging plate 12, the threaded portion 13-1 is formed with a metal material And a fastening anchor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crew groove 12-2 of the engaging plate 12 may be provided in correspondence to the engaging anchor.

도 3 및 도 5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14)는 받침대(11)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고, 받침대(11)의 상부에 지지되는 인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해 기울기가 변동하여 받침대(11)의 좌우측을 상하로 이동시켜 시소 운동하도록 한다. 3 and 5, the support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pedestal 11 and has a slope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eing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11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11 are moved up and down to perform a seesaw motion.

이러한 지지대(14)는 받침대(11)가 수평 상태에서 지면과의 각도가 20°내지 40°에서 선택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14)는 인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지면과 접촉하는 면(14-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일정 곡률을 갖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table 14 is disposed such that the pedestal 11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has an angle with the ground of 20 to 40 degree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14-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aper surface so as to flow along the paper surfa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ody, is circular or has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certain curvature.

도 2 및 도 4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는 받침대(11)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판(12)의 좌우측을 지지하도록 받침대(11)의 상부에 설치되어 결합판(12)을 고정하는 고정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and 4, the non-powered chiropractic force and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upling plate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11, And a fixing table 15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5 for fixing the coupling plate 12.

고정대(15)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결합판(12)의 좌우측에 서로 대칭 구조로 설치되어 결합판(12)의 좌우측을 고정시켜 결합판(12)이 받침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정대(15)는 결합판(12)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되, 상부면이 일정 곡률 또는 유선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용자가 받침대(11)의 상부에 누웠을 때 이용자의 등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4, the fixing table 15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upling plate 12 to fix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upling plate 12 so that the coupling plate 12 is detached from the pedestal 11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table 15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thereof increases toward the coupling plate 12 side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has a certain curvature or a streamlined shape so that the user does not stimulate the back of the user when lying on the top of the pedestal 11 Do.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봉(13)에 끼워지는 완충캡(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strength exerci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cap 16 fitted to the dental pressure bar 13, as shown in Figs.

완충캡(16)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 예를 들면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지압봉(13)에 지압되는 과정에서 이용자에게 가해지는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압봉(13),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등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캡(16)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ushioning cap 16 has a contact portion 13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uman body, for example, in order to minimize the pain applied to the user in the process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cushioning rod 13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buffer cap 16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urethane.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의 동작 특성을 도 7 및 도 8을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on-powered spinal pressure and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7은 지지대(14)를 중심으로 받침대(11)가 시소 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받침대(11)의 상부에 이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받침대(11)가 시소 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non-powered spinal pressure and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eesaw motion of the pedestal 11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lying on the pedestal 11.

도 7 및 도 8과 같이, 운동기구(10)를 지면에 놓은 상태에서 이용자의 엉치뼈가 받침대(11)의 일측부 상부에 지지되고, 등뼈가 받침대(11)의 타측부 상부에 지지되도록 받침대(11)의 길이방향으로 눕되, 지압봉(13)이 척추, 바람직하게는 요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되도록 받침대(11)의 상부에 반듯하게 누운다. 7 and 8, when the exercise instrument 10 is placed on the ground, the user's unicorn bone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pedestal 11, and the spine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11, Lying on the top of the pedestal 11 so that the acupressure stick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vertebrae, preferably the lumbar vertebrae.

이와 같이, 이용자가 받침대(11)의 상부에 누우기만 하더라도 이용자의 신체 중량(중력)으로 인해 지압봉(13)에 접촉하는 요추의 좌우측 근육에는 이용자의 신체 중량에 상응하는 하중이 가해져 지압이 이루어진다. 즉, 이용자가 받침대(11)에 누우면 이용자의 신체 중량으로 인해 요추의 좌우측 근육에 지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Thus, even if the user lays on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11, a load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weight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muscles of the lumbar vertebrae, which contact the pressure bar 13 due to the user's body weight (gravity). That is, when the user lays on the pedestal 11, acupressure is naturally performed on the left and right muscles of the lumbar spine due to the body weight of the user.

이런 상태에서, 이용자가 자신의 무게 중심을 받침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용자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지대(14)의 기울기가 지면에 대해 변동하여 받침대(11)의 좌우측부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용자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지대(14)의 기울기가 변동하여 받침대(11)는 시소 운동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moves his or her center of grav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11, the inclination of the pedestal 14 varies with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an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pedestal 11 are moved up and down . That is,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moves,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table 14 changes, and the support 11 performs a seesaw motion.

따라서, 본 고안은 받침대(11)가 이용자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대응하여 무동력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제공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지압봉(13)이 척추 부위의 근육을 지압하여 근육을 완화시키는 한편, 반복적인 시소 운동을 통해 척추 부근의 근육을 강화시켜 척추 교정과 인체의 면역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11 is provided so as to perform seesaw mo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an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such operations, the acupressure rod 13 shivers the muscles of the vertebral region to relieve the muscles On the other hand, repetitive seesaw exercises can strengthen the muscles near the spine and greatly improve the chiropractic and the immune system of the human body.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는 이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루하지 않도록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on-powered chiropractic exercis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contents such that the user does not get bored during the exercise of the exercise apparatus.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에서 컨텐츠(음악, 영상 등)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contents (music, images, and the like) in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 strength enhancing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는 받침대(11)의 상부 장착홈(11-2)에 표시장치(1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4)의 일측부에는 입출력 포트(19)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표시장치(17)의 내부에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지지대(14)의 일측부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1 and 9, the non-powered chiropractic force and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device 17 in the upper attachment groove 11-2 of the pedestal 11 Can be installed. Further, an input / output port 19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table 14. [ Further, although not shown, if a speaker is not built in the display device 17,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se 14. [

표시장치(17)는 터치식 입력패드를 포함하고, 입출력 포트(19)에 접속되는 외장 메모리(USB 메모리 등)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음악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이외에도, 표시장치(17)는 운동기구(10)의 내부에 내장된 내장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기저장된 이용자 정보(성명, 성별, 나이, 신체 특징(신장, 몸무게, 체지방량 등), 일/주/월/년 운동량), 시간정보/요일정보/날씨정보, 연령대별 적정/목표 운동회수, 이용자별 적정/목표 운동회수, 일별/주간별/월별 적정/목표 운동회수, 운동방법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7 includes a touch type input pad and displays a music file or a moving picture file provided through an external memory (USB memory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port 19 in real time. In addition to the music file or the movie file, the display device 17 displays user information (name, sex, age, body characteristics (height, weight, body fat mass Time / day / week / month / year of exercise), time information / day / weather information, appropriate age / target exercise frequency per user, appropriate user / target exercise frequency, daily / weekly / Motion method,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and provided in real time.

본 고안에 따른 표시장치(1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y one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PDP (Plasma Display Pannel), an LED (Light Emitting Diode), and an OLED (Organic LED).

또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는 지지대(14)의 내외부, 혹은 받침대(11)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운동기구(10)의 운동회수를 감지하는 센싱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and 9, the non-powered spinal pressure and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upport base 14 or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se 11, And a sensing unit 18 for sensing the number of motions of the mechanism 10.

본 고안에 따른 센싱부(18)는 기울기 센서(18-1)와, 하중 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18-1)는 운동기구(10), 즉 받침부(11)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하고, 하중 센서(18-2)는 받침부(11)에 지지되는 이용자의 하중을 감지한다. The sensing unit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ilt sensor 18-1 and a load sensor 18-2. The tilt sensor 18-1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exercise device 10, that is, the receiving unit 1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0. The load sensor 18-2 senses the inclination of the user who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unit 11 Of the load.

제어부(20)는 하중 센서(18-2)를 통해 감지된 감지신호가 설정값 이상, 즉 이용자의 중량이 감지되면, 표시장치(17)에 표시되는 운동회수를 '0'으로 셋팅하고, 운동회수가 '0'으로 셋팅된 상태에서 기울기 센서(18-1)를 통해 받침대(11)의 시소 운동이 감지되면, 이를 순차적으로 카운팅하여 표시장치(17)를 통해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20 sets the number of mo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7 to '0' when the sensed signal sensed through the load sensor 18-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the weight of the user is sensed, If the seesaw motion of the pedestal 11 is detected through the inclination sensor 18-1 in the state where the number is set to '0', the seesaw motion is sequentially coun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7.

또한, 제어부(20)는 기울기 센서(18-1)를 통해 측정된 운동회수에 대응하여 이용자의 운동량(근육 운동량, 유산소 운동량 등)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표시장치(17)로 표시하는 한편, 내장 메모리에 이용자 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렇게 저장된 이용자별 운동량은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운동기구(10)에 별도로 마련된 유무선 통신부(블루투스 등)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calculates in real time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muscle exercise amount, aerobic exercise amount, etc.)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measured through the tilt sensor 18-1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device 17, It is stored in the memory for each user and managed. The stored exercise amount per user can b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e.g., a smart phon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luetooth or the like) separately provided to the exercise device 10 at the request of the user.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하여 하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운동기구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지지대(14')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역삼각형 구조의 지지대(14)와 달리 반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FIG. 11 is a front view of FIG. 10, The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strength exerci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xercise apparatus shown in Figs. 2 to 6. However, the support 14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mispherical structure unlike the support 14 of the inverted triangular structure shown in FIGS. 2 to 6.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은 인체의 등(척추)을 지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두부, 고관절 부위, 어깨, 무릎, 종아리, 발목의 경혈지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the example of applying the back pressure of the back of the human body (vertebrae)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cupressure of head, hip, shoulder, knee, calf and ankl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11 : 받침대
12 : 결합판
13 : 지압봉
14 : 지지대
15 : 고정대
16 : 완충캡
17 : 표시장치
18 : 센싱부
19 : 입출력 포트
20 : 제어부
10: Non-powered chiropractic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11: Stand
12: Coupling plate
13: zipper bar
14: Support
15:
16: buffer cap
17: Display device
18:
19: I / O port
20:

Claims (10)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결합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인체의 등 부분의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완충캡을 구비한 다수의 지압봉;
상기 받침대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고, 인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해 기울기가 변동하여 인체의 상체와 하체가 시소 운동하도록 하는 지지대; 및
상기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판의 좌우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압봉은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결합판의 상부면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Pedestal;
A coupling plate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pedestal;
A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and installed to contact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back of the back of the human body,
A pedestal installed at a lower center of the pedestal and allow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human body to seesaw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And
And a fixing tabl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to suppor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gaging plat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Wherein the acupressure rod is screw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to adjust the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압봉은 상기 척추 중 요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ar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lumbar spine of the vertebra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압봉 각각은 상기 결합판의 상부면으로부터 1cm 내지 5cm에서 선택된 높이를 가지되, 상기 인체의 등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1cm 내지 5cm에서 선택된 반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has a height selected from 1 cm to 5 cm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human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ack has a radius selected from 1 cm to 5 cm. Instru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압봉은 상기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4cm 내지 10cm에서 선택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폭방향으로는 5cm 내지 8cm에서 선택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selected from 4 cm to 10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esta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interval selected from 5 cm to 8 cm in a width direction of the pedestal.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가 수평 상태에서 상기 지면과의 각도가 20°내지 40°에서 선택된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upport has an angle selected from an angle of 20 DEG to 40 DEG with respect to said ground in a horizontal state of said pedes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정 곡률을 갖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ase has a contact surface that contacts the ground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앙부에 결합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고, 인체의 등 부분의 척추를 기준으로 좌우측 피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상향 반구형 형상을 갖는 다수의 지압봉; 및
상기 받침대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고, 인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대해 기울기가 변동하여 인체의 상체와 하체가 시소 운동하도록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음악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상기 지지대 또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에 걸리는 하중과 상기 받침대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하중과 상기 기울기를 토대로 운동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회수를 토대로 운동량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Pedestal;
A coupling plate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pedestal;
A plurality of acupressure rods arrang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and having an upward hemispherical shap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kin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vertebrae of the back portion of the human body; And
And a support table installed at a lower center of the pedestal and allow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body to seesaw by varying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pedestal for dis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s;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or the pedestal to sense a load applied to the pedestal and a tilt of the pedestal; And
And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number of movements based on the load and the inclination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exercise based on the measured number of movements and displaying the calculated amount of exercise on the display devic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equipment.
KR2020140005321U 2014-07-15 2014-07-15 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 KR2004766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21U KR200476633Y1 (en) 2014-07-15 2014-07-15 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21U KR200476633Y1 (en) 2014-07-15 2014-07-15 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33Y1 true KR200476633Y1 (en) 2015-03-17

Family

ID=5305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21U KR200476633Y1 (en) 2014-07-15 2014-07-15 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33Y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601B1 (en) * 2015-04-16 2016-07-11 신성분 Portable athletic goods for spine
KR101657177B1 (en) 2015-05-21 2016-09-21 전승원 Spine pressing device with a non invasive type blood vessel opening-medicine needle
WO2018044037A1 (en) * 2016-08-30 2018-03-08 박홍석 Muscular strength measurement and exercise system
KR101937835B1 (en) 2018-01-30 2019-01-11 강준한 Apparatus for lumbar spinal and sacrum traction
KR20210004081A (en) * 2019-07-03 2021-01-13 고종규 L-spline pain reduce aid movement device
KR20210120719A (en) * 2020-03-27 2021-10-07 선재광 Spine Acupupoint Therapy
WO2023022402A1 (en) * 2021-08-19 2023-02-23 (주)메드사피엔스 Spinal correction exercise equipment for physical therap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93Y1 (en) * 2003-05-09 2004-01-16 이재복 Shiatsu
KR20040029963A (en) * 2000-12-22 2004-04-08 플렉시페드 에이에스 Exercise apparatus
KR20120005348U (en) * 2011-01-14 2012-07-24 최승철 Spine Pelvis spin Do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963A (en) * 2000-12-22 2004-04-08 플렉시페드 에이에스 Exercise apparatus
KR200338393Y1 (en) * 2003-05-09 2004-01-16 이재복 Shiatsu
KR20120005348U (en) * 2011-01-14 2012-07-24 최승철 Spine Pelvis spin Docto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601B1 (en) * 2015-04-16 2016-07-11 신성분 Portable athletic goods for spine
WO2016167624A1 (en) * 2015-04-16 2016-10-20 신성분 Portable spine exercise equipment
CN107438459A (en) * 2015-04-16 2017-12-05 申成分 Portable motion of the vertebra apparatus
CN107438459B (en) * 2015-04-16 2019-11-29 申成分 Portable motion of the vertebra instrument
KR101657177B1 (en) 2015-05-21 2016-09-21 전승원 Spine pressing device with a non invasive type blood vessel opening-medicine needle
WO2018044037A1 (en) * 2016-08-30 2018-03-08 박홍석 Muscular strength measurement and exercise system
KR101937835B1 (en) 2018-01-30 2019-01-11 강준한 Apparatus for lumbar spinal and sacrum traction
KR20210004081A (en) * 2019-07-03 2021-01-13 고종규 L-spline pain reduce aid movement device
KR102282326B1 (en) 2019-07-03 2021-07-26 고종규 L-spline pain reduce aid movement device
KR20210120719A (en) * 2020-03-27 2021-10-07 선재광 Spine Acupupoint Therapy
KR102334323B1 (en) * 2020-03-27 2021-12-02 선재광 Spine Acupupoint Therapy
WO2023022402A1 (en) * 2021-08-19 2023-02-23 (주)메드사피엔스 Spinal correction exercise equipment for physical therap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633Y1 (en) Non-motorized athletic equipment for pressing and strengthening muscle of a vertebra
US10561561B2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US8566985B2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CN207755536U (en) Physiotherapy is rested the head on leg
KR20090102595A (en) Improved spinal manipulation apparatus
KR101780277B1 (en)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US20100236560A1 (en) Asymmetrical and complexly-curved, passive, device for relieving back and spinal postural mechanical pain
KR20170090389A (en)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CN201328904Y (en) Vibrating traction hyperthermia bed
US20170112702A1 (en) Spinal column support
US8998832B2 (en) Body therapy device
CN105560011A (en) Intelligent spin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101849884B1 (en) App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RU183784U1 (en) SUPPORT SIMULATOR
RU2721142C1 (en) Height-adjustable rehabilitation therapeutic pillow
JP5114783B2 (en) Health exercise equipment
KR20210055815A (en) Self-exercising device for lumbar trunk muscle strengthening of upper body
KR100749454B1 (en) A reforming unit of backbone and neck disk
KR101955369B1 (en) Pelvis correction apparatus
KR101848645B1 (en) Functional cervical spine relaxation device
EP2640337B1 (en) Portable device for relaxing and reducing inflammation of the spine
KR101123693B1 (e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of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RU2725088C1 (en) Multi-vector therapeutic gymnastics
KR20170096992A (en) Spine Corrector for Physical Therapy
KR101638601B1 (en) Portable athletic goods for sp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