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83Y1 -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 Google Patents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583Y1
KR200476583Y1 KR2020140004727U KR20140004727U KR200476583Y1 KR 200476583 Y1 KR200476583 Y1 KR 200476583Y1 KR 2020140004727 U KR2020140004727 U KR 2020140004727U KR 20140004727 U KR20140004727 U KR 20140004727U KR 200476583 Y1 KR200476583 Y1 KR 200476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anel
mcc
operation switc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증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기전
Priority to KR2020140004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5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기제어반 즉, MCC(Motor Control Center)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동기제어반(MCC)은 현장의 전동기(Motor) 또는 전동기를 수반하는 모터펌프(Motor Pump) 등을 구동하도록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전기 판넬의 일종인 것이다.
본 고안의 전동기제어반은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제공되며 이를 위하여, 조작스위치모듈 및 MCC모듈이 각각 유니트 단위로 이루어져서 단자대결합부를 통하여 케이블이 결합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Description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
일반적으로 공장, 건물, 산업시설 등 다양한 곳에서 상하수 제어, 온도조절, 공조(air conditioning) 등을 위하여 수많은 전동기(Motor)가 가동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현장의 전동기 또는 전동기를 수반하는 모터펌프(Motor Pump)를 구동하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전기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판넬은 전동기제어반 즉, MCC(Motor Control Center)라고 불리우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전동기제어반은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전동기는 현장의 요구에 맞추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멈출 필요가 있으므로, 전자개폐기(電磁開閉器) 등을 이용한 회로(circuit)를 사용하여 전동기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전동기가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관리, 운용의 효율을 위하여 여러개의 전동기용 유니트(Unit)를 하나의 캐비넷에 집적한 형태의 전동기 전용 배전반을 제작하여 전동기를 제어하게 된다.
가령, 서랍 방식의 전동기제어반의 경우에는, 유니트를 수평으로 다단 설치하여서, 서랍식으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유니트의 결합과 분리가 쉽고, 유니트의 후면에 마련된 커넥터가 유니트의 착탈시에 하우징에 마련된 리셉터클에 자동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다음, 본 고안과 관련하는 배경기술을 알아보기로 한다.
전동기제어반(MCC)을 집합형 전동기제어반과 인출형 전동기제어반으로 나눌 수 있는 바,
집합형 전동기제어반은 하나의 메인전원 아래에 모든 전동기용 전자개폐기 회로들을 일렬로 배열해 놓은 형태이다. 따라서, 단 하나의 전동기용 회로, 또는 그 회로 내의 어느 부품이 하나만 오작동,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시설의 모든 전동기용 전원을 차단해야 하고, 또한 오작동, 고장이 발생한 부품이나 회로를 수리할 때까지 전원을 켜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애로의 해소를 위하여 인출형 전동기제어반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인출형 전동기제어반은 각 전동기용 회로를 유니트라고 하는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여 커다란 하우징에 다수의 유니트를 조립, 수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 예시된 개념도와 함께 전동기제어반과 관련하는 모습 및 케이블, 배선 형태 중 하나를 살펴보면,
하우징(500)에 도어(501)가 여닫이식으로 개폐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501)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를 잠그도록 되어 있다. 도어(501)에는 또한, 유니트(510)를 제어하기 위한 차단기 조작레버, 전원 온오프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압강하 트랜스포머, 전류 트랜스포머, 개폐기, 릴레이, 자동차단기, 휴즈, 타이머 등의 각종 전동기 제어용 부품이 수직으로 세워진 베이스 플레이트(502)에 조립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500)의 하부에는 전동기로의 결선을 위한 터미널 블록(503)이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 블록(50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02) 사이는 다수의 케이블(504)에 의해 결선된다. 하지만, 터미털 블록(50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02) 사이로 다수의 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배선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 기존의 일체형 전동기제어반모듈(인출형)의 경우에, 단위 부품 교환 시에 수많은 케이블을 분해하여 교체를 하게 되는데 이때, 결선이 잘못되는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이는 바로 오작동으로 이어지거나, 잘못된 결선에 의한 파손 등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품이 각각 분리되어 있게되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부피는 커지고 설치공간 활용도는 낮아진다.
본 고안은, 전동기제어반(MCC)을 유니트로 모듈화, 표준화하고 이와 관련되는 배선 작업을 간략화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면서도,
이를 통하여 기존의 전동기제어반(MCC)에 있어서, 단위 부품 교환의 요구가 있을 때에 작업자가 수많은 케이블을 분해하여 교체하는 작업중에 잘못된 결선의 가능성을 줄여서, 오류가 있는 결선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은 물론, 잘못된 결선에 의하여 발생가능성 있는 파손과 같은 심각한 장애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단위 부품들이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어있는 관계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이를 개선하여서 공간 사용도를 향상시켜 작업 효율을 기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동기제어반(MCC)은, 케이블의 결합과 해제가 필요한 유니트 단위별로 모듈화하여서 제어용 케이블을 단자결합부에 결집시켜 이를 결합시키거나 분해하여 이용의 편의를 도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작판넬; 상기 조작판넬에 배치되는 조작스위치; 조작스위치로부터 연결되는 조작스위치모듈측 케이블; 상기 조작스위치모듈측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를 포함하는 조작스위치모듈과,
장방형상의 판넬 형태로서, 그 상면의 전방측에 상기 판넬보다 너비가 적은 장방형상의 홈이 패여 서킷보드 수용층이 형성되고,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보다 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패이되 제1열 및 제2열 형태로 그루브가 생성되는 고정판넬;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에 저면으로부터 끼워져 안착하며, 상면에는 MCC모듈측 케이블을 결집하는 MCC모듈측 단자대가 부착되고, 회로가 배선되고, 저면에는 상기 그루브에 수용될 돌출부가 형성된 서킷보드; 상기 서킷보드의 후방측 상면에 각각 전방측 저면이 맞닿아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넬의 중,후방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서킷보드를 상기 고정판넬에 가압하는 MCCB 및 MC;을 포함하는 MCC모듈로 이루어져서,
상기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와 상기 MCC모듈측 단자대를 결합시켜 정상적인 가동을 수행하거나, 비상시에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서킷보드의 아래로 돌출하되 제1열 및 상기 제1열보다 뒤로 물러선 제2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보다 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패이되 제1열 및 제2열이 연결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그루브가 생성되어서 상기 돌출부를 수용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동기제어반(MCC)의 일체형 모듈화를 통하여 착탈 가능케 결합하여 유니트간의 접속 또는 분리를 쉽게 수행하도록 한다.
또, 복잡한 배선작업을 제거하여 작업의 간략화를 꾀할 수 있고, 고장수리 및 교체작업 시에 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잘못된 결선을 미연에 방지하고 오류, 오동작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서 잘못된 결선에 의하여 파손발생과 같은 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관련도가 높은 단위 부품들을 서로 밀접시켜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적은 공간을 사용하도록 하여서 시스템 전체의 설치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배경기술이 되는 전동기제어반(MCC)에 관한 도시이다.
도 1은 설치된 전체적인 형태를 사시도로 예시하여 보인 개념도.
도 2은 다른 예시의 전동기제어반을 정면에서 사진으로 보인 예시도.
다음은 본 고안의 전동기제어반(MCC)에 관한 도시이다.
도 3은 조작스위치모듈을 정면에서 사진으로 보인 예시도.
도 4는 MCC모듈을 위에서 사진으로 보인 평면 예시도.
도 5는 분해한 후 부분을 사진으로 보인 것으로서, A 위에서 보인 예시도: B 배선을 보이기 위해서 아래에서 보인 예시도:
단, 도 5 A의 서킷보드는 MCC 및 MCCB로부터 떨어져 이탈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 5 B의 서킷보드는 그 후방측이 MCC 및 MCCB의 각 전방측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임.
도 6은 MCC모듈의 사시도.
도 7은 서킷보드에 단자 등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A 측면도; B 저면사시도;
도 8은 고정판넬을 보인 것으로서, A 측면 투시도; B 사시도;
도 9는 MCC모듈의 저면 사시도. 단, 제어용 배선 및 전원선 도시를 생략
도 10은 MCC모듈의 측면 투시도로서, A 분해된 것을 예시; B 조립된 것을 예시.
도 11 A 및 B는 비교를 위하여 각기 다른 예시를 부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을 케이싱하는 케이스의 실시례를 사진 이미지로 보인 평면 예시도.
도 14 및 도 15는 다른 형태의 케이싱에 의한 케이스의 실시례를 사진 이미지로 보인 평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예시와 함께 본 고안 및 이와 관련하는 기술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구성이 이루어지는 데에 필요한 기술적 배경과 관련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한 번 더 살펴본다.
전동기제어반(MCC, Motor Control Center)은 전동기(모터펌프 포함)를 제어하거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판넬(Pannel)로서 그 내부에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 NFB(No Fuse Breaker); MC(Magnet Contactor); MPR(Motor Protectiom Relay):OCR(Over Current Relay) /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등이 구성요소로 자리하며 이들을 사용하여 모터를 보호, 제어한다. 더하여, CT(Current Transfomer): A-meter: V-meter: S/W, Lamp: 등이 기본적으로 들어간다.
이중에서 특히, 상기 MCCB / NFB는과부하 차단 보호가 목적인 것으로서 가령, 누전시에 흐르는 누설 전류가 그 정격전류를 넘어서면 OFF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과부하란 합선에 의한 과대전류, 부하(기기, 기계) 의 사용이 과다하여 전류의 과다한 흐름과 누전에 의한 과전류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MC는 외부의 신호(Signa)l에 의해 부하전류를 On/Off 해주는 기기이다. 이와 관련하여 MS(Magnetic Switch)가 있으며, 상기 MS는 과부하계전기가 조합된 상태로서 과부하계전기에서 발생되는 신호(Signal)가 접촉기 조작코일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으로 보면 개폐기는 접촉기에 과부하계전기(열동식, 전자식)가 부착된 제품이다.
한편,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라는 등의 신호를 로컬판넬(Local Pannel)에서 줄지 혹은, 분산제어시스템(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에서 줄지를 선택할 선택스위치(Select Switch)가 있는데,
상기 선택스위치의 선택을 따라서 로컬판넬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거나 혹은, 분산제어시스템(DCS)의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산제어시스템은 일종의 공정제어 통합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만일, MCC판넬 자체에 Remote/Local 선택스위치가 따로 있는 경우, 상기 선택스위치를 Remote에 놓으면 Local Panel 신호 또는 분산제어시스템(DCS) 신호에 따라 전동기가 구동된다. 가령, 상기 스위치를 Local에 놓으면 Local Panel 신호 또는 DCS 신호는 무시되고, MCC 자체에서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분산제어시스템(DCS)는 최종단계의 중앙감시시스템이 되는데, DCS 상위에는 OIS/ERP/RTDB/MES 등과 같은 상위정보시스템이 존재 가능하다.
상기 전술된 바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그 일부가 다른 것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동기제어반(MCC)의 개괄적인 형태를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합께 살펴보면,
도 3은 조작스위치모듈(2)을 보인 예시로서,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조작스위치(41)를 하나의 유니트, 모듈단위로 조작판넬(40)상에 배치한 것이다. 상기 조작스위치(41)는 제어용 배선 역할을 하는 조작스위치모듈측 케이블(90)으로 연결되어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120)(端子帶)에 결집하게 된다.
MCC모듈(1)과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6의 예시에서, MCCB(10) 및 MC(20)가 서로 결속되어있고, 이로부터 연결되어 나오는 MCC모듈측 케이블(50) 및 전원케이블(60)이 서킷보드(30) 또는 외부의 전원으로 연결되도록 되어있다.
MCCB(10)의 상면에는 이를 단속하기 위한 차단스위치(11)가 구성된다. 그리고 서킷보드(30)의 상면에는 조작스위치모듈(2)으로 연결을 목적으로 하는 MCC모듈측 단자대(110)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MCCB(10)는 NFB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MCC모듈측 단자대(110)와 상기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120)는 함께 단자대결합부(100)를 이룬다.
상기 MCCB(10)/MC(20)는 그 저면이 상기 서킷보드(3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또 전원케이블(60) 및 MCC모듈측 케이블(50)의 배선은 서킷보드(30)를 활용하여 한 곳에 모은다. 전원케이블 배선의 경우에 하나는 MCCB(10)로부터 다른 하나는 서킷보드(30)로부터 인출시켜 외부 전원에 연결시킨다. MCC모듈측 케이블(50) 의 경우는 모두 서킷보드(30)의 회로를 통하여 MCC모듈측 단자대(110)에 결집, 연결한다.
이와 같이 모터 제어에 필요한 모든 MCC모듈측 케이블(50)은 MCC모듈측 단자대(110) 한 곳으로 모아져서 이를 조작할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120)와 결속 또는 해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MCC모듈측 단자대(110)는 상기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120)와 정상적인 운용을 위하여 결속시키거나 또는, 고장수리 및 부품교환 등을 실시하기 위하여 결속을 해제시킨다.
상기 결속 및 해제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단위 부품 교환 시에 수많은 배선 케이블을 일일이 분해하여 교체를 하게 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이때, 결선이 잘못되는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이는 바로 오작동으로 이어지거나, 제어를 위한 각종 케이블의 잘못된 결선에 의한 기기 파손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본 고안의 구성과 같이 MCC모듈(1)은 물론, 조작스위치모듈(2)을 각각 하나의 유니트 형태로 각각 구성하고, MCC모듈측 단자대(110)와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120)를 필요에 따라 서로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면,
단위 부품 교환시에 각종 케이블 배선을 따로 분해하여 해제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종 케이블을 다시 결선할 시에 잘못된 결선으로 인한 오류 발생 확률이 적고, 오작동 및 파손 가능성은 매우 줄어들게 된다. 더하여, 부품이 각각 밀집되어서 하나의 유니트 단위의 모듈 형태를 취하므로 시스템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설치공간의 활용도가 높다.
여기에서, MCC모듈(1)의 경우에 MCCB(10), MC(20), 서킷보드(30) 및 고정판넬(70) 등 각 구성요소는 각각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을 위한 고정홈(81)을 가지는. 고정나사(80)로 상기 고정홈(81)을 조여서 전체를 하나의 모듈, 유니트 형태로 결속한다. 이는 도 4 내지 도 10의 예시를 참조한다. 특히, 도 10을 참조한다.
도 5 A 및 도 5 B는, 고정판넬(70)을 제거한 후에, 나머지 구성요소의 분해된 예시를 보인 것으로서 특히, 도 5 B의 예시는 서킷보드의 회로(31)를 보이기 위해서 아래, 저면을 보인 것이다. 한편, 도 5 A의 예시에서 서킷보드(30)는 MCCB(10)/MC(20)와 떨어져 놓여 있는 상태이고, 도 5 B 예시에서 서킷보드(30)는 MCCB(10)/MC(20)와 접촉하여 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5 B 및 도 7의 예시의 서킷보드(30) 저면을 보면. 외부로부터 배선 및 회로(31) 간의 필요한 납땜 등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튀어나오는 흔적이 이루는 돌출부(32)가 발생한다. 상기 돌출부(32)는 서킷보드(30) 저면이 길이를 따라 형성되며, 대략 좌측에 제1열(row1)이 자리하고 그리고 상기 제1열보다 조금 뒤로 물러서서 우측에 제2열(row2)이 배치되는 형태를 취한다. 상기 제1열, 제2열의 배치형태는 상기 서킷보드(30) 상면에 부착되는 MCC모듈측 케이블(50), MCC모듈측 단자대(110) 등 각 구성요소의 최적 배치에 따른 불가피한 것이다.
도 8의 예시와 같이, 고정판넬(70)의 상면에는 상기 서킷보드(30)를 안착시키고 고정하여 수용할 서킷보드 수용층(71)을 형성한다.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71)은 상기 고정판넬(70) 상면의 전방측(front)에 홈을 파서 만든다. 그 형태는 상기 서킷보드(30)의 형태에 대응하는 바, 상기 서킷보드(30)의 전체 넓이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 및 상기 서킷보드(30)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서킷보드 수용층(71)에 서킷보드(30)를 끼워 결착시키면, 서킷보드(30)의 상면은 고정판넬(70)의 상면 높이에 맞추어 동일한 높이의 면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MCCB(10)/MC(20)의 저면 전방측(front)이 서킷보드(30) 후방측(rear) 상면에 접하고, 상기 저면의 나머지 부분 즉, MCCB(10)/MC(20) 저면의 중간측 및 후방측은 상기 고정판넬(70) 상면의 중간측 및 후방측에 동일한 면상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도 5 B, 도 6, 도 9 및 도 10의 예시를 보면, MCCB(10)/MC(20)는 서킷보드(30)의 상면 후방측에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어서, 상기 MCCB(10)/MC(20)의 각 저면 전방측이 상기 서킷보드(30) 상면의 중,후방측에 맞닿아 놓인다. 이때, 별도로 고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 A와 같이 혼자 두면 배치된 상태에서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하지만 이에 따르면, 고정홈 형성 및 고정나사의 개수를 줄여서 비용을 저감하고 제작 및 분해작업의 편의, 신속처리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서킷보드(30) 및 상기 MCCB(10)/MC(20)는 각각 고정판넬(70)에 고정되면서 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로 결합한다. 따라서, 서킷보드(30)와 MCCB(10)/MC(20)를 별도로 결속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때, 도 6, 도 9 및 도 10의 예시와같이, 상기 MCCB(10)/MC(20)의 전방측 저면이 상기 서킷보드(30)의 후방측 상면을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부위(a1)가 생겨서 후방측은 자연히 고정되므로, 상기 서킷보드(30)는 그 전방측만을 상기 고정판넬(70)에 고정해도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에 의하면, 서킷보드(30) 저면에는 불가피하게 돌출부(32)가 발생하고, 상기 돌출부(32)는 서킷보드(30) 저면의 좌측(또는, 우측)에 제1열 그리고 우측(또는, 좌측)에 제2열 형태로 발생한다. 따라서, 고정판넬(70)의 상면에 상기 제1열 및 제2열 형태로 발생하는 돌출부(32)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 8의 예시와 같이, 고정판넬(70)의 상면에도 제1열 및 제2열로 배치되는 그루브(72)(groove)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72)는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71)의 면으로부터 더 아래로 홈이 패여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 및 제2열이 만나는 지점은, 평면에서 보아, 방향을 바꿔가면서 두 번 절곡(72a)된 지그재그 형태를 취한다.
전술한 구성의 형태를 취하는 상기 서킷보드(30) 및 상기 고정판넬(70)의 특장점은 도 11의 예시와 비교하여 볼 때 부각될 수 있다.
도 11 A의 예시에서, 서킷보드(30)는 고정판넬(70) 상면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어서 MCCB(10)/MC(20)까지 포함하여 떠받치는 구조이다. 이 경우는, 서킷보드(30)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MCCB(10)/MC(20)가 고정판넬(70)에는 접촉하지 않고 서킷보드(30)에만 접촉하므로 별도로 서킷보드(30)와 고정을 실시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도 11 A의 고정판넬(70) 예시처럼, 서킷보드(30) 또는 서킷보드 저면의 돌출부(32)를 수용하기 위하여 고정판넬(70) 상면의 전체를 파내게 수용층(73)을 만들 수 있는 바 이 경우에 우선, 고정판넬(70)의 구조적인 강도가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홈을 파내어야 하는 전체 부위가 커져서 제작상 더 많은 노력, 비용이 요구된다. 그런데, 돌출부(32)는 일정한 패턴으로 제1,2열 형태로 형성되므로 전체를 파낼 필요가 없는 것이다.
더하여, 도 11 B의 예시처럼, 고정판넬(70)에 홈을 파지 않고 서킷보드(30)와 고정판넬(70) 사이에 부목(74)을 대어서 수용층 또는 그루브를 대신할 간격(75)를 창출하는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별도로 상기 부목(74) 등을 준비해야 하므로 부속의 수가 증가하고, 각각 다른 부속을 서로 조합하는 회수가 증가하므로 구조적인 강도가 취약할 수 있으며, 제작시에 부목 등을 추가하여 조립하기 위한 공정 등으로 번잡하여진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도 11 A 및 도 11 B 예시의 실시는 구조적인 강성, 제작상 비용 등에 있어서 불리하다. 특히, 이런 문제점은 대량생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렵다.
반면, 도 3 내지 도 10에 예시된 실시는, 최소 크기의 서킷보드(30) 사용이 가능하며, MCCB(10)/MC(20)을 직접 고정판넬(70)에 고정할 수 있어서 결속력이 좋고, 구성요소간의 고정을 위하여 최소한의 고정홈 및 고정나사 사용을 취할 수 있고, 고정판넬(70)에 필요 최소한의 홈만을 파서 서킷보드 수용층(71) 및 돌출부를 수용하는 그루브(72)를 생성하면 되므로 고정판넬(70)의 강도를 유지시키면서 동시에 제작상의 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MCC모듈(1) 및 조작스위치모듈(2)을 보호 박스 또는 케이스(c10) 내에 케이싱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MCC모듈(1)은 케이스본체(c11)에 고정되어 수납되고, 상기 조작스위치모듈(2)은 케이스도어(c12)에 고정, 부착된다.
도 12의 도시는 상기 케이스본체(c11)가 상기 케이스도어(c12)에 의해 닫혀서 폐쇄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 것이고, 도 13의 도시는 상기 케이스본체(c11) 및 상기 케이스도어(c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힌지(c13)를 힌지축으로 케이스도어(c12)를 열어서 개방(open)시킨 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 케이스힌지(c14) 반대측에는 손으로 그립(grip)하여 개폐를 용이하게 하거나, 잠글 수 있도록 케이스시건장치(c14)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의 도시는 다른 형태의 케이싱에 의한 케이스(c20)를 예시한다.
도 14 도시의 경우 케이스도어(c22)가 닫혀 있는 경우에도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도어(c22)의 부재를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아크릴과 부재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내부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도 15의 예시처럼 케이스본체(c21)와 케이스도어(c2)의 일측을 힌지결합 시킨 케이스힌지(c23)를 축으로 열어서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케이스힌지(c23)의 반대측에는 그립 또는 잠금을 위하여 케이스시건장치(c24)를 둘 수 있다.
1 : MCC모듈
2 : 조작스위치모듈
10 : MCCB
20 : MC
30 : 서킷보드
40 : 조작판넬
50 : MCC모듈측 케이블
60 : 전원케이블
90 : 조작스위치모듈측 케이블
100 : 단자대 결합부
110 : MCC모듈측 단자대
120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

Claims (2)

  1. 전동기제어반(MCC)에 있어서,
    조작스위치모듈 및 MCC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스위치모듈은,
    조작판넬; 상기 조작판넬에 배치되는 조작스위치; 조작스위치로부터 연결되는 조작스위치모듈측 케이블; 상기 조작스위치모듈측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를 포함하고,
    상기 MCC모듈은,
    장방형상의 판넬 형태로서, 그 상면의 전방측에 상기 판넬보다 너비가 적은 장방형상의 홈이 패여 서킷보드 수용층이 형성되는 고정판넬;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에 저면으로부터 끼워져 안착하며, 상면에는 MCC모듈측 케이블을 결집하는 MCC모듈측 단자대가 부착되고, 회로가 배선되고, 저면에는 그루브에 수용될 돌출부가 형성된 서킷보드; 상기 서킷보드의 후방측 상면에 각각 전방측 저면이 맞닿아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넬의 중,후방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서킷보드를 상기 고정판넬에 가압하는 MCCB 및 MC;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스위치모듈측 단자대와 상기 MCC모듈측 단자대를 결합시켜 정상적인 가동을 수행하거나, 비상시에 상기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서킷보드의 아래로 돌출하되 제1열 및 상기 제1열보다 뒤로 물러선 제2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보다 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패이되 제1열 및 제2열이 연결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그루브가 생성되어서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며,
    상기 서킷보드 수용층이 상기 서킷보드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서킷보드의 상면과 상기 고정판넬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고,
    상기 MCCB 및 MC가 상기 서킷보드의 상면 후방측에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MCCB 및 MC의 저면 전방측이 상기 서킷보드의 상면 후방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위(a1)가 발생하고, 동일한 높이의 면상에서, 상기 MCCB 및 MC의 저면 중간측 및 후방측이 상기 고정판넬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2. 삭제
KR2020140004727U 2014-06-23 2014-06-23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KR200476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27U KR200476583Y1 (ko) 2014-06-23 2014-06-23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27U KR200476583Y1 (ko) 2014-06-23 2014-06-23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583Y1 true KR200476583Y1 (ko) 2015-03-11

Family

ID=5304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27U KR200476583Y1 (ko) 2014-06-23 2014-06-23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5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17B1 (ko) 2020-01-07 2020-11-09 주식회사 일렉콤 음성인식을 이용한 수배전설비의 보안점검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6459B2 (ja) * 2000-04-03 2003-04-14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電動機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6459B2 (ja) * 2000-04-03 2003-04-14 寺崎電気産業株式会社 電動機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17B1 (ko) 2020-01-07 2020-11-09 주식회사 일렉콤 음성인식을 이용한 수배전설비의 보안점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4036B1 (en)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s
CA2792345C (en) Plug-in circuit breaker assembly
KR0184646B1 (ko) 산업용 로보트의 제어 장치
CN203038864U (zh) 一种控制与保护开关电器
EP0180959B1 (en) Metalclad switchgear
KR200476583Y1 (ko) 모듈화되어 케이블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전동기제어반
KR101602700B1 (ko) 모듈화된 전동기제어반
CN203659675U (zh) 模块化的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203659676U (zh) 模块化的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106340429B (zh) 插入式断路器
KR102064110B1 (ko) 구조 변경이 가능한 인버터 스택
US20060072284A1 (en) Line interface module
CN106710972B (zh) 断路器
CN105679616B (zh) 断路器用电子式控制器及断路器
KR20170024912A (ko) 슬라이딩 출몰식 제어 유니트가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
CN205645717U (zh) 断路器用电子式控制器及断路器
CN106159784B (zh) 一种模块式低压电器
KR20040100029A (ko) 전동기 제어반
KR101627418B1 (ko) 전동기제어반
CN211980523U (zh) 模块化接触器
CN211579898U (zh) 电机控制装置、电机系统及设备
CN219833419U (zh) 飞轮储能控制柜
CN220172633U (zh) 一种满配版模块化不间断电源
JP4291036B2 (ja)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JP7320138B2 (ja) モジュール化されたコンタ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