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471Y1 -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471Y1
KR200476471Y1 KR2020120010029U KR20120010029U KR200476471Y1 KR 200476471 Y1 KR200476471 Y1 KR 200476471Y1 KR 2020120010029 U KR2020120010029 U KR 2020120010029U KR 20120010029 U KR20120010029 U KR 20120010029U KR 200476471 Y1 KR200476471 Y1 KR 200476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ain body
document
camera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046U (ko
Inventor
안무선
Original Assignee
(주)스페이스컨버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페이스컨버전스 filed Critical (주)스페이스컨버전스
Publication of KR20140002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0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apparatus for taking photographic images, e.g.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서를 스캔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명판의 상부에 위치된 문서의 이미지가 제 1, 2 미러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용이하게 반사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와 문서 간의 촬영 각도를 임의로 맞출 필요 없이 간단하게 문서를 스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SCANNING DEVICE WITH CAMERA}
본 고안은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서를 용이하게 스캔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너는 사진이나 각종문서, 도면 등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키는 장비로서, 광학 장치를 통해 인식할 입력 영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얻도록 구성된다. 스캐너는 원하는 그림, 사진, 글자 등을 스캐닝하여 입력하면 파일로 저장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많은 글씨가 적혀있는 내용을 일일이 자판을 통해 입력할 필요 없이 스캐너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읽어들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스캐너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IS(Contact Image Sensor)와 같은 광학장치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라인 단위로 스캔하게 되므로, 해상도는 높으나,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한편, 카메라 기술이 발달되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서영상을 획득하고 문서 영상에 포함된 문자 또는 사진들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인식함으로써 정보의 디지털 입력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473780호 등이 있다.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닝 기술은 기존의 라인 스캐너 방식보다 속도가 빠르며 해상도 또한 뛰어나다. 또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피씨(Tablet PC)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기능을 내장시켜서, 정보 획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런데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촬영 당시 카메라의 각도와 대상문서의 각도가 서로 맞아야만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와 문서 간의 촬영 각도를 맞춰주는 장치가 제시되지 않아,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 이미지를 얻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촬영을 해야되는 경우도 있고, 촬영 각도를 맞추기 위하여 불편한 자세로 촬영을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대부분의 문서는 책과 같이 제본된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 경우 촬영할 문서의 단면을 편평하게 촬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크기의 문서를 동일한 해상도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휴대용 카메라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문서를 촬영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휴대용 카메라는 촬영시 손떨림에 유의하지 않으면 명확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와 문서 간의 촬영 각도와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맞춰주고, 흔들림 없이 명확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측에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전측에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덮으며 그 상면에 문서 또는 책이 위치되는 투명판;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 1 미러; 및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 위치되는 제 2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미러의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되, 그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용 렌즈가 상기 관통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 1 미러에 맺힌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책의 이미지가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된 후 상기 렌즈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그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대향되도록 그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측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측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제 1 미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미러는 그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미러의 양측을 가리도록 이격 배치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미러의 전방에 상기 제 1 미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미러의 후방에 보조카메라가 구비되되, 상기 제 2 미러는 하프미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미러에서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되는 이미지는 상기 렌즈 방향으로 반사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미러를 투과하여 상기 보조카메라 방향으로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미러의 측부에 보조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 조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측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측과 후측 사이 양 측부는 제 1 측부와 제 2 측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대향되는 위치는 오목하게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2 오목부를 통하여 내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개방부의 테두리에서 상기 본체의 하측 방향을 따라 상부측부와 하부측부가 차례대로 위치되되, 상기 상부측부의 하측은 상기 하부측부의 상측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측부는 상기 투명판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며, 상기 책의 스캔되는 부분이 상기 투명판에 위치되고, 상기 책의 스캔되지 않는 부분이 상기 상부측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측부의 하측과 상기 하부측부의 상측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조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투명판의 상부에 위치된 문서의 이미지가 제 1, 2 미러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용이하게 반사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와 문서 간의 촬영 각도와 거리를 임의로 맞출 필요 없이 간단하게 문서를 스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카메라와 문서 간의 각도나 거리 등을 임의로 맞추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한 구조로 문서를 용이하게 스캔할 수 있어,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를 보면서, 촬영 상태를 즉석에서 바로 확인하거나, 문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상부측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스캔하고자 하는 책의 일측이 투명판에 위치될 때, 스캔되지 않는 책의 타측이 상부측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책의 일측이 투명판에 용이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본체 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문서가 스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문서가 스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제 1, 2 미러에 문서의 이미지가 맺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본체 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50)를 이용하여 문서(25)를 용이하게 스캔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 투명판(20), 제 1 미러(30), 조명부(35), 지지부재(40) 및 휴대용 단말기(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사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상측은 개방되어 제 1 개방부(1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4개의 측부가 구비되는데, 상세하게 본체(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전측부(13), 제 1 측부(16), 후측부(15), 제 2 측부(18)가 차례대로 구비되어, 전측부(13)와 후측부(15)가 상호 대향 위치되고, 제 1 측부(16)와 제 2 측부(18)가 상호 대향 위치된다. 그리고 전측부(13)의 하부는 개방되어 제 2 개방부(14)가 구비된다. 이때, 전측부(13)는 제 1 개방부(12)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부(13a)와, 지지부(13a)의 하측에서 본체(10)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판(20)은 사각의 투명유리 등으로 형성되며, 제 1 개방부(12)를 덮도록 본체(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투명판(20)의 상면에 스캔하고자 하는 문서(25)가 위치된다. 상기 문서(25)는 글자가 프린트된 일반 용지 또는, 책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판(20) 상면의 중심부에 눈금이나 중심표지, 규격선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문서(25)의 정확한 위치 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부가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제 1 미러(30)는 거울과 같은 것으로, 본체(10)의 내부 후측부(15)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본체(10)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어, 문서(25)의 이미지가 제 1 미러(30)에 맺히게 된다. 그리고 제 1 미러(30)를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내부 후측부(15)에는 그 상면이 본체(10)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 1 경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경사부(32)의 상면에 제 1 미러(30)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35)는 본체(10) 내부에서 투명판(20)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단순히 본체(10) 후측부(15)의 상부에 개방되는 공간으로 구비되어, 본체(10) 외부의 빛이 투명판(20)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체(10) 후측부(15)의 내측 상부 또는 제 1, 2 측부(16, 18)에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LED 등이 장착되어, 투명판(2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40)는 휴대용 단말기(50)를 지지하는 한편, 제 1 미러(30)에 맺힌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기(50)로 반사시키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50)가 지지되는 지지부(42)와, 지지부(42)의 내부에 제 1 미러(30)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2 미러(45)를 포함하며, 하기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50)는 카메라용 렌즈(52)가 내장된 단말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카메라용 렌즈(52)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및 디지털카메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부재(40)는 지지부(42)와, 제 2 미러(45)를 포함한다. 지지부(42)는 사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은 본체(10)의 제 2 개방부(14)를 통하여 본체(10) 내부 하측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본체(10)의 전측부(13)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지지부(42)의 일측은 개방되어 개방부(42a)가 구비되며, 제 1 미러(30)에 맺힌 이미지가 상기 개방부(42a)를 통하여 지지부(42) 내부로 반사된다. 그리고 지지부(42)의 상면에는 휴대용 단말기(50)가 위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 지지부(42)의 일측은 본체(10)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나,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지지부(42)는 본체(10)의 전측부(13)에서 그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그 일측이 제 1 미러(30) 방향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미러(45)는 제 1 미러(30)와 마찬가지로, 거울로 구성되며, 지지부(42)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된다. 이때, 지지부(42)의 상면에는 제 2 미러(45)의 상면 방향으로 통공 형상 또는 홈 형상으로 관통부(43)가 관통 형성되고, 지지부(42)의 상면에 지지되는 휴대용 단말기(50)는 그 내부에 내장되는 카메라용 렌즈(52)가 관통부(43)에 위치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부(42)의 일측 내부에는 경사진 제 2 미러(45)를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부(4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문서가 스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투명판(20)의 상면에 위치된 문서(25)의 이미지가 제 1 미러(30)에 맺히게 되고, 제 1 미러(30)에 맺힌 문서(25)의 이미지는 반사되어 제 2 미러(45)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미러(45)에 맺힌 문서(25)의 이미지는 휴대용 단말기(50)의 렌즈(52) 방향으로 반사되어, 상기 이미지가 상기 렌즈(52)에 결상된다. 그리고 렌즈(52)에 결상된 이미지는 휴대용 단말기(50)의 이미지센서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통상적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휴대용 단말기(50)에 내장된 전용어플 등을 통하여 문자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및 디지털 신호가 문자로 인식되는 과정은 통상적인 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 미러(30)와, 제 2 미러(45)의 경사진 각도는 예를 들면, 45°로 상호 동일하게 기울어져 있어, 렌즈(52)에 결상된 이미지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이미지의 왜곡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50)는 별도의 보정 작업 없이 제대로 된 인식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투명판(20)에 위치된 문서(25)의 이미지가 제 1, 2 미러(30, 45)를 통하여 지지부(42)의 관통부(43)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휴대용 단말기(50)에 장착된 카메라(52)를 관통부(43)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자동으로 촬영 각도가 맞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서(25)를 스캔할 때, 휴대용 단말기(50)에 장착된 카메라(50)와 문서(25) 간의 촬영 각도를 임의로 맞출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52)와 문서(25) 간의 각도나 거리 등을 임의로 맞추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한 구조로 문서(25)를 용이하게 스캔할 수 있어, 제조 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50)는 그 하측에 카메라(52)가 위치되고, 그 상측에 디스플레이부가 위치되는데, 상기 카메라(52)를 이용하여 문서(25)를 촬영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직접 보면서, 촬영 상태를 즉석에서 바로 확인하거나 문서(25)의 위치 등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제 2 미러(45')가 하프미러(half mirror)로 변경되고, 제 2 미러(45')의 측부에 보조카메라(55)가 더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사각면체 형상의 본체(10),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되는 투명판(20), 본체(10)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미러(30), 조명부(35), 지지부재(40) 및 휴대용 단말기(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부재(40)의 지지부(42) 내부에 구비되는 제 2 미러(45')는 하프미러(half mirror)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빛을 전반사하지만 유리 후면의 금속막을 얇고 조밀하지 않게 도포하면 앞에서 입사하는 빛을 전반사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 2 미러(45')는 50%는 반사하고 50%는 투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미러(30)에서 제 2 미러(45')의 전방으로 입사되는 빛의 50%는 휴대용 단말기(50)의 렌즈(52)로 반사되고, 나머지 50%는 제 2 미러(45')의 후방으로 투과된다.
그리고 지지부재(40)는 지지부(42)와, 제 2 미러(45') 이외에, 보조카메라(55)를 더 구비한다. 보조카메라(55)는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것으로, 지지부(42) 내부에 위치되되 제 2 미러(45')의 후방에 위치되어, 제 2 미러(45')의 후방으로 투과되는 이미지가 보조카메라(55)에 맺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는 제 1 미러(30)의 경사진 각도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변형이 되어 있으므로, 보조카메라(55) 내부에는 상기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의 각도 보정 작업은 디지털 카메라가 갖는 통상적인 기능 중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50) 이외에 별도의 보조카메라(55)를 더 구비하므로, 제 1 미러(30)에서 반사되는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기(50) 또는 별도의 보조카메라(55)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문서(25) 또는 촬영된 문서(25)에 포함된 글자를 따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지지부(42)에 디지털카메라(51)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디지털카메라(51)는 제 1 미러(30)에서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통상적인 카메라 렌즈(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 렌즈(52)는 관통부(4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신호는 자체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는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되거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미러(30)에서 제 2 미러(45)로 반사되는 이미지가 디지털카메라(51)에 맺힐 때, 상기 디지털카메라(51)에 맺힌 이미지는 거리, 각도 등에 따라, 일정 길이 만큼 변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카메라(51)에서 저장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저장할 때, 상기 이미지의 거리, 각도 등을 보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미지의 보정 작업은 이미지 처리기술이 갖는 통상적인 기능 중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디지털카메라(51)를 구비하므로, 제 1 미러(30)에서 반사되는 이미지를 디지털카메라(51)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문서(25) 또는 촬영된 문서(25)에 포함된 글자를 따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미러(45)의 측부에 보조카메라(57)가 더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보조카메라(57)는 제 1 미러(30)에서 입사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통상적인 카메라 랜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기신호는 자체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는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되거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보조카메라(57)는 제 2 미러(45)의 측부에 구비되므로, 제 2 미러(45)의 중심에서 일정 길이(d)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미러(30)에서 제 2 미러(45)로 반사되는 이미지가 보조카메라(57)에 맺힐 때, 상기 보조카메라(57)에 맺힌 이미지는 제 1 미러(30)의 경사진 각도에 의하여 비스듬하게 변형되어 있음은 물론, 일정 길이 만큼 변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조카메라(57)에서 저장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저장할 때, 상기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의 각도 보정 및 길이 보정 작업은 디지털 카메라가 갖는 통상적인 기능 중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50) 이외에 별도의 보조카메라(57)를 더 구비하므로, 제 1 미러(30)에서 반사되는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기(50) 또는 별도의 보조카메라(57)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본체(10')에 제 1, 2 오목부(17, 19)를 구비하고, 본체(10')의 제 1, 2 측부(16, 18)에 조명부(37)가 장착된다.
제 1 오목부(17)와 제 2 오목부(19)는 본체(10')에 구비되는 제 1 측부(16)와 제 2 측부(18)의 휴대용 단말기(50)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측부(16)와 제 2 측부(18) 사이의 폭보다 더 큰 휴대용 단말기(50')가 지지부재(40)의 지지부(42) 상면에 위치될 때, 휴대용 단말기(50')의 양 측부가 제 1 오목부(17)와 제 2 오목부(19)를 통하여 제 1 측부(16)와 제 2 측부(18)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42)의 상면 크기보다 작은 휴대용 단말기(50: 도 1 도시)는 물론, 지지부(42)의 상면 크기보다 큰 휴대용 단말기(50'), 예를 들면 아이패드와 같은 큰 휴대용 단말기(50') 또한, 지지부(42)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조명부(37)는 본체(10')의 제 1 측부(16) 또는 제 2 측부(18)에 장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37)는 LED 등을 포함하며, 투명판(2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본체(10')의 제 1, 2 측부(16, 18)의 일측 상부가 전측부(13)의 경사부(13b)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1 미러(30')와 제 2 미러(45')가 역삼각형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40')의 미러안내부(47)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는 전측부(13), 제 1 측부(16), 후측부(15) 및 제 2 측부(18)를 포함하고, 제 1, 2 측부(16, 18)의 일측 즉, 전측부(13) 방향 상부는 지지부(13a)와 경사부(13b)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2 측부(16, 18)의 일측 하부는 오목하게 제 1, 2 오목부(17', 19')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내부 후측부(15)에는 제 1 미러(30')가 본체(10')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데, 상기 제 1 미러(30')는 그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40')는 지지부(42)와, 제 2 미러(45')를 포함한다. 지지부(42)는 본체(10')의 제 2 개방부(14)를 통하여 본체(10') 내부 하측에 위치되고 그 타측은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42) 내부에 한 쌍의 미러안내부(47)가 위치되며, 한 쌍의 미러안내부(47) 사이에 제 2 미러(45')가 위치된다.
제 2 미러(45')는 지지부(42)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된다. 이때, 제 2 미러(45')는 그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42)의 상면에는 제 2 미러(45')의 상면 방향으로 관통부(43)가 관통 형성되고, 휴대용 단말기(50)가 지지부(42)의 상면에 지지될 때, 휴대용 단말기(50)의 카메라용 렌즈(52)가 관통부(43)를 통하여 제 2 미러(45') 방향에 위치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이용하여 문서가 스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제 1, 2 미러에 문서의 이미지가 맺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투명판(20)에 놓여진 문서(25)의 이미지(I)가 제 1 미러(30')에 맺히게 된다. 이때, 제 1 미러(30')의 상측과 문서(25) 간의 거리는 짧고(h1), 제 1 미러(30')의 하측과 문서(25) 간의 거리는 길게(h2) 구성되므로, 제 1 미러에 맺히는 문서의 이미지(I)는 제 1 미러(30')의 형상과 대응되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미러(30')에 이미지(I)가 맺힐 때, 상기 이미지(I)가 제 1 미러(30') 전체에 걸쳐 맺히게 되거나, 제 1 미러(30')의 테두리를 따라 약간의 공간만이 형성되도록 맺히게 된다. 그리고 제 2 미러(45') 또한, 그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 1 미러(30')에서 반사되는 이미지(I)가 제 2 미러(45')에 맺힐 때, 상기 이미지(I)가 제 1 미러(30') 전체에 걸쳐 맺히게 되거나, 제 1 미러(30')의 테두리를 따라 약간의 공간만이 형성되도록 맺히게 된다.
그리고 제 2 미러(45')에 맺힌 문서(25)의 이미지(I)는 휴대용 단말기(50)의 렌즈(52) 방향으로 반사되어, 상기 이미지(I)가 렌즈(52)에 결상된다. 이에 따라 렌즈(52)에 결상되는 이미지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을 자르는 보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본체(10'')의 제 1 측부(16')가 제 1 상부측부(16b), 제 1 연결부(16c) 및 제 1 하부측부(16a)를 포함하고, 제 2 측부(18')가 제 2 상부측부(18b), 제 2 연결부(18c) 및 제 2 하부측부(18a)를 포함하고, 제 1 측부(16')와 제 2 측부(18') 사이에 전측부(13')와 후측부(15)를 구비하며, 전측부(13')에 제 2 개방부(14)가 구비된다.
제 1 측부(16')는 제 1 상부측부(16b)와 제 1 하부측부(16a)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차례대로 구비되며, 제 1 상부측부(16b)의 하측은 제 1 하부측부(16a)의 상측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1 상부측부(16b)의 하측과 제 1 하부측부(16a)의 상측 사이에 제 1 연결부(16c)가 일체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체(10'')의 제 1 개방부(12)의 테두리는 제 1 하부측부(16a)의 상측에서 그 상부에 위치되는바, 제 1 개방부(12)의 테두리 역할을 하는 제 1 상부측부(16b)의 상측 또한, 제 1 하부측부(16a)의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개방부(12)를 덮도록 위치되는 투명판(20)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상부측부(16b)는 투명판(20)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책(27)의 경우, 제본되어 있어, 스캔하고자 하는 책(27)의 일측과 스캔하지 않는 책(27)의 타측을 모두 투명판(20)에 위치시키게 되면, 책(27)의 중앙이 투명판(20)에 밀착되지 못하고 뜨게 된다. 그런데 본 고안은 제 1 상부측부(16b)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캔하고자 하는 책(27)의 일측이 투명판(20)에 위치될 때, 스캔되지 않는 책(27)의 타측은 제 1 상부측부(16b)에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책(27)의 일측이 투명판(20)에 용이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연결부(16c)의 상면에는 제 1 조명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실시예의 조명부(35: 도 2 도시)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명부(36)에서 발산되는 빛이 투명판(20)으로 향하게 되면 그 빛이 투명판(20)에 비치거나 반사되어, 책(27)의 이미지가 제대로 스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 1 조명부(36)는 제 2 측부(18')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며, 제 1 상부측부(16b)의 상측과 제 1 하부측부(16a)의 상측은 상호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제 1 조명부(36)에서 발산된 빛이 투명판(20) 방향으로 향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 2 측부(18')는 제 1 측부(16')와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상부측부(18b)와 제 2 하부측부(18a)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차례대로 구비되며, 제 2 상부측부(18b)의 하측은 제 2 하부측부(18a)의 상측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상부측부(18b)의 하측과 제 2 하부측부(18a)의 상측 사이에 제 2 연결부(18c)가 일체로 연결되며, 제 2 연결부(18c)의 상면에 제 2 조명부(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측부(18')는 제 1 측부(16')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제 2 측부(18')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 2 측부(18: 도 2 도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2 조명부(36') 또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6 실시예에서 제 1, 2 미러(30', 45': 도 9 도시)는 역삼각형 및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2 미러(30', 45')에 이미지가 맺힐 때, 상기 이미지(I)가 제 1 미러(30') 전체에 걸쳐 맺히게 되거나, 제 1 미러(30')의 테두리를 따라 약간의 공간만이 형성되도록 맺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 7 실시예의 제 1, 2 미러(30, 45)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 1, 2 미러(30, 45)에 맺히는 삼각 형상의 이미지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까지 렌즈(52)로 전달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제 1 미러(30)의 양측에 제 1 가림막(31) 한 쌍이 상호 이격되도록 부착하되, 그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여, 제 1 미러(30)의 노출된 부분 즉, 이미지가 맺히는 부분이 역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제 2 미러(45)의 양측에 제 2 가림막(45a) 한 쌍이 상호 이격되도록 부착하되, 그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여, 제 2 미러(45)의 노출된 부분이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제 1, 2 미러(30, 45)에 맺히는 이미지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이 제 1, 2 가림막(31, 45a)으로 가려지도록 한다. 이때, 제 2 가림막(45a)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책(27)의 이미지가 제 1 미러(30)에 맺힐 때, 또는 제 1 미러(30)에서 반사되는 이미지가 제 2 미러(45)에 맺힐 때, 제 1, 2 미러(30, 45)의 노출된 부분 전체에 걸쳐 맺히게 되며, 그 결과, 렌즈(52)에 결상되는 이미지 이외의 불필요한 부분을 별도로 자르는 보정 작업을 따로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는 상기 제 7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 1 상부측부(16b: 도 14 도시)와 제 2 상부측부(18b: 도 14 도시)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10'')의 제 1 측부(16')는 제 1 상부측부(16b'), 제 1 연결부(16c) 및 제 1 하부측부(16a)를 포함하고, 제 2 측부(18')는 제 2 상부측부(18b'), 제 2 연결부(18c) 및 제 2 하부측부(18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상부측부(16b')는 제 1 하부측부(16a)의 외측에 위치되되 제 1 하부측부(16a)와 수평하게 위치되고, 제 2 상부측부(18b')는 제 2 하부측부(18a)의 외측에 위치되되 제 2 하부측부(18a)와 수평하게 위치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10', 10'': 본체 12: 제 1 개방부
13: 전측부 13a: 지지부
13b: 경사부 14: 제 2 개방부
15: 후측부 16, 16': 제 1 측부
16a: 제 1 하부측부 16b, 16b': 제 1 상부측부
16c: 제 1 연결부 17, 17': 제 1 오목부
18, 18': 제 2 측부 18a: 제 2 하부측부
18b, 18b': 제 2 상부측부 18c: 제 1 연결부
19, 19': 제 2 오목부 20: 투명판
25: 문서 26: 책
30, 30': 제 1 미러 31: 제 1 가림막
32: 제 1 경사부 35: 조명부
36: 제 1 조명부 36': 제 2 조명부
37: 조명부 40, 40': 지지부재
42: 지지부 42a: 개방부
43: 관통부 45, 45': 제 2 미러
45a: 제 2 가림막 46: 제 2 경사부
47: 미러안내부 50, 50': 휴대용 단말기
51: 디지털카메라 52: 렌즈
55: 보조카메라 57: 보조카메라

Claims (13)

  1.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측에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전측에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덮으며 그 상면에 문서 또는 책이 위치되는 투명판;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 1 미러; 및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 위치되는 제 2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미러의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되, 그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용 렌즈가 상기 관통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 1 미러에 맺힌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책의 이미지가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된 후 상기 렌즈로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미러는 그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2.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측에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전측에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덮으며 그 상면에 문서 또는 책이 위치되는 투명판;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 1 미러; 및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 위치되는 제 2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미러의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되, 그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용 렌즈가 상기 관통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 1 미러에 맺힌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책의 이미지가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된 후 상기 렌즈로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미러의 양측을 가리도록 이격 배치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3.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측에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전측에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덮으며 그 상면에 문서 또는 책이 위치되는 투명판;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 1 미러; 및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 위치되는 제 2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미러의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되, 그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용 렌즈가 상기 관통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 1 미러에 맺힌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책의 이미지가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된 후 상기 렌즈로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미러의 전방에 상기 제 1 미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미러의 후방에 보조카메라가 구비되되, 상기 제 2 미러는 하프미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미러에서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되는 이미지는 상기 렌즈 방향으로 반사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미러를 투과하여 상기 보조카메라 방향으로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4.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측에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전측에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덮으며 그 상면에 문서 또는 책이 위치되는 투명판;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 1 미러; 및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 위치되는 제 2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미러의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되, 그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용 렌즈가 상기 관통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 1 미러에 맺힌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책의 이미지가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된 후 상기 렌즈로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미러의 측부에 보조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5.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되 그 상측에 제 1 개방부가 구비되고, 그 전측에 제 2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 1 개방부를 덮으며 그 상면에 문서 또는 책이 위치되는 투명판;
    상기 본체의 내부 후측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본체의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제 1 미러; 및
    개방된 일측이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되 그 상면이 상기 제 1 미러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 위치되는 제 2 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미러의 상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되, 그 내부에 내장된 카메라용 렌즈가 상기 관통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제 1 미러에 맺힌 상기 문서 또는 상기 책의 이미지가 상기 제 2 미러로 반사된 후 상기 렌즈로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측과 후측 사이 양 측부는 제 1 측부와 제 2 측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대향되는 위치는 오목하게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2 오목부를 통하여 내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대향되도록 그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측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측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제 1 미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조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측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은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개방부의 테두리에서 상기 본체의 하측 방향을 따라 상부측부와 하부측부가 차례대로 위치되되, 상기 상부측부의 하측은 상기 하부측부의 상측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부는 상기 투명판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위치되며,
    상기 책의 스캔되는 부분이 상기 투명판에 위치되고,
    상기 책의 스캔되지 않는 부분이 상기 상부측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부의 하측과 상기 하부측부의 상측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조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KR2020120010029U 2012-09-28 2012-11-02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KR2004764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8804 2012-09-28
KR2020120008804 2012-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46U KR20140002046U (ko) 2014-04-07
KR200476471Y1 true KR200476471Y1 (ko) 2015-03-05

Family

ID=5244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29U KR200476471Y1 (ko) 2012-09-28 2012-11-02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47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6328A (ja) * 2004-11-16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読取装置
KR100871855B1 (ko) * 2006-12-01 2008-12-03 정승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한 책 스캐너
KR20100103983A (ko) * 2009-03-16 2010-09-29 홍영표 투명창과 조명기를 갖는 콤팩트 촬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6328A (ja) * 2004-11-16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読取装置
KR100871855B1 (ko) * 2006-12-01 2008-12-03 정승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한 책 스캐너
KR20100103983A (ko) * 2009-03-16 2010-09-29 홍영표 투명창과 조명기를 갖는 콤팩트 촬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46U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06B1 (ko) 핸디 스캐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870815B2 (ja) 被写体上に内在する不可視イメージを観測しながら簡易に撮影ができる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する方法
JP3929437B2 (ja) 撮影補助装置及び撮影方法
JP2004279733A (ja) 拡大撮像用ユニット
US89654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TWI401947B (zh) 可攜式影像擷取及攝影裝置
CN108780266A (zh) 对照装置
US20220067318A1 (en) Card reader
KR20100097282A (ko) 문서 촬영이 용이한 휴대폰
JP2016178464A (ja) 画像読取装置
KR200476471Y1 (ko)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US20220147728A1 (en) Card reader
EP2326075A2 (en) Film scanner
KR100935201B1 (ko)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US20070013971A1 (en) Imaging System Utilizing Illumination and Optical Modules Contained within Rotating Optical Platens
JP2014039150A (ja) 撮影装置
JP2005045317A (ja) カメラ付き筐体折畳み形電子機器
JP2004158017A (ja) 情報端末装置
US20170180642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ocument imaging facility and method
JP4235811B2 (ja) 携帯撮像機
KR101460685B1 (ko) 초소형 스캐너
Mariano et al. Correcting specular noise in multiple images of photographed documents
JP2007195133A (ja) 光源カバーをピボット可能な映像スキャナ
JP2008034919A (ja) スキャナ内蔵携帯通信端末
KR100353091B1 (ko) 무광원 스케닝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