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201B1 -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 Google Patents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201B1
KR100935201B1 KR1020090056105A KR20090056105A KR100935201B1 KR 100935201 B1 KR100935201 B1 KR 100935201B1 KR 1020090056105 A KR1020090056105 A KR 1020090056105A KR 20090056105 A KR20090056105 A KR 20090056105A KR 100935201 B1 KR100935201 B1 KR 10093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target object
imag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보
Original Assignee
(주)바램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램시스템 filed Critical (주)바램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5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31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8Size or dimensions
    • H04N1/00716Thick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가 개시된다. 촬상부는 슬롯 형태의 객체 투입구를 통과하는 대상객체 상에서 객체 투입구에 의해 형성된 촬영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복수의 부분영상을 출력한다. 영상처리부는 복수의 부분영상을 결합하여 대상객체에 대응하는 하나의 객체영상을 생성한다. 구동부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어 객체 투입구 내에서 상기 대상객체를 지지하며, 대상객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회전 속도가 변화한다. 촬상제어부는 구동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촬상부의 촬영 주기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에서 사용되는 소형 카메라에 의해 촬상부를 구현함으로써, 스캐너의 두께를 감소시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객체의 이미지 자체를 촬영하여 객체영상을 생성함으로써 문자만을 인식하는 경우에 비해 대상객체의 특성을 보존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구별이 용이하게 된다.
명함, 스캔, 열람, 소형 카메라, 영상 결합

Description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Portable scanner with namecard scanning and viewing function}
본 발명은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명함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명함은 자신의 성명, 전화번호 및 주소 등을 알리기 위해 편리하게 사용되는 수단이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의 명함 자체를 모두 소지하고 다니게 되면 명함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특정인의 정보를 찾기 위해 모든 명함을 일일이 검토하여야 하며, 명함을 이름 순과 같이 일정한 기준으로 정리한다 하여도 원하는 명함을 찾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명함은 별도로 보관하고, 명함에 기재된 성명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는 PDA 등의 휴대용 저장장치에 직접 입력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 역시 수많은 문자를 직접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명함에 기재된 문자를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스캐너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스캐너는 성명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단순한 스캔 과정만으로 빠르게 저장할 수 있으며, 정보 검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런데 각각의 명함에는 특수한 도안 내지 로고,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인의 사진이 성명 등의 정보와 함께 기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로고 등은 개인의 특성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때 위와 같은 휴대용 스캐너는 로고와 같은 도안은 인식하지 못하며 문자만을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저장 과정에서 개개인의 특성이 사라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명함의 도안 자체를 스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명함의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스캐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스캐너는 휴대용으로 항상 지니고 다닐 수 있어야 하므로 독립적인 동작 및 크기가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너는 그림이나 문자 등의 형태를 읽은 다음 그 결과를 연결된 컴퓨터로 전송하여 모니터 상에 표시하거나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경우에 스캐너에 의해 읽혀진 문자는 컴퓨터 상에서 문자를 인식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진이나 문서 등을 스캔하여도 그 결과를 확인하고 이후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스캐너는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어려웠다.
또한 기존의 스캐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 : CIS)를 사용하는데, CIS는 유리면에 밀착된 대상물을 스캔하여 데이터화하는 소형 화상입 력장치로서, 셀폭렌즈(selfoc lens) 기반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십 mm 이상의 두께로 구현된다.
도 1은 셀폭렌즈를 기반으로 하여 명함을 스캔하는 기존의 스캐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IS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LED 어레이, 상단에 스캔 대상이 밀착되는 유리커버, LED 어레이로부터 방사되고 유리커버에 반사된 빔(beam)을 통과시키는 셀폭렌즈 어레이, 그리고 셀폭렌즈를 통과한 빔을 감지하는 수광소자(photo detector) 어레이로 구성된다. 또한 유리커버 상단에 스캔 대상인 명함을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롤러가 사용된다. CIS도 소형화를 위해 사용되는 센서이긴 하지만,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스캐너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와의 연결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크기를 최소화시켜 휴대성이 우수한 휴대용 스캐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는, 슬롯 형태의 객체 투입구를 통과하는 대상객체 상에서 상기 객체 투입구에 의해 형성된 촬영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복수의 부분영상을 출력하는 촬상부; 상기 복수의 부분영상을 결합하여 상기 대상객체에 대응하는 하나의 객체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롤러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객체 투입구 내에서 상기 대상객체를 지지하며, 상기 대상객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회전 속도가 변화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촬영 주기를 설정하는 촬상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에 의하면, 이동단말에서 사용되는 소형 카메라에 의해 촬상부를 구현함으로써, 스캐너의 두께를 감소시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객체의 이미지 자체를 촬영하여 객체영상을 생성함으로써 문자만을 인식하는 경우에 비해 대상객체의 특성을 보존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구별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객체감지부(210), 촬상부(220), 구동부(230), 촬상제어부(240), 영상처리부(250), 저장부(2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를 구비한다.
촬상부(220)는 슬롯 형태의 객체 투입구를 통과하는 대상객체에 대하여 객체 투입구에 의해 형성된 촬영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복수의 부분영상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명함을 스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대상객체가 명함인 경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상객체가 명함인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롯 형태의 촬영영역을 통과할 수 있는 객체는 어느 것이든지 본 발명의 적용 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소형 명함케이스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외부용기(200) 내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구비되며, 외부용기(200)의 상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가 구비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에 해당하 며,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키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의 옆쪽으로는 슬롯 형태의 객체 투입구(320)가 구비된다. 명함 등의 대상객체(310)는 외부용기(20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객체 투입구(320)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며, 그동안 촬상부(220)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진다. 한편, 슬롯 형태의 객체 투입구(320)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 뿐 아니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2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대상객체(310)가 외부용기(200)의 너비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용기(200)에는 부가적으로 덮개가 구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객체 투입구(32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용기(200)의 일 측면에는 전원스위치(330) 및 뒤에서 설명할 촬영개시 스위치(340)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스캐너에 대한 A-A' 방향의 단면도 및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휴대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박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휴대폰 등의 소형 단말장치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부(22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면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의 너비는 80~85mm,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의 두께는 약 3mm, 외부용기(200)의 너비는 90~110mm, 그리고 외부용기(200)의 두께는 5~11mm의 범위를 가지도록 구현하여 실제 사용되는 명함의 크기와 거의 유사한 규격을 가지 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외부용기(200)의 두께는 촬상부(220)에 의해 얻어지는 부분영상의 길이와 직결되어 촬상부(220)의 촬영 주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가장 적절한 값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촬상부(220)의 초점거리, 즉 객체 투입구(320)로부터 촬상부(220)까지의 거리 및 촬상부(220)의 촬영각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가지도록 결정된다.
Figure 112009038066758-pat00001
여기서, D는 대상객체(310)의 폭, L은 촬상부로부터 객체 투입구(320)까지의 거리, 그리고 θ는 촬상부(220)의 촬영각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대상객체(310)의 폭이 56mm이고 카메라의 촬영각 θ가 56°라 할 때 초점거리 L=28/tan(56/2)=53mm 정도로 정해진다.
촬상부(220)로 소형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스캐너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촬영영역의 크기가 대상객체(310)의 크기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가 한 번에 대상객체(310)의 전부를 촬영할 수 없으므로 촬상부(220)가 대상객체(310)에서 촬영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속으로 촬영하면 이후 하나의 영상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영상처리부(250)에 의한 영상 결합 과정에 대하여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촬상부(220)에 의해 객체 투입구(320) 내부에서 이동하는 대상객체(310)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동안 대상객체(310)는 구동부(230)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부(230)는 회전 가능한 롤러(230A) 및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230B)에 의해 구현되어 객체 투입구(320) 내에서 대상객체(310)를 지지하는 동시에 대상객체(31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인 스캐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에서도 스캔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의 벽에 밀착되어 이동 방향 외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구동부의 구동기어(230B)는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를 통과할 때 롤러(230A)를 대상객체(31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대상객체(310)가 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 없이 객체 투입구(32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230)의 뒤쪽에 스프링 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구동부(230)가 객체 투입구(320)의 벽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230)가 대상객체(310)를 지지함으로써 촬상부(22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부분영상은 좌우 폭이 일정하게 맞추어져 영상처리부(250)에서 결합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촬상제어부(240)는 구동부(23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촬상부(220)의 촬영 주기를 설정한다. 촬상부(220)에 의해 대상객체(310)의 모든 부분에 대해 촬영된 부분영상이 얻어져야 영상처리부(250)에 의해 완전한 객체영상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촬상부(220)의 촬영 주기를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단위 시간당 촬상부(220)의 촬영 횟수가 너무 많으면 시간적으로 인접한 부분영상 사이에서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져 영상처리부(250)에 의한 객체영상의 생성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촬상부(220)의 촬영 횟수가 너무 적으면 인접한 부분영상 사이에 중복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영상처리부(250)에서 결합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촬영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구동부(230)의 회전 속도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대상객체(310)를 객체 투입구(320)에 통과시킬 때 대상객체(310)의 이동 속도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고, 구동부(230)가 사전에 설정된 회전 속도에 의해 자동으로 객체 투입구(320) 내에서 대상객체(310)를 이동시킬 때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다. 특히 객체 투입구(320)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된 경우에는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를 통과하는 것이 아니고 객체 투입구(320)에 완전히 투입되었다가 투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객체 투입구(320) 내부에서 대상객체(310)의 이동이 구동부(23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촬상제어부(240)는 이러한 구동부(230)의 회전 속도에 부가적으로 촬영영역의 크기, 롤러(230A)와 구동기어(230B)의 지름 등을 고려하여 단위 시간당 촬상부(220)의 촬영 횟수를 설정한다.
먼저, 하나의 대상객체(310)에 대해 스캔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2초라고 할 때, 구동부(230)의 롤러(230A) 및 구동기어(230B)의 초당 회전수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9038066758-pat00002
여기서, NR은 롤러(230A)의 초당 회전수, L은 대상객체(310)의 길이, DR은 롤러(230A)의 직경, NG는 구동기어(230B)의 초당 회전수, 그리고 DG는 구동기어(230B)의 직경이다.
위 수학식 2를 구체적인 예에 적용하면, 대상객체(310)인 명함의 길이가 100mm이고 롤러(230A)의 직경이 6mm, 구동기어(230B)의 직경이 1mm일 때 구동기어(230B)의 초당 회전수는 (100mm/(π×6mm))×(6mm/1mm)=31.8회/초가 된다.
다음으로 촬상제어부(240)는 롤러(230A)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230B)의 구동펄스를 산출하여 촬상부(220)의 촬영 주기를 설정한다. 구동부(230)가 1펄스당 18°를 회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산출되는 구동펄스의 값은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09038066758-pat00003
여기서, P는 구동펄스, G는 촬영영역의 세로 길이, DR은 롤러(230A)의 직경, 그리고 DG는 구동기어(230B)의 직경이다.
예를 들면, 촬영영역, 즉 부분영상의 세로 길이가 3mm, 구동기어(230B)의 초당 회전수가 30회/초, 롤러(230A)의 직경이 6mm, 그리고 구동기어(230B)의 직경이 1mm일 때 부분영상이 연속적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펄스는 360/18×{3mm/(π×6mm)}×(6mm/1mm)=19회가 된다. 따라서 촬상부(220)가 누락되는 부분 없이 대상객체의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촬상제어부(240)는 촬상부(220)의 연속적인 촬영 동작 사이에서 구동펄스의 값이 19회를 넘지 않도록 촬영 주기를 설정하여야 한다.
촬상부(220)는 촬상신호를 입력받아 촬영을 개시하며, 촬상제어부(240)는 위와 같이 구동부(230)의 회전 속도 및 구동펄스를 기초로 촬영이 개시된 촬상부(220)의 촬영 주기를 설정한다. 촬상신호를 촬상부(220)로 출력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별도로 구비된 촬영개시 스위치(34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촬영개시 스위치(340)를 동작시키면 즉시 촬상신호가 촬상부(22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촬영개시 스위치(340)가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과 실제로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로 투입되는 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촬상부(220)에 의해 불필요한 부분영상이 생성되어 정확한 객체영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촬영개시 스위치(340)를 동작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가 촬영을 위한 스캔 모드로 전환되고, 촬상제어부(240)가 구동부(230)의 회전을 감지하여 촬상부(220)의 촬영 주기를 설정함과 동시에 촬상부(220)로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230)가 사전에 설정된 회전 속도를 기초로 대상객체(310)를 객체 투입구(320) 내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구동부(230)가 회전하게 되어 위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객체 투입구(320)에 투입되는 대상객체(310)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객체감지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객체감지부(210)는 객체 투입구(320)의 입·출구 또는 내부에 구비되어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를 통과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객체감지부(210)로는 포토 인터럽트 등의 다양한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촬영개시 스위치(340)의 동작에 의해 휴대용 스캐너가 스캔 모드 상태로 전환된 후, 촬상제어부(240)는 객체감지부(210)가 출력하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촬상부(220)로 촬상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를 통과하는 동안에만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촬상부(220)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질 때 객체 투입구(320)의 내부에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촬상부(220)의 연속 촬영시에 매번 카메라의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배터리의 소모가 크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조명부(280)를 구비하여 객체 투입구(320)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한다.
조명부(280)는 LED 어레이 및 확산필름으로 구성되어 객체 투입구(320)에 의해 형성된 촬영영역에 빛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조명부(28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투입구(320)의 입구에 객체 투입구(320)의 너비 방향으로 LED 어레이를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그 외 여러 가지 구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조명부(280)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 하면 조명부(280)는 객체 투입구(320)의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어느 한 쪽에만 설치된 경우에 비해 촬영영역을 더 밝게 유지할 수 있다. 도 5b는 이제까지 설명한 경우와는 다르게 객체 투입구(320)가 외부용기(200)의 측면으로부터 외부용기(200)의 하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투입구(320)가 형성되면, 도 3b에 도시된 경우와는 다르게 객체 투입구(320) 내에서 대상객체(31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에서 조명부(280)는 LED 어레이 및 거울과 같이 상이 맺히는 수단으로 구현되어 하부에 위치한 대상객체(310)에서 촬영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촬상부(220)가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객체 투입구(320)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된 경우에도 조명부(280)를 도 5b와 같이 구현하여 거울에 맺힌 대상객체(310)의 상을 촬상부(220)가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50)는 복수의 부분영상을 결합하여 대상객체(310)에 대응하는 하나의 객체영상을 생성하며, 이를 위해 영상회전부(252) 및 영상결합부(254)를 구비한다.
영상회전부(252)는 각각의 부분영상을 회전시켜 부분영상에 포함된 대상객체(310)의 경계선을 서로 일치시키고, 영상결합부(254)는 각각의 부분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시간적으로 인접한 부분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매칭시켜 부분영상을 결합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대상객체(310) 상에서 촬상부(220)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영된 제1부분영상(510) 및 제2부분영상(520)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영상처리 부(250)에 의해 생성된 객체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부분영상(510)과 제2부분영상(520)은 시간적으로 인접하며, 부분적으로 중복된 영역을 가진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부분영상(510)과 제2부분영상(520)에 나타난 대상객체(310)의 경계선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대상객체(310)가 객체 투입구(320) 내부에서 이동할 때 장치의 물리적인 특성상 약간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230)에 의해 대상객체(310)가 지지되어 이동시 흔들림의 정도가 크지 않으므로 영상회전부(252)가 대상객체(310)의 경계선을 비교적 간단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영상회전부(252)에 의해 대상객체(310)의 경계선이 일치되면 영상결합부(254)는 각각의 부분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다. 특징점은 영상에서 두드러진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복수의 부분영상을 결합하기 위한 기준점이 된다. 도 6b에 나타난 제1부분영상(510)과 제2부분영상(520)은 시간적으로 인접하므로 중복된 영역을 가지며, 중복영역에서 특징점의 분포가 서로 일치한다. 도 6b에서 제1부분영상(510)과 제2부분영상(520)에는 공통적으로 문자 '홍'에서 오른쪽 부분의 특징점 분포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영상결합부(254)는 특징점 매칭에 의해 두 부분영상(510, 520)을 결합시켜 도 6c에 나타난 것과 같은 영상을 생성한다. 촬상부(220)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모든 부분영상들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대상객체(310)에 대한 하나의 객체영상이 생성된다. 부가적으로 객체영상의 크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의 규격과 일치하도록 하는 과정을 수 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객체 투입구(320) 내에서 대상객체(310)를 이동시켜 스캔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스캐너의 크기가 반드시 대상객체(310)보다 크게 구현되어야 할 필요성이 없게 되므로 대상객체(310)를 유리기판 상에 고정시켜 스캔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스캐너의 크기를 소형화시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에는 복수의 객체영상이 생성되었을 때 이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부(260)가 구비된다.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복수의 대상객체(310)에 대해 생성된 객체영상들은 뒤에 편집이나 검색 등의 목적으로 다시 사용되기 위해 메모리 등의 장치에 저장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영상처리부(250)에 의해 생성이 완료된 객체영상을 즉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대상객체(310)에 대한 스캔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키패드 장치를 구비하여 외부의 입력에 의해 객체영상을 삭제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객체영상을 편집할 때 사용자는 각각의 객체영상에 포함된 대상객체(310)의 식별코드를 입력하고, 식별코드가 객체영상에 대응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식별코드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복수의 객체영상 중에서 원하는 객체영상을 검색할 때 이용되며, 대상객체(310)가 명함인 경우에 식별코드는 명함에 기재된 성명 또는 회사 이름 등이 될 수 있다. 명함에 기재된 성명 등의 문자만을 스캔하는 것이 아니라 명함의 이미지 자체를 촬영하여 저장함으로써 실제 명함을 소지하고 다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여러 장의 명함을 가지 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를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할 필요 없이 스캔으로 얻어진 결과 영상을 즉시 확인하여 저장 여부 또는 편집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
저장부(260)에 복수의 객체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복수의 객체영상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50)에 의해 생성된 객체영상을 즉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휴대용 스캐너가 스캔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저장부(260)에 저장된 복수의 객체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스캐너의 모드를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촬영개시 스위치(340)의 동작에 의해 스캔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 촬영개시 스위치(340)를 다시 한번 동작시키면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드전환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여 대상객체(310)에 대한 객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스캔 모드 및 객체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개시 스위치(340) 또는 모드전환 스위치(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의 화면에 객체영상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또는 별도의 키패드를 조작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객체영상을 검색하거나 복수의 객체영상을 순차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따라서 명함을 직접 소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수천 장 이상의 명함 이미지를 저장하여 필요한 경우 즉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60)의 용량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지 않는 객체영상은 컴퓨터 또는 외장메모리 등의 외부기기로 전송하여 저장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는 전송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며, 전송부(미도시)는 USB 포트, 적외선 통신 포트 또는 블루투스 단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대상객체(310)인 명함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롯 형태의 객체 투입구(320)에 명함이 투입되면(S710), 객체감지부(210)가 명함의 투입을 감지한다(S720). 이때, 촬영개시 스위치(340) 등의 동작에 의해 스캔 모드가 설정되어 촬상부(220)가 촬영대기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객체감지부(210)는 명함이 객체 투입구(320)의 내부에 있는 동안 계속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촬상제어부(240)가 촬상부(220)로 촬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촬상신호는 명함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부(230)의 회전을 감지하여 촬상제어부(240)가 출력할 수도 있다.
객체감지부(210)가 명함을 감지하는 동안(S720) 촬상부(220)는 객체 투입구(320) 내부의 명함을 촬영하여 부분영상을 생성한다(S730). 이때 구동부(230)가 롤러(230A)의 회전에 의해 객체 투입구(320) 내부에서 명함을 이동시키거나(S740),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객체감지부(210)에 의해 명함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거나(S720), 다른 실시예로서 롤러(230A)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촬상 부(220)는 촬영을 종료한다. 영상처리부(250)는 생성된 부분영상들을 결합하여 대상객체(310)에 대응하는 하나의 객체영상을 생성한다(S7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객체영상을 출력하여 화면에 표시하고(S760), 객체영상이 복수인 경우에는 저장부(260)에 저장되거나, 전송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셀폭렌즈를 기반으로 하여 명함을 스캔하는 기존의 스캐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스캐너에 대한 A-A' 방향의 단면도 및 B-B' 방향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조명부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대상객체 상에서 촬상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영된 제1부분영상 및 제2부분영상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영상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객체영상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대상객체인 명함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캐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4)

  1. 슬롯 형태의 객체 투입구를 통과하는 대상객체 상에서 상기 객체 투입구에 의해 형성된 촬영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복수의 부분영상을 출력하는 촬상부;
    상기 복수의 부분영상을 결합하여 상기 대상객체에 대응하는 하나의 객체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롤러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객체 투입구 내에서 상기 대상객체를 지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촬영 주기를 설정하는 촬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각각의 부분영상을 회전시켜 상기 부분영상에 포함된 대상객체의 경계선을 서로 일치시키는 영상회전부; 및
    상기 각각의 부분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시간적으로 인접한 부분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매칭시켜 상기 부분영상을 결합하는 영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투입구를 통과하는 대상객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객체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촬상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상부로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전에 설정된 회전 속도를 기초로 상기 객체 투입구 내에서 상기 대상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객체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객체영상을 출력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저장부에 복수의 객체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외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객체영상을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대상객체의 식별코드가 상기 객체영상에 대응하여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객체영상을 출력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객체에 대한 객체영상이 생성되는 스캔 모드 및 상기 객체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객체영상을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전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투입구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LED 어레이 및 확산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12.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객체는 명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투입구가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의 두께는 7mm에서 9mm 범위의 값을 가지고, 상기 외부용기의 너비는 90mm에서 110mm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로부터 상기 객체 투입구까지의 거리 및 상기 촬상부의 촬영각은 하기 수학식 A에 의한 관계를 가지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캐너.
    [수학식 A]
    Figure 112009038066758-pat00004
    여기서, D는 상기 대상객체의 폭, L은 상기 촬상부로부터 상기 객체 투입구까지의 거리, 그리고 θ는 상기 촬상부의 촬영각이다.
KR1020090056105A 2009-06-23 2009-06-23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KR100935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05A KR100935201B1 (ko) 2009-06-23 2009-06-23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105A KR100935201B1 (ko) 2009-06-23 2009-06-23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201B1 true KR100935201B1 (ko) 2010-01-22

Family

ID=4180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105A KR100935201B1 (ko) 2009-06-23 2009-06-23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22B1 (ko) 2013-09-24 2014-09-04 주식회사 포시에스 모바일기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스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00554B2 (en) 2015-05-22 2019-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scan operation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302A (ko) * 2002-09-13 2004-03-20 고희승 전자명함장치
KR20040071790A (ko) * 2003-02-07 2004-08-16 김 스티븐 스캐너 기능을 갖는 개인 디지털 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302A (ko) * 2002-09-13 2004-03-20 고희승 전자명함장치
KR20040071790A (ko) * 2003-02-07 2004-08-16 김 스티븐 스캐너 기능을 갖는 개인 디지털 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22B1 (ko) 2013-09-24 2014-09-04 주식회사 포시에스 모바일기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스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00554B2 (en) 2015-05-22 2019-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scan operation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5969B2 (en) Hand-held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scanning arrangement
US1009144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readout of multiple image sensors
US6330975B1 (en) Combined code reader and digital camera using a common photodetector
US8605960B2 (en) Fingerprint sensing device
JP4811863B2 (ja) 顔撮影装置および顔照合装置
US8610966B2 (en) System for template based extracting information from an identity card
JPH11514461A (ja) データフォームリーダー及び方法
US7305249B2 (en) Mobile phone system with a card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US7808681B2 (en) Portable photocop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2197403A (zh) 带有分离视场的条形码阅读器
US8553090B2 (en) Portable image capture and camera device
US5708515A (e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rea image sensor operable as electronic camera and image scanner
JP2002027047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0935201B1 (ko) 명함 스캔 및 열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스캐너
JP2019053373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画像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25451A (ko) 신분증 이미지 획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신원확인 시스템
KR10183237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20147728A1 (en) Card reader
US7232072B1 (en) Combined code reader and digital camera
US20220067318A1 (en) Card reader
WO2015096803A1 (zh) 手指指纹读取系统及指纹读取方法
US200700921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facial images
US8339684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method
US6715686B1 (en)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different modes
US20130286444A1 (en) Laptop Document Scann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