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78Y1 - 오목확대거울 - Google Patents

오목확대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78Y1
KR200476278Y1 KR2020140007359U KR20140007359U KR200476278Y1 KR 200476278 Y1 KR200476278 Y1 KR 200476278Y1 KR 2020140007359 U KR2020140007359 U KR 2020140007359U KR 20140007359 U KR20140007359 U KR 20140007359U KR 200476278 Y1 KR200476278 Y1 KR 200476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ain body
concave mirror
conca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희
Original Assignee
신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충희 filed Critical 신충희
Priority to KR2020140007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78Y1/ko
Priority to JP2017538565A priority patent/JP6357281B2/ja
Priority to CN201580054774.5A priority patent/CN106793882A/zh
Priority to PCT/KR2015/009729 priority patent/WO20160567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2001/002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comprising magnifying properti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울에 비치는 물체의 형상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면서, 상기 거울과 물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준의 선명도를 가질 수 있게 하고 거울을 본체에 탈착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오목확대거울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가 직경 13 내지 15㎝에 대하여 평면으로부터 1 내지 1.5㎜로 오목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면이 형성된 오목거울; 손잡이와, 가장자리에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일체형으로 된 설치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설치부에 상기 오목거울이 끼워져 장착되게 하는 본체; 및 상기 오목거울과 상기 본체의 설치부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오목면의 굴곡 상태에서 따라서 대응하여 상기 오목거울을 지지해주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되 결합시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목확대거울{Mirror for concave and magnification}
본 고안은 오목확대거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울에 비치는 물체의 형상을 확대하여 보이게 함은 물론, 거울과 물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준의 선명도를 가질 수 있게 하며, 거울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오목확대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실1998-02260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현재에 이용되고 있는 오목거울은 구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만든 반사면이 오목한 거울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반사면이 오목한 구면 거울은 빛을 모으는 성질이 있으며, 초점은 실초점이며 상은 물체의 위치에 따라 정립상과 도립상이 생긴다.
즉, 상의 성질이 초점과 구심에 대한 물체가 놓인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물체가 초점보다 거울 가까이 놓이면 바로 선 형태의 허상(정립 허상)이 확대되어 나타나고, 물체가 초점과 구심의 사이에 놓일 때는 거꾸로 선 형태의 실상(도립 실상)이 확대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물체가 구심보다 먼 곳에 놓이면 도립실상이 축소되어 나타나게 되며, 물체가 초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물체가 거울 면으로부터 무한히 먼 곳에 놓이면 상은 초점에 한 점으로 생긴다.
상기와 같이 오목거울은 그 앞에 놓인 물체에 대해서 확대하여 보이게 하는 역할과, 물체가 놓인 위치에 따라서 작게 보이거나 크게 보이는 등의 물체의 다양한 변화된 크기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지만, 이는 거울로부터 소정 거리를 벗어나 위치해 있을 경우 그 물체를 비취는 거울의 선명도가 떨어져서 희미하게 보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물체가 멀리 셋팅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오목거울을 통해서 물체 또는 인체의 모습을 보일 때는 너무 희미하게 보이게 되어 거울의 실체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오목거울을 장착하는 본체에 대해서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목거울을 본체에 장착할 때에는 여간 어려움을 갖게 되었으며, 특히 앞뒤에 거울이 부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힘든 점이 배가되어 제조자로 하여금 제조상 어려움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실1998-022608호(1998년 07월 25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거울에 비치는 물체의 형상이 확대되어 비치게 함은 물론, 거울로부터 물체가 가까이에 있든 아니면 멀리 떨어져 있든 간에 거울을 통해 비치는 물체의 선명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며, 또한 거울을 본체에 탈착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오목확대거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에 비치는 물체의 형상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면서, 상기 거울과 물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준의 선명도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오목확대거울은, 중심부가 직경 13 내지 15㎝에 대하여 평면으로부터 1 내지 1.5㎜로 오목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면이 형성된 오목거울; 손잡이와, 가장자리에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와 일체형으로 된 설치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설치부에 상기 오목거울이 끼워져 장착되게 하는 본체; 및 상기 오목거울과 상기 본체의 설치부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오목면의 굴곡 상태에서 따라서 대응하여 상기 오목거울을 지지해주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되 결합시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목거울의 중심부는, 직경 13 내지 15㎝에 대하여 평면으로부터 1.3㎜로 오목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본체에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제2 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결합되게 하는 후크 형태의 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본체의 설치부와 상기 제2 본체의 설치부 각각의 상단부에 구비되어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힌지부와, 상기 제1 본체의 손잡이에 형성된 너트공과, 상기 제2 본체의 손잡이에 구비되되 하부에 저지턱이 구비된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으로 안내되어서 상기 너트공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손잡이와 상기 제2 본체의 손잡이가 서로 결합되게 하는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목확대거울은,
거울에 비치는 물체의 형상이 확대되어 비치게 함은 물론, 거울로부터 물체가 가까이에 있든 아니면 멀리 떨어져 있든 간에 거울을 통해 비치는 물체의 선명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또한, 본체를 두 개를 서로 자유자재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음으로써 거울을 본체에 탈착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확대거울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오목확대거울에 지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상기 오목확대거울의 본체부 결합상태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상기 오목확대거울의 본체부 결합상태의 다른 일례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목확대거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확대거울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오목확대거울에 지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오목확대거울의 본체부 결합상태의 일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오목확대거울의 본체부 결합상태의 다른 일례를 보인 평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오목거울에 비치는 물체의 형상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면서 오목거울과 물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준의 선명도를 가질 수 있게 하고, 또한 오목거울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목확대거울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거울(10), 본체(20), 지지부재(30) 및 체결부재(40)로 구성되고, 오목거울(10) 앞에 놓인 물체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선명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오목면의 굴곡부위를 다수 번 물체를 비추는 실험을 통해서 정밀하게 조정하였으며, 후술된 본 발명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상기 오목거울(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C)가 직경 13 내지 15㎝에 대하여 평면(P)으로부터 1 내지 1.5㎜로 오목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면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거울(10)의 중심부(C)는, 직경 13 내지 15㎝에 대하여 평면(P)으로부터 1.3㎜로 오목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면으로 형성되게 하였으며, 이는 물체에 대한 오목거울의 초점이 가장 잘 이루어져 물체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 가장 높은 선명도를 나타내었음을 알았다.
상기와 같은 오목거울(10)의 오목면에 대한 굴곡의 범위인 1 내지 1.5㎜의 설정범위는, 상기 범위를 다양한 형태로 변위시켜 실행한 다수 번의 실험을 통해서 오목거울(10)의 앞에 섰을 때 가장 선명도가 높은 수준의 것들을 채택 적용시킨 것이다.
상기 본체(20)는, 손으로 들어 거울에 비출 수 있게 하는 손잡이(23)와, 가장자리에 설치홈(24)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3)와 일체형으로 된 설치부(25)로 이루어져서, 설치부(25)에 오목거울(10)이 끼워져 장착되게 한다.
이때는, 상기 설치홈(24)에 끼워진 오목거울이 이탈되거나 흔들리지 않게 끼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뒤 양쪽에 거울을 장착할 수 있게 하는데, 어느 한쪽에는 오목거울(10)을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평면거울을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거울을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20)는 서로 분리되어서 오목거울(10)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본체(21)와 제2 본체(22)가 결합되어 형성되되 결합시 체결부재(40)를 통해 결합되며, 다음에 기술되는 일례들 이외에 제1 본체(21)와 제2 본체(22)를 결합시킬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40)의 일례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21)에 다수 개 형성된 끼움공(41)과, 제2 본체(22)에 구비되어서 끼움공(41)에 삽입되어 제1 본체(21)와 결합되게 하는 후크 형태의 돌기부(4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오목거울(10)을 제1 본체(21)와 제2 본체(22)의 설치홈(24)에 삽입시킨 다음에, 제1 본체(21)의 끼움공(41)에 제2 본체(22)에 구비된 후크 형태의 돌기부(42)를 억지끼움식으로 밀어넣어 삽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돌기부(42)가 끼움공(41)에 끼워진 후에는 돌기부(42)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0)의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21)의 설치부(25)와 제2 본체(22)의 설치부(25) 각각의 상단부에 구비되어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힌지부(43)와, 상기 제1 본체(21)의 손잡이(23)에 형성된 너트공(44)과, 상기 제2 본체(22)의 손잡이(23)에 구비되되 하부에 저지턱(45-1)이 구비된 안내공(45)과, 상기 안내공(45)으로 안내되어서 너트공(44)으로 삽입 체결되어 제1 본체(21)의 손잡이(23)와 제2 본체(22)의 손잡이(23)가 서로 결합되게 하는 볼트(4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오목거울(10)을 제1 본체(21)와 제2 본체(22)의 설치홈(24)에 삽입시킨 다음에, 제2 본체(22)에 구비된 안내공(45)으로 볼트(46)를 안내하여 제1 본체(21)의 너트공(44)에 체결시킨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오목거울(10)과 본체(20)의 설치부(25) 사이에 설치되어서 오목면의 굴곡 상태에서 따라서 대응하여 오목거울(1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오목면의 굴곡 상태에서 따라서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구비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설치홈(24)이 오목거울(10)의 1.5㎜ 오목면에 대응하여 1.5㎜의 깊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1.3㎜의 오목거울(10)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오목거울(10)과 본체(20)와의 사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필요한 만큼 지지부재(30)를 삽입시켜서 설치하여, 설치된 오목거울(10)이 덜렁덜렁하지 않게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0)의 재질은 단단한 종이 재질의 판재로 이루어져서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게 하여, 오목거울(10)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다 하더라도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음으로 인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오목거울
20: 본체 21: 제1 본체
22: 제2 본체 23: 손잡이
24: 설치홈 25: 설치부
30: 지지부재
40: 체결부재 41: 끼움공
42: 돌기부 43: 힌지부
44: 너트공 45: 안내공
45-1: 저지턱 46: 볼트
C: 중심부 P: 평면

Claims (4)

  1. 거울에 비치는 물체의 형상을 확대하여 보이게 하면서, 상기 거울과 물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수준의 선명도를 가질 수 있게 하고, 거울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오목확대거울에 있어서,
    중심부(C)가 평면(P)으로부터 1 내지 1.5㎜로 오목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면이 형성된 오목거울(10);
    손잡이(23)와, 가장자리에 설치홈(24)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3)와 일체형으로 된 설치부(25)로 이루어져서, 상기 설치부(25)에 상기 오목거울(10)이 끼워져 장착되게 하는 본체(20); 및
    상기 오목거울(10)과 상기 본체(20)의 설치부(25)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오목면의 굴곡 상태에서 따라서 대응하여 상기 오목거울(10)을 지지해주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20)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1 본체(21)와 제2 본체(22)가 결합되어 형성되되 결합시 체결부재(40)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확대거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거울(10)의 중심부(C)는, 직경 13 내지 15㎝에 대하여 평면(P)으로부터 1 내지 1.5㎜로 오목하게 굴곡되어 이루어진 오목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확대거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제1 본체(21)에 형성된 끼움공(41)과,
    상기 제2 본체(21)에 구비되어서 상기 끼움공(4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본체(21)와 상기 제2 본체(22)가 결합되게 하는 후크 형태의 돌기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확대거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제1 본체(21)의 설치부(25)와 상기 제2 본체(22)의 설치부(25) 각각의 상단부에 구비되어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힌지부(43)와,
    상기 제1 본체(21)의 손잡이(23)에 형성된 너트공(44)과,
    상기 제2 본체(22)의 손잡이(23)에 구비되되 하부에 저지턱(45-1)이 구비된 안내공(45)과,
    상기 안내공(45)으로 안내되어서 상기 너트공(44)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 본체(21)의 손잡이(23)와 상기 제2 본체(22)의 손잡이(23)가 서로 결합되게 하는 볼트(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확대거울.
KR2020140007359U 2014-10-10 2014-10-10 오목확대거울 KR200476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59U KR200476278Y1 (ko) 2014-10-10 2014-10-10 오목확대거울
JP2017538565A JP6357281B2 (ja) 2014-10-10 2015-09-16 凹面拡大鏡
CN201580054774.5A CN106793882A (zh) 2014-10-10 2015-09-16 凹面式放大镜子
PCT/KR2015/009729 WO2016056766A1 (ko) 2014-10-10 2015-09-16 오목확대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59U KR200476278Y1 (ko) 2014-10-10 2014-10-10 오목확대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78Y1 true KR200476278Y1 (ko) 2015-02-13

Family

ID=5259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59U KR200476278Y1 (ko) 2014-10-10 2014-10-10 오목확대거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57281B2 (ko)
KR (1) KR200476278Y1 (ko)
CN (1) CN106793882A (ko)
WO (1) WO201605676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273A (ja) * 1996-12-10 1998-06-23 Yamamura:Kk 可変ミラー
KR20010096417A (ko) * 2000-05-29 2001-11-07 홍순무 분리 조립가변형 손거울케이스
KR200297676Y1 (ko) 2002-07-25 2002-12-12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벽 부착용 회전식 거울
KR200380337Y1 (ko) 2004-12-28 2005-03-29 박종호 거울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8232U (ko) * 1975-01-10 1976-07-15
CN2050697U (zh) * 1989-03-24 1990-01-10 张自仲 凹面美容镜
CN2164216Y (zh) * 1993-07-03 1994-05-11 年四洪 可以自由切换的化妆美容镜
US6955329B1 (en) * 2004-06-11 2005-10-18 Ming Chun Shieh Support device for mirror, picture or the like
KR20080004952A (ko) * 2006-07-07 2008-01-10 이영득 표면 곡률 가변 거울
CN102232695A (zh) * 2011-07-22 2011-11-09 深圳市绿色半导体照明有限公司 手柄式化妆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273A (ja) * 1996-12-10 1998-06-23 Yamamura:Kk 可変ミラー
KR20010096417A (ko) * 2000-05-29 2001-11-07 홍순무 분리 조립가변형 손거울케이스
KR200297676Y1 (ko) 2002-07-25 2002-12-12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벽 부착용 회전식 거울
KR200380337Y1 (ko) 2004-12-28 2005-03-29 박종호 거울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57281B2 (ja) 2018-07-11
CN106793882A (zh) 2017-05-31
WO2016056766A1 (ko) 2016-04-14
JP2017531215A (ja)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8640A3 (en) Contact lenses
US8905543B2 (en) Slit lamp adaptor for portable camera
US10148799B2 (en) Auxiliary optical system for use with mobile electronic device in protective case
JP3928778B2 (ja) アイシールドアセンブリ
KR20150058867A (ko) 모바일기기 카메라용 렌즈 부착장치
CN103513498B (zh) 光学装置及其支撑架
US7001033B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476278Y1 (ko) 오목확대거울
US20120293767A1 (en) Glasses
JP2007193040A (ja) 眼鏡フレーム
KR20080004952A (ko) 표면 곡률 가변 거울
US11231577B2 (en) Scope viewing apparatus
JP2009258545A (ja) 表示装置
US20170351096A1 (en) Head-mounted equipment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CN205880402U (zh) 薄型眼镜
CN105182557A (zh) 一种组装方便的眼镜
CN204855958U (zh) 一种组装方便的眼镜
JP6015691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527543A (ja) スクリーンの人間工学的に正しい調整の方法および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設定
CN213715594U (zh) 一种具有水平调节镜头功能的显微镜
KR200393304Y1 (ko) 안경에 장착되는 보조렌즈 장치
KR20180060899A (ko) 거울 조립체
JP4255454B2 (ja) 視野拡大具及び視野拡大眼鏡
JP2008244783A (ja) カメラの支持構造
KR20160014407A (ko) 액세서리용 렌즈 유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