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26Y1 -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26Y1
KR200476226Y1 KR2020130010337U KR20130010337U KR200476226Y1 KR 200476226 Y1 KR200476226 Y1 KR 200476226Y1 KR 2020130010337 U KR2020130010337 U KR 2020130010337U KR 20130010337 U KR20130010337 U KR 20130010337U KR 200476226 Y1 KR200476226 Y1 KR 200476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guide
receiving groove
tension adjusting
adjus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경
Original Assignee
(주)보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필 filed Critical (주)보필
Priority to KR2020130010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노약자나 장애인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쉽게 다룰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좌판이나 침상의 기구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길이조절되는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기구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수용공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 선상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어 길이변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을 안착지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ARMRESTS EASLIY LENGTH CONTROL}
본 고안은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나 장애인이 의자나 좌변기 등에서 사용하기 쉽도록 구성된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노약자나 장애인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의자나 좌변기 등의 기구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안히 착석할 수 있게 높이조절 장치나, 다리나 허리가 불편한 사람이 앉은 자세에서 편하게 일어날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승강장치를 구비하기도 한다.
아울러, 좌판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여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팔걸이를 구비하는데, 통상 이러한 팔걸이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맞추어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에 길이조절 가능한 팔걸이는 나사 등의 스토퍼로 고정된 가이드부재를 분리하여 길이를 조절한 후 다시 스토퍼로 가이드부재를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장애인이 쉽게 다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의 분리 및 체결을 위해 공구 등을 사용함에 따라 공구 사용이 익숙치 않은 노약자나 장애인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0-0049907 A KR 20-0394850 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약자나 장애인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쉽게 다룰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좌판이나 침상의 기구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길이조절되는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기구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수용공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 선상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어 길이변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을 안착지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 선상에는 한 쌍의 걸림공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 선상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걸림돌기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 및 상기 걸림돌기에 장력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연결고정되며 상기 수용홈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공간 위쪽으로 연장형성되는 와이어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위쪽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부재를 걸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부재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수용홈과 상기 장력조절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턱 및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상하 이동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공간 최상단에는 상기 장력조절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멈춤턱의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걸림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재를 마름모꼴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단번의 조작으로 노약자나 장애인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팔걸이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사고의 위험이 있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가 적용된 의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는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좌판이나 침상의 기구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길이(높이)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자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부(200)의 수용공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200)의 일측 선상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어 길이변환되는 가이드부(400) 및 상기 가이드부(40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을 안착 지지하는 거치부(600)를 포함한다.
도1 및 도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팔걸이는 한 번의 조작으로 팔걸이의 높이가 최상단에서 최하단, 또는 최하단에서 최상단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도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지지부(200)의 일측 선상에는 한 쌍의 걸림공(220)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400)의 일측 선상에는 상기 걸림공(220)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4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400)의 길이를 상방으로 조절하면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걸림공(220)에 걸림고정되어 도1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가이드부(400)의 길이를 하방으로 조절하면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걸림공(220)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도2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0)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4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가이드홈(410)은 상기 가이드부(400)가 상기 지지부(200)의 수용공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0)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가이드홈(410)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미도시)가 형성됨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걸림돌기(42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440)와, 상기 제1탄성부재(440)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460) 및 상기 걸림돌기(420)에 장력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걸림돌기(420)가 상기 수용홈(460)에 수용되거나 상기 수용홈(46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림돌기(420)에 연결고정되며 상기 수용홈(46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공간 위쪽으로 연장형성되는 와이어부재(481)와, 상기 수용홈(460)의 위쪽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부재(481)를 걸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부재(481)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483)와, 상기 수용홈(460)과 상기 장력조절부재(48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483)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턱(485) 및 상기 장력조절부재(483)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부(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483)의 상하 이동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48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부재(481)는 상기 장력조절부재(483)에 형성된 걸림도래(484)에 걸쳐지게 되는데, 상기 걸림도래(484)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와이어부재(481)와 연동 작용하는 구성의 변화에 따라 상기 와이어부재(481)가 걸쳐지는 걸림도래(484)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부재(481)와 연동 작용하는 구성의 변화라 함은 제1탄성부재(440)의 탄성계수나 걸림돌기(420)의 길이 변화 또는 상기 와이어부재(481)의 길이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0)의 내부공간 최상단에는 상기 장력조절부재(483)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48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2탄성부재(489)는 상기 조작레버(487)의 조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장력조절부재(483)가 상방으로 이동한 후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멈춤턱(485)의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부재(481)가 걸림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핀(482)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재(481)를 마름모꼴로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걸림핀(482)은 상기 와이어부재(481)가 꼬여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은 힘으로도 충분한 장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수단은 도5와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
먼저,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레버(487)를 상방으로 밀면 장력조절부재(483)가 와이어부재(481)를 당겨 이와 연동하는 걸림돌기(420)를 수용홈(460)으로 안착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걸림돌기(420)는 지지부(200)의 걸림공(220)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가이드부(4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팔걸이의 길이(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밀었던 조작레버(487)에 힘을 해제하면 장력조절부재(48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부재(481)에 가해지던 장력이 해제되어 이와 연동하는 걸림돌기(420)도 수용홈(460)으로부터 나와 외부로 돌출되고, 이때 상기 걸림돌기(420)는 지지부(200)의 걸림공(220)에 걸림고정되거나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길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레버를 살짝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노약자나 장애인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팔걸이의 길이를 단번에 조작할 수 있으며, 사고의 위험이 있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200: 지지부 220: 걸림공
400: 가이드부 410: 가이드홈
420: 걸림돌기 440: 제1탄성부재
460: 수용홈 481: 와이어부재
482: 걸림핀 483: 장력조절부재
484: 걸림도래 485: 멈춤턱
487: 조작레버 489: 제2탄성부재
600: 거치부

Claims (6)

  1.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좌판이나 침상의 기구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길이조절되는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기구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 선상에는 한 쌍의 걸림공이 천공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수용공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 선상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어 길이변환되는 것으로, 일측 선상에 형성되어 걸림공에 걸림고정 또는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가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 및 상기 걸림돌기에 장력을 가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사용자의 팔을 안착지지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연결고정되며 상기 수용홈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공간 위쪽으로 연장형성되는 와이어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위쪽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부재를 걸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와이어부재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수용홈과 상기 장력조절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턱 및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상하 이동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공간 최상단에는 상기 장력조절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턱의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걸림지지되는 한 쌍의 걸림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재를 마름모꼴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KR2020130010337U 2013-12-12 2013-12-12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KR200476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37U KR200476226Y1 (ko) 2013-12-12 2013-12-12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37U KR200476226Y1 (ko) 2013-12-12 2013-12-12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26Y1 true KR200476226Y1 (ko) 2015-02-23

Family

ID=5259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337U KR200476226Y1 (ko) 2013-12-12 2013-12-12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78A (ko) * 2019-10-14 2021-04-22 정채영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18B1 (ko) * 2009-07-09 2011-11-18 송완수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18B1 (ko) * 2009-07-09 2011-11-18 송완수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78A (ko) * 2019-10-14 2021-04-22 정채영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KR102290271B1 (ko) * 2019-10-14 2021-08-17 정채영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639B2 (en) Child sleeping and rocking apparatuses
US10201465B2 (en) Armrest locking mechanism and integrated bed having same
JP6212714B2 (ja) 合体ベッド
EP1600133B1 (en) Stretcher
US20120297537A1 (en) Crib with adjustable height mattress
KR102047770B1 (ko) 간편 조절 팔걸이
JP2016529074A (ja) 折り畳み車いす用の折り畳み機構、車いす用の背もたれ支柱、および車いす
JP2016529074A5 (ko)
KR101496587B1 (ko)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JP2019051428A (ja) 車いすのレッグレストのための装着デバイス
KR101586958B1 (ko) 분리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
KR200476226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걸이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US10335097B2 (en) Patient-supporting unit for a device for supporting a patient, who is to be X-rayed, during an operation
US9776534B2 (en) Car safety seat
JP2014176752A (ja) 浴室用椅子
JP4451257B2 (ja) 椅子型便器の肘掛け昇降機構
JP2016529075A5 (ko)
KR20070075348A (ko) 벨트 가이드
KR20120066748A (ko) 의자용 발 받침대
KR200450550Y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101823120B1 (ko) 경사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시트용 암 핏 레스트
KR101802491B1 (ko) 의자
JP6445564B2 (ja) 車いすの取外し可能な結合バー
JP6063022B1 (ja) 車椅子及びアーム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