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05Y1 - 나무 난로 - Google Patents

나무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05Y1
KR200476005Y1 KR2020130006794U KR20130006794U KR200476005Y1 KR 200476005 Y1 KR200476005 Y1 KR 200476005Y1 KR 2020130006794 U KR2020130006794 U KR 2020130006794U KR 20130006794 U KR20130006794 U KR 20130006794U KR 200476005 Y1 KR200476005 Y1 KR 200476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air
seating
communication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원
Original Assignee
윤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원 filed Critical 윤기원
Priority to KR2020130006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2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제공하는 나무 난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나무 난로는, 전면에 형성된 연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투입되는 나무를 내부에서 연소시킬 수 있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연소되는 나무가 안착되며, 전면과 인접한 전방부분에 연통공(311)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300); 그리고, 상기 연통공(311)과 대응하는 몸체 내부의 전방부분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공을 통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판(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상승한 공기는 공기안내판(160)에 의하여 후방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나무의 연소를 위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나무 난로{firewood stove}
본 고안은 나무 난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의 연소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 유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나무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 난로는 나무나 갈탄 등의 나무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무 난로는 통상적으로 외관을 이루면서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면서 나무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된 연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연료 투입구를 통해 몸체 내부의 안착플레이트 상면에 다수의 나무를 투입한 후 상기 나무를 점화함으로써 상기 나무가 연소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나무라고 함은 연소의 대상이 되는 물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예를 들면 연소 가능한 모든 고체 형상의 연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나무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기로 인해 난로의 몸체가 가열되고, 이러한 몸체의 가열에 의한 열이 실내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면서 나무 난로의 주변에 대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나무의 연소가 진행되는 도중 발생된 이산화탄소와 연기는 상기 몸체에 연결된 연통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나무 난로에 의하면, 난로의 내부에서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난로의 외부로 유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야 하는 연기가 난로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는 연료 투입부를 통하여 실내로 나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나무 난로의 구조에 의하면, 안착판 상에 올려진 나무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즉 나무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나무가 올려져 있는 주변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야 하는데,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이와 같은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무의 연소가 원활하게 않은 단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되는 나무 주변의 공기의 흐름을 좋게 함으로써 나무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나무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내부에서 나무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투입구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나무 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나무 난로는, 전면에 형성된 연료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나무를 내부에서 연소시킬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서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연소되는 나무가 안착되며, 전면과 인접한 전방부분에 연통공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연통공과 대응하는 몸체 내부의 전방부분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공을 통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중앙부분에서 평면을 형성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측판부는,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부를 향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기안내판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나무 난로는 나무가 올려진 부분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나무의 연소가 잘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료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난로 자체의 동작의 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발열 성능이 우수한 난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안착판에 올려져서 연소되는 나무 주위에서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나무의 연소기 발생하는 연기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안내되어,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전방의 투입구 측으로 연기가 나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서,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실내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무 난로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무 난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무 난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무 난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나무 난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의 나무 난로는, 내부에서 나무의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 형상을 가지는 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100)는,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원통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면 후단부에는 연통(200)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통(200)는 몸체 내부에서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킥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200)과 연결되어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파이프는 실질적으로 배기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열기를 실내로 방출하는 기능이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에는 재받이(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재받이(400)는 나무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를 담아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재받이(400)는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연료 투입구(1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료 투입구(110)는 장작과 같은 나무나 갈탄 등의 연료를 투입하는 부위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료 투입구(110)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투입구(110)는 그 형상이나 설치 위치 등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는 것이고, 상기 몸체(1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고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구(110)는 나무의 투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료 투입구(110)의 입구측에는 연료 투입구(110)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20)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110) 및 개폐도어(12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예를 들면 상기 개폐도어(120)는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나무 등이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연통(200)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00)의 상면(140)에 일체형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하고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상면(140)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부위는 여타의 연통관(예컨대, 엘보우형 연통관 및 직선형 연통관 등)(도시는 생략됨)과 연결되면서 실외로 상기 연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연소되는 나무를 올려놓기 위한 상기한 안착플레이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300)는 연소되는 나무가 올려져 지지될 수 있으면 그 구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안착플레이트(300)는 몸체 내부에서 저면과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부에서 상방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나무의 연소가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안착플레이트(300)는 하부의 재받이(400)에서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의 안착플레이트(300)는, 평면형상의 안착부(310)와 한 쌍의 측판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310)는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중앙부분을 이루면서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 부분에는 연통공(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공(311)은, 몸체(100) 내의 공간 중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상하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통공(311)을 통하여 안착플레이트(300)의 하부의 공기가 상부로 흐르는 공기 흐름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311)은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는 몸체(100)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311)은 연소된 후 발생되는 재가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전방측은, 몸체(100)의 전면(102)에 밀착되거나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연통공(311)도 전면(102)에 근접한 전방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310)의 양측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양측 내벽면에는 상기 연장부(312)의 끝단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턱(13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300)가 상기 몸체(100) 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310)에서 좌우로 연장된 연장부(312)는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어 레그(3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레그(314)는 몸체(100)의 내부 저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안착부(310)가 몸체(100) 내에서 일정 간격 상방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310)에 형성되는 연통공(311)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충분한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통공(311)을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연통공(311)을 통해 재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재에 의한 막힘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연통공(311)은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연통공이 막힌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연통공에 의해 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310)에 형성된 연통공(311)이 상기 몸체(100)에 설치된 연통(200)의 형성 부위와는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연통(2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면(140) 후방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10)의 연통공(311)은 상기 안착부(31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전체적인 공기의 유동상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플레이트(300)를 이루는 한 쌍의 측판부(320)는 상기 안착부(310)와 함께 상기 몸체(100) 내의 저부 공간과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몸체(100) 내의 상부 공간으로 투입된 나무(10)를 상기 안착부(310)가 위치된 곳으로 모아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부(320)는 상기 안착부(310)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측판부(320)는,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몸체(100)의 내벽면에 걸리는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측판부(320)를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나무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여 상기 나무가 상기 안착부(310)가 위치된 중앙 부위로 원활히 미끌어져 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특히나 상기 한 쌍의 측판부(320)를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나무가 상기 한 쌍의 측판부(320)를 하부로 볼록한 형태나 종래의 단순 경사진 형태에 비해 더욱 원활히 슬라이딩되면서 안착부(310)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판부(320)는 안착부(310)을 통하여 나무가 모일 수 있는 구조로 성형하는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재받이(400)는 상기 몸체(100) 내의 하부 공간인 상기 안착플레이트(300)의 저부에 서랍식으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은 개방된 형태의 박스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재받이(400)의 전면에는 공기 공급공(4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공(410)은 외부 공기를 상기 몸체(100) 내의 연소 공간, 그 중에서도 상기 안착부(310)의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구멍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안착부(310)의 상부에는 공기안내판(1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안내판(160)은 공기 공급공(410)의 상면, 즉 몸체(100) 내부에서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공(410)을 통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안내판(160)은 몸체(100)의 전면에 밀착되거나 전면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공기공급공(410)을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한 공기를 다시 후방으로 안내하게 되고, 도 3에는 이러한 공기의 흐름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310) 상에서 나무는 측판부(320)에 의하여 중심부분으로 모이게 된다. 따라서 연소되는 나무는 실질적으로 안착부(310)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공(410)을 통하여 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연통공(311)을 통하여 상부로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에서 상기 안착부(310)에 모여 있는 나무의 연소는 충분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무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안내판(160)에 부딪히게 되면서, 전방으로는 이동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몸체(100)의 내부에서 하방에서 상방으로, 그리고 나무를 통과한 공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흐름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안내판(160)은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함으로써, 전면에 설치되는 연료투입부 부근으로 연기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즉,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함으로써 전방으로 공기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고려하면, 상기 공기안내판(160)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100. 몸체 110. 연료 투입구
120. 개폐도어 130. 안착턱
140. 상면 160 ..... 공기안내판
300. 안착플레이트 310. 안착부
311. 연통공 312. 연장부
320. 측판부 400. 재받이
410. 공기 공급공

Claims (4)

  1. 전면에 형성된 연료 투입구(110)를 통하여 투입되는 나무를 내부에서 연소시킬 수 있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연소되는 나무가 안착되며, 전면과 인접한 전방부분에 연통공(311)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300); 그리고,
    상기 연통공(311)과 대응하는 몸체 내부의 전방부분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통공을 통하여 상승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판(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무 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300)는,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중앙부분에서 평면을 형성하는 안착부(310)와,
    상기 안착부(310)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무 난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320)는,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부를 향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나무 난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판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나무 난로.
KR2020130006794U 2013-08-14 2013-08-14 나무 난로 KR200476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794U KR200476005Y1 (ko) 2013-08-14 2013-08-14 나무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794U KR200476005Y1 (ko) 2013-08-14 2013-08-14 나무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05Y1 true KR200476005Y1 (ko) 2015-01-22

Family

ID=5259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794U KR200476005Y1 (ko) 2013-08-14 2013-08-14 나무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0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369A (ko) * 2010-10-15 2012-04-25 김정길 목재 팰릿 난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369A (ko) * 2010-10-15 2012-04-25 김정길 목재 팰릿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16411A1 (en) Pullout firebox drawer
KR20110042763A (ko)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101587377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101479579B1 (ko) 펠릿 난로
JP4785980B1 (ja) 燃焼装置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KR101250617B1 (ko) 장작 스토브
KR20170003713U (ko) 난로
KR101786730B1 (ko) 화목난로
KR200476005Y1 (ko) 나무 난로
JP5491457B2 (ja) グリル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KR101537051B1 (ko) 하향식 난로
JP3175791U (ja) 加熱装置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KR101207483B1 (ko) 화목 보일러
KR20140029688A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GB2533040A (en) Stove
KR20140006418U (ko) 화목 난로
KR20160001813U (ko) 나무난로 겸용 필렛난로
KR100891187B1 (ko) 고체연료 겸용 화목보일러
KR102324144B1 (ko) 거꾸로 타는 화목난로
KR20150049703A (ko) 벽난로 개폐도어 유리용 클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