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946Y1 -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946Y1
KR200475946Y1 KR2020140005380U KR20140005380U KR200475946Y1 KR 200475946 Y1 KR200475946 Y1 KR 200475946Y1 KR 2020140005380 U KR2020140005380 U KR 2020140005380U KR 20140005380 U KR20140005380 U KR 20140005380U KR 200475946 Y1 KR200475946 Y1 KR 200475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heating
cas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덕
Original Assignee
이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덕 filed Critical 이순덕
Priority to KR2020140005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9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45Arrangements for he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8Green display, e.g. recycling, reduction of harmful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전면에 윈도우가 접착되어 고정된 전자기기에서 윈도우만을 분리시키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윈도우 분리 시간을 단축하고, 윈도우 분리를 위한 가열 작업 후 윈도우의 접착층이 냉각되어 윈도우를 분리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는 케이스의 전면에 액정 패널이 접착되어 고정된 전자기기에서 액정 패널만을 분리시키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지그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액정 패널이 접촉되어 케이스와 액정 패널 사이의 접착층을 직접 가열하는 액정 패널 히팅 수단과, 상기 접착층이 연성화된 후 상기 액정 패널을 흡착하여 케이스에서 분리시키는 액정 패널 흡착 수단을 구비한 가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SEPARATING APPARATUS FOR WINDOW OF ELECTRONIC EQUIPMENT}
본 고안은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전면에 윈도우가 접착되어 고정된 전자기기에서 윈도우만을 분리시키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윈도우 분리 시간을 단축하고, 윈도우 분리를 위한 가열 작업 후 윈도우의 접착층이 냉각되어 윈도우를 분리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는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자기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손상 또는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강화유리로 된 윈도우가 배치된다.
종래에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케이스 본체는 액정 패널, 프런트 케이스, 리어 케이스로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 부품들이 볼트 결합을 통해 조립되면서, 그 내부에 전자 부품이 내장되며, 조립된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배터리가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후면 커버가 탈착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자기기 자체의 방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배터리를 케이스 본체에 내장시켜 저가형 전자기기를 보급하도록 프런트 케이스, 리어 케이스 및 후면 커버가 일체로 제작된 포켓형 케이스를 이용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즉, 이러한 전자기기는 케이스 본체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배터리 및 전자 부품들 일체가 포켓형 케이스에 볼트 결합되어 내장된 상태에서 포켓형 케이스의 전면에 액정 패널이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전체 외관의 디자인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켓형 케이스와 액정 패널이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조립, 제작된다.
한편 근래 들어 이동통신의 급속한 발달과 새로운 신제품의 출시, 고객의 취향의 변화와 유행 등에 따라 전면에 액정 패널이 구비된 전자기기의 교체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는 추세인데, 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모두 폐기할 경우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전자기기를 수거한 후 분리, 분해하여 사용이 가능한 부품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기기의 액정 패널은 가장 고가의 것으로 재활용 시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 외에도, 액정 패널이 전면에 구비된 포켓형 케이스를 갖는 전자기기가 고장나거나, 액정 패널이 파손되어 부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전자기기 자체를 분리, 분해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포켓형 케이스를 갖는 전자기기는 케이스 전체가 볼트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일반적인 볼트 해제 방식으로 전자기기를 분리, 분해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분리, 분해하기 위해서는 전자기기의 케이스 본체에서 액정 패널을 분리하는 작업이 선행된 후, 내장된 다른 부품의 분리, 분해 또는 교체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전자기기를 가열 온풍기와 같은 오븐 박스 등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가열하여 케이스 본체와 액정 패널 사이의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연성화시킨 후, 액정 패널과 케이스 본체 사이에 0.2 ~ 0.3 mm의 가느다란 공구를 삽입하여 액정 패널을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가느다란 공구를 사용하여 액정 패널과 케이스 본체를 분리하는 방식은 분리 작업 중 액정 패널을 손상시킬 위험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일반 박스 오븐의 경우 열대류를 통해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가열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여러 개의 전자기기를 하나의 박스 오븐에 투입하여 가열할 경우 전자기기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동안 분리하지 않는 전자기기가 냉각되면서 접착제가 경화되게 되면 액정 패널을 분리할 수 없으므로 재가열이 필요하게 되는 등 작업성 측면에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정 패널과 케이스 본체 사이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접착층을 직접 가열함으로써, 분리 가능할 정도로 연성화시키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과 동시에, 가열 후 곧바로 액정 패널과 케이스 본체의 분리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피치 못할 이유로 분리하기 전 전자기기가 냉각되어 재가열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지그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 및 전자기기의 전면, 액정 패널이 접촉되어 케이스와 액정 패널 사이의 접착층을 직접 가열하는 액정 패널 히팅 수단과, 상기 접착층이 연성화된 후 상기 액정 패널을 흡착하여 케이스에서 분리시키는 액정 패널 흡착 수단을 구비한 가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열 작업 중 액정 패널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열 플레이트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내장된 열선으로 구성된 히팅 수단을 도입하고, 가열 후 분리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열 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가기기를 지그에 쉽고 빠르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가열, 분리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폐 플레이트에 내장된 조절로드와, 상기 조절로드의 회전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어 전자기기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체들로 구성된 지그를 포함하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는
케이스의 전면에 액정 패널이 접착되어 고정된 전자기기에서 액정 패널만을 분리시키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지그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액정 패널이 접촉되어 케이스와 액정 패널 사이의 접착층을 직접 가열하는 액정 패널 히팅 수단과, 상기 접착층이 연성화된 후 상기 액정 패널을 흡착하여 케이스에서 분리시키는 액정 패널 흡착 수단을 구비한 가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서 상기 히팅 수단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에 지그재그 형태로 내장된 열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서 상기 지그는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수용홈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전후 외주면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부가 구비된 조절로드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나사부 각각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로드의 좌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이동분체와,
상기 이동분체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는 종래 박스 오븐을 이용한 가열 작업과 달리, 액정 패널을 직접 가열하여 접착층을 연성화시키므로 가열 시간을 종래보다 2~3배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가열 작업 후 개폐 플레이트를 개방하면서 자동적으로 액정 패널과 케이스가 바로 분리되기 때문에 전자기기가 가열 후 냉각되면서 접착층이 경화되어 재가열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구를 사용하여 액정 패널을 분리하지 않으므로 액정 패널 또는 케이스의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작업성 및 안전성이 매우 뛰어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는 지그재그 형태로 내장된 열선을 도입하여 가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 안전성 역시 매우 뛰어나며, 힌지 결합된 개폐 플레이트를 회동 개방하면서 액정 패널이 케이스에서 분리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분리 작업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는 조절로드의 회전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면서 전자기기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체를 도입함에 따라 전자기기를 쉽고, 빠르게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열 후 분리 작업이 진행되므로 작업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마트폰의 액정 패널과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서 높이 조절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조작부(121)가 구비된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전후를 정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또 본 고안을 설명함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기기(P)로써 스마트폰만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밖에도 테블릿피씨 등과 같이 전면이 액정 패널로 구성되는 전자기기(P)에서 액정 패널만을 먼저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포켓형 케이스를 갖는 스마트폰을 대표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케이스 본체의 구성이 포켓형 케이스가 아니더라도 볼트 해제 작업 등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액정 패널의 분리 작업을 선행하여 부품의 교체 및 보수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P)(예를 들어 아이폰)들에 본 고안의 액정 패널 분리 장치를 활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액정 패널을 분리한 후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강화 유리의 분리 작업에도 본 고안의 액정 분리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는 크게, 전자기기(P)가 고정, 탈착되는 지그(131)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130)와, 액정 패널 히팅 수단(111)과 액정 패널 흡착 수단(112)이 내장된 가열 플레이트(110)가 구비된 본체(100)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가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의 상면을 덮으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전자기기(P)로써 일체형 케이스(2)에 액정 패널(1)이 접착층(3)을 통해 부착되어 제작되는 스마트폰을 대표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 설명에서 전자기기와 관련된 도면부호는 도 1을 참조한다.
우선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는 판상의 부재로써, 개방된 상태에서 상면(폐쇄 시 하면, 즉 가열 플레이트(110)에 접하는 면)에 전자기기(P)가 안착되어 거치, 고정되는 지그(131)가 구비된다.
상기 지그(131)에는 전자기기(P)가 거치되는데, 이때 전자기기(P)의 전면, 즉, 액정 패널(1)이 하측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에 구비되어 전자기기(P)를 고정하는 지그(131)는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에 내장된 조절로드(133)와,
상기 조절로드(133)의 회전에 의하여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전자기기(P)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체(134)들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 상면에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홈(132)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132) 상에 상기 조절로드(133)가 수용된다.
상기 조절로드(133)는 후단부(도면 4에서는 전단부)가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의 힌지부(136)에 나사 결합되어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전단부(도 4에서는 후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133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로드(133)의 전후 외주면 상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제2 나사부(133a)(133b)가 구비된다.
또 상기 제1, 제2 나사부(133a)(133b) 각각에는 한 쌍의 이동분체(135)가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수용홈(132)에 수용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상기 조절로드(133)의 좌우 회전에 의하여 이동분체들이 상기 수용홈(132)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로드(133)의 파지부(133A)를 이용하여 조절로드(1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분체(135)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 후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면서 이동분체(135)들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분체(135)들의 상면에는 한 쌍의 고정체(134)가 결합되어 이동분체(135)들의 슬라이딩 이동 시 동반 이동되면서 고정체(134)들 사이에 거치되는 전자기기(P)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체(134)들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상에 함몰 형성된 거치홈(134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홈(134a)에 전자기기(P)의 양측면이 수용되면서 고정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하우징(120)의 상면이 가열 플레이트(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 플레이트(110) 상에 히팅 수단(111)과 흡착 수단(112)이 구비되고, 하우징(120) 내부에 상기 히팅 수단(111)의 가열 온도 및 시간을 조절함과 동시에, 가열 완료 후 흡착 수단(112)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히팅 수단(111)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에 지그재그 형태로 내장된 열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선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열이 이루어지는 니크롬선, 구리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접착층(3)의 종류에 따라 가열 온도 설정이 매우 고온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온도 설정 범위가 큰 니크롬선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열선이 한 가닥의 니크롬선으로만 구성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니크롬선이 스파이럴 형태로 중첩되어 이루어지는 것 역 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흡착 수단(112)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흡착구(112a)로 구성되며, 상기 흡착구(112a)는 상기 하우징(120) 일측으로 연결된 진공라인(112b)을 통해 외부의 진공 발생 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진공압을 생성하여 액정 패널(1)을 견고하게 진공 흡착함으로써, 가열 후 개폐 플레이트(130)를 개방하게 되면 액정 패널(1)이 가열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됨에 따라 케이스(2)만이 개폐 플레이트(130)와 함께 개방되면서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의 전면에는 조작부(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작부(121)는 히팅 수단(111)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는 제1 조작 버튼(121a)과, 가열 시간을 설정하는 제2 조작 버튼(121b) 및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21c)(121d)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121)의 설정에 따라 히팅 수단(111)의 가열 작업이 진행되도록 제어하고, 가열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흡착 수단(112)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에는 실시간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의 실제 온도가 설정된 가열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히팅 수단(111)을 제어하여 설정된 가열 시간동안 가열 플레이트(11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후, 설정된 가열 시간이 지나면 알람을 울려 사용자가에 가열이 완료되었음을 알림과 동시에, 상기 흡착 수단(112)을 작동시켜 액정 패널(1)의 분리 준비 상태로 자동 셋팅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히팅 수단(111)을 통한 가열 온도는 접착층(3)으로 사용된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성분 및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1)과 케이스(2)를 접착시키는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는 다양한 합성 접착 수지가 사용되고, 이러한 합성 접착 수지는 접착 후에도 물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열에 의하여 물성의 변화가 오지는 않지만 적어도 조직이 와해되어 연성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접착층(3)으로 사용된 합성 접착 수지의 성분 및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 및 시간이 결정된다.
가열 온도는 너무 높은 온도로 설정한 경우 다른 부품이 고온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기 때문에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결정되며, 대략 70 ~ 80 ℃ 내외로 설정된다.
따라서 접착층(3)의 종류에 따라 총 가열 시간 역시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종래 박스 오븐과 같은 가열기의 열대류를 활용하여 가열하는 기기를 사용하여 일반 전자기기(P)를 가열할 경우 대략 15 ~ 20분 정도의 가열 시간이 필요한데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정 패널 분리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직접 가열에 의하여 가열 시간이 2 ~ 5분 정도로 단축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작업성이 뛰어나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사용한 작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33A)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체(134)들 사이의 간격을 넓힌 후 거치홈(134a)에 전자기기(P)의 액정 패널(1)이 상측(가열 시 하측)을 향하도록 안착시킨 후 파지부(133A)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체(134)들 사이의 간격을 좁혀 고정체(134)들 사이에 전자기기(P)가 고정되도록 거치한다.
상기 지그(131)에 전자기기(P)를 거치한 후 액정 패널(1)이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에 접촉하도록 개폐 플레이트(130)를 닫은 다음, 액정 분리 장치를 작동 시키면, 히팅 수단(111)이 가열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된 액정 패널(1)을 가열함으로써, 액정 패널(1)과 케이스(2) 사이에 배치된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접착층(3)이 직접 가열되어 소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액정 패널(1)이 케이스(2)에서 분리된 정도로 연성화되고, 가열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흡착 수단(112)을 작동 시켜 액정 패널(1)을 가열 플레이트(110) 상에 흡착 고정시키면서, 알람을 울려 작업자에게 분리 준비 상태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이어서 작업자가 알람을 확인한 후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를 회동 개방시키게 되면, 접착층(3)이 연성화된 상태이므로 지그(131)에 가압, 고정된 케이스(2)와, 가열 플레이트(110)에 흡착, 고정된 액정 패널(1)이 서로 쉽게 분리된다.
이때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가 상기 본체(100), 즉 가열 플레이트(110)를 덮도록 개폐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나, 작업의 편의성 및 개방 시 케이스(2)와 액정 패널(1)이 정위치에서 분리가 되도록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의 일측, 즉 하우징(1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의 일측(도면 상 본체(100)의 후방)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힌지 결합부(12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힌지 결합부(126)의 상부에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의 힌지부(136)가 축결합되어 회동 개폐가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힌지 결합부(126)의 돌출 높이는 분리 작업을 하는 전자기기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 및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의 타측(도면 상 본체(100)의 전방)에는 손잡이(117)(137)가 각각 구비되어 분리 작업 시 작업자가 양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후 개폐 플레이트(130)를 젖히면서 회동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스마트폰만이 아니라, 볼트 결합 구조로 분리, 분해할 수 없으면서 전면에 액정 패널(1)이 구비되는 모든 전자기기(P)를 가열하여 액정 패널(1)을 분리하는 것이 주된 목적 중 하나이고, 동일한 종류의 전자기기(P)라도 각 제조사별로 전자기기(P)의 두께(높이)가 서로 상이하므로 액정 패널 분리 장치의 범용성을 위해선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와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 사이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에 접촉되는 액정 패널(1)의 균일한 가열 및 안정된 흡착, 고정을 위해서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가 닫힌 상태에서 액정 패널(1) 전체가 가열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모두 접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수단(140)을 도입하였다.
상기 높이 조절 수단(140)은 상기 힌지 결합부(126) 상에 구비되어 힌지 결합부(126) 자체의 높이 조절을 통해 패쇄 상태에서 개폐 플레이트(130)의 상면(닫힌 상태에서는 하면)과 가열 플레이트(110)의 상면 사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정체(134)가 상기 이동분체(135)에 볼트 결합되어 탈착 가능하므로, 고정체(134) 자체를 교체함으로써, 상기한 높이 조절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본 고안의 액정 분리 장치가 A/S 센터와 같은 수리 전문점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할 때, 각 전자기기에 맞는 고정체를 구비하여 작업 시 마다 이를 교체 사용하는 것을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효용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상기 힌지 결합부(126) 자체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높이 조절 수단(140)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상기 힌지 결합부(126)를 본체(100)에 고정된 고정분체(미도시)와, 상기 고정분체에 볼트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힌지부(136)와 힌지 결합되는 승강분체(미도시)로 구성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액정 패널(1) 전체가 가열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균일하게 접촉되는 것이 중요한데, 볼트부재를 이용한 승하강은 좌우 높이 밸런스 조절을 정확하게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하나의 볼트부재를 통해 승강분체의 승하강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열 플레이트(110)가 닫힌 상태에서 소정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작동기기의 크기, 무게, 형태에 따라 좌우 높이 밸런스가 틀어지기 쉽고,
두 개 이상의 볼트부재를 도입하면, 볼트부재들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 역시 번거롭고 정확한 높이 조절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동일하게 높이 조절되는 높이 조절수단을 도입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되고, 필요 이상의 비용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면서, 정확하고 안정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결합부(126)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수단(140)으로써,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42)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2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분체(141)와,
상기 고정분체(141)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42)들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어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부재(143)와,
상기 조절부재(143)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분체(14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44A)을 갖는 슬라이딩 부재(144)와,
상기 경사면(144A)에 접촉하는 대응경사면(145A)을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14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143)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의 수평 이동에 따라 수직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체(14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분체(141)의 상면에는 구속홈(미도시)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의 하면에는 상기 구속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속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재(143)를 좌우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가 동반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좌우 이동만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가 도면 상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경사면(144A)이 상기 대응경사면(145A)을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승강체(145)를 상승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가 도면 상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가압이 해제되어 승강체(145) 및 개폐 플레이트(130)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되어 개폐 플레이트(13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승강체(145)는 양측면이 가이드 레일(142)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므로 좌우 수평 밸런스가 틀어지지 않고, 항상 수평 상태로 높이 조절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체(145)의 하강 작동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체(145)의 전후 양면 또는 어느 일면에는 상기 대응경사면(145A)에 상응하는 경사를 갖도록 함몰 형성된 안내홈(145a)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는 상기 안내홈(145a)이 구비된 방향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4a)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44a) 내측면에 상기 안내홈(145a)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안내돌기(144b)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부재(144)의 일방향 이동 시 경사면(144A)에 의한 가압을 통해 승강체(145)가 상승되고, 슬라이딩 부재(144)의 타방향 이동 시 상기 안내돌기(144b)가 상기 안내홈(145a)을 하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승강체(145)가 하강,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개폐 플레이트(130)와 가열 플레이트(110)의 구성은 그 상하 배열 위치가 서로 반대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지그(131)가 구비된 개폐 플레이트(130)가 본체(100) 하우징(120)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열 플레이트(110)가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것 역시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히팅 수단(111) 및 흡착 수단(112)의 구성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가열 플레이트 상에 내장되어야 하므로 제조 용이성 관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및 조작부가 구비되는 본체(100)의 상면이 가열 플레이트(110)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본 고안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전자기기 1 : 액정 패널
2 : 케이스 3 : 접착층
100 : 본체 110 : 가열 플레이트
111 : 히팅 수단 112 : 흡착수단
120 : 하우징 121 : 조작부
130 : 개폐 플레이트 131 : 지그
132 : 수용홈 133 : 조절로드
133A : 파지부 133a, 133b : 나사부
134 : 고정체 134a : 거치홈
135 : 이동분체 136 : 힌지부
140 : 높이 조절 수단 141 : 고정분체
142 : 가이드 레일 143 : 조절부재
144 : 슬라이딩 부재 144A : 경사면
145 : 승강체 145A : 대응경사면

Claims (4)

  1. 케이스의 전면에 액정 패널이 접착되어 고정된 전자기기에서 액정 패널만을 분리시키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전자기기가 고정되는 지그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액정 패널이 접촉되어 케이스와 액정 패널 사이의 접착층을 직접 가열하는 액정 패널 히팅 수단과, 상기 접착층이 연성화된 후 상기 액정 패널을 흡착하여 케이스에서 분리시키는 액정 패널 흡착 수단을 구비한 가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그는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수용홈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고, 전후 외주면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부가 구비된 조절로드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면서 상기 나사부 각각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로드의 좌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이동분체와,
    상기 이동분체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 히팅 수단은 상기 가열 플레이트에 지그재그 형태로 내장된 열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가열 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KR2020140005380U 2014-07-17 2014-07-17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KR200475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80U KR200475946Y1 (ko) 2014-07-17 2014-07-17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80U KR200475946Y1 (ko) 2014-07-17 2014-07-17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946Y1 true KR200475946Y1 (ko) 2015-01-19

Family

ID=5259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80U KR200475946Y1 (ko) 2014-07-17 2014-07-17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9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071A (ko) * 2016-05-04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것의 제조 방법
WO2019112208A1 (ko) * 2017-12-08 2019-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리용 전자 장치 및 이의 공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55B1 (ko) * 1992-11-10 1996-01-04 엘지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가압경화장치
KR100816682B1 (ko) * 2006-12-20 2008-03-27 참앤씨(주)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치
KR20120078450A (ko) * 2010-12-31 2012-07-10 (주)대영오앤이 보호시트 조립용 장착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55B1 (ko) * 1992-11-10 1996-01-04 엘지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가압경화장치
KR100816682B1 (ko) * 2006-12-20 2008-03-27 참앤씨(주)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치
KR20120078450A (ko) * 2010-12-31 2012-07-10 (주)대영오앤이 보호시트 조립용 장착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071A (ko) * 2016-05-04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것의 제조 방법
KR102514130B1 (ko) 2016-05-04 202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것의 제조 방법
WO2019112208A1 (ko) * 2017-12-08 2019-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리용 전자 장치 및 이의 공정 방법
KR20190068322A (ko) * 2017-12-08 2019-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용 전자 장치 및 이의 공정 방법
US11325213B2 (en) 2017-12-08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par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 method therefor
KR102505213B1 (ko) * 2017-12-08 202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용 전자 장치 및 이의 공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946Y1 (ko) 액정 분리용 지그 어셈블리
CN104551587B (zh) 电池安装装置
KR101549506B1 (ko) 휴대단말기 수리용 분해 조립 장치
CN204954729U (zh) 屏类tp拆卸机构
CN103624980B (zh) 一种高温贴付治具
CN108897395B (zh) 一种计算机用便携式机箱箱体
ATE533284T1 (de) Mehrstufige scharnieranordnung und tragbare elektrische vorrichtung damit
CN101841990B (zh) 带支撑架的电子设备
CN108568778B (zh) 拆卸装置
CN211047551U (zh) 正压防爆柜观察窗的安装结构
KR200484620Y1 (ko)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CN106200037B (zh) 触摸屏与液晶显示屏的分块全贴合装置及方法
CN109510264A (zh) 一种可拆卸式动漫图案无线充电器壳体及维护方法
CN203726952U (zh) 一种含双恒温保护装置的真空oca贴合机
CN202941090U (zh) 一种真空硬对硬贴合翻转治具及贴合装置
CN102889971A (zh) 笔记本电脑抗摔测试装置
CN213946290U (zh) 一种屏幕拆卸装置
CN210981712U (zh) 一种开关摆锤冲击试验机
CN110640684B (zh) 拆解设备及拆解方法
CN204184326U (zh) 汽车车窗维修稳定升降装置
CN113070840A (zh) 拆屏装置
CN207494922U (zh) 板对板卡扣压合装置
CN109103300B (zh) 光伏组件修复工作台
CN207655459U (zh) 一种用于智能手表的紫外线固化装置
CN202285065U (zh) 镜片压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