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36Y1 - 거치대 - Google Patents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636Y1 KR200475636Y1 KR2020130007005U KR20130007005U KR200475636Y1 KR 200475636 Y1 KR200475636 Y1 KR 200475636Y1 KR 2020130007005 U KR2020130007005 U KR 2020130007005U KR 20130007005 U KR20130007005 U KR 20130007005U KR 200475636 Y1 KR200475636 Y1 KR 2004756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bolt
- pedestal
- angl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지지대, 하부가 지지대의 일 측변에 결합되고 지지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받침대, 받침대의 후면에 위치하고 받침대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볼트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전 손잡이부, 받침대의 후면 및 볼트를 연결하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사잇각이 변하는 제1,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각도 조절부, 및 지지대의 상면 및 볼트를 연결하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사잇각이 변하는 제3,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독서를 하거나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경우, 책 또는 전자기기를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각도만큼 고정시켜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으나, 구조가 단순하여 조작이 용이한 경우에는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없고,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거나 조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받침대와 지지대 사이의 각도를 원하는 만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대;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일 측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전 손잡이부;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볼트를 연결하며,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사잇각이 변하는 제1,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볼트를 연결하며,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사잇각이 변하는 제3,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는 전면에 서적 또는 전자기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 또는 상기 받침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받침대가 상기 지지대 상에 놓이도록 접힐 때에 상기 볼트, 상기 제1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2 각도 조절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각도 조절부는,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1 결합편,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 중 상기 왼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하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 중 상기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하는 상기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각도 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부를 향해 돌출된 후크를 포함하는 제2 결합편, 일단이 서로 연결된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4 연결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후크에 의하여 상기 제2 결합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볼트 중 상기 왼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제4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볼트 중 상기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제3 연결부는 단부는 제1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트상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제4 연결부의 단부는 제2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트상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2 연결부의 사잇각 및 상기 제3,4 연결부의 사잇각이 증가할수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가 이루는 각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의 내부에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어느 하나와 계합되는 나사산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부의 내부에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나머지 하나와 계합되는 나사산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어느 하나와 계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홈을 구비하는 제1 래치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나머지 하나와 게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 홈을 구비하는 제2 래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래치나사부 중 상기 제1 홈이 형성된 면은 상기 제1 래치나사부가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래치나사부 중 상기 제2 홈이 형성된 면은 상기 제2 래치나사부가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지대;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일 측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봉;상기 봉 위를 이동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봉을 연결하며,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제1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제2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봉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제1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제2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봉 위를 이동하는 상기 제1,2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2 연결부 사이의 사잇각 및 상기 제3,4 연결부 사이의 사잇각이 변하는,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 각각은, 일측에 상기 봉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 결합되는 제1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이동부의 몸체에 결합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타측 및 상기 제1 이동부의 몸체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 또는 제1,2 이동부의 조작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받침대와 지지대 사이의 각도를 미세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받침대가 지지대 상에 접히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 때에 받침대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된 볼트, 제1,2 각도 조절부가 받침대 및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에 수용되므로, 콤팩트한 상태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거치대의 기울기가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거치대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 이동부 및 볼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거치대의 기울기가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거치대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 이동부 및 볼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는 도 1의 거치대를 다른 각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거치대의 기울기가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서적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지대(20) 및 받침대(10)를 포함한다. 받침대(10)의 하부는 지지대(20)의 일 측변과 연결되며, 지지대(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받침대(10)의 하부에는 서적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가 안착되도록 안착 지지대(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안착 지지대(15)는 받침대(10) 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20)와 받침대(10)는 힌지(35)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으며,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α, β)는 조절 가능하다. 지지대(20)와 결합된 받침대(10)의 각도(α, β)를 조절하기 위해, 볼트(40), 회전 손잡이부(43), 제1 각도 조절부(50) 및 제2 각도 조절부(60)를 포함한다.
볼트(40)는 받침대(10)의 후면에 위치하고, 받침대(10)의 가로 방향(즉,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볼트(40)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제1 영역과 타측에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영역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영역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부(43)는 볼트(40)의 일단에 구비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손잡이부(43)의 회전에 따라 볼트(4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각도 조절부(50)는 볼트(40)와 받침대(1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어 볼트(40) 및 받침대(10)을 연결하며, 제1 결합편(51), 및 제1,2 연결부(52, 53)를 포함한다.
제2 각도 조절부(60)는 지지대(20)의 상면과 볼트(40)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20)와 볼트(40)을 연결하며, 제2 결합편(61) 및 제3,4 연결부(62, 63)를 포함한다.
제1 결합편(51)은 받침대(10)의 후면 상에 결합되며, 제1,2 연결부(52, 53)의 일단은 제1 결합편(51)을 매개로 받침대(10)의 후면에 고정된다. 예컨대, 제1,2 연결부(52, 53)의 일단은 나사 결합 또는 용접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1 결합편(51)에 고정된다.
제2 결합편(61)은 지지대(20)의 상면 상에 결합되며, 제3,4 연결부(62, 63)의 일단은 제2 결합편(61)에 형성된 후크(61a)에 의하여 지지대(2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3,4 연결부(62, 63)의 일단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며, 일체로 연결된 제3,4 연결부(62, 63)의 일단은 제2 결합편(61)에 형성된 후크(61a)에 의해 그 위치가 임의로 고정되면서 지지대(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대를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제3,4 연결부(62, 63)를 후크(61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52)의 일단과 제2 연결부(53)의 일단은 제1 결합편(51)에 용접이나 나사결합 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3 연결부(62)의 일단과 제4 연결부(63)의 일단은 제2 결합편(61)의 후크(61a)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반면에, 제1~4 연결부(52, 53, 62, 63)의 타단은 좌우 방향을 따라 볼트(4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52)의 타단과 제3 연결부(62)의 타단은 제1 이동부(B1)에 결합되어 볼트(40) 상을 함께 이동하고, 제2 연결부(53)의 타단과 제4 연결부(63)의 타단은 제2 이동부(B2)에 결합되어 볼트(40) 상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2 연결부(52, 53)의 일단은 고정단이고 제1,2 연결부(52, 53)의 타단은 볼트(40)의 회전에 따라 볼트(40) 위를 이동하는 자유단이므로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θ1 ')은 볼트(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따라 가변적이다. 마찬가지로 제3,4 연결부(62, 63)의 일단은 고정단이고 제3,4 연결부(62, 63)의 타단은 볼트(40)의 회전에 따라 볼트(40) 위를 이동하는 자유단으로서,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 θ2')은 볼트(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따라 가변적이다.
볼트(40)가 회전하면서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θ1')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 θ2')이 변화함에 따라,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α, β)도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과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α)는 상대적으로 큰 값일 수 있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과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β)는 작은 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는 접힘이 가능한 거치대로서, 받침대(10)는 지지대(20)와 평행하게 놓이도록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과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이 최고값을 갖는 경우에 받침대(10)는 지지대(20) 상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면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3,4 연결부(62, 63)를 후크(61a)로부터 분리한 후, 볼트(40), 제1 각도 조절부(50) 및 제2 각도 조절부(60)를 지지대(20)에 형성된 홈(G)에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0)에 홈(G)이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볼트(40), 제1 각도 조절부(50) 및 제2 각도 조절부(60)를 수용할 수 있는 홈(G)은 받침대(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볼트(40), 제1 각도 조절부(50) 및 제2 각도 조절부(60)를 수용할 수 있는 홈(G)은 받침대(10) 및 지지대(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볼트(40)의 회전에 따른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의 변화, 및 이들 사잇각에 따른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 변화를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거치대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도(α)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를 설명하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도(β)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를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52)의 단부와 제3 연결부(62)는 단부는 제1 이동부(B1)와 결합된다. 제1 이동부(B1)는 볼트(40)의 왼나사산과 결합되며, 볼트(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볼트(40)의 왼나사산이 형성된 제1 영역(41) 상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53)의 단부와 제4 연결부(63)의 단부는 제2 이동부(B2)와 결합되며, 이 때 제2 이동부(B2)는 볼트(40)의 오른나사산과 결합된다. 제2 이동부(B2)는 볼트(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볼트(40)의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제2 영역(42) 상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먼저,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부(43)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손잡이부(43)와 연결된 볼트(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볼트(40)가 회전함에 따라, 볼트(40)의 제1 영역(41) 결합된 제1 이동부(B1) 및 제2 영역(42)에 결합된 제2 이동부(B2)가 볼트(40) 위를 이동한다. 이 때, 제1 영역(41)은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영역(42)은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이동부(B1)와 제2 이동부(B2)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제1,2 이동부(B1, B2) 사이의 거리는 감소한다.
볼트(40)가 시계 방향으로 많이 회전될수록, 제1,2 이동부(B1, B2) 사이의 거리는 짧아지고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은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다.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이 감소함에 따라 볼트(40)에 대해 제1 연결부(52) 및 제2 연결부(53)가 각각 이루는 각도들(δ1, δ2) 및 볼트(40)에 대해 제3 연결부(62) 및 제4 연결부(63)가 각각 이루는 각도들(δ3, δ4)은 증가한다. 따라서,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α: 도 2 참조)는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부(43)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손잡이부(43)와 연결된 볼트(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볼트(40)가 회전함에 따라, 볼트(40)의 제1 영역(41) 결합된 제1 이동부(B1) 및 제2 영역(42)에 결합된 제2 이동부(B2)가 볼트(40) 위를 이동한다. 이 때, 제1 영역(41)은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영역(42)은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이동부(B1)와 제2 이동부(B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제1,2 이동부(B1, B2) 사이의 거리는 증가된다.
볼트(40)가 반시계 방향으로 많이 회전될수록, 제1,2 이동부(B1, B2)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고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은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다.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이 증가함에 따라 볼트(40)에 대해 제1 연결부(52) 및 제2 연결부(53)가 각각 이루는 각도들(δ1 ', δ2 ') 및 볼트(40)에 대해 제3 연결부(62) 및 제4 연결부(63)가 각각 이루는 각도들(δ3 ', δ4 ')은 감소한다. 따라서,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도(β: 도 3 참조)는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회전 손잡이부(43)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도(α)가 증가하고, 회전 손잡이부(43)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도(β)가 감소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손잡이부(43)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도(α)가 감소하고, 회전 손잡이부(43)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받침대(10)와 지지대(20)가 이루는 각도(β)가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2 이동부(B1, B2)는, 각각 볼트(40)의 왼나사산 및 오른나사산과 결합되어 볼트(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볼트(4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로서, 제1,2 이동부(B1, B2)는 볼트(40)의 나사산(숫나사산)과 접하는 부분, 즉 제1,2 이동부(B1, B2)의 내측 중 볼트(40)에 형성된 숫나사산과 계합되는 나사산(암 나사산,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0)에 형성된 숫나사산과 계합되는 나사산, 즉 암 나사산은 이동부(B1', B2')의 외측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B1', B2')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2 이동부 및 볼트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B1')는, 제1 완충부(72)을 통해 제1 이동부의 외측에 구비된 제1 래치나사부(71)를 이용하여 볼트(4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래치나사부(71)의 일면, 즉 볼트에 형성된 나사산과 접촉하는 면에는, 볼트(40)에 형성된 왼나사산(예, 숫나사산 형상)과 계합되는 나사산(예, 암나사산) 형상의 제1 홈(7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부(B2')는, 제2 완충부(82)을 통해 제2 이동부(B2')의 외측에 구비된 제2 래치나사부(81)를 이용하여 볼트(40)에 형성된 오른나사산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래치나사부(81)의 일면, 즉 볼트에 형성된 오른나사산과 접촉하는 면에는, 볼트(40)에 형성된 오른나사산(예, 숫나사산 형상)과 계합되는 나사산(예, 암나사산) 형상의 제2 홈(8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래치나사부에 형성된 제1,2홈(71a, 81a)이 볼트(40)에 형성된 숫나사산 형태의 왼나사산 및 오른나사산에 계합되면서, 볼트(40) 상에서 제1,2 이동부(B1', B2')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2 이동부(B1', B2')의 이와 같은 이동에 따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이 변하면서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 증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40)를 회전시키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1,2 이동부(B1', B2')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는 제1,2 래치나사부(71, 81)는 바깥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치나사부(71)의 일측, 즉 제1 홈(71a)이 형성된 제1 래치나사부(71)의 일측은 제2 이동부(B2')와 멀어지는 방향(D2)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래치나사부(81)의 일측, 즉 제2 홈(81a)이 형성된 제2 래치나사부(81)의 일측은 제1 이동부와 멀어지는 방향(D1)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래치나사부(71)의 일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우, 제1 래치나사부(71)는 제2 이동부(B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제1 홈(71a)이 형성된 경사진 면을 구비한 제1 래치나사부(71)의 일측이 멈춤쇠 역할을 하므로 그 반대 방향을 따라서는 이동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제2 래치나사부(81)의 일측이 상술한 바와 같은 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우, 제2 래치나사부(81)는 제1 이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제2 홈이 형성된 경사진 면을 구비한 제2 래치나사부(81)의 일측이 멈춤쇠 역할을 하므로 그 반대 방향을 따라서는 이동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이동부(B1', B2')가 강제적으로 볼트(40)상을 이동할 때, 제1,2 완충부(72, 82)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제1,2 래치나사부(71, 81)에 형성된 제1,2 홈(71a, 81a)은 왼나사산 및 오른나사산(숫 나사산 형태)이 구비된 볼트(40)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된 제1,2 이동부(B1', B2')의 제1,2 홈(71a, 81a)은 사용자가 이동시킨 위치에서 볼트(40)의 나사산과 계합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2 래치나사부(71, 81)의 일측은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2 이동부(B1', B2')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회전 손잡이부(43)을 이용하여 볼트(40)를 회전시켜야 한다. 즉, 볼트(40)를 회전시킴으로써, 볼트(40)의 나사산과 결합된 암나사산 형상의 제1,2 홈(71a, 81a)을 갖는 제1,2 래치나사부(71, 81)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도, 받침대(10), 지지대(20)를 포함하고, 지지대(20)와 받침대(10)는 힌지(35)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으며,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는 조절 가능하다. 지지대(20)와 결합된 받침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봉(40"), 제1 각도 조절부(50) 및 제2 각도 조절부(6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각도 조절부(50)는 봉(40")와 받침대(1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어 봉(40") 및 받침대(10)을 연결하고 제1 결합편(51) 및 제1,2 연결부(52, 53)를 포함하며, 제2 각도 조절부(60)는 지지대(20)의 상면과 봉(40")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20)와 볼트(40)을 연결하고 제2 결합편(61) 및 제3,4 연결부(62, 63)를 포함하는 점, 및 그 구체적 구조는 에서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설명한 거치대와 같다.
다만, 본 고안에서는 볼트(40)를 구비하지 않고 봉(40")을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봉(40") 위를 이동하는 제1,2 이동부(B1", B2")가 각각 걸림부(91)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6에서는 도 1 내지 도 4b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거치대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제1 이동부(B1")는 몸체의(90) 외측에 구비되는 걸림부(91)를 포함한다. 걸림부(91)는 제1 이동부(B1")의 몸체(90)의 상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91)의 일측에는 걸림홈(9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부(B1")의 타측에는 스프링과 같은 상하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92)가 배치되어 걸림부(91)와 몸체(9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걸림홈(91a)은 봉(40") 상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들(4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돌기(45)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걸림홈(91a)과 걸림돌기(45)의 걸림 결합을 위하여, 사용자는 탄성재(92)를 가압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재(92)를 제1 이동부(B1")의 몸체(90)를 향해 누르면, 탄성재(92)가 하방 및 상방으로 눌리면서 걸림홈(91a)이 형성된 걸림부(91)의 일측은 봉(40")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위 및 아래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홈(91)과 걸림돌기(45)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봉(40") 상에서 제1 이동부(B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부(B1")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탄성재(92)를 누르던 힘을 해제함으로써, 걸림돌기(45) 상에 걸림홈(91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이동부(B2")도 제1 이동부(B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동일한 방식에 의해 동작할 수 있으므로, 제1,2 이동부(B1", B2")의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제1,2 이동부(B1", B2")의 이와 같은 구조 및 그 이동에 의하여, 제1 이동부(B1")에 결합된 제1 연결부(52)의 타단과 제3 연결부(62)의 타단은 봉(40") 상을 함께 이동하고, 제2 이동부(B2")에 결합된 제2 연결부(53)의 타단과 제4 연결부(63)의 타단은 봉(40") 상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2 연결부(52, 53)의 일단은 받침대(10)에 고정된 고정단이고 제1,2 연결부(52, 53)의 타단은 각각 제1,2 이동부(B1", B2")에 의해 봉(40") 위를 이동하는 자유단이므로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은 제1,2 이동부(B1", B2")의 이동 정도에 따라 가변적이다. 마찬가지로 제3,4 연결부(62, 63)의 일단은 지지대(20)에 고정된 고정단이고 제3,4 연결부(62, 63)의 타단은 각각 제1,2 이동부(B1", B2")에 의해 봉(40") 위를 이동하는 자유단으로서,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은 제1,2 이동부(B1", B2")의 이동 정도에 가변적이다.
제1,2 이동부(B1", B2")의 이동에 따라 제1,2 연결부(52, 53)의 사잇각(θ1) 및 제3,4 연결부(62, 63)의 사잇각(θ2)이 변화하고, 따라서 받침대(10)와 지지대(20) 사이의 각도도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받침대 15: 안착 지지대
20: 지지대 35: 힌지
40: 볼트 41: 제1 영역
42: 제2 영역 43: 회전 손잡이부
50: 제1 각도 조절부 51: 제1 결합편
52: 제1 연결부 53: 제2 연결부
60: 제2 각도 조절부 61: 제2 결합편
62: 제3 연결부 63: 제4 연결부
B1: 제1 이동부 B2: 제2 이동부
20: 지지대 35: 힌지
40: 볼트 41: 제1 영역
42: 제2 영역 43: 회전 손잡이부
50: 제1 각도 조절부 51: 제1 결합편
52: 제1 연결부 53: 제2 연결부
60: 제2 각도 조절부 61: 제2 결합편
62: 제3 연결부 63: 제4 연결부
B1: 제1 이동부 B2: 제2 이동부
Claims (11)
- 지지대;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일 측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측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상기 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전 손잡이부;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볼트를 연결하며,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사잇각이 변하는 제1,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볼트를 연결하며,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사잇각이 변하는 제3,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각도 조절부는,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1 결합편,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 중 상기 왼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하는 제1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볼트 중 상기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각도 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부를 향해 돌출된 후크를 포함하는 제2 결합편, 일단이 서로 연결된 제3 연결부 및 제4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4 연결부의 상기 일단은 상기 후크에 의하여 상기 제2 결합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볼트 중 상기 왼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하며, 상기 제4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볼트 중 상기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을 이동하는,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전면에 서적 또는 전자기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또는 상기 받침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받침대가 상기 지지대 상에 놓이도록 접힐 때에 상기 볼트, 상기 제1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2 각도 조절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거치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제3 연결부는 단부는 제1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트 상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제4 연결부의 단부는 제2 이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트상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부의 사잇각 및 상기 제3,4 연결부의 사잇각이 증가할수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가 이루는 각도가 감소하는, 거치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의 내부에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어느 하나와 계합되는 나사산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부의 내부에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나머지 하나와 계합되는 나사산 형상을 구비하는, 거치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이동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어느 하나와 계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홈을 구비하는 제1 래치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에 형성된 상기 왼나사산 또는 상기 오른나사산 중 나머지 하나와 게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 홈을 구비하는 제2 래치나사부를 포함하는, 거치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나사부 중 상기 제1 홈이 형성된 면은 상기 제1 래치나사부가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래치나사부 중 상기 제2 홈이 형성된 면은 상기 제2 래치나사부가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거치대. - 지지대;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일 측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봉;
상기 봉 위를 이동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봉을 연결하며,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제1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받침대의 후면 및 상기 제2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봉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제1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상기 제2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봉 위를 이동하는 상기 제1,2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2 연결부 사이의 사잇각 및 상기 제3,4 연결부 사이의 사잇각이 변하는, 거치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 각각은,
일측에 상기 봉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 결합되는 제1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이동부의 몸체에 결합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타측 및 상기 제1 이동부의 몸체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재;를 포함하는,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005U KR200475636Y1 (ko) | 2013-08-21 | 2013-08-21 |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005U KR200475636Y1 (ko) | 2013-08-21 | 2013-08-21 |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5636Y1 true KR200475636Y1 (ko) | 2014-12-22 |
Family
ID=5357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005U KR200475636Y1 (ko) | 2013-08-21 | 2013-08-21 |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636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1620Y1 (ko) * | 2004-03-08 | 2004-05-24 | 한보일렉트(주) |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 |
KR200437259Y1 (ko) * | 2007-03-10 | 2007-11-21 | 임형준 | 책상 부착용 독서대 |
KR20120109770A (ko) * | 2011-03-28 | 2012-10-09 | 이상화 | 휴대용 독서대 |
KR101293836B1 (ko) * | 2012-10-08 | 2013-08-07 | 이이표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
-
2013
- 2013-08-21 KR KR2020130007005U patent/KR20047563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1620Y1 (ko) * | 2004-03-08 | 2004-05-24 | 한보일렉트(주) | 높낮이 조절식 작업대 |
KR200437259Y1 (ko) * | 2007-03-10 | 2007-11-21 | 임형준 | 책상 부착용 독서대 |
KR20120109770A (ko) * | 2011-03-28 | 2012-10-09 | 이상화 | 휴대용 독서대 |
KR101293836B1 (ko) * | 2012-10-08 | 2013-08-07 | 이이표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67896B1 (en) | Supporting rack assembly | |
EP3374683B1 (en) | Spherical head assembly for attaching an optical and/or electronic device to a stander | |
US985702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stand thereof | |
US7540466B2 (en) | Adjustable stand for electronic devices | |
JP5860121B1 (ja) | 搭載装置及びサーバー | |
US6796538B2 (en) | Adjusting device | |
TWI547664B (zh) | 支撐架及具有該支撐架的電子裝置 | |
US20120120626A1 (en) |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
CN100474097C (zh) | 动力学上可重新配置的摄像机支架 | |
US20080016742A1 (en) | Photo frame structure | |
EP1973447A1 (en) | Shelf for display apparatus | |
US7413159B2 (en) | Stand for retaining computer chassis | |
KR101725394B1 (ko) |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 |
EP3303898B1 (en) | Tablet pc and smartphone mount | |
US20180266455A1 (en) | Device Retention and Stabilization Apparatus | |
KR200475636Y1 (ko) | 거치대 | |
US20120024804A1 (en) | Monitor Stand Allowing Various Types of Motion | |
KR20210080577A (ko) |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탠드 및 장착 시스템 | |
US7933129B2 (en) | Adjustable auxiliary expansion card retainer | |
US6889993B2 (en) | Wheelchair having foldable backrest module and seat module | |
US20160374463A1 (en) | Multifunctional storage device | |
CN105026998B (zh) | 相机和相机组件 | |
CN108348079B (zh) | 安装装置 | |
CN105691497A (zh) | 支撑架及设有该支撑架的自行车 | |
CN111123554B (zh) | 穿戴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