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19Y1 -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 Google Patents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919Y1
KR200474919Y1 KR2020130008103U KR20130008103U KR200474919Y1 KR 200474919 Y1 KR200474919 Y1 KR 200474919Y1 KR 2020130008103 U KR2020130008103 U KR 2020130008103U KR 20130008103 U KR20130008103 U KR 20130008103U KR 200474919 Y1 KR200474919 Y1 KR 200474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loading
unloading
brick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홍
Original Assignee
윤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홍 filed Critical 윤재홍
Priority to KR2020130008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2Tiles, bricks, paving slab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하부,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수납부(1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2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와,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에 각각 구비되되, “└”형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벽돌지지부(4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5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하측에 상기 벽돌지지부(4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는 하역작동부재(600);를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벽돌지지부에 연동된 하역작동부재를 벽돌의 자중을 이용하여 낙하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역작동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벽돌지지부를 개방하여 상기 벽돌을 적층된 그대로 옮길 수 있게 됨에 따라, 옮겨진 벽돌을 재차 적층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재적층으로 인한 노동력 절감과 먼지 및 잔재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작업여건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귀작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벽돌지지부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리구조가 아닌 개폐구조로 사용의 편의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대단히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carts carrying bricks}
본 고안은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 벽돌을 나르기 위해 사용되는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에 있어서, 상부, 하부,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수납부(1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2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와,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에 각각 구비되되, “└”형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벽돌지지부(4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5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하측에 상기 벽돌지지부(4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는 하역작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역작동부재(600)는,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직부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연결부(610, 610)와, 상기 제1 연결부(610)의 말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연결부(620, 620`)와, 그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620)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3 연결부(630, 630`)와, 각각의 상기 제3 연결부(630, 630`) 타단과 힌지결합되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역잠금부(64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역가이드부(640)와, 상기 하역잠금부(641)와 연동되되, 중앙이 통공되고, 양측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돌기(65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652)와 결합되는 하역조절부(650)와, 상기 하역가이드부(640) 및 하역조절부(650)가 내장되어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역가이드부인입공(661)과 상기 회동돌기(651)가 인입되어 상기 하역조절부(65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회동돌기인입공(662)을 포함하는 작동부본체(66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시공현장에서 벽체 및 칸막이 또는 굴뚝 등 다양한 조적공사에 사용되는 벽돌은, 내측에 구멍이 없는 일반벽돌과 내측에 구멍이 타공되어 있는 구멍벽돌로 제작되어 각각 사용목적에 맞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벽돌은, 외부에서 반입되어 시공 현장의 야적장이나 자재적재공간에 보관되고, 필요 시 작업인부가 사용되는 수량만큼 손수레에 적재하여 작업장으로 이동시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손수레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벽돌을 적재시켜 작업장까지 이동한 후, 상기 손수레를 전면방향으로 전도시켜 상기 벽돌이 작업장에 하차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손수레는, 전방향이나 측방향으로 전도시켜 상기 벽돌을 작업장에 떨어뜨려 하차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차 시 먼지나 잔재 및 소음이 발생되어 작업장 주변의 작업능률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낙하로 인해 상기 벽돌이 파손되어 시공자재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기 특허문헌 1의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에서는 벽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후면판과 두개의 측면판으로 삼면이 둘러싸이고 전면부가 개방된 일정 높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손잡이와 바퀴가 각각 설치된 벽돌운반용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는 벽돌을 하차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후면판의 하단에는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지지대가 고정, 부착되며, 개방된 전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턱과 대향하는 다른 받침턱이 내측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대가 삽입편에 의거 양 측면판의 수평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게 구성하여, 벽돌 운반시 내부에 적층시킨 형상 그대로 운반장소까지 옮길 수 있게 됨에 따라, 옮겨진 벽돌을 재차 적층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먼지 및 잔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동력 절감 및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하차가 용이한 벽돌 운반용 손수레”는 양측에 설치된 밀바를 작업인부의 힘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당겨 상기 분리지지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분리지지대의 분리를 위해 무리하게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작업인부에게 신체 상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벽돌의 하차 후에는 상기 분리지지대를 다시 본체에 조립해야 한다는 사용상의 편의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본체를 후방으로 조금씩 이동시켜 상기 벽돌을 바닥에 하차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상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337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벽돌을 이동하여 운반장소에 도착하였을 때, 벽돌지지부에 연동된 하역작동부재를 발로 가압하게 되면, 간편하게 벽돌지지부를 개방하여 상기 벽돌을 적층된 그대로 하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옮겨진 벽돌을 재차 적층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재적층으로 인한 노동력 절감뿐만 아니라 먼지 및 잔재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작업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귀작동부를 발로 가압하게 되면, 간편하게 상기 벽돌지지부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대단히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한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도가이드부재를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하부에 더 구성하여,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기울여서 이동하여 운반장소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전도가이드부재를 바닥에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지지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적은 힘으로 보다 원활하게 기립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한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는,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 벽돌을 나르기 위해 사용되는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에 있어서, 상부, 하부,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수납부(1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2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와,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에 각각 구비되되, “└”형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벽돌지지부(4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500);와,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하측에 상기 벽돌지지부(4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는 하역작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역작동부재(600)는,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직부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연결부(610, 610)와, 상기 제1 연결부(610)의 말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연결부(620, 620`)와, 그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620)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3 연결부(630, 630`)와, 각각의 상기 제3 연결부(630, 630`) 타단과 힌지결합되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역잠금부(64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역가이드부(640)와, 상기 하역잠금부(641)와 연동되되, 중앙이 통공되고, 양측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돌기(65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652)와 결합되는 하역조절부(650)와, 상기 하역가이드부(640) 및 하역조절부(650)가 내장되어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역가이드부인입공(661)과 상기 회동돌기(651)가 인입되어 상기 하역조절부(65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회동돌기인입공(662)을 포함하는 작동부본체(66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역조절부(65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부재(652)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653)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역조절부(650)의 외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653)보다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부(654)가 더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부(654)와 연동되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접촉부(671)를 포함하는 안전핀(670)이 더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본체(660)와 하역조절부(650)의 사이에는 탄성 연결되도록 탄성부재(690)를 더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개구된 일측면 상단에는, 벽돌(B)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벽돌가이드부(110)가 하나 이상 더 형성되고,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전핀거치부(642)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하측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되,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축부(683)와 연결되도록 타공되어 형성되는 회동축연결공(681)과 타단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발판(6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귀작동부(68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전핀(670)의 말단에는 무게추(672)가 더 형성되며,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 하부 측면에는 지지부(710)를 포함하는 전도가이드부재(700)가 각각 더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710)는 상기 바퀴(200)의 중심보다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전면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벽돌을 이동하여 운반장소에 도착하였을 때, 벽돌지지부에 연동된 하역작동부재를 발로 가압하게 되면, 간편하게 벽돌지지부를 개방하여 상기 벽돌을 적층된 그대로 하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옮겨진 벽돌을 재차 적층시켜야 하는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재적층으로 인한 노동력 절감뿐만 아니라 먼지 및 잔재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작업여건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귀작동부를 발로 가압하게 되면, 간편하게 상기 벽돌지지부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대단히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도가이드부재를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하부에 더 구성하여,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기울여서 이동하여 운반장소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전도가이드부재를 바닥에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지지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적은 힘으로 보다 원활하게 기립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구성 중 벽돌지지부와 하역작동부재의 결합된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구성 중 벽돌지지부와 하역작동부재의 분해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구성 중 하역조절부의 가압 전의 하역작동부재의 상태를 보인 후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구성 중 하역조절부의 가압 전의 벽돌지지부의 상태를 보인 전면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구성 중 하역조절부의 가압 후의 하역작동부재의 상태를 보인 후면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구성 중 하역조절부의 가압 후의 벽돌지지부의 상태를 보인 전면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의 구성 중 전도가이드부재의 형상 및 위치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가 경사상태에서 기립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전도가이드부재의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에 벽돌을 적재한 상태를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서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벽돌수납부(100),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벽돌지지부(400), 하역작동부재(600) 및 전도가이드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벽돌수납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벽돌수납부(10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벽돌(B)을 적층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구비된 직방형상의 구성요소로써, 상, 하부,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상기 벽돌(B)을 신속하게 적층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개구된 일측면 상단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벽돌가이드부(110)를 더 구비하여, 상기 벽돌(B)을 상부까지 적층한 후 상기 벽돌(B)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벽돌(B)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벽돌(B)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더 방지하도록 상기 벽돌가이드부(110)를 하나 이상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면에는, 바퀴연결축(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상기 바퀴연결축(미도시)의 양 끝단에 바퀴(2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후면 상측에는, 손잡이부(500)를 더 형성하여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의 이동 및 적재, 하차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써, 후술할 벽돌지지부(400)가 인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평부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벽돌지지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벽돌지지부(4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에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써, 양측에 형성된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평부에 상기 벽돌(B)의 일부면을 거치시켜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벽돌지지부(400)는 도 2 및 도 5 또는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하역작동부재(600)와 연동되어 상기 하역작동부재(6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개폐 유무가 결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하역작동부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역작동부재(600)는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후면 하측에 상기 벽돌지지부(4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하역작동부재(600)에 의하여 벽돌지지부(400)가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하역작동부재(6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제1, 2, 3 연결부(610, 610`, 620, 620`, 630, 630`)와 하역가이드부(640), 하역조절부(650), 작동부본체(660), 복귀작동부(680)로 구성되어 진다.
먼저 제1 연결부(610, 61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상기 제1 연결부(610, 61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벽돌지지부(400)의 수직부 후면 상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에 구비되어, 선단은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의 전면부와 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의 후면부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610, 610`)가 상기 하역작동부재(600)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부(610, 610`)와 결합된 상기 벽돌지지부(400)는 상기 제1 연결부(610, 610`)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610, 610`)의 말단측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일단에 각각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2 연결부(620, 62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2 연결부(620, 620`)의 타단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3 연결부(630, 6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연결부(620, 620`)와 제3 연결부(630, 630`)는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역가이드부(6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역가이드부(64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단측에 각각의 상기 제3 연결부(630, 63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동되어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상, 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있는 상기 제1, 2, 3 연결부(610, 610`, 620, 620`, 630, 630`)가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개폐유무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 5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하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평면은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상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에 안착 되어있던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평면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하부는 폐쇄되어 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전면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하역잠금부(641)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하역잠금부(641)의 구성으로 인하여 후술할 하역조절부(6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수직방향의 이동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상단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안전핀(670)이 거치가능하도록,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전핀거치부(642)가 더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전핀거치부(642)는, 후술할 복귀작동부(680)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손으로 거치하여 상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복귀작동부(68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하역조절부(6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역조절부(65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요소로써, 상기 하역잠금부(641)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역조절부(650)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전에는 상기 하역잠금부(641)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하강을 간섭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후에는 상기 하역잠금부(641)에서 이탈되어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하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역조절부(650)의 양측면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역조절부(650)가 회동가능하도록 후술할 작동부본체(660)와 연결되는 회동돌기(65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652)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역조절부(65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부재(652)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653)이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하역작동부재(600)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상기 하역잠금부(641)와 하역조절부(650)의 접촉하는 면이 마찰로 인해 닳게 되어 변형됨으로써, 상기 변형되는 크기에 따라,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처음 위치보다 하측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하역조절부(650)을 회전시켜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연동되어 있는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평부가 상기 변형으로 인해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될 때, 원상태로 수평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상기 하역조절부(650)의 외주연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부(654)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부(654)는 상기 나사산(653)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상, 하 유동에 간섭을 주지 않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작동부본체(660)에 다하여 설명한다. 상기 작동부본체(660)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후면 하측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역가이드부인입공(661)과, 상기 하역조절부(650)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돌기(651)가 안착되는 회동돌기인입공(662)가 양측면에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역조절부(650)와 작동부본체(66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탄성재질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690)을 더 구비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하역조절부(650)가 가압된 후 원상태로 탄성 복귀하는데 가이드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토퍼부(654)의 하부와 연동되도록 선단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접촉부(671)를 포함하는 상기 안전핀(670)이 상기 작동부본체(66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안전핀(670)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역작동부재(600)가 작동하기 전에는, 상기 스토퍼접촉부(671)가 상기 스토퍼부(654)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수로 상기 하역조절부(650)에 가압을 하더라도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하강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하역작동부재(600)가 작동하기 전, 상기 안전핀(700)이 쉽게 회동되지않도록 말단에는 무게추(672)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복귀작동부(6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귀작동부(680)는 도 2 또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하강된 후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요소로써,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하측에 일측면이 힌지결합되되,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축부(683)와 연결되도록, 타공되어 형성되는 회동축연결공(681)과 타측면에는 판 형상의 가압발판(68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도가이드부재(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도가이드부재(700)의 설명에 앞서,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측면에 구성된 상기 바퀴(200)는 상기 전도가이드부재(700)의 형상과 결합관계 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표현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 하부 측면에는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측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부(710)를 포함한 전도가이드부재(70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를 기울여서 운반장소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710)을 바닥에 접촉되도록 위치시켜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를 전도하게 되면,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원활하게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를 기립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710)는 상기 바퀴(200)의 중심보다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전면방향을 기준으로 더 앞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도 7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의 하역 작동방법 및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상태에서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 내부에 상기 벽돌(B)를 적층한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평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하역작동부재(6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기 하역잠금부(641)와 하역조절부(650) 및 안전핀(700)의 결합관계로 인하여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에 적층된 상기 벽돌(B)를 운반장소로 기우려진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운반장소에 도착하게 되면, 앞서 선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710)을 이용하여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를 기립상태로 위치시킨다.
이 후, 상기 벽돌(B)를 운반장소에 적층시킨 그대로 적재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안전핀(700)을 상기 스토퍼부(654)에서 이탈시켜 상기 안전핀거치부(642)에 안착시키고, 사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상기 하역조절부(650)를 내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하역조절부(650)는 상기 하역잠금부(641)에서 이탈되어 상기 벽돌지지부(400)와 연동되어 있는 상기 하역가이드부(640)는 상기 벽돌(B)의 중량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 후, 상기 하역가이드부(640) 하단에 연결된 각각의 상기 제3 연결부(630, 630`)는 외측방향으로 각각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상기 제2 연결부(620, 620`) 또한 회동 되어진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제2 연결부(620, 620`)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제1 연결부(610, 610`) 또한 회동되어, 상기 벽돌지지부(400)는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의 하부는 개방되어 진다.
이때, 상기 복귀작동부(680)는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하강으로 인해 가압발판(682)이 형성된 말단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개방된 상기 벽돌지지부(400)를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발판(682)을 사용자의 발을 사용하여 하향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동되어 있던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원상태로 위치를 회복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100: 벽돌수납부
110: 벽돌가이드부
200: 바퀴
300: 벽돌지지부안착부재
400: 벽돌지지부
500: 손잡이부
600: 하역작동부재
610, 610`: 제1 연결부
620, 620`: 제2 연결부
630, 630`: 제3 연결부
640: 하역가이드부
641: 하역잠금부 642: 안전핀거치부
650: 하역조절부
651: 회동돌기 652: 연결부재
653: 나사산 654: 스토퍼부
660: 작동부본체
661: 하역가이드부인입공 662: 회동돌기인입공
670: 안전핀
671: 스토퍼접촉부 672: 무게추
680: 복귀작동부
681: 회동축연결공 682: 가압발판
683: 회동축부
690: 탄성부재
700: 전도가이드부재
710: 지지부
B: 벽돌

Claims (3)

  1.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 벽돌을 나르기 위해 사용되는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에 있어서,
    상부, 하부, 전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수납부(100);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200);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상기 벽돌지지부안착부재(300) 내측에 각각 구비되되, “└”형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벽돌지지부(400);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500);
    상기 벽돌수납부(100) 후면 하측에 상기 벽돌지지부(4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는 하역작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역작동부재(600)는,
    상기 벽돌지지부(400)의 수직부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연결부(610, 610'),
    상기 제1 연결부(610)의 말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연결부(620, 620`),
    그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620)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3 연결부(630, 630`),
    각각의 상기 제3 연결부(630, 630`) 타단과 힌지결합되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역잠금부(641)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역가이드부(640),
    상기 하역잠금부(641)와 연동되되, 중앙이 통공되고, 양측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돌기(65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652)와 결합되는 하역조절부(650),
    상기 하역가이드부(640) 및 하역조절부(650)가 내장되어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하역가이드부(64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역가이드부인입공(661)과 상기 회동돌기(651)가 인입되어 상기 하역조절부(650)가 회동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회동돌기인입공(662)을 포함하는 작동부본체(66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조절부(65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부재(652)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653)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역조절부(650)의 외주연에 형성되되, 상기 나사산(653)보다 상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부(654)가 더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부(654)와 연동되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접촉부(671)를 포함하는 안전핀(670)이 더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본체(660)와 하역조절부(650)의 사이에는 탄성 연결되도록 탄성부재(690)를 더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개구된 일측면 상단에는, 벽돌(B)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벽돌가이드부(110)가 하나 이상 더 형성되고,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전핀거치부(642)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하역가이드부(640)의 하측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되,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축부(683)와 연결되도록 타공되어 형성되는 회동축연결공(681)과 타단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발판(6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귀작동부(68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전핀(670)의 말단에는 무게추(672)가 더 형성되며,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양측 하부 측면에는 지지부(710)를 포함하는 전도가이드부재(700)가 각각 더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710)는 상기 바퀴(200)의 중심보다 상기 벽돌수납부(100)의 전면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1).
KR2020130008103U 2013-10-01 2013-10-01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KR200474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03U KR200474919Y1 (ko) 2013-10-01 2013-10-01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03U KR200474919Y1 (ko) 2013-10-01 2013-10-01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919Y1 true KR200474919Y1 (ko) 2014-11-03

Family

ID=5228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03U KR200474919Y1 (ko) 2013-10-01 2013-10-01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11B1 (ko) * 2015-02-25 2015-05-26 이장섭 발을 이용한 하역수단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20160136964A (ko) * 2015-05-21 2016-11-30 (주)티에스티 벽돌 운반용 손수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958A (ko) * 2011-09-16 2013-03-26 이장섭 벽돌 운반용 손수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958A (ko) * 2011-09-16 2013-03-26 이장섭 벽돌 운반용 손수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011B1 (ko) * 2015-02-25 2015-05-26 이장섭 발을 이용한 하역수단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20160136964A (ko) * 2015-05-21 2016-11-30 (주)티에스티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101701353B1 (ko) 2015-05-21 2017-02-06 (주)티에스티 벽돌 운반용 손수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100B2 (en) Modular container assembly
US10293477B2 (en) Storage equipment
US20180220758A1 (en) Stackable suitcase, arrangement comprising two suitcases stacked one above the other and method for stacking two suitcases
US9321587B2 (en) Locking system applicable in large container
MX2010014109A (es) Configuracion para almacenamiento de computadora portatil para una superficie de trabajo.
EP2848473B1 (en) Load carrier for mounting on the rear of a vehicle
KR200474919Y1 (ko) 벽돌 운반용 자동하역 손수레
KR101307653B1 (ko) 장력 조절 기능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JP2615357B2 (ja) 貨物運搬用トラック
CA2872703C (en) Container system with lift interface device and vehicle
US20190275643A1 (en) Pipe fitting stand
JP4636993B2 (ja) 航空貨物用小型コンテナ
JP6786677B1 (ja) コンテナ
JP2010083594A (ja) 塵芥収集車
KR101016138B1 (ko) 컨테이너의 자동 잠금장치
US10336538B1 (en) Portable hydraulic side-loader system
CN106183942B (zh) 限位支撑机构及具有该限位支撑机构的运输车
EP2236368B1 (en) Lift truck
JP4663701B2 (ja) 手押し車
JPH1179654A (ja) 自動底開きコンテナ
US20070200368A1 (en) Compartment door latch mechanism
JP2007112453A (ja) 箱型パレットの扉パネルロック装置
WO2023189763A1 (ja) コンテナ
CN218616819U (zh) 翻斗装置及农用机械设备
JP2023147292A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