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14Y1 -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 Google Patents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14Y1
KR200474514Y1 KR2020130008297U KR20130008297U KR200474514Y1 KR 200474514 Y1 KR200474514 Y1 KR 200474514Y1 KR 2020130008297 U KR2020130008297 U KR 2020130008297U KR 20130008297 U KR20130008297 U KR 20130008297U KR 200474514 Y1 KR200474514 Y1 KR 200474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tripod
guide
extended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세기
Original Assignee
장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기 filed Critical 장세기
Priority to KR2020130008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1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통 차량에 비치하여 차량의 고장 등의 이유로 정차시 경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안전 삼각대는 단순 삼각형상을 가지고 지면서 비스듬하게 세워지도록 하여 먼 거리와 굴곡진 도로 등에서는 접근하는 차량이 인식하기 곤란하며 지면에서 높게 설치할 수 있는 삼각대의 경우 바람에 의하여 쓰러지거나 뒷 배경에 의하여 인식이 곤란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세 개의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1 절곡부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과, 양측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부를 구비하는 제1 받침대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2 절곡부와, 중앙에서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삽입된 받침대 고정볼트가 관통한 후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대 고정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1 받침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받침대와;
하단은 상기 연결돌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후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장홀을 구비하여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와 결합하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나비너트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하부 높이조절프레임과;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하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장홀을 구비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단은 상기 삼각대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상부 높이조절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This design is about a safety tripod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The safety tripod, which is usually used in a vehicle and used as a warning for stopping due to a malfunction of the vehicle, has a simple triangular shape and is erected obliquely, It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that a tripod which can be installed at a high level on the ground is difficult to recognize by a vehicle approaching from a curved road or the like,
A tripod having three frames form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reflecting light on its front surface and foldably assembled into a triangle by hinge coupling;
A first bending portion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to a vertical lower end so as to be slightly extended to the ground, a through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and a connect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both upper surfaces A first pedestal for supporting the first pedestal;
A second bending portion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at a vertically lower end so as to be slightly extended and standing on the ground, and a long bo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A pair of second pedestals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destal by a pedestal fixing nut integrally formed with a handle after passing through the pedestal;
And a lower end of the guide protrus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is extend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A pair of lower height adjusting frames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butterfly nut integrally formed with a knob engaged with the bolt;
And a second guide elongated hole which is formed to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lower height adjusting frame and which is elongated and incisively extended downward at a position where it is half the length between the two side connecting protrusions at the upper portion, And a pair of upper height adjustment frame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tripods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tripods.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Height-adjustable safety tripod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통 차량에 비치하여 차량의 고장 등의 이유로 정차시 경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안전 삼각대는 단순 삼각형상을 가지고 지면서 비스듬하게 세워지도록 하여 먼 거리와 굴곡진 도로 등에서는 접근하는 차량이 인식하기 곤란하며 지면에서 높게 설치할 수 있는 삼각대의 경우 바람에 의하여 쓰러지거나 뒷 배경에 의하여 인식이 곤란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tripod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More specifically, the safety tripod, which is usually used in a vehicle to warn the driver when the vehicle is stalled, has a simple triangular shap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approaching vehicles on long distances and curved roads. In the case of a tripod that can be installed at a high level on the ground, the height control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due to wind collapse or background Possible safety tripods.

도로에서는 주행에 지장을 주는 차량이나 물체 또는 공사현장이 있을 경우 접근하는 차량이 이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대비 및 회피운전할 수 있도록 안전요원이나 삼각대를 설치하고 있다.On the roads, safety personnel or tripods are installed so that vehicles or objects that interfere with driving, or vehicles approaching the construction site can easily recognize them, and prepare and avoid driving.

특히 각 차량에는 운행 중 불시의 차량 고장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하여 차량을 도로에 방치할 경우 주행방향 후방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뒤따라오는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시켜 연쇄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In particular, when each vehicle is left on the road due to an unexpected vehicle failure or a traffic accident during operation, the vehicle is installed behind the driving direction to easily expose the driver to the view of the driver following the high speed to prevent a collision accident.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도로에서는 설치 의무를 강제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고속도로의 경우 주간에는 100m 후방에 설치하고,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야간에는 100m 후방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200m 후방지점에는 사방 500m 떨어진 지점에서도 식별할 수 있는 불꽃 섬광이나 전기 제품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In Korea, it is not mandatory to install on public roads. However, in case of highway, it is installed 100m behind in the daytime. In the night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a safe tripod is installed 100m behind. It is necessary to install flame flashes or electric appliances that can be identified.

이는 현행 도로교통법 제61조 및 62조 규정에 따라 미휴대시 벌금 2만원 및 미 설치시 승용차 4만원 승합차 5만원의 벌칙금이 부과되며, 미 설치시 보험 최대 30% 본인 과실로 인정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Article 61 and 62 of the current Road Traffic Act, penalties of fines of 20,000 won for non-portable and 50,000 won for passenger cars of 40,000 won for non-installed vehicles are imposed.

이러한 규정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 삼각대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More important than these regulations is a safety tripod, which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the risk of accidents and to prevent further loss of life and property.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안전 삼각대는 삼각형상의 삼각대를 지면에 기울여 세워놓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나 지면과의 높이가 낮아 후방에서 쉽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safety tripods have a triangular tripod moun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tripod is low, it is difficult to identify it from the rear.

특히 도로의 굴곡이 오르막에서 내려가는 내리막 지점에 설치할 경우 인지할 수 있는 거리는 최대한 짧아져 후방의 차량이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경계를 할 수 없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road curvature is set at a downhill point, the distance that can be perceived is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rear vehicle can not be bounded with sufficient time margin.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009-0002949호 (2009년03월25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에서는 높이 조절기능이 있어 멀리서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면에서 필요에 따라 높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삼각대를 제안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No. 20-2009-0002949 (March 25, 2009), which is the cause of this problem, has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in the "height adjustable safety tripod" And proposed a tripod to allow high separation.

하지만 이렇게 삼각대가 높게 형성된 경우에는 바람에 의하여 쓰러질 우려가 많으며, 접근하는 차량의 시선으로 볼 때 삼각대의 후방의 배경에 의하여 거리감을 잃을 수도 있으며 네온사인이 밝은 지역에서는 혼동할 우려가 있어 필요에 따라 적당한 높이로 필요에 따라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However, when the tripod is formed so high, it is likely to be blown by the wind. In view of the approaching vehicle's eyes, it may lose its distance due to the background behind the tripod and may be confused in a neon sign bright area. It was then necessary to adjust it as needed to the proper height.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9-0002949호 (2009년03월25일)(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2949 (March 25, 2009)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9-0008466호 (2009년08월24일)(Patent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8466 (Aug. 24, 2009)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08766호 (2010년09월03일)(Patent 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8766 (September 03, 201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바람에도 잘 쓰러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삼각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safety tripo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tripo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tripod while preventing the tripod from collapsing.

또한, 높이를 조절하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velop a height-adjustable safety tripod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height and firmly fixing 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세 개의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와;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tripod having three frames form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reflecting light on its front surface and foldably assembled into a triangular shape by hinge coupling;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1 절곡부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과, 양측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부를 구비하는 제1 받침대와;A first bending portion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to a vertical lower end so as to be slightly extended to the ground, a through hole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and a connect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both upper surfaces A first pedestal for supporting the first pedestal;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2 절곡부와, 중앙에서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삽입된 받침대 고정볼트가 관통한 후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대 고정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1 받침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받침대와;A second bending portion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at a vertically lower end so as to be slightly extended and standing on the ground, and a long bor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A pair of second pedestals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destal by a pedestal fixing nut integrally formed with a handle after passing through the pedestal;

하단은 상기 연결돌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후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장홀을 구비하여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와 결합하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나비너트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하부 높이조절프레임과;And a lower end of the guide protrus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is extend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A pair of lower height adjusting frames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butterfly nut integrally formed with a knob engaged with the bolt;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하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장홀을 구비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단은 상기 삼각대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상부 높이조절프레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cond guide elongated hole which is formed to be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lower height adjusting frame and which is elongated and incisively extended downward at a position where it is half the length between the two side connecting protrusions at the upper portion, And a pair of upper height adjusting frame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tripods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tripods.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 장홀에는 길이 방향의 양 내측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elongated holes are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또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 장홀의 양 끝단과 중간에 1개소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요철부의 사이는 매끈한 절개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cavo-convex part is formed at one or more positions in the middle of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intaglio holes, and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concavo-convex parts is formed as a smooth incision surface.

아울러, 상기 요철부의 요철은 상호 마주보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요철이 형성된 내측과 평행하게 이격 연장되어 가이드볼트가 상기 요철부를 통과할 때 수축하는 탄성유도장홀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cavo-convex part of the concavo-convex par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induction hole protruding inward from each other and contracting when the guide bolt passes through the concavo-convex part, extending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convexo-concave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대를 전방 및 후방으로 더욱 연장되어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삼각대가 주로 영향을 받는 전후 방향의 바람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pedestal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can be further extended forward and backward to be fixed to the ground, thereby allowing the tripod to withstand wi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hich are mainly affected.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삼각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강한 바람에 쓰러지지 않고 접근하는 차량에서 가장 식별이 용이한 높이로 하여 삼각대에 의한 후방의 차량에 주의 신호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디.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tripod can be adjusted free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end the warning signal to the vehicle behind the tripod more effectively by making the height most easily recognizable in the vehicle approaching without collapsing with strong win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를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부분확대도
1 shows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destal is un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the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the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enlarged view according to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를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세 개의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1)와;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FIGS. 6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is rot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ip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ip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1 절곡부(21)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2)과, 양측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부(23)를 구비하는 제1 받침대(2)와;A first bending portion 21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and vertically lowered to be slightly extended to the ground, a through hole 22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A first pedestal (2) having a connecting protrusion (23) formed therein;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2 절곡부(31)와, 중앙에서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32)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홀(22)을 통하여 삽입된 받침대 고정볼트(33)가 관통한 후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대 고정너트(34)에 의하여 상기 제1 받침대(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받침대(3)와;A second bending portion 31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to a vertical lower end so as to be slightly extended to the ground, and a long hole 32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2)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destal (2) by a pedestal fixing nut (34) integrally formed with a pedestal after the pedestal fixing bolt (33) A pedestal (3);

하단은 상기 연결돌부(2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후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23)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장홀(41)을 구비하여 가이드볼트(6) 및 상기 가이드볼트(6)와 결합하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나비너트(7)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하부 높이조절프레임(4)과;And a lower e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onnection protrusion 23 and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to a half of the length between the both side connection protrusions 23, A pair of lower height adjusting frames 4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guide nut 6 and a butterfly nut 7 integrally formed with a handle engaging with the guide bolt 6;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4)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23)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하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장홀(51)을 구비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4)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단은 상기 삼각대(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상부 높이조절프레임(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를 나타내었다.And a second guide elongated hole (51) which is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lower height adjusting frame (4) and which is long and incisally extended downward at a position where it is half the length between the two side connecting protrusions (23) And a pair of upper height adjusting frames (5)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lower height adjusting frames (4) and rotatably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tripods (1) This is a possible safety tripod.

본원의 구성은 본원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보관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2 받침대(2, 3)가 접혀 있으며, 하부 및 상부 높이조절프레임(4, 5)이 접혀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이며 도 3에서의 삼각대(1)도 접힐 경우 최소한의 부피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pedestals 2 and 3 are folded in a storage state, and the lower and upper height adjusting frames 4 and 5 are folded and fol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tripod 1 shown in Fig. 3 can be stored in a minimum volume when folded.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2 받침대(3)를 펼치고 상기 도 4의 상태로 받침대 고정너트(34)를 조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이 많이 불어 쓰러질 우려가 있을 경우 도 5와 같이 장공(32)을 따라 길게 인출하여 고정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base 3 is used, the second base 3 may be unfolded and fastened by fastening the base fixing nut 34 in the state of FIG. 4. However, if there is a risk of wind blow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by pulling out and fixing it.

또한 이때 제2 받침대(3)는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면과 같이 직각이 아닌 상태로도 고정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만 또는 전방으로만 형성하여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킨 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at this time, the second pedestal 3 can be fixed in a desired direction in a state other than a right 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can be easily rotated only in a rearward direction or forward direction and in a direction capable of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win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fix it afterwards.

이러한 상태에서도 설치작업이 끝날 수도 있으나 본원은 삼각대(1)의 높이에 따라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르므로 삼각대(1)를 들어 올리면 하부 및 상부 높이조절프레임(4, 5)이 각각 엇갈리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제1 및 제2 가이드 장홀(41, 51)을 따라 힌지축이라고 할 수 있는 가이드볼트(6)의 결합부가 이동하게 되어 다양한 높이로 변화가 가능하면 적당한 높이에서 나비너트(7)를 조여 고정해주면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work may be ended even in this state. However, since the degree of easiness of the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ripod 1, when the tripod 1 is lifted, 5 are shifted from each other. Whe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guide bolt 6,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hinge shaft, moves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elongated holes 41, 51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heights, And fastening the butterfly nut 7 to fix it.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는 삼각대(1)가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서 가장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바람에도 쓰러지지 않는 정도로 제2 받침대(3)의 각도 및 길이와 삼각대(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By this method,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tripod (1) in a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adjust the angle and length of the second pedestal (3) and the height of the tripod (1) You can.

도 8은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 장홀(41, 51)에는 길이 방향의 양 내측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42, 52)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a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elongated holes 41 and 51 are provided with recesses and protrusions 42 and 52 having a large number of recesses and protrusion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실시 예는 가이드볼트(6)와 나비너트(7)를 이용하여 조인다고 하더라도 바람이나 하중에 의하여 결합부가 느슨해질 우려가 있으며 느슨해진 상태에서도 최초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를 위한 것이다.
Even if the guide bolts 6 and the butterfly nuts 7 are used to tighten the coupling part, the coupling part may be loosened due to wind or load, and slippage prevention can be maintained even in a loose state.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상기 요철부(42, 52)는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 장홀(41, 51)의 양 끝단과 중간에 1개소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요철부(42, 52)의 사이는 매끈한 절개면으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the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ipod is raised according to the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elongated holes 41, 51 by one or more positions, and the adjacent recessed portions 42, 52 are formed as smooth cut surfaces Respectively.

상기 실시 예는 가이드볼트(6)와 나비너트(7)에 의하여 고정되는 위치를 정해진 위치에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양 끝단과 중앙으로 3개소를 둘 수도 있으며 4개 이상의 수로 일정 간격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guide bolt 6 and the butterfly nut 7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a stepwise mann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guide bolt 6 and the butterfly nut 7 may have three positions at both ends and a cent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stant interval by number.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삼각대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부분확대도로서, 상기 요철부(42, 52)의 요철은 상호 마주보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요철이 형성된 내측과 평행하게 이격 연장되어 가이드볼트(6)가 상기 요철부(42, 52)를 통과할 때 수축하는 탄성유도장홀(43, 53)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thir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42, (43, 53) which are protruded inward facing each other and which extend in parallel to the inside formed with the concavo-convex so that the guide bolt (6) contracts when passing through the concavo-convex portions (42, 52)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상기 실시 예는 먼저 가이드볼트(6)의 직경은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 장홀(41, 5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요철부(42, 52)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가이드볼트(6)가 강제로 통과할 경우 탄성유도장홀(43, 53)이 수축하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고정된 가이드볼트(6)가 움직이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diameter of the guide bolt 6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elongated holes 41 and 51 and the protrusions 42 and 52 are protruded inward, The elastic guide passage holes 53 and 53 can be contracted and passed through when the guide bolt 6 is forcibly passed, so that the fixed guide bolt 6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moving.

1 : 삼각대
2 : 제1 받침대
21 : 제1 절곡부 22 : 관통홀
23 : 연결돌부
3 : 제2 받침대
31 : 제2 절곡부 32 : 장공
33 : 받침대 고정볼트 34 : 받침대 고정너트
4 : 하부 높이조절프레임
41 : 제1 가이드 장홀 42 : 요철부
43 : 탄성유도장홀
5 : 하부 높이조절프레임
51 : 제2 가이드 장홀 52 : 요철부
53 : 탄성유도장홀
6 : 가이드볼트
7 : 나비너트
1: Tripod
2: First stand
21: first bent portion 22: through hole
23:
3: Second pedestal
31: second bending part 32: long hole
33: Base fixing bolt 34: Base fixing nut
4: Lower height adjustment frame
41: first guide elongated hole 42: concave / convex portion
43: elastic induction field hole
5: Lower height adjustment frame
51: second guide shaft hole 52: concave / convex portion
53: elastic induction field hole
6: Guide bolt
7: butterfly nut

Claims (4)

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발광부가 형성되는 세 개의 프레임이 힌지 결합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절첩가능하게 조립된 삼각대(1)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1 절곡부(21)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2)과, 양측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부(23)를 구비하는 제1 받침대(2)와;
긴 판 형상을 가지고, 양 끝단에 수직 하단으로 절곡되어 소폭 연장됨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하는 제2 절곡부(31)와, 중앙에서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32)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홀(22)을 통하여 삽입된 받침대 고정볼트(33)가 관통한 후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대 고정너트(34)에 의하여 상기 제1 받침대(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받침대(3)와;
하단은 상기 연결돌부(2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후 길게 연장되며, 하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23)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장홀(41)을 구비하여 가이드볼트(6) 및 상기 가이드볼트(6)와 결합하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나비너트(7)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는 한 쌍의 하부 높이조절프레임(4)과;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4)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상기 양측 연결돌부(23)의 사이 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서 하부로 길게 절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장홀(51)을 구비하며 하단이 상기 하부 높이조절프레임(4)의 상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단은 상기 삼각대(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상부 높이조절프레임(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A tripod (1) in which three frames, in which a light emitting portion reflecting ligh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re foldably assembled into a triangle by hinge connection;
A first bending portion 21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and vertically lowered to be slightly extended to the ground, a through hole 22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A first pedestal (2) having a connecting protrusion (23) formed therein;
A second bending portion 31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bent at both ends to a vertical lower end so as to be slightly extended to the ground, and a long hole 32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2)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destal (2) by a pedestal fixing nut (34) integrally formed with a pedestal after the pedestal fixing bolt (33) A pedestal (3);
And a lower e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onnection protrusion 23 and is extended from the lower end to a half of the length between the both side connection protrusions 23, A pair of lower height adjusting frames 4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guide nut 6 and a butterfly nut 7 integrally formed with a handle engaging with the guide bolt 6;
And a second guide elongated hole (51) which is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lower height adjusting frame (4) and which is long and incisally extended downward at a position where it is half the length between the two side connecting protrusions (23) And a pair of upper height adjusting frames (5)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lower height adjusting frames (4) and rotatably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tripods (1) This is a safe trip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 장홀(41, 51)에는 길이 방향의 양 내측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42, 5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2. The safety tripod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elongated holes (41, 51) are provided with recesses and protrusions (42, 52)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42, 52)는 상기 제1 내지 제2 가이드 장홀(41, 51)의 양 끝단과 중간에 1개소 이상 이격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요철부(42, 52)의 사이는 매끈한 절개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42, 5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elongated holes (41, 51) And the height of the safety tripod is adjustab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42, 52)의 요철은 상호 마주보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요철이 형성된 내측과 평행하게 이격 연장되어 가이드볼트(6)가 상기 요철부(42, 52)를 통과할 때 수축하는 탄성유도장홀(43, 53)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42, 52) protrude inward facing each other, and the guide bolt (6) , And further comprises elasticity induction hole (s) (43, 53) for shrinking when passing through the safety tripod.
KR2020130008297U 2013-10-08 2013-10-08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KR2004745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97U KR200474514Y1 (en) 2013-10-08 2013-10-08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97U KR200474514Y1 (en) 2013-10-08 2013-10-08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514Y1 true KR200474514Y1 (en) 2014-09-23

Family

ID=5200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97U KR200474514Y1 (en) 2013-10-08 2013-10-08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1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33Y1 (en) 2015-05-11 2016-11-16 장세기 The safty trip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49U (en) * 2007-09-20 2009-03-25 장세기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KR20090008466U (en) * 2008-02-19 2009-08-24 장세기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KR200458347Y1 (en) 2009-02-26 2012-02-15 장세기 The Safety Trip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49U (en) * 2007-09-20 2009-03-25 장세기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KR20090008466U (en) * 2008-02-19 2009-08-24 장세기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KR200458347Y1 (en) 2009-02-26 2012-02-15 장세기 The Safety Trip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33Y1 (en) 2015-05-11 2016-11-16 장세기 The safty trip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903B2 (en) Bendable pole for wire-rope safety fences
KR20100084719A (en) Traffic lights bolt holding device
KR200474514Y1 (en)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KR200447206Y1 (en)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JP6290140B2 (en) Road protection facility with safety parts for warning and safety parts for warning
CN208685485U (en) One kind preventing secondary injury type automobile triangular frame warning sign
KR200458347Y1 (en) The Safety Tripod
KR100466101B1 (en) Shading plate for easy to adjustment an angle
KR101344470B1 (en) Car accident alert alarm light with tripod prefabricated
KR20020039762A (en) A Folding Triangle Band for Automobile
KR200481833Y1 (en) The safty tripod
CN105780689A (en) Flexible lane separation guardrail
KR200442438Y1 (en) The Multipurpose Safety Fence
KR20090002949U (en) The Safety Tripod that can control height
JP4359522B2 (en) Anti-glare board for road
KR102662706B1 (en) construction sign assembly for prevention of inversion and construction sign plate using the same
KR101703944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glare shield for median strip
KR200298063Y1 (en) A Median Strip for a Road
KR200220939Y1 (en) A crossing barrier
CN211473671U (en) Barrier device for road construction
JP6494722B2 (en) Road protection facility with safety parts for warning and safety parts for warning
CN218204076U (en) Protection warning type road landscape pergola
KR102609091B1 (en) A median strip
CN215669242U (en) Anti-collision device for road traffic intersection
CN210598435U (en) Interim protector that highway construction was us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