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329Y1 - 책장 - Google Patents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329Y1
KR200474329Y1 KR2020130004823U KR20130004823U KR200474329Y1 KR 200474329 Y1 KR200474329 Y1 KR 200474329Y1 KR 2020130004823 U KR2020130004823 U KR 2020130004823U KR 20130004823 U KR20130004823 U KR 20130004823U KR 200474329 Y1 KR200474329 Y1 KR 200474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fixing
partit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2020130004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장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 겸용의 칸막이를 수직 회전 혹은 수평 회전시킴으로써 칸의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책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Description

책장{Bookcase}
본 고안은 책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칸의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받침대와 칸막이에 의해 칸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책장은 상기 칸의 크기에 따라 해당 칸에 꽂아서 수납할 수 있는 책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책의 높이가 칸의 높이 보다 크면 책을 해당 칸에 비스듬하게 꽂아서 수납하거나 가로로 뉘어서 수납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게시된 가구는 내부 수납용적을 최대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가구 내부에서 선반을 수직 상하로 이동시키며 수납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게시된 가구는 수납공간의 폭을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 특허문헌 2에 게시된 수납가구는 수납부의 받침판 사이에 결합되는 칸막이판으로 수납부의 좌우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책을 꽂을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 게시된 수납가구는 수납부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KR 10-0583615 B1 KR 20-0466499 Y1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대 겸용의 칸막이를 수직 회전 혹은 수평 회전시킴으로써 칸의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은 서로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주면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판재 고정용 가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2개의 측판과; 상기 2개의 측판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 상기 2개의 측판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 상기 2개의 측판의 뒷면을 커버하며, 전면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상기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과 연결되는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판재 고정용 세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뒷판; 복수의 관체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십자홈의 중앙에 고정되는 칸막이지지체; 후단이 상기 제2 가로홈 또는 상기 세로홈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내부에 봉 또는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앙에 상기 칸막이지지체가 수직되게 연결되어 고정되는 삽입체와 칸막이지지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받침대 겸용 칸막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장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지지체는 일단이 상기 뒷판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가로홈과 상기 세로홈의 교차 지점에 고정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부가 형성된 제1관체와; 일단에 상기 제1관체의 타단이 수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돌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오목홈이 형성된 제2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받침대 겸용의 칸막이를 수직 회전 혹은 수평 회전시킴으로써 칸의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책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장 내부의 십자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칸막이 내부에 삽입체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칸막이 지지체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일반적인 책장에서 받침대 겸용 칸막이를 회전시켜 책의 크기에 따라 수납공간을 변형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은 서로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측판(10)과, 상기 2개의 측판(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20), 상기 2개의 측판(10)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30), 상기 2개의 측판(10)의 뒷면을 커버하는 뒷판(40), 칸막이지지체(50) 및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로 구성된다.
상기 측판(10)은 내주면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은 상기 측판(1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받침대 겸용 칸막이(60)가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경우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의 측부 일부가 삽입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뒷판(40)의 전면에는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과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은 상기 뒷판(40)에 정해진 폭과 정해진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에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이어져서 줄을 형성하고, 상기 다수개의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41)이 형성한 줄은 상기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의 높이에 대응하여 세로방향으로 상기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의 개수만큼 상기 뒷판(40)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 또는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에는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의 후단이 삽입되어 안착되며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칸막이(6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칸막이지지체(50)는 복수의 관체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과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의 교차지점에는 칸막이지지체(50)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칸막이지지체(50)가 고정되는 방법을 한정하지는 않고 다양한 고정수단 또는 고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칸막이지지체(50)의 일단과,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과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의 교차지점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버팀체(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과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의 교차지점에 상기 버팀체(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버팀체(미도시)의 전방에 상기 칸막이지지체(50)의 일단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칸막이지지체(50)를 2개의 관체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관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 개수를 한정하지 않지만 복수의 관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지지체(50)는 복수의 관체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칸막이지지체(50)를 2개의 관체로 구성하였을 경우, 일단이 상기 배면판(40)의 전면에 형성된 십자홈 중앙에 고정되는 제1관체(51)와, 일단에 상기 제1관체(51)의 타단이 수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제2관체(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체(53)의 내부 직경은 상기 제1관체(51)의 외부 직경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하고, 상기 제1관체(51)의 타단에서는 외부로 턱(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제2관체(53)의 일단에 서는 내부로 턱(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제1관체(51)와 제2관체(53)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관체(5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체(53)의 내면에 상기 돌부(52)가 삽입되는 오목홈(54)이 형성되어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제2관체(53)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상기 돌부(52)와 오목홈(54)을 각각 4개씩 도시하였으나 상기 돌부(52)와 오목홈(54)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관체(5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체(53)의 내면에 상기 돌부(52)가 삽입되는 오목홈(5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를 회전시키고자 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제2관체(53)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상기 돌부(52)와 오목홈(54)을 각각 4개씩 도시하였으나 상기 돌부(52)와 오목홈(54)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관체(5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체(53)의 내면에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는 돌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는 후단이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 또는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의 교차지점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삽입체(62)와 칸막이지지체(5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삽입홈(61)이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지지체(50)의 타단, 즉 제2관체(53)의 타단은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61)에 삽입되고, 봉 또는 판체형상으로 형성된 삽입체(62)의 길이방향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삽입체(62)는 상기 제2관체(53)와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삽입체(62)가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의 삽입홈(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삽입홈(61)에는 삽입체(62) 뿐만 아니라 제1관체(51)와 제2관체(53)도 수용되어 슬라이딩된다.
물론 상기 제1관체(51)의 내경이 제2관체(5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삽입홈(61)에는 가장 큰 직경에 맞추어야 하므로, 제1관체(51)의 내부에 제2관체(53)가 삽입된다면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는 흔들릴 수도 있다.
상기 칸막이지지체(5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체 내부에 용수철(미도시)이 수용되고 상기 용수철(미도시)의 일단은 뒷판(40)에 타단은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를 잡아당긴 후 회전시킨 다음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를 놓았을 때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의 후단은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 또는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용자는 책장의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로 구획되어진 수납공간보다 높이가 큰 책을 수납하기 위하여 받침판의 역할로 거치된 원하는 위치의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를 잡아당기면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는 뒷판(40)의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에서 이탈된다.
만약 측판(10) 쪽에 위치한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라면 상기 측판(10)에 형성된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에서 책장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이탈된다.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를 90°회전시키면 칸막이지지체(50)의 제1관체(51)와 제2관체(53)에 형성되어 있는 돌부(52)와 오목홈(54)은 서로 어긋나며 이탈되고 상기 돌부(52)는 또 다른 가까운 오목홈(54)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를 놓게 되면, 상기 칸막이지지체(50) 내부에 수용되어있는 용수철(미도시)에 의해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가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과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의 교차지점으로 당겨지게 되며, 상기 받침대 겸용 칸막이(60)의 후단은 상기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으로 일부 삽입되며 안착된다.
만약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에 삽입된 받침대 겸용 칸막이(60)를 회전시켜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에 삽입시키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측판 11 :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
20 : 상판 30 : 하판
40 : 뒷판 41 :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
41' : 판재 고정용 세로홈 50 : 칸막이지지체
51 : 제1관체 52 : 돌부
53 : 제2관체 54 : 오목홈
60 : 받침대 겸용 칸막이 61 : 삽입홈
62 : 삽입체

Claims (2)

  1. 서로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주면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2개의 측판(10)과;
    상기 2개의 측판(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20);
    상기 2개의 측판(10)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30);
    상기 2개의 측판(10)의 뒷면을 커버하며, 전면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상기 판재 고정용 제1 가로홈(11)과 연결되는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들이 형성되고, 상기 판재 고정용 제2 가로홈(41)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판재 고정용 세로홈(41')이 적어도 하나 이상 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뒷판(40);
    복수의 관체가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제2 가로홈(41)과 상기 세로홈(41')의 교차 지점에 고정되는 칸막이지지체(50); 및
    후단이 상기 제2 가로홈(41) 또는 상기 세로홈(41')에 삽입되어 안착되고, 내부에 봉 또는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앙에 상기 칸막이지지체(50)가 수직되게 연결되어 고정되는 삽입체(62)와 칸막이지지체(5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삽입홈(61)이 형성된 받침대 겸용 칸막이(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지지체(50)는
    일단이 상기 뒷판(4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가로홈(41)과 상기 세로홈(41')의 교차 지점에 고정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부(52)가 형성된 제1관체(51)와;
    일단에 상기 제1관체(51)의 타단이 수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돌부(5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오목홈(54)이 형성된 제2관체(5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
KR2020130004823U 2013-06-14 2013-06-14 책장 KR200474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823U KR200474329Y1 (ko) 2013-06-14 2013-06-14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823U KR200474329Y1 (ko) 2013-06-14 2013-06-14 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329Y1 true KR200474329Y1 (ko) 2014-09-15

Family

ID=5200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823U KR200474329Y1 (ko) 2013-06-14 2013-06-14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32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03U (ko) * 2008-10-31 2010-05-11 김성우 수납공간의 높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장(선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03U (ko) * 2008-10-31 2010-05-11 김성우 수납공간의 높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장(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161B1 (ko) 깊이조절대와 경사받침대가 조합 구비된 서가
KR200469363Y1 (ko) 이동식 선반이 구비된 책장
US20150238032A1 (en) Kitchen Utensil Organizer
CN204245517U (zh) 全方位运动绘图桌
KR200474329Y1 (ko) 책장
KR101247040B1 (ko) 무한확장 가능한 칸막이
KR200472731Y1 (ko) 책장
KR101486288B1 (ko) 책상 위에 설치하는 보조책상
CN104369598A (zh) 一种桌面整理架
CN104121751B (zh) 具有酒架的冰箱
CN208564417U (zh) 一种可收纳的梯子
KR101136977B1 (ko) 다목적 조립형 가구
JP2010022621A (ja) 上棚付きデスク装置
KR20150003918U (ko) 다기능 침대
CN109198899B (zh) 可调节衣柜
CN211380099U (zh) 一种节省空间的多功能桌面书架
KR20220103419A (ko) 액자 받침대
JP3062136U (ja) 収納棚
CN218605825U (zh) 一种可调角度的键盘手托盘
CN206522973U (zh) 一种瓶座及具有该瓶座的冰箱
CN111772369A (zh) 一种可折叠的钢制家具办公柜
KR101555806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1419368B1 (ko) 보조책상
KR101532400B1 (ko) 책 받침구
CN219629123U (zh) 一种设有多种储存结构电视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