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181Y1 -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 Google Patents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181Y1
KR200474181Y1 KR2020120008242U KR20120008242U KR200474181Y1 KR 200474181 Y1 KR200474181 Y1 KR 200474181Y1 KR 2020120008242 U KR2020120008242 U KR 2020120008242U KR 20120008242 U KR20120008242 U KR 20120008242U KR 200474181 Y1 KR200474181 Y1 KR 200474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er
male
lower frame
locking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24U (ko
Inventor
김명숙
이정식
Original Assignee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2020120008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18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584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실금 남성환자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요실금 남성환자의 요관을 가압하여 소변이 요관을 따라 배출되는 것을 간편하게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은 남성성기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과, 남성성기의 하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클립몸체와, 상부 프레임의 안쪽과 하부 프레임의 안쪽에 고정된 쿠션부와, 상부 프레임의 타측과 하부 프레임의 타측을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Urinary Incontinence Clamp for Men}
본 고안은 요실금 남성환자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요실금 남성환자의 요관을 가압하여 소변이 요관을 따라 배출되는 것을 간편하게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요실금이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을 보게 되는 현상으로, 요관의 조정은 요관을 감싸고 있는 괄약근의 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 괄약근의 힘이 부족하면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오줌이 방광에 고이지 못하고 흘러나오는 것을 말한다.
최근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노년층이 증가하면서 그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남성 요실금은 전립선 수술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수술환자의 절반이 넘으며 50살이 넘으면 노쇠와 함께 괄약근의 힘도 약해져 요실금의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요실금의 치료는 요관을 압박하는 장치를 체내에 삽입하는 수술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재발하는 등 완전하지 않고 또 수술을 기피하는 경향으로 대부분이 요실금 패드나 팬티를 이용한다.
그러나 패드나 팬티를 사용하는 경우 수시로 교환해주어야 하고 패드는 항상 젖어있고, 젖어있는 패드와 접촉하는 피부는 약해져 피부가 헤지는 등 수시로 상처가 나고, 냄새로 대인 기피증까지 생겨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심한 경우는 제때 패드를 교환하지 못하여 겉옷까지 젖는 경우를 당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7558(공개일; 2000.09.25)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요실금을 갖고 있는 남성환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요관을 가압하여 소변의 배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요관 가압클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은 남성성기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과, 남성성기의 하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클립몸체와, 상부 프레임의 안쪽과 하부 프레임의 안쪽에 고정된 쿠션부와, 상부 프레임의 타측과 하부 프레임의 타측을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프레임의 길이 중간에는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가압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를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꺾쇠와, 다른 한 쪽에 꺾쇠와 정합되도록 형성된 잠금편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편의 내측면에는 걸림턱들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걸림턱들 사이의 간격을 꺾쇠의 두께보다 넓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은 남성성기의 요관을 가압하여 요관을 차단함으로써, 배출되는 소변이 요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변의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남성환자의 활동을 자유롭게 하며,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아 원활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은 프레임에는 요관만을 집중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착용하였을 때에 남성성기 전체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이면서 요관만을 완벽히 차단하여 소변의 배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남성 성기와 접하는 부위가 인체와 유사한 재질인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착용 후에 압박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은 원터치 방식으로 착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체형 구성으로 제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은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요실금 남성환자의 상태에 따라 가압력을 달리하여 착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은 종래의 요실금 팬티 또는 패드와 같이 1회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또한 땀이나 소변에 젖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어 위생적이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을 잠금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의 가압력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을 착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을 잠금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의 가압력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을 착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100)은 상부와 하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일체로 구성된 클립몸체(110)와, 클립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남성성기와 접하는 쿠션부(120)와, 클립몸체(1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어 잠금하거나 잠금해제되는 잠금부(13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클립몸체(110)는 상호 마주하여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 및,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의 일측이 상호 연결된 연결부(115)를 포함하며,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 및 연결부(115)는 일체형 구조로서 한 몸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연결부(115)는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이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11)의 타측과 하부 프레임(113)의 타측이 잠금부(130)에 의해 잠금되었을 때에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며, 연결부(115)에서 제공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잠금부(130)가 잠금해제되면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진다.
또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은 잠금된 상태에서 탄성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차후에 설명하고 있으나, 쿠션부(120)의 사이에 남성성기(도 4의 1)를 위치하고 잠금부(130)로 잠금하더라도 쿠션부(120)가 남성성기(1)를 상부와 하부에서 가압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부 프레임(113)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113)의 길이 중간에는 안쪽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가압부(113P)가 형성된다. 이는 잠금부(130)에 의해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이 잠금되었을 때에 가압부(113P)가 남성성기(1)의 아래쪽에 위치한 요관(도 4의 3)을 집중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가압부(113P)에 의해 요관(3)이 집중 가압되면서 요관(3)을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의 타측에는 잠금부(130)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1)의 타측 단부에는 꺾쇠(131)가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113)의 타측 단부에는 잠금편(133)이 형성되며, 꺾쇠(131)가 잠금편(133)에 걸림되어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이 잠금된다.
여기에서 잠금편(133)은 꺾쇠(131)를 향해 상향으로 절곡되며 내측면에는 걸림턱(135)들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걸림턱(135)들의 사이는 꺾쇠(131)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이 잠금될 때에 꺾쇠(131)가 걸림턱(135)들 사이에 정합되면서 잠금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35)들 중에서 하단에 위치한 걸림턱(135)에 꺾쇠(131)가 정합하면 연결부(115)의 탄성복원력이 크며, 반대로 상단에 위치한 걸림턱(135)에 꺾쇠(131)가 정합하면 연결부(115)의 탄성복원력이 약하게 된다. 따라서 요실금 남성환자는 잠금부(130)를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을 잠금함에 있어 성기(1)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를 하기 위해서는 잠금편(133)을 외측방향으로 밀면 꺾쇠(131)가 걸림턱(135)에서 이탈하게 되어 잠금해제되고, 연결부(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이 벌어진다.
한편, 상부 프레임(111)의 안쪽과 하부 프레임(113)의 안쪽에는 쿠션부(120)가 위치한다. 쿠션부(120)는 인체와 유사한 재질의 실리콘폼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1)의 바깥면에 형성된 돌기(111A)들은 상부 프레임(111)을 하부 프레임(113)의 방향으로 밀 때에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한 미끄럼방지부재이다. 여기에서 미끄럼방지부재는 상부 프레임(111)의 바깥면 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프레임(113)의 바깥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요관 가압클립의 사용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요관 가압클립(100)을 착용함에 있어서, 남성성기(1)의 상부에 상부 프레임(111)이 대응하고 남성성기(1)의 하부에 하부 프레임(113)이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하부 프레임(113)에 형성된 가압부(113P)가 남성성기(1)의 아래쪽에 위치한 요관(3)과 대응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을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꺾쇠(131)가 잠금편(133)의 걸림턱(135)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20)가 남성성기(1)의 상부와 하부에 접한 상태로 가압되는데, 이때 하부 프레임(113)에 형성된 가압부(113P)와 대응하는 지점 즉 남성성기(1)의 요관(3)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가압부(113P) 외의 다른 지점에서 작용하는 가압력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요관(3)은 가압부(113P)에 의해 가압력이 집중되어 폐쇄된다. 한편 가압부(113P) 외의 다른 부위는 요관(3)에 작용하는 가압력보다 작은 가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남성환자가 성기(1)를 통해 느끼는 가압력은 요관(3)에 작용하는 가압력보다 약하게 느끼게 된다.
따라서 요관 가압클립(100)을 착용하더라도 요관(3)에만 가압력이 집중되어 착용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요관(3)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을 더욱 근접시킨다. 그러면 꺾쇠(131)가 잠금편(133)에 형성된 걸림턱(135)들 중 아래에 위치한 걸림턱(135)에 걸리게 됨에 따라 남성성기(1)에 작용하는 가압력을 증가하게 되고, 특히 요관(3)에 작용하는 가압력 또한 증가하여 요관(3)을 완벽하게 폐쇄하여 소변이 요관(3)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잠금해제할 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편(133)을 외측방향으로 밀어 꺾쇠(131)와 걸림턱(135)의 정합을 해제함으로써, 잠금해제된다. 이때 연결부(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이 벌어지게 되고, 남성성기(1)에서 요관 가압클립(100)을 해체할 수 있다.
1 : 성기
3 : 요관
100 : 요관 가압클립
110 : 클립몸체
111 : 상부 프레임
111A : 돌기
113 : 하부 프레임
113P : 가압부
115 : 연결부
120 : 쿠션부
130: 잠금부
131 : 꺾쇠
133 : 잠금편
135 : 걸림턱

Claims (4)

  1. 남성성기(1)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111)과, 남성성기(1)의 하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113)과,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15)를 구비한 클립몸체(110)와,
    상부 프레임(111)의 타측과 하부 프레임(113)의 타측을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130)는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3)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꺾쇠(131)와, 다른 한 쪽에 꺾쇠(131)와 정합되도록 형성된 잠금편(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113)의 길이 중간에는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가압부(113P)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111)의 안쪽과 하부 프레임(113)의 안쪽에 형성된 쿠션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편(133)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35)이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KR2020120008242U 2012-09-14 2012-09-14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KR200474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42U KR200474181Y1 (ko) 2012-09-14 2012-09-14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242U KR200474181Y1 (ko) 2012-09-14 2012-09-14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24U KR20140001724U (ko) 2014-03-26
KR200474181Y1 true KR200474181Y1 (ko) 2014-09-25

Family

ID=5199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242U KR200474181Y1 (ko) 2012-09-14 2012-09-14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009A (ko) 2015-07-24 2017-02-02 김명숙 남성용 요실금 방지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51B1 (ko) * 2014-09-18 2016-06-15 김남길 남성용 요실금 기능성 패드
EP3466370A4 (en) * 2016-05-23 2020-02-19 Myung Sook Kim PLIERS TO PREVENT MALE URINARY INCONTINE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0111U (ko) * 1978-11-10 1980-05-14
JPH10108874A (ja) * 1996-10-05 1998-04-28 Sakae Sugaya 男性用尿道閉塞具
JP2001501116A (ja) 1996-10-03 2001-01-30 ラドジエビツク,ボルカ 男性用失禁防具
JP3302687B2 (ja) * 1989-03-20 2002-07-15 ティム・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男性用尿失禁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0111U (ko) * 1978-11-10 1980-05-14
JP3302687B2 (ja) * 1989-03-20 2002-07-15 ティム・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男性用尿失禁防止装置
JP2001501116A (ja) 1996-10-03 2001-01-30 ラドジエビツク,ボルカ 男性用失禁防具
JPH10108874A (ja) * 1996-10-05 1998-04-28 Sakae Sugaya 男性用尿道閉塞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009A (ko) 2015-07-24 2017-02-02 김명숙 남성용 요실금 방지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24U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302B2 (en) Urinary incontinence prevention clip for men
KR200474181Y1 (ko) 남성용 요관 가압클립
WO2001091677A1 (en) Penile clamp for inhibiting incontinence
KR100754105B1 (ko) 의료용 배액관 고정장치
US20210338404A1 (en) External male incontinence clamp
KR20170002555A (ko) 요실금 치료기 및 방법
KR20170084147A (ko) 여성용 요실금 치료기 및 치료방법
CN109310512A (zh) 男性用的尿失禁防止器具
KR101818035B1 (ko) 남성용 요실금 방지 클립
US20160310251A1 (en) User conformable incontinence clamp
EP3010380B1 (en) Device for applying and stripping socks and the use
KR101652476B1 (ko) 남성용 요실금 방지기구
KR102053060B1 (ko) 허리지압구
JP6581744B1 (ja) 男性用の尿失禁防止器具及びカバー
KR100741994B1 (ko) 의료용 클램프
CN212973347U (zh) 一种关节防压装置
JP6769939B2 (ja) 尿失禁防止器具
US10792175B2 (en) Ergonomic protective shell device of the perineal orthosis type
KR200298161Y1 (ko) 마사지기
CN109966041A (zh) 约束带
CN219071738U (zh) 一种带锁扣的深静脉置管固定器
KR20110001409U (ko) 성기능 강화용 링
CN219662437U (zh) 成人充气式气囊导尿管
KR102317615B1 (ko)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KR20190075434A (ko) 남성 요실금 방지용 클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