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88Y1 -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88Y1
KR200473788Y1 KR2020130004931U KR20130004931U KR200473788Y1 KR 200473788 Y1 KR200473788 Y1 KR 200473788Y1 KR 2020130004931 U KR2020130004931 U KR 2020130004931U KR 20130004931 U KR20130004931 U KR 20130004931U KR 200473788 Y1 KR200473788 Y1 KR 200473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touch
touch part
cover
prote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로젠
Priority to KR2020130004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에서 그래픽으로 구현된 종료버튼의 위치와 대응되는 전면덮개의 내측에 정전용량 패널의 터치를 위한 도전성 물질을 구비시켜 통화버튼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전면덮개를 닫으면 도전성 물질이 종료버튼을 터치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통화종료가 되도록 한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은, 상기 전면을 덮는 덮개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종료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정전용량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도전성 물질의 내부 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 터치부는 종료버튼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omitted}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통화 종료시에 보호 케이스의 덮개를 닫으면 자동으로 종료가 될 수 있도록 한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사용되는 핸드폰은 터치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종래의 플립형폰과 폴더형폰과는 달리 전면 개방부 없이 정전용량형 패널에 의해 터치로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경질의 하드 케이스로서, 이러한 하드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제조회사와 모델별로 크기와 모양에 맞게 금형에 의해 제작되어 스마트폰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형성된다.
도1 및 도2는 기존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보인 도로서, 스마트폰 케이스(10)는 본체(20), 전면덮개(40) 및 후면덮개(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스마트폰(1)을 감싸는 형상이고, 후면은 밀폐되거나 또는 개방될 수 있으며, 전면은 개방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스마트폰(1)은 본체(2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고정되며, 전면덮개(40)와 후면덮개(50)가 스마트폰(1)의 전면과 후면을 덮어 보호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통화종료시에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종료버튼을 터치하여야 통화가 종료되도록 되어 있어서, 통화종료시에 종료버튼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통화연결상태가 되어 통화요금이 부가됨은 물론 상대방에게 음성이 계속 전송되어 사생활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통화종료가 되지 않음으로 인해 계속 통화중인 상태가 되므로 수신되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우기 상기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스마트폰(1)을 수납한 경우에는 통화종료버튼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전면덮개(40)를 닫게 되면, 전면덮개(40)를 다시 열지 않는 한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장시간의 통화중 상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료버튼의 위치와 대응되는 전면덮개(40)의 내측에 정전용량 패널의 터치를 위한 도전성 물질을 구비시켜 통화버튼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전면덮개(40)를 닫으면 도전성 물질이 종료버튼을 터치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통화종료가 되도록 한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은,
상기 전면을 덮는 덮개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종료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정전용량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도전성 물질의 내부 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 터치부는 종료버튼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종료버튼을 터치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전면의 덮개를 닫으면 내부 터치부에 의해 통화종료버튼이 터치되므로 통화종료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의도하지 않는 통화상태의 지속에 의한 통화요금이 부가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통화연결에 의한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기존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고안의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보인 도.
도4는 전면을 덮는 전면덮개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르는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보인 도로서,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본체(20)는 스마트폰(1)을 감싸는 형상이고, 후면은 밀폐되거나 또는 개방될 수 있으며, 전면은 개방되는 형상이다.
그리고, 스마트폰(1)은 본체(2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고정되며, 전면덮개(40)와 후면덮개(50)는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부(30)가 본체(20)의 측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후면덮개(50)가 본체(20)의 후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전면덮개(40)가 연결부(30)에 의해 회전하여 본체(20)에 수납된 스마트폰(1)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마트폰(1)은 화면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터치 화면이 적용된 것으로서, 화면을 손이나 기타 전도성 물질로 터치하는 경우에 그 위치에서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여 터치되는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면덮개(40)의 내측면에는 정전용량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도전성 물질로 된 내부 터치부(60)가 구비되는데, 상기 내부 터치부(60)는 금속판 또는 도전성 고무판으로 부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도전성 잉크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도전성 물질에 의해 내부 터치부(6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내부 터치부(60)는 스마트폰(1)의 화면에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종료버튼(B)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가급적 종료버튼(B)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화종료시에 종료버튼(B)을 사용자가 손으로 굳이 터치하지 않더라도 전면덮개(40)를 닫으면 내부 터치부(60)가 종료버튼(B)을 터치하게 되고, 그 터치 입력에 의해 스마트폰(1)은 통화가 종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4에서와 같이 전면덮개(40)의 외측면에도 외부 터치부(70)가 구비되는데, 이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내부 터치부(60)의 재질과 동일하게 금속판 또는 도전성 고무판으로 부착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도전성 잉크에 의해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터치부(70)는 그 크기가 전면덮개(40)의 전체면 또는 1/2 이상의 면적을 덮도록 넓은 면적을 가지는 크기로 형성되며, 외부 터치부(70)와 내부 터치부(60)는 도전성을 갖는 연결부(8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80)는 전면덮개(40)에 관통된 구멍을 형성한 다음 그 구멍에 도전성 물질(도전성 금속, 도전성 고무, 도전성 잉크 등)을 충전하여 외부 터치부(70)의 후면과 내부 터치부(60)의 후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거나 또는 구멍에 용융된 납을 충전하여 외부 터치부(70)의 후면과 내부 터치부(60)의 후면이 서로 납땜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내부 터치부(60)와 외부 터치부(70)를 부착한 다음 도5에서와 같이 전면덮개(40)의 외측으로 도전라인(평평한 구리도선, 연성회로기판 등) 형태의 연결부(80)를 부착하여 내부 터치부(60)와 외부 터치부(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도4 및 도5에서 도시된 내부 터치부(60)와 외부 터치부(70)는 금속판 또는 도전성 고무판인 경우에 뒷면에 접착재 또는 양면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티커 형태로 전면덮개(4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부착되며, 도5의 연결부(80)도 접착재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한 스티커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면덮개(40)를 닫으면서 전면덮개(40)의 외부 터치부(70)에 손으로 터치가 이루어지면, 그 터치에 의해 종료버튼(B)에 터치 입력이 가해지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외부 터치부(70)를 터치하고자 의도하지 않아도 전면덮개(40)를 닫는 과정 중에서 자연스럽게 외부 터치부(70)가 터치되므로 연결부(80)와 내부 터치부(60)를 통해 종료버튼(B)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6에서와 같이 외부 터치부(70)가 스마트폰(1)의 화면에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종료버튼(B)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가급적 종료버튼(B)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즉, 내부 터치부(60)와 외부 터치부(70)가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덮개(40)를 닫고 외부 터치부(70)를 터치하게 되면, 도전성을 갖는 외부 터치부(70)와 내부 터치부(60)를 통해 종료버튼(B)에 정전용량이 형성되어 터치 입력이 가해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이러한 외부 터치부(70)는 내부 터치부(60)와 동일한 위치가 아닌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1)의 통화시 얼굴과 손이 직접 접촉하지 않는 부위인 전면덮개(40)의 하측 모서리 부분이나 하측 중앙 부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6에서는 외부 터치부(70)와 내부 터치부(60)가 도4에서 도시된 연결부(80)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7에서와 같이 전면덮개(40)의 외측으로 도전라인(평평한 구리도선, 연성회로기판 등) 형태의 연결부(80)를 부착하여 내부 터치부(60)와 외부 터치부(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의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스마트폰
10 : 스마트폰 케이스
20 : 본체
30 : 연결부
40 : 전면덮개
50 : 후면덮개
60 : 내부 터치부
70 : 외부 터치부
80 : 연결부

Claims (4)

  1.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는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을 덮는 덮개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종료버튼과 대응되는 위치에 정전용량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도전성 물질의 내부 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 터치부는 종료버튼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을 덮는 덮개의 외측면에 도전성 물질의 외부 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터치부는 도전성 물질로 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내부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터치부 및 외부 터치부는 금속판 또는 도전성 고무판으로 형성되어 덮개에 부착되거나 또는 도전성 잉크로 인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터치부는 전면을 덮는 덮개의 외부 전체면 또는 1/2 이상을 덮는 크기 또는 내부 터치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20130004931U 2013-06-18 2013-06-18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73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31U KR200473788Y1 (ko) 2013-06-18 2013-06-18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931U KR200473788Y1 (ko) 2013-06-18 2013-06-18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88Y1 true KR200473788Y1 (ko) 2014-07-31

Family

ID=5198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931U KR200473788Y1 (ko) 2013-06-18 2013-06-18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8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366U (ko) * 2010-01-18 2011-07-26 윤 호 김 덮개 개방 없이 통화가 용이한 휴대용 통신기기보호케이스
KR20110011234U (ko) * 2010-05-28 2011-12-06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3713Y1 (ko) * 2012-09-14 2012-11-20 유윤재 휴대폰의 기본동작 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366U (ko) * 2010-01-18 2011-07-26 윤 호 김 덮개 개방 없이 통화가 용이한 휴대용 통신기기보호케이스
KR20110011234U (ko) * 2010-05-28 2011-12-06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3713Y1 (ko) * 2012-09-14 2012-11-20 유윤재 휴대폰의 기본동작 제어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333B2 (en) Mobile terminal
US9232674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756173B2 (ja) キー装置を有する蓋ユニットを有するモバイル端末
US201401852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ver device thereof
US9727146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over device
JP3204809U (ja) 電子装置
KR102307351B1 (ko) 전자 기기를 위한 보호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JP5462044B2 (ja) 電子機器用ケース
CN208738416U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KR200473788Y1 (ko) 통화종료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N107947779B (zh) 触控按键结构、电子设备及一种触控按键结构制造方法
KR200474212Y1 (ko) 통화종료 및 통화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491978B1 (ko) 펜을 수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102252544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적용한 휴대폰
KR20130142307A (ko) 모바일폰 케이스
JP6085332B2 (ja) キー装置を有する蓋ユニットを有するモバイル端末
JP2012227819A (ja) 携帯端末装置
JP6302026B2 (ja) 電子機器
CN107252177B (zh) 保护套、基座组件和电子设备
KR20150054456A (ko) 지문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9648A (ko) 보호 커버
CN110444862A (zh) 天线组件、壳体组件及电子设备
JP2020095524A (ja) カバー
KR20140110150A (ko) 전하차단부가 구비된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20130085852A (ko) 모바일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