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45Y1 -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 Google Patents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45Y1
KR200473745Y1 KR2020120003567U KR20120003567U KR200473745Y1 KR 200473745 Y1 KR200473745 Y1 KR 200473745Y1 KR 2020120003567 U KR2020120003567 U KR 2020120003567U KR 20120003567 U KR20120003567 U KR 20120003567U KR 200473745 Y1 KR200473745 Y1 KR 200473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cover
hatch
hydraulic ram
rod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468U (ko
Inventor
최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2020120003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4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63B19/19Hatch covers foldable
    • B63B19/197Hatch covers foldable actu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치커버에 화이어 데미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해치커버를 유압램으로 용이하게 리프팅하도록 하는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유압램의 로드가 하측면에 지지되는 로드지지부; 상기 로드지지부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해치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해치커버지지부를 포함하는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JIG FOR LIFTING HATCH COVER}
본 고안은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압램을 이용하여 해치커버를 직접적으로 리프팅 할 수 있는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화물선이나 컨테이너선에는 곡물, 원유, 화물, 컨테이너 등을 보관하는 선창이 설치되어 있는데, 선창의 윗부분은 화물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선박이 이동중에 선창으로 이물질이나 바닷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개구부를 밀폐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해치커버가 사용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2982는 종래의 해치커버 및 해치코밍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선체(10)는 컨테이너선으로서 도면에서는 9개의 선창(11)을 가지며, 각 선창(11)의 입구인 해치는 갑판에 연결된 해치코밍(12)과 그 위에 안착되는 해치커버(13)를 가진다. 통상적으로는 하나의 해치코밍(12)에 세 개의 해치커버(13)가 설치되는데, 이 숫자는 선박의 용도와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 해치의 개폐는 해치커버(13)를 해치코밍(12)에 결속시키는 로킹 장치를 풀고, 자가 크레인 또는 하역 부두 크레인에 의해 해치커버(13)를 들어올림으로써 열려지고, 역순으로 닫혀진다.
이와 같은 해치코밍 상부에는 컴프레션 바(COMPRESSION BAR)와 해치커버 내부 러버패팅 간의 갭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간격편 2장을 겹쳐넣어 조정한 후 1장의 간격편을 제거하여야 하고, 이 경우 유압램을 사용하여 상기 해치커버를 상승시킨 후 1장의 간격편을 제거한다.
상기 유압램을 사용하여 상기 해치커버를 상승시키는 경우, 유압램을 장착시킬 수 있는 적절한 위치 및 공간이 없어 도장 완료된 해치커버에 별도의 돌출편을 용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돌출편 아래에 유압램을 설치하고, 상기 돌출편을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해치커버를 상승시킨 후 상기 간격편을 제거한다.
상기 간격편의 제거작업 완료 후, 상기 돌출편을 절단하는데, 이 경우 화이어 데미지(FIRE DAMAGE)가 발생하고 또한 이 부분에 대한 도장작업을 다시 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해치커버 리프팅 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치커버에 화이어 데미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해치커버를 유압램으로 용이하게 리프팅하도록 하는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압램의 로드가 하측면에 지지되는 로드지지부; 상기 로드지지부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해치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해치커버지지부를 포함하는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드지지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상기 유압램의 로드가 맞닿는 상측플레이트와;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가이드편을 포함하고, 상기 해치커버지지부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편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에 따르면, 유압램의 힘을 해치커버에 작용하도록 하는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를 제공하여 해치커버에 별도의 유압램을 장착하기 위한 돌출편을 형성/제거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해치커버에 화이어 데미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램의 힘을 용이하게 해치커버로 전달하여, 해치커버와 해치코밍과의 간격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가 해치커버 및 해치코밍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가 해치커버 및 해치코밍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는, 로드지지부(110), 연결부(120), 해치커버지지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의 로드지지부(110)는 하측면에 유압램(101)의 로드(102)가 맞닿도록 위치된다.
상기 유압램(101)은 유압을 이용하여 로드(102)를 승하강시켜 상기 로드(102)와 맞닿도록 형성된 상기 로드지지부(110)를 승하강시킨다. 상기 유압램(101)은 해치코밍(104)의 상면에 놓여진다.
상기 로드지지부(110)는, 상측플레이트(111) 및 가이드편(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플레이트(111)는 수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상기 유압램(101)의 로드(102)가 맞닿는다.
상기 가이드편(112)은, 상기 상측플레이트(111)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2개의 삼각형상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112)은 2개의 삼각형상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유압램(101)이 위치시켜 상기 유압램(101)의 위치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상측플레이트(111)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는, 상기 연결부(120)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의 상면에는 해치커버(103)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유압램(101)이 상기 상측플레이트(111)를 상승시키면, 이에 따라 연결부(120)를 통하여 상측플레이트(111)와 연결된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도 동시에 상승하며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는 상기 해치커버(103)를 들어올린다.
한편,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의 일단에는 이탈방지편(131)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편(131)은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에 안착된 해치커버(103)가 보다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의 작동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해치커버(103)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해치커버(103)와 상기 해치코밍(104) 사이에 상기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치코밍(104)의 상면에 유압램(101)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램(101)의 로드 상면에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의 상측플레이트(111)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의 해치커버지지부(130)의 상측에는 상기 해치커버(103)의 하단이 놓여지도록 한다.
상기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유압램(101)을 작동시켜, 상기 유압램(101)의 로드(102)를 상승시킨다.
상기 유압램(101)의 로드(102)는, 상기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의 상측플레이트(111)를 밀어올리고, 상기 상측플레이트(111)가 상승하면서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도 동시에 상승한다. 이 때 상기 해치커버지지부(130)는 상면에 안착된 상기 해치커버(103)를 위로 밀어올리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해치커버(103)와 상기 해치코밍(104) 사이의 갭을 조정, 유지하는 작업을 하고, 그 후 상기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100)를 제거한다.
100 : 해치커버리프트용 지그 101 : 유압램
102 : 로드 103 : 해치커버
104 : 해치코밍 110 : 로드지지부
120 : 연결부 130 : 해치커버지지부

Claims (2)

  1.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면에 유압램의 로드가 맞닿는 상측플레이트와, 상기 상측플레이트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로드지지부;
    상기 로드지지부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해치커버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해치커버지지부와, 상기 해치커버지지부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2. 삭제
KR2020120003567U 2012-04-30 2012-04-30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KR200473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67U KR200473745Y1 (ko) 2012-04-30 2012-04-30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567U KR200473745Y1 (ko) 2012-04-30 2012-04-30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68U KR20130006468U (ko) 2013-11-07
KR200473745Y1 true KR200473745Y1 (ko) 2014-07-25

Family

ID=5198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567U KR200473745Y1 (ko) 2012-04-30 2012-04-30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4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577A (ja) 2006-07-27 2008-02-14 Oshima Shipbuilding Co Ltd ハッチ装置
KR20100067177A (ko) * 2008-12-11 2010-06-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해치커버 리프팅장치
KR20120019130A (ko) * 2010-08-25 2012-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해치커버 리프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577A (ja) 2006-07-27 2008-02-14 Oshima Shipbuilding Co Ltd ハッチ装置
KR20100067177A (ko) * 2008-12-11 2010-06-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해치커버 리프팅장치
KR20120019130A (ko) * 2010-08-25 2012-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해치커버 리프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68U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0756B2 (ja) 水中昇降装置
JP6113832B2 (ja) クレーンと、ハッチカバーを支持し積み重ねるクレーンの本体に設置されたベースとを備える、港湾作業時に積み下ろし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CN108290629B (zh) 可伸缩推进器系统
KR101331044B1 (ko) 윙 바디 차량의 윙 개폐장치
KR200473745Y1 (ko) 해치커버 리프트용 지그
TW201433524A (zh) 用來將待運送的貨櫃支撐在貨船上的支撐件,用來在貨船上載運貨物的貨櫃,支撐貨櫃的方法及用來支撐貨櫃的繫橋
KR102411876B1 (ko) 가압된 페어리드 클럼프 웨이트
CN114364605B (zh) 装船用防风雨装置
US10024015B2 (en) Support devic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 a lifting vessel in order to lift a topside from its support structure
US9340268B2 (en) Floor device capable of up-down movement for vessels
RU23685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объектов со дна моря на подводное техн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EP3162694A1 (en) Sea-worthy container catching system
KR101454388B1 (ko) 컨테이너 선박
CN108001629A (zh) 一种小艇存放装置
KR20180000891U (ko) 선폭방향으로 해치커버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CN105564589A (zh) 一种船用多功能平台
CN206766280U (zh) 一种方形埋入式水密舱口盖
KR101792481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CN203211493U (zh) 一种用于支撑折叠式舱口盖的简易装置
KR101879960B1 (ko) 외항선용 해치 커버
ITMO20090048A1 (it) Macchina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i dispositivi di aggancio per container
JP2007261337A (ja) ハッチ装置及びハッチカバーの昇降装置
CN103079971A (zh) 运输集装箱
GB2458632A (en) A landing craft with a supporting forward ramp
KR20230155475A (ko) 선박의 해치 커버 상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성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