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38Y1 -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38Y1
KR200473738Y1 KR2020130005964U KR20130005964U KR200473738Y1 KR 200473738 Y1 KR200473738 Y1 KR 200473738Y1 KR 2020130005964 U KR2020130005964 U KR 2020130005964U KR 20130005964 U KR20130005964 U KR 20130005964U KR 200473738 Y1 KR200473738 Y1 KR 200473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ner cap
liquid
stopper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연태
Original Assignee
전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연태 filed Critical 전연태
Priority to KR2020130005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이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내부에 보관중인 액체를 소량씩 편리하게 배액할 수 있는 보조배액구가 설치된 하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를 덮을 수 있는 상부마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마개와 상부마개 사이에는 상기 배액구를 막아주는 내부캡과 이를 지지하는 내부캡 지지부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 도중에 사용자의 손에 액체가 묻을 우려가 없고, 동시에 용기 내부에 보관중인 액체가 오염될 우려가 없는 액체용기의 이중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용기의 이중마개{Duplicated lid for liquid container}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이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내부에 보관중인 액체를 소량씩 편리하게 배액할 수 있는 보조배액구가 설치된 하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를 덮을 수 있는 상부마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마개와 상부마개 사이에는 상기 배액구를 막아주는 내부캡과 이를 지지하는 내부캡 지지부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 도중에 사용자의 손에 액체가 묻을 우려가 없고, 동시에 용기 내부에 보관중인 액체가 오염될 우려가 없는 액체용기의 이중마개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식용유나 참기름 또는 간장 등의 액상물질은 주로 병 모양의 용기에 보관되고, 그 마개는 필요할 때 내용물을 소량씩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보조배액구가 설치되어 있는 이중 마개를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20-371250호(2004년 12월 16일), 특허공개 제10-2009-0105906호(2009년 10월 07일), 실용신안등록 제20-0449548호(2010년 07월 12일) 등에는 상기와 같은 용도로 개발된 액체용기 이중마개가 소개되어 있는데, 이중에서 특허공개 제10-2009-0105906호에는 첨부 도 1과 같은 힌지 캡(10)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힌지 캡(10)은, 상측에 유출구(24)가 형성된 캡 바디(20)와; 상기 캡 바디(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서브힌지(28)에 의해 접히고, 양측에 윙부(26a)(26b)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24)를 밀봉하는 밀봉마개(26)와; 그리고 상기 캡 바디(20)의 한쪽에 배치되어 메인힌지(40)에 의해 접히고, 내측 주연부에 상기 윙부(26a)(26b)와 간섭하여 밀봉마개(26)를 개폐하는 개폐 판(32a)(32b)이 형성되며, 내측에 밀봉마개(26)의 외측을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면(34)이 형성된 캡(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 캡(10)은 사용자가 캡(30)을 열어젖히면, 양쪽 개폐 판(32a)(32b)이 밀봉마개(26)의 윙부(26a)(26b)와 간섭하여 상기 밀봉마개(26)가 캡(30)을 따라 저절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캡(30)의 개폐 횟수가 증가하면 메인힌지(40)의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상기 개폐 판(32a)(32b)과 윙부(26a)(26b) 사이의 간섭 정도가 점점 미약해 질수 있고, 이렇게 되면 캡(30)을 열어도 밀봉마개(26)가 열리지 않거나, 반쯤만 열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밀봉마개(26)가 열리지 않거나 반쯤만 열릴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밀봉마개(26)를 더 열어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 손에 액체 내용물이 묻게 되어 불편하고,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손에 의해서 내용물이 오염될 우려도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71250호(2004년 12월 16일) 특허공개 제10-2009-0105906호(2009년 10월 07일) 실용신안등록 제20-0449548호(2010년 07월 12일)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체용기 속에 보관된 내용물을 보다 편리하게 배출 할 수 있도록 하부마개 위에 보조배액구가 설치되어 있고, 용기 보관시 이를 덮을 수 있는 상부마개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이중마개에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와 상부마개 사이에는 상기 배액구를 막아주는 내부캡과 이를 지지하는 내부캡 지지부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 도중에 사용자의 손에 액체가 묻을 우려가 없고, 동시에 용기 내부에 보관중인 액체가 오염될 우려가 없는 액체용기의 이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이중마개는, 용기 입구에 결합되는 하부마개와, 제1 힌지부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의 측방 테두리에 지지되어 있는 내부캡 지지부재와, 제3 힌지부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의 후방 테두리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마개와 내부캡 지지부재를 덮는 상부마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마개는, 상면에 안내돔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내돔의 전방에는 배액구가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캡 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돔을 덮는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만곡부의 전방에는 제2 힌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액구를 막는 내부캡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마개는, 일측에 상기 제1 힌지부를 수용하는 힌지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내벽에는 상기 내부캡을 상기 배액구에 밀착시켜 주는 경사지지편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마개의 전방 내벽에는, 상기 하부마개를 덮고 있는 상부마개를 열어젖히면 상기 내부캡이 함께 열리도록 구성된 내부캡 걸림편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이중마개는, 하부마개와 상부마개 사이에 내부캡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부캡 지지부재에는 내부캡과 손잡이편이 서로 격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에 상기 손잡이편을 이용하여 내부캡에 손이 닿지 않은 상태로 손에 액체를 묻히지 않고 내부캡을 편리하게 열어서 용기 속에 보관되어 있는 액체를 편리하게 배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체용기 이중마개에 대한 일례를 소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마개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중마개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이중마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이중마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이중마개를 설명하는 도 2 내지 도 7에서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1과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독자적인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도 3에서 배액구(12)가 돌출된 방향(도 3의 하측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뒤쪽(도 3의 상측방향)을 ‘후방’이라 하며, 좌측 및 우측 방향을 각각 ‘측방’이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이중마개는, 예컨대 식용유나 참기름 또는 간장 등과 같은 액체를 보관하는 병 모양의 용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 입구에 결합되는 하부마개(10)와, 제1 힌지부(21)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10)의 측방 테두리에 지지되어 있는 내부캡 지지부재(20)와, 제3 힌지부(31)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10)의 후방 테두리에 지지되어 있는 상부마개(30)로 구성된다.
먼저 하부마개(10)는 통상적인 용기 마개와 마찬가지로 액체용기의 입구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고,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마개(10)의 상면에는 안내돔(11)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내돔(11)의 전방에는 배액구(12)가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용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가 상기 안내돔(11)과 배액구(12)를 통해서 용기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안내돔(11)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상단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마감된 사다리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액구(12)는 마치 대포처럼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내부캡 지지부재(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힌지부(21)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10)의 측방 테두리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돔(11)를 덮는 만곡부(22)를 가진다. 그래서 상기 내부캡 지지부재(20)는 제1 힌지부(21)를 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5와 같이, 상기 만곡부(22)가 상기 안내돔(11)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22)에는 제2 힌지부(23)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캡(24)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내부캡(24)은 제2 힌지부(23)를 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앞뒤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배액구(12)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캡 지지부재(20)의 자유단부에는 손잡이편(25)과 내향걸림턱(26)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내돔(11)의 측면에는 상기 내향걸림턱(26)에 결합되는 외향걸림턱(13)이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안내돔(11) 위에 만곡부(22)를 덮으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향걸림턱(13)과 내향걸림턱(26)이 서로 맞걸려서 내부캡 지지부재(20)이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붙잡아 준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편(25)은 상기 내부캡(24)에서 격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에 상기 손잡이편(25)을 이용하여 내부캡(24)에 손이 닿지 않은 상태로 손에 액체를 묻히지 않고 내부캡 지지부재(20)를 편리하게 열어젖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캡(24)의 저면에는 상기 배액구(12) 속으로 삽입되는 밀봉마개(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마개(27)는 내부캡(24)을 닫았을 때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용기 속에 보관된 액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상기 배액구(12)를 완전히 밀봉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상부마개(30)는 제3 힌지부(31)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10)의 후방 테두리에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상부마개(30)는 제3 힌지부(31)를 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앞뒤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마개(10)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마개(3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힌지부(21)를 수용하는 힌지수용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내벽에는 상기 내부캡(24)을 상기 배액구(12)에 밀착시켜 주는 경사지지편(33)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마개(10) 위에 내부캡 지지부재(20)를 덮고, 그 위에 상부마개(30)를 덮어주면, 상기 경사지지편(33)이 내부캡(24)의 상면을 비스듬히 압박하여 상기 배액구(12)를 밀폐시켜 준다.
한편, 상기 상부마개(30)의 전방 내벽에는 추가적으로 내부캡 걸림편(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캡 걸림편(34)은 하부마개(10) 위에 상부마개(30)를 덮을 때 내부캡(24)을 타고 넘어서, 하부마개(10) 위에 덮인 상부마개(30)를 다시 열어젖히면 상기 내부캡(24)을 함께 열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부마개(30)의 전방 외벽에는 통상적인 마개와 마찬가지로 상부마개(30)를 보다 편리하게 열수 있도록 도와주는 손잡이편(35)이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 이중마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액체용기의 입구에 하부마개(10)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마개(10)의 안내돔(11) 위에 내부캡 지지부재(20)의 만곡부(22)를 덮은 다음, 그 위에 상부마개(30)를 덮는다. 이렇게 하면 상부마개(30)의 경사지지편(33)이 내부캡(24)의 상면을 비스듬히 압박하여 하부마개(10)의 배액구(12)를 밀폐시켜 준다.
그리고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배액하기 위해서는 손잡이편(35)을 이용하여 상부마개(30)를 열어젖히면, 하부마개(10)의 배액구(12)를 막고 있던 내부캡(24)이 상부마개(30)의 내부캡 걸림편(34)에 걸려서 함께 열리면서 상기 배액구(12)가 개방된다.
본 고안에서 내부캡 걸림편(34)이 없을 경우에는, 먼저 상부마개(30)를 열어젖힌 다음, 손잡이편(25)을 이용하여 내부캡 지지부재(20)를 열어젖히면 상기 배액구(12)가 개방된다.
10; 하부마개 11; 안내돔(guide dome)
12; 배액구 13; 외향걸림턱
20; 내부캡 지지부재 21; 제1 힌지부
22; 만곡부 23; 제2 힌지부
24; 내부캡 25; 손잡이편
26; 내향걸림턱 27; 밀봉마개
30; 상부마개 31; 제3 힌지부
32; 힌지수용홈 33; 경사지지편
34; 내부캡 걸림편 35; 손잡이편

Claims (4)

  1. 액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안내돔(11)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내돔(11)의 전방에는 배액구(12)가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는 하부마개(10)와;
    제1 힌지부(21)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10)의 측방 테두리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돔(11)을 덮는 만곡부(22)를 가지며, 상기 만곡부(22)의 전방에는 제2 힌지부(2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액구(12)를 막는 내부캡(24)이 구비되어 있는 내부캡 지지부재(20)와;
    제3 힌지부(31)에 의해서 상기 하부마개(10)의 후방 테두리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마개(10)와 내부캡 지지부재(20)를 덮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제1 힌지부(21)를 수용하는 힌지수용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내벽에는 상기 내부캡(24)을 상기 배액구(12)에 밀착시켜 주는 경사지지편(33)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마개(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30)의 전방 내벽에는 추가적으로 내부캡 걸림편(34)이 구비되어 있어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10)를 덮고 있는 상부마개(30)를 열어젖히면 상기 내부캡 걸림편(34)에 의해서 상기 내부캡(24)이 함께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 지지부재(20)의 자유단부에는 손잡이편(25)과 내향걸림턱(26)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내돔(11)의 측면에는 상기 내향걸림턱(26)에 결합되는 외향걸림턱(13)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24)의 저면에는 상기 배액구(12) 속으로 삽입되는 밀봉마개(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KR2020130005964U 2013-07-18 2013-07-18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KR200473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64U KR200473738Y1 (ko) 2013-07-18 2013-07-18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64U KR200473738Y1 (ko) 2013-07-18 2013-07-18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38Y1 true KR200473738Y1 (ko) 2014-07-24

Family

ID=5198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964U KR200473738Y1 (ko) 2013-07-18 2013-07-18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0391A1 (en) * 2021-07-16 2023-01-19 Novembal Usa Inc. Hinged Closure Including an Alignment F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447A (ja) * 2000-09-14 2002-03-27 Tafuko:Kk 液体容器
JP2008074470A (ja) * 2006-09-23 2008-04-03 Japan Crown Cork Co Ltd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KR20090105906A (ko) * 2009-09-18 2009-10-07 삼화왕관주식회사 용기의 힌지 캡
KR200449548Y1 (ko) * 2010-02-08 2010-07-20 전연태 액체 보관용기의 이중 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447A (ja) * 2000-09-14 2002-03-27 Tafuko:Kk 液体容器
JP2008074470A (ja) * 2006-09-23 2008-04-03 Japan Crown Cork Co Ltd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KR20090105906A (ko) * 2009-09-18 2009-10-07 삼화왕관주식회사 용기의 힌지 캡
KR200449548Y1 (ko) * 2010-02-08 2010-07-20 전연태 액체 보관용기의 이중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0391A1 (en) * 2021-07-16 2023-01-19 Novembal Usa Inc. Hinged Closure Including an Alignment F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040B2 (en) Flask
US9878832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0173826B2 (en) Ventabl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KR102191472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US20090236373A1 (en) Liquid container lid with dispensing and sealing mechanism
KR20070103598A (ko) 저장용기
KR20110011489U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KR100845585B1 (ko) 조리용기 뚜껑
KR200473738Y1 (ko) 액체용기의 이중마개
CN216003695U (zh) 具有盖开启器的容器
KR102038134B1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KR20110007691U (ko)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뚜껑
CA2822667A1 (en) Retaining collar for liner-containing vessel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CN215777286U (zh) 烹饪器具
CN109051298A (zh) 一种环保密封盒盖
KR200479030Y1 (ko) 원터치형 물통
KR20180001860U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276042Y1 (ko) 음식물 저장 용기
KR200410179Y1 (ko) 밀폐용기의 밀착구조
KR200382831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JP3173288U (ja) ペール缶用蓋
KR100344702B1 (ko) 용기의 뚜껑
KR20180073751A (ko)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