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19Y1 -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419Y1
KR200473419Y1 KR2020090015623U KR20090015623U KR200473419Y1 KR 200473419 Y1 KR200473419 Y1 KR 200473419Y1 KR 2020090015623 U KR2020090015623 U KR 2020090015623U KR 20090015623 U KR20090015623 U KR 20090015623U KR 200473419 Y1 KR200473419 Y1 KR 200473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urified water
support member
partition me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692U (ko
Inventor
박설희
주일
김연국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41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6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6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4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여과된 물을 공급받는 유입구, 저장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 오래저장된 물을 순환살균시키기 위한 순환용유출구, 순환된 물을 공급받는 순환용유입구를 갖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를 복수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그 공간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격벽부재, 상기 격벽부재가 상기 정수탱크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탱크, 격벽, 순환살균

Description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A PURIFIED WATER TANK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격벽부재를 갖는 순환살균용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유입된 물을 재살균할 수 있도록 한 순환살균용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탱크는 정수기에 구비된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일시 저장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은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되었다고 하더라도 정수탱크에 장시간 저장되어 있으면 잔여세균의 증식에 의해서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살균해야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와 같이, 정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의 살균을 위해서는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정수탱크 외부로 내보내어 살균장치에 의해서 살균한 후, 다시 정수탱크로 되돌려보내는 순환살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정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정수탱크에서 정체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어서,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일부만 순환살균되고, 나머지는 정수탱크에서 정 체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정수탱크에는 순환살균을 위해서 순환용유출구와 순환용유입구가 설치되는데, 이들은 정수탱크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므로 순환용유출구와 순환용유입구 사이의 직선방향에 있는 물들은 쉽게 순환되나, 그 외의 부위에 머무르는 물들은 순환살균되지 못하고 정수탱크 내에서 잔여되는 확률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정수탱크에 저장되는 상당부분의 물이 순환살균되지 못하고 정수탱크에 정체하게 되면 살균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과제는 정수탱크 내부에 격벽을 구비하여 물의 유동경로를 만듦으로써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정수탱크 내에 정체되지 않고 순환하여 살균될 수 있도록 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과제는 정수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의 설치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설치 및 세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여과된 물을 공급받는 유입구, 저장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 오래저장된 물을 순환살균시키기 위한 순환용유출구, 순환된 물을 공급받는 순환용유입구를 갖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를 복수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그 공간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격벽부재, 상기 격벽부재가 상기 정수탱크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격벽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지지부재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수탱크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바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에 조립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격벽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개 형성되어, 사용자가 여러 개의 삽입홈 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격벽부재가 설치되는 위치와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유출구 쪽 단부는 상기 정수탱크의 내벽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로 물이 흐르는 수압에 의해 상기 격벽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살균순환용 유출구와 살균순환용 유입구가 형성되어 장기간 저장되는 물을 외부에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탱크로서,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그 공간을 통해 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격벽부재, 상기 정수탱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부재가 상기 정수탱크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 및 정수기에 의하면, 정수탱크에 격벽부재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므로,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정수탱크 내 에 정체되지 않고 전체가 골고루 순환하여 살균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 및 정수기에 의하면, 격벽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설치 및 세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정수탱크의 크기 및 세균활동 조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격벽부재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10)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1)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1)는 원수를 공급받아 여과하는 여과부(2)를 구비한다. 여과부(2)는 여러 개의 필터를 구비하여 공급받은 원수에 존재하는 세균 및 기타 유해물질을 걸러 정수를 배출한다.
여과부(2)에서 배출된 정수는 관을 타고 정수탱크(10)에 공급된다. 정수탱크(10)는 여과부(2)에서 걸러진 물을 일시 저장하다가 사용자가 코크(7)를 열 경우 정수기(1) 외부로 물을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 정수탱크(10)에는 여과부(2)에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유입구(11)와 코크(7)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13)가 형성된다. 여과부(2)와 유입구(11) 그리고 유출구(13)와 코크(7)는 관로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정수탱크(10)에 물이 유입되어 장기간 머무르는 경우에는 물에 남아있는 잔여 세균이 번식하여 물이 더러워지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정수탱크(10)에는 이 렇게 오래 유지되는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용유출구(17)와 순환용유입구(15)를 구비한다.
장기간 유지되는 물은 순환용유출구(17) 및 이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살균되고 순환용유입구(15)를 통해 다시 정수탱크(10)로 복귀한다. 이를 위해 순환용유출구(17)와 순환용유입구(15) 사이의 관로에는 정수탱크(10) 내의 물을 강제순환시키기 위한 펌프(5)와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3) 및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4)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10) 및 그 내부에 설치된 격벽부재(21)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10) 및 그 내부에 설치된 격벽부재(21)를 보인 정단면도로서,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10)는 내부에 직육면체의 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정수탱크(10)의 측면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구(11), 유출구(13), 순환용유출구(17), 순환용유입구(15)가 형성된다.
정수탱크(10)의 상면에는 덮개(19)가 설치되어 정수탱크(10)의 위에서 사용자가 덮개(19)를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다.
정수탱크(10)의 내부에는 격벽부재(21)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5)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부재(21)는 유입구(11)를 통해 들어온 물이 지그재그형으로 돌아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여러 개의 격벽부재(21)가 설치되며, 이들이 물이 이동하는 방향 과 수직하게 벽을 이룬다. 격벽부재(21)의 한쪽은 정수탱크(10)의 내벽에 닿도록 연장되고, 나머지 한쪽은 정수탱크(10)의 내벽과 이격되어 개방된다. 유입구(11)로 물이 들어오면 먼저 유입구(11)에서 가장 가까운 격벽부재(21)에 닿아 격벽부재(21)가 정수탱크(10)의 내벽과 이격된 개방측으로 유로가 휘어져 진행하며, 그 다음으로 가까운 격벽부재(21)에 닿게 된다. 그 다음의 격벽부재(21)는 개방측이 그 앞의 격벽부재(21)와 반대로 형성되므로 물이 격벽부재(21)와 격벽부재(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통로로 흘러간다.
이렇게 격벽부재(21)에 의해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이 좁은 통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므로 물이 정체되어 계속 정수탱크(10) 내에 유지되는 부분과 순환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지지 않고 전체가 한꺼번에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게 된다.
격벽부재(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탱크(10) 바닥에 위로 세워져 있는데, 이 경우, 수류에 의한 압력을 받아 쓰러지거나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격벽부재(21)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격벽부재(21)의 하부에는 지지부재(25)가 격벽부재(21)와 일체로 형성된다.
격벽부재(21)는 여러 개가 물의 순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데, 지지부재(25)는 각각의 격벽부재(21)에 대응하여 격벽부재(21) 하나당 지지부재(25)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 형상의 지지부재(25)를 여러 개의 격벽부재(21)의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지지부재(25)만을 갖고 여러 개의 격벽부재(21)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2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정수탱크(10)의 하면에 놓이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5)의 유입구(11) 쪽 단부는 정수탱크(10)의 유입구(11)쪽 내면과 닿지 않으나, 유출구(13) 쪽 단부는 정수탱크(10)의 내면과 닿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유입구(11) 또는 순환용유입구(15)를 통해 들어오는 수류의 수압에 의해 격벽부재(21)가 유출구(13) 쪽으로 힘을 받더라도 정수탱크(10) 내벽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25)가 격벽부재(21)를 받쳐주므로 격벽부재(21) 및 지지부재(25)가 제 자리에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부재(21)와 지지부재(25)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지지부재(25)와 격벽부재(21)가 정수탱크(10) 내부의 저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따라서, 격벽부재(2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정수탱크(10)의 덮개(19)를 열고 격벽부재(21) 및 그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25)를 정수탱크(10) 내부에 배치하면 된다. 또한, 정수탱크(10) 내벽 및 격벽부재(21)의 청소 또는 격벽부재(21)의 교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덮개(19)를 열고 격벽부재(21)를 들어 꺼낼 수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탱크(10)의 격벽부재(21) 및 지지부재(25)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따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탱크(10)의 격벽부재(21) 및 지지부재(25)는 격벽부재(21)와 지지부재(25)가 체결 및 그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5)에는 여러 개의 삽입홈(26)이 형성된다. 삽입홈(26)은 지지부재(25)의 양측면에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삽입 홈(26)의 쌍이 지지부재(2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다. 삽입홈(26)과 삽입홈(26) 사이의 거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격벽부재(21)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형성한다.
격벽부재(21)의 저면 일측에는 맞춤홈(22)이 형성된다. 이 맞춤홈(22)을 지지부재(25)의 삽입홈(26)이 형성된 부위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한쌍을 이루는 삽입홈(26)과 삽입홈(26) 사이의 거리가 맞춤홈(22)의 폭과 같도록 하면 격벽부재(21)를 지지부재(25)에 끼워맞출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지지부재(25)와 격벽부재(21)를 끼워맞춰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 설치되는 격벽부재(21)의 개수 및 격벽부재(21)가 설치되는 위치를 상황에 맞춰 사용자가 바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수탱크(10)의 크기 및 세균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 등에 맞춰서 격벽부재(21)의 배치를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격벽부재(21)와 지지부재(25)는 정수탱크(10)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이며, 정수탱크(10) 내부에 세워놓기만 하는 상태로도 활용이 가능하므로, 물에 떠오르지 않는 소재를 이용하여 정수탱크(10) 내부에 세워놓으면 손쉽게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순환살균용의 정수탱크(10)뿐만 아니라 격벽이 필요한 어떠한 저장탱크에도 쉽게 격벽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 및 그 내부에 설치된 격벽부재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탱크 및 그 내부에 설치된 격벽부재를 보인 정단면도로서,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탱크의 격벽부재 및 지지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Claims (7)

  1. 여과된 물을 공급받는 유입구, 저장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 오래저장된 물을 순환살균시키기 위한 순환용유출구, 순환된 물을 공급받는 순환용유입구를 갖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를 복수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그 공간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유도하는 격벽부재;
    상기 격벽부재가 상기 정수탱크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수탱크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바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에 조립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격벽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개 형성되어, 사용자가 여러 개의 삽입홈 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격벽부재가 설치되는 위치와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유출구 쪽 단부는 상기 정수탱크의 내벽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로 물이 흐르는 수압에 의해 상기 격벽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살균순환용 유출구와 살균순환용 유입구가 형성되어 장기간 저장되는 물을 외부에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탱크로서,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그 공간을 통해 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격벽부재;
    상기 정수탱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격벽부재가 상기 정수탱크 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수탱크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바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에 조립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정수탱크.
KR2020090015623U 2009-12-02 2009-12-02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0473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23U KR200473419Y1 (ko) 2009-12-02 2009-12-02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23U KR200473419Y1 (ko) 2009-12-02 2009-12-02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692U KR20110005692U (ko) 2011-06-10
KR200473419Y1 true KR200473419Y1 (ko) 2014-07-03

Family

ID=4929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23U KR200473419Y1 (ko) 2009-12-02 2009-12-02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4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82B1 (ko) * 2018-02-23 2023-11-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056A (ja) * 1982-09-03 1984-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式浄液装置
KR19980010962U (ko) * 1996-08-08 1998-05-25 박승부 보관대용 칸막이 고정장치
KR100399488B1 (ko) * 2002-01-24 2003-10-10 강동열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KR200333286Y1 (ko) * 2003-08-12 2003-11-12 (주)유공기전 2차오염 방지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056A (ja) * 1982-09-03 1984-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式浄液装置
KR19980010962U (ko) * 1996-08-08 1998-05-25 박승부 보관대용 칸막이 고정장치
KR100399488B1 (ko) * 2002-01-24 2003-10-10 강동열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KR200333286Y1 (ko) * 2003-08-12 2003-11-12 (주)유공기전 2차오염 방지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692U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345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546880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2394B1 (ko)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KR20170142434A (ko) 정수기
KR200473419Y1 (ko)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60114827A (ko) 활어 수조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어 수조 세척방법
KR101596856B1 (ko)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
KR101045817B1 (ko) 어항
EP3148326B1 (en)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s and the like
CN216737674U (zh) 净饮水系统和净饮水机
CN114364444B (zh) 净水器和用于净水器的过滤器
JP4435711B2 (ja) 浄化槽
KR100787047B1 (ko) 살균약품혼합수 공급수단이 구비된 정수시스템
KR20140024259A (ko) 음료수 서버
KR20180012944A (ko) 수족관 해수 정화장치
KR20120081477A (ko) 수족관용 정수 여과장치
EP3406325A1 (en) Filter assembly with filler core
KR101871677B1 (ko) 역저면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156638B1 (ko) 분수대용 살균여과장치
KR20060018682A (ko) 침지형 중공사 분리막 모듈
KR102439796B1 (ko) 수족관 정화시스템
KR20230116298A (ko) 세정용유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조립체
US9883661B2 (en) Multi-path aquarium filtration apparatus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