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97Y1 -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 Google Patents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97Y1
KR200473297Y1 KR2020140000544U KR20140000544U KR200473297Y1 KR 200473297 Y1 KR200473297 Y1 KR 200473297Y1 KR 2020140000544 U KR2020140000544 U KR 2020140000544U KR 20140000544 U KR20140000544 U KR 20140000544U KR 200473297 Y1 KR200473297 Y1 KR 200473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ver
hard cover
paper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홍
Original Assignee
(사)한국시각장애인 연합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시각장애인 연합회 filed Critical (사)한국시각장애인 연합회
Priority to KR2020140000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1/00Casin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2Covers or strips provided with adhesive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양장 제본을 통해 다수의 면지로 이루어진 기록속지(40)가 포켓(22)이 형성될 수 있는 끼움부(20)를 갖춘 하드커버지(10)에 결합됨에 따라 이루어진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기록속지(40)의 양쪽 최외곽면에는 기록속지(40)의 길이(L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접착표지(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드커버지(10)의 내측면과 접착표지(30)가 접촉되는 일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32)가 마련되며, 상기 하드커버지(10)와 기록속지(40)가 결합될 때, 접착표지(30)의 길이가 기록속지(40)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접착표지(30)의 끝단이 끼움부(20)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끼움 삽입됨과 동시에 접착부(32)에 의해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Hard cover binding diary}
본 고안은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켓이 형성될 수 있는 끼움부를 갖춘 하드커버지로 양장 제본되는 다이어리에 있어서, 끼움부에 접착표지를 끼워 넣는 과정에서 하드커버지와 접착표지가 쉽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드커버지를 열고 닫을 때 하드커버지와 접착표지가 분리되지 않아 하드커버지의 절첩 부위에서 접착표지와 하드커버지 사이에 단차지는 현상없이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상 편의 도모할 수 있는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메모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수첩 등을 포함하는 다이어리는 고풍스러운 멋을 자아내기 위해서 양장 제본되는 경우가 있다.
양장 제본은 겉표지를 두꺼운 합지(Hard Cover)로 만들어 붙인 것을 말하는데, 기록속지와 하드 커버를 따로 제작, 재단한 다음 속지를 이용하여 서로 붙임으로서 고급스럽고 품위가 있는 다이어리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처럼, 양장 제본이란 기록속지 등을 실로 꿰매는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겉표지를 두꺼운 합지나 비닐, 가죽 등의 보존성이 좋고 고급스러운 재질을 사용하여 붙이는 제본으로써, 주로 학술서적처럼 장기간 보존이 필요하거나 사전류처럼 자주 많이 봐야하는 책, 또는 품위가 있어야 하는 책의 제본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다이어리, 수첩류, 노트류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83647호(2005.4.19.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5038호(2006.1.1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89901호(2007.12.28.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37575호(2013.4.16. 공개) 등에는 양장 제본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장 제본을 위한 겉표지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싸바리식 표지와 고주파식(혹은 재봉식) 표지가 있으며, 특히 고주파식(혹은 재봉식) 표지는 사전류, 노트류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주파식(혹은 재봉식) 표지는 다시 끼움식 표지와 접착식 표지로 나눌 수 있으며, 끼움식 표지는 속지를 겉표지의 끼움부에 끼울 수 있게 가공하는 것이고, 접착식 표지는 속지와 겉표지를 접착제로 붙여 가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겉표지에 속지를 접착하는 접착식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겉표지의 끼움부에 속지를 끼우는 끼움식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접착식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는, 속지(3)와 겉표지(1)를 접합선(2)을 따라 접착한 것으로서, 이때에는 속지(3)가 겉표지(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다이어리는 명함 등을 꽂아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접착식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서 포켓이 없는 것을 보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7537호(2006.5.30. 공고)에는 포켓이 형성된 접착식 양장제본형 노트가 개시되어 있는바, 비닐, 가죽 또는 하드 커버 등으로 이루어진 겉표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겉표지에 중간지를 접착하고, 상기 겉표지 또는 중간지에 속지를 일체로 접착하여 속지와 중간지를 절개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포켓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별도의 중간지를 접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 재질인 속지와 중간지를 절개하여 형성함에 따라 포켓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끼움식 양장 제본형 노트는, 비닐, 가죽 또는 하드 커버로 이루어진 겉표지(1)의 안쪽에 겉표지(1)와 통상적으로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끼움부(4)를 형성하고, 상기 겉표지(1)와 끼움부(4)사이에 속지(3)를 끼워넣어 결합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즉, 종래 끼움식 양장 제본형 노트(혹은 다이어리, 수첩, 책 등)에서는 끼움부(4)가 겉표지(1)에 미리 결합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겉표지(1) 및 끼움부(4)에 속지(3) 전체를 결합하는 작업 과정을 수작업에 의해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겉표지(1)와 끼움부(4)의 접합은 재봉이나 고주파 접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고, 끼움부(4)의 폭(혹은 길이)은 겉표지(1) 전체 폭의 대략 1/2 내외로 덮을 수 있는 수준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어, 상기 끼움부(4)의 폭이 겉표지(1)를 너무 짧게 덮고 있으면, 속지(3)가 끼움부(4)에 끼워진 상태에서 겉표지(1)를 펼치게 될 때, 속지(3)가 끼움부(4)로부터 쉽게 빠져나와 겉표지(1)와 속지(3)의 결합 상태가 쉽게 분리될 수 있고, 겉표지(1)에 대해 끼움부(4)의 폭이 너무 넓을 경우에는 끼움부(4)에 속지를 끼워 넣는 수작업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워질 수 있는 관계로, 겉표지(1) 폭의 대략 1/2 내외 정도를 덮을 수 있는 폭을 갖도록 끼움부(4)의 폭을 형성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상기 끼움부(4)의 폭이 겉표지(1) 전체 폭의 1/2 정도를 덮을 수 있는 수준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끼움부(4)에 삽입 결합되는 속지(3)가 겉표지(1)와 거의 동일한 크기(혹은, 약간 작은 크기)을 갖고 있는 관계로, 수작업을 통해 속지(3)를 끼움부(4)의 내측 끝단까지 깊숙이 밀어넣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번거로워 작업성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겉표지(1)와 속지(3)를 결합하는 작업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종래 다이어리, 수첩 및 노트 등에서 고급스러움을 추구할 때, 상기와 같이 겉표지(1)에 끼움부(4)가 형성된 끼움식 표지를 갖는 양장 제본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끼움부(4)상에는 명함 등을 꽂아서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포켓(도시안됨)을 봉제나 고주파 접착방식을 이용하여 용이하기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끼움식 표지를 갖는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혹은 노트류, 수첩류)에서는 쉽게 포켓이 형성된 형태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속지(3)가 끼움부(4)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표지(1)를 펼치게 되면, 속지(3)가 끼움부(4)에서 일정길이 빠져나옴과 아울러, 끼움부(4)에 삽입된 속지(3)와 겉표지(1)의 절첩 부위에서 기록속지(5)의 두께만큼 단차(h)지면서 들떠있는 상태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겉표지(1)를 덮을 때, 속지(3)가 끼움부(4)로 밀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겉표지(1)의 절첩 부위에서 단차(h)진 상태로 들떠 있던 속지(3) 부위가 약간씩 접히거나 잘 밀려들어가지 않으면서 겉표지(1)가 잘 덮여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속지(3)를 접히지 않게 끼움부(4)로 밀어넣으면서 겉표지(1)를 덮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 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겉표지(1)와 속지(3)가 접착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으로, 이렇게 종래 끼움식 양장 제본형 노트(혹은 다이어리, 수첩, 책 등)에서 전술한 접착식 표지에서처럼 겉표지(1)와 속지(3)를 접착하지 못하는 이유는, 양장 제본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겉표지(1) 및 끼움부(4)와 속지(3)의 관계에서는 겉표지(1)에 속지(3)를 결합할 때 끼움부(4)를 피해서 겉표지(1)와 속지(3)를 접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즉, 종래 겉표지(1)와 거의 동일한 크기(혹은 면적)을 갖는 속지(3)를 끼움부(4)의 내측 끝단까지 깊숙이 밀어 넣어야 하는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겉표지(1)와 속지(3)를 접착하는 것은 작업 공정상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끼움부(4)가 형성된 겉표지(1)를 갖는 끼움식 표지의 경우에는 양장 제본할 때 대부분 겉표지(1)와 속지(3)를 접착시키지 않고 끼움부(4)에 속지(3)를 단순히 밀어 넣어 결합하는 작업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겉표지(1)에 끼움부(4)를 갖는 끼움식 표지 방식으로 양장 제본된 다이어리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 요소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선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83647호(2005.4.19. 공고, 명칭: 지갑 및 카드꽂이 기능을 갖는 다이어리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5038호(2006.1.11. 공고, 명칭: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7537호(2006.5.30. 공고, 명칭: 포켓이 형성된 접착식 양장제본형 노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89901호(2007.12.28. 공고, 명칭: 밴딩기능을 갖는 양장 제본 다이어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37575호(2013.4.16. 공개, 명칭: 스테플러를 이용한 양장 제본물 및 양장제본 방법)
이에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양장 제본을 통해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다이어리, 수첩류, 노트류 등에서 명함 등을 꽂아서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하기 용이한 끼움부를 갖춘 하드커버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하드커버지와 접착표지를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양장 제본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양장 제본에 적용되는 접착식 표지와 끼움식 표지의 장점을 복합적으로 살릴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장 제본을 통해 다수의 면지로 이루어진 기록속지가 포켓이 형성될 수 있는 끼움부를 갖춘 하드커버지에 결합됨에 따라 이루어진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기록속지의 양쪽 최외곽면에는 기록속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접착표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드커버지의 내측면과 접착표지가 접촉되는 일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드커버지와 기록속지가 결합될 때, 접착표지의 길이가 기록속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접착표지의 끝단이 끼움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끼움 삽입됨과 동시에 접착부에 의해 하드커버지와 접착표지가 접착되는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켓을 형성하기 용이한 끼움부를 갖춘 하드커버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하드커버지와 접착표지를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제공함으로써, 다이어리의 양장 제본에서 종래의 끼움식 표지와 접착식 표지의 장점을 복합적으로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이어리의 양장 제본에서 끼움식 표지의 장점인 다양한 형태의 포켓을 끼움부에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접착식 표지의 장점인 하드커버지와 접착표지가 접착됨에 따라 하드커버지를 펼쳤을 때, 하드커버지의 절첩부위에서 접착표지와의 사이에 기록속지 두께로 인해 형성된 단차로 의한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하드커버지의 절첩선을 따라 절곡 부위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서 펼쳐진 하드커버지를 닫을 때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다이어리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겉표지에 속지를 접착하는 접착식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겉표지의 끼움부에 속지를 끼우는 끼움식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끼움식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서 겉표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서 하드커버지와 기록속지의 접착표지가 접착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양태로써,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서 하드커버지와 기록속지의 접착표지 및 2차속지가 접착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서 하드커버지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는, 하드커버지(10)와, 끼움부(20), 접착표지(30), 기록속지(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하드커버지(10)는 비닐, 가죽 또는 하드커버(Hard Cover, 혹은 두꺼운 합지) 등과 같이 외관을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양장 제본에 사용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커버지(10)로 비닐, 가죽 등이 사용될 경우에는 표지로서의 힘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종이(두꺼운 합지) 등의 보강재를 비닐, 가죽으로 감싼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끼움부(20)는 하드커버지(1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드커버지(10)의 내측면에 접합 구비는 것으로서, 상기 끼움부(20)의 가장자리는 하드커버지(10)의 가장자리 접합선(21)을 따라 접합되어 있다.
즉, 상기 끼움부(20)는 하드커버지(10)의 내측면에 접합선(21)을 따라 봉제 작업이나 고주파 접합 작업을 통해 접합됨으로써, 하드커버지(1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끼움부(20)는 하드커버지(10)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다른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특히, 끼움부(20)는 하드커버지(10)의 색상과 달리하여 디자인적으로 차별화를 둘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20)에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포켓(22)을 형성할 수 있는바, 통상 끼움부(20)상에 별도의 재질을 봉제나 고주파 접합 방식으로 덧붙여 포켓(22)을 형성할 수도 있고, 끼움부(20) 자체가 이중 구조(두 겹)를 가지고 있어 포켓홈 형태로 절개하여 포켓(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재질로 포켓(22)을 형성할 경우, 포켓(22) 재질로는 투명한 비닐 재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끼움부(20)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와 같이 포켓(22)을 형성할 수 있는 끼움부(20)를 갖춘 다이어리로 양장 제본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포켓(2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끼움부(20)가 구비된 하드커버지(10)가 준비되면, 여기에 다이어리를 구성하는 기록지에 해당하는 다수의 면지로 이루어지는 기록속지(40)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록속지(40)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다수의 면지로 이루어진 다이어리의 내용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록속지(40) 중 가장 외곽면에 있는 접착표지(30)가 하드커버지(10)의 내측면과 접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커버지(10)의 끼움부(20)속에 접착표지(30)의 끝단이 약간 끼움 삽입된 상태로 하드커버지(10)에 접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착표지(30)가 다이어리를 구성하는 기록속지(40)의 양쪽 최외곽면에 각각 구비되어 하드커버지(10)에 접착부(32)를 통해 접착될 수 있도록 준비되게 되고, 이때, 상기 접착표지(30)의 길이(L2)는 기록속지(40)의 길이(L1)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양장 제본되는 다이어리는 기록속지(40)의 길이(L1)가 하드커버지(10)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약간 작은 길이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기록속지(40)의 길이(L1)에 비해서 접착표지(30)의 길이(L2)는 예를 들어 대략 1/2 수준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기록속지(40)의 최외곽면에 각각 준비되는 것이다.
상기 접착표지(30)에 형성되는 접착부(32)는 주지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부위로써, 이 접착부(32)는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주지의 접착제로는 풀, 수지계, 아교는 물론, 양면테이프와 같이 두 물체를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하고, 수작업으로 쉽게 도포할 수 있으며, 저렴한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32)의 폭은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가 견고하게 접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수준이면 충분하다.
또한, 첨부도면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32)를 접착표지(30)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접착부(32)를 접착표지(30)에 형성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하드커버지(10)의 내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 양쪽에 모두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즉, 상기 하드커버지(10) 및 접착표지(30) 중 어느 곳에 접착부(32)를 형성하더라도 접착 작업에는 큰 어려움이 없는 관계로,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를 견고하게 접착할 수만 있다면 작업성을 고려하여 어느 곳에 형성하더라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접착표지(30)의 길이(L2)는 하드커버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면서 접착표지(30)의 끝단이 하드커버지(10)에 형성된 끼움부(20)에 약간만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접착표지(30)의 끝단이 끼움부(20) 내측으로 약간만 들어갈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접착표지(30)를 끼움부(20)에 밀어 넣을 때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는바, 이는 종래 기술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끼움식 표지에서 끼움부(4) 내측 깊숙이 속지(3)의 끝단을 밀어 넣을 때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수작업이 훨씬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를 접착하여 기록속지(40)를 결합할 때, 상기 접착표지(30)의 끝단이 끼움부(20) 내측에 약간만 끼움 삽입되도록 하는 이유는, 접착표지(30)의 끝단이 끼움부(20)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세련미를 살려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표지(30)의 끝단이 끼움부(20) 속으로 삽입되지 않을 정도로 접착표지(30)의 길이(L2)를 짧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가 접착된 상태에서 하드커버지(10)를 펼쳤을 때, 하드커버지(10)에 접착된 접착표지(30)의 끝단이 끼움부(20) 밖으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양장 제본 다이어리에서 제품의 세련미를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표지(30)에 그 다음 속지에 해당하는 2차속지(31)를 접착하는 방식으로 하드커버지(10)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2차속지(31)는 기록속지(40)와 동일한 재질을 갖는 기록속지(40)의 낱장인 면지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접착표지(30)와 기록속지(40)의 재질을 달리할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시양태로써,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를 제조할 때, 하드커버지(10)의 단단함이나 접착표지(30)에 의한 기록속지(40)가 하드커버지(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접착표지(30)를 기록속지(40)의 낱장인 면지에 비해 좀 더 단단한 합지 형태로 적용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이 있는 경우, 접착표지(30)와 기록속지(40)의 재질이 서로 다른 상태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접착표지(30)만이 하드커버지(10)에 접착된 상태로 끼움부(20)에 약간 삽입된 구조로 제본되면, 하드커버지(10)를 펼쳤을 때, 상기 접착표지(30)와 기록속지(40)의 재질(혹은 색상)등이 다르기 때문에 동질감이 떨어지면서 제품의 세련감 및 고급스러움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기록속지(40)의 낱장에 해당하는 2차속지(31)를 접착표지(30)에 접착시켜 동질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드커버지(10)와 기록속지(40)사이에 좀 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2차속지(31)의 크기는 접착표지(30)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2차속지(31)와 접착표지(30)의 접촉 부위에는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접착부(32)를 구비하게 됨은 당연하다.
즉, 상기 하드커버지(10)에 기록속지(40)를 좀 더 견고하게 결합한다는 측면에서는 접착표지(30)외에 2차속지(31)와 같이 하드커버지(10)에 2장 이상이 순차적으로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이어리가 양장 제본되게 되면,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끼움식 표지와 접착식 표지의 장점을 복합적으로 살릴 수 있게 된다.
즉, 양장 제본에서 끼움식 표지의 장점인 다양한 형태의 포켓(22)을 끼움부(20)에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접착식 표지의 장점인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가 접착됨에 따라 하드커버지(10)를 펼쳤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커버지(10)의 절첩부위에서 기록속지(40)의 두께로 인한 접착표지(30)와 하드커버지(10)사이에의 들뜸 현상(혹은 단차)이 발생하지 않고 하드커버지(10)에 절첩선(11)을 따라 절곡 부위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펼쳐진 하드커버지(10)를 닫을 때 절곡 부위가 용이하게 반대편으로 절첩됨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지적했던 다이어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종래에 비해서 다이어리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다이어리 뿐만 아니라 노트류 및 수첩 등 다양한 문구류에서 양장 제본할 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포켓이 형성된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 하드커버지 11 : 절첩선
20 : 끼움부 21 : 접합선
22 : 포켓 30 : 접착표지
31 : 2차속지 32 : 접착부
40 : 기록속지

Claims (1)

  1. 양장 제본을 통해 다수의 면지로 이루어진 기록속지(40)가 포켓(22)이 형성될 수 있는 끼움부(20)를 갖춘 하드커버지(10)에 결합됨에 따라 이루어진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에 있어서,
    상기 기록속지(40)의 양쪽 최외곽면에는 기록속지(40)의 길이(L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접착표지(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드커버지(10)의 내측면과 접착표지(30)가 접촉되는 일부분 중 어느 한 곳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부(32)가 마련되며, 상기 하드커버지(10)와 기록속지(40)가 결합될 때, 접착표지(30)의 길이(L2)가 기록속지(40)의 길이(L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접착표지(30)의 끝단이 끼움부(20)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끼움 삽입됨과 동시에 접착부(32)에 의해 하드커버지(10)와 접착표지(30)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KR2020140000544U 2014-01-24 2014-01-24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KR200473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44U KR200473297Y1 (ko) 2014-01-24 2014-01-24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44U KR200473297Y1 (ko) 2014-01-24 2014-01-24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297Y1 true KR200473297Y1 (ko) 2014-06-25

Family

ID=5149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544U KR200473297Y1 (ko) 2014-01-24 2014-01-24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57U (ko) 2014-07-07 2016-01-15 오진용 속지 몸체의 탈부착이 가능한 제본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827A (ko) * 2009-03-19 2010-09-29 김형중 수첩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8805A (ko) * 2011-11-03 2013-05-13 이동현 메뉴속지 및 메뉴판속지다발 전체를 교체가능한 음식점 식탁용 메뉴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827A (ko) * 2009-03-19 2010-09-29 김형중 수첩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8805A (ko) * 2011-11-03 2013-05-13 이동현 메뉴속지 및 메뉴판속지다발 전체를 교체가능한 음식점 식탁용 메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57U (ko) 2014-07-07 2016-01-15 오진용 속지 몸체의 탈부착이 가능한 제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127B2 (en) Integrated tabbed note and clip kit
US20130206823A1 (en) File
KR200473297Y1 (ko) 양장 제본형 다이어리
US8308054B2 (en) Customizable folder
EP2731801B1 (en) Bookbinding of printed matter (text - blocks ) by gluing the spine (joint) with cold glue and insulating the spine (joint) with tape and silicon glue
US7467487B2 (en) Index tab, index tab bearing sheet and method of using an index tab
KR100846312B1 (ko) 책갈피 겸용 필기구
US20070036609A1 (en) Page protector
CN208507086U (zh) 一种多用式标签说明一体式贴纸
JP2008023901A (ja) 書類・冊子類の取付補助具
JP4770397B2 (ja) 配達用冊子及び配達用冊子の製造方法
JP3154410U (ja) ブックカバー
KR200413988Y1 (ko) 자석이 내삽 된 표지
JP3458308B2 (ja) メニューブック等の差替え可能なファイルブック
JPH0390393A (ja) 書籍用の付箋セット
CN213082745U (zh) 一种硬纸保护封套和包括该硬纸保护封套的笔记本
JP3134318U (ja) 書類入れのファイリング用帯状シート。
JP3166828U (ja) 本文のいずれかが取り換え可能な本
JP5622503B2 (ja) 集冊ファイル用別冊、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表紙部及び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綴じ込み方法
JP3512747B2 (ja) 簡易ポケット
KR20100128706A (ko) 벨크로 방식을 이용하여 별책을 합본하는 책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책
JP3077676U (ja) Cd収納ケース
KR200358792Y1 (ko) 별책의 결속 구조
KR200408513Y1 (ko) 앨범첩이 부착된 노트
JP3038229U (ja) 粗供養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