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700Y1 - 건축용 행거 설치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행거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700Y1
KR200472700Y1 KR2020140001977U KR20140001977U KR200472700Y1 KR 200472700 Y1 KR200472700 Y1 KR 200472700Y1 KR 2020140001977 U KR2020140001977 U KR 2020140001977U KR 20140001977 U KR20140001977 U KR 20140001977U KR 200472700 Y1 KR200472700 Y1 KR 200472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lider
fixing
main body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병태
Original Assignee
추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병태 filed Critical 추병태
Priority to KR2020140001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레버에 의해 행거를 천장에 설치 후 본체가 쉽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다리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행거를 천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건축용 행거 설치구는,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를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축대(13)로 이루어진 건축용 행거(10)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1)가 안착되는 받침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축대(13)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리부(11)가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시 상기 받침부(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축대(13)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더(200); 상기 본체(100)에 상기 슬라이더(200)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20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레버(300); 상기 고정레버(300)를 상기 슬라이더(200)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용 행거 설치구 {Installation apparatus of hanger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 등에서 각종 배선이나 배관 설치를 위해 행거를 천장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주거용 건축물, 상업, 사무용도를 위한 상업용 건축물, 공산품 등의 생산을 위한 각종 공장 등에는 난방을 목적으로 한 히팅파이프(Heating pipe), 도시가스공급을 위한 도시가스공급파이프, 식수 또는 공업용수등을 공급하기 위한 급/배수파이프(이하 배관 파이프라 칭함) 및 각종 전선의 배선을 위한 배관 및 환기를 위한 덕트 등을 건축물의 천장면을 통하여 그 목적지까지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배관 및 배선 파이프는 그 설치 길이가 크게는 수십미터에 이르기까지 한다.
따라서 배관 및 배선 파이프를 천장면, 벽면, 외벽면에 고정하여 어느 한쪽이 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종 행거를 고정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천장면에 행거를 설치할 때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높은 곳으로 올라가야 하므로, 작업이 위험하며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특히 작업 속도가 지연되며,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0165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0872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레버에 의해 행거를 천장에 설치 후 본체가 쉽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다리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행거를 천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건축용 행거 설치구는,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를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축대(13)로 이루어진 건축용 행거(10)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1)가 안착되는 받침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축대(13)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리부(11)가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시 상기 받침부(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축대(13)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더(200); 상기 본체(100)에 상기 슬라이더(200)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20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레버(300); 상기 고정레버(300)를 상기 슬라이더(200)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10)에는 상기 축대(13)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0)에는 하강시 행거(10)를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축대(13)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211)이 형성된 누름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00)에는 상기 받침부(1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221)을 갖는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버(300)에는 상기 제1경사면(221)과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승시 상기 고정레버(30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경사면(301) 및 상기 돌출부(22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하강을 저지하는 곡면부(30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축대(13)를 지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절곡된 지지부(120)와, 휨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으로 돌출된 보강부(130)가 각각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용 행거 설치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200)를 장착하여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된 상기 행거(10)를 눌러 고정하였다가, 분리시 상기 슬라이더(200)가 다시 상승하여 상기 행거(10)를 쉽게 본체(100)에서 분리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편리하며, 이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 및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곡면부(302)가 상기 돌출부(22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하강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00)가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110)에 상기 행거(10)를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행거(10)를 천장에 설치한 후 상기 본체(100)를 아래로 당겼을 때 상기 본체(100)와 상기 행거(10)가 쉽게 분리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행거를 장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행거가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의 슬라이더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고정된 행거를 천장에 설치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겨 행거와 본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행거를 장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행거가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의 슬라이더가 하강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고정된 행거를 천장에 설치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겨 행거와 본체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는 본체(100), 슬라이더(200), 고정레버(300) 및 탄성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상하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방향으로 받침부(1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1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건축용 행거(10)가 안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건축용 행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띠 형상의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의 상단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축대(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리부(11)의 상단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축대(13)는 하단이 상기 절곡부(12)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절곡부(12)의 상부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건축용 행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12)가 상기 받침부(110)에 끼워져 안착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110)에는 상기 행거(10)의 절곡부(12)가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될 때 상기 축대(13)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1고정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홈(111)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축대(13)의 상단이 천장에 고정 설치되기 전까지 상기 축대(13)의 하단을 상기 받침부(110)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 끝단에는 정면 방향으로 지지부(120)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대략 곡선을 이루며, 상기 축대(13)가 삽입되는 지지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21)은 정면 방향, 즉 상기 축대(13)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축대(13)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의 후방에는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는 후술할 상기 슬라이더(200)와 상기 고정레버(300)의 설치를 위해 판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해 강도가 약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보강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130)는 마찬가지로 판재로 이루어지며,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상하 양단이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130)는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여 상기 본체(100)가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00)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0)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부(110)와 마주보도록 누름부(2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10)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이며, 상기 슬라이더(200)가 상기 받침부(110) 방향으로 하강시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된 상기 행거(10)의 절곡부(12)와 접하여 상기 절곡부(12)가 상기 받침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210)에는 상기 행거(10)의 축대(13)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홈(2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행거(10)의 절곡부(12)가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될 때 상기 축대(13)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단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부(2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측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경사면(221)은 후술할 상기 고정레버(300)의 제2경사면(301)과 접하며,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승시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승력에 의해 상기 고정레버(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레버(300)는 대략 원호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버(300)의 하단에는 상기 제1경사면(221)과 대칭되게 경사진 제2경사면(30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는 원호의 곡면부(302)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302)는 상기 본체(100)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이며,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승시 상기 슬라이더(200)의 돌출부(22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가 자력으로 하강되지 않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레버(300)는 후술할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상기 받침부(110)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곡면부(302)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돌출부(220)를 우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더(200)가 하강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0)에 상기 제1경사면(2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버(300)에 상기 제2경사면(30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승시 상기 제2경사면(301)에 의해 상기 고정레버(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곡면부(302)와 접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220)가 고정되어 다시 하강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곡면부(302)가 상기 돌출부(22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하강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00)가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받침부(110)에 상기 행거(10)를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행거(10)를 천장에 설치한 후 상기 본체(100)를 아래로 당겼을 때 상기 본체(100)와 상기 행거(10)가 쉽게 분리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고정레버(300)에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하강시 상기 축대(13)와 접하여 상기 축대(13)를 지지하는 지지돌기(3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310)는 상기 고정레버(300)의 하단 부근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고정레버(300)의 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축대(13)와 이격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고정레버(300)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레버(300)의 하단이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400)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와 접하고, 타단이 상기 고정레버(300)와 접하여 상기 고정레버(30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레버(300)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돌출부(220)를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더(200)가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행거 설치구를 이용한 상기 행거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슬라이더(200)를 상승시켜 상기 누름부(210)가 상기 받침부(110)와 이격된 상태로 준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돌출부(220)가 상기 고정레버(300)의 곡면부(302)와 접한 상태로 가압되어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10)의 절곡부(12)를 상기 받침부(110)에 끼우면서, 상기 축대(13)의 하단을 상기 제1고정홈(111)에 삽입하고 상기 축대(13)의 상단이 상기 제2고정홈(211)에 삽입되도록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하여 장착한다.
이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10)의 절곡부(12)를 상기 받침부(110)에 완전히 안착시킨 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상기 슬라이더(200)를 밑으로 내려 상기 누름부(210)가 상기 절곡부(12)를 누르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고정레버(300)가 상기 돌출부(220)를 누르고 있더라도,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쉽게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행거(10)는 상기 본체(100)와 완전히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제1경사면(221)이 상기 고정레버(300)의 제2경사면(301)과 접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0)는 임의로 상승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행거(10)의 축대(13)를 천장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대(13)를 상방향으로 올려 천장에 미리 설치된 브라켓(미도시)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하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행거(10)는 천장에 고정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상기 절곡부(12)가 상기 누름부(21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승되고, 상기 행거(10)는 상기 본체(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200)를 장착하여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된 상기 행거(10)를 눌러 고정하였다가, 분리시 상기 슬라이더(200)가 다시 상승하여 상기 행거(10)를 쉽게 본체(100)에서 분리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편리하며, 이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 및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받침부,
111 : 제1고정홈, 120 : 지지부,
121 : 지지홈, 130 : 보강부,
200 : 슬라이더, 210 : 누름부,
211 : 제2고정홈, 220 : 돌출부,
221 : 제1경사면, 300 : 고정레버,
301 : 제2경사면, 302 : 곡면부,
310 : 손잡이, 400 : 탄성부재.

Claims (4)

  1. 고리부(11)와, 상기 고리부(11)를 천장에 고정시키기 위한 축대(13)로 이루어진 건축용 행거(10)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건축용 행거 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1)가 안착되는 받침부(11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축대(13)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리부(11)가 상기 받침부(110)에 안착시 상기 받침부(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축대(13)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더(200);
    상기 본체(100)에 상기 슬라이더(200)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20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레버(300);
    상기 고정레버(300)를 상기 슬라이더(200)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행거 설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10)에는 상기 축대(13)가 삽입되는 제1고정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0)에는 하강시 상기 행거(10)를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축대(13)가 삽입되는 제2고정홈(211)이 형성된 누름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행거 설치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0)에는 상기 받침부(1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221)을 갖는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버(300)에는 상기 제1경사면(221)과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승시 상기 고정레버(300)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경사면(301) 및 상기 돌출부(220)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더(200)의 하강을 저지하는 곡면부(3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행거 설치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축대(13)를 지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절곡된 지지부(120)와, 휨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으로 돌출된 보강부(13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행거 설치구.
KR2020140001977U 2014-03-12 2014-03-12 건축용 행거 설치구 KR200472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77U KR200472700Y1 (ko) 2014-03-12 2014-03-12 건축용 행거 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77U KR200472700Y1 (ko) 2014-03-12 2014-03-12 건축용 행거 설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700Y1 true KR200472700Y1 (ko) 2014-05-15

Family

ID=5149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77U KR200472700Y1 (ko) 2014-03-12 2014-03-12 건축용 행거 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2375A (zh) * 2019-06-13 2019-10-15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用挂壁式旋转吊架及其使用方法和一种船舶
CN111890305A (zh) * 2020-07-22 2020-11-06 武帅龙 一种铝型材辅助安装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650U (ko) * 1993-06-10 1995-01-04 최병규 배관파이프의 행거 고정장치
KR20080091554A (ko) * 2007-04-09 2008-10-14 김태식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KR20100110709A (ko) * 2009-04-03 2010-10-13 백순종 배관파이프 행거 및 이를 조립ㆍ설치하는 방법
KR20100012188U (ko) * 2009-06-03 2010-12-13 김덕진 천정용 램프교체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650U (ko) * 1993-06-10 1995-01-04 최병규 배관파이프의 행거 고정장치
KR20080091554A (ko) * 2007-04-09 2008-10-14 김태식 배관설치용 행거 체결구조
KR20100110709A (ko) * 2009-04-03 2010-10-13 백순종 배관파이프 행거 및 이를 조립ㆍ설치하는 방법
KR20100012188U (ko) * 2009-06-03 2010-12-13 김덕진 천정용 램프교체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2375A (zh) * 2019-06-13 2019-10-15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用挂壁式旋转吊架及其使用方法和一种船舶
CN111890305A (zh) * 2020-07-22 2020-11-06 武帅龙 一种铝型材辅助安装装置
CN111890305B (zh) * 2020-07-22 2022-01-21 肇庆市高要区忠煌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铝型材辅助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8296B2 (en) Bracket for installation of a fire protection sprinkler
KR200472700Y1 (ko) 건축용 행거 설치구
TW200600695A (en) Adjustable hanger
CN202866099U (zh) 一种用于室内吊顶的万向龙骨吊件
CN207199907U (zh) 一种方便拆装的开关插座
CN204199602U (zh) 无龙骨石材干挂结构
KR101020997B1 (ko) 스프링 고정형 천정패널 구조
CN204552820U (zh) 一种电缆挂钩及其悬挂支架
CN103590565A (zh) 玻璃砖干挂安装结构
CN202613726U (zh) 室内挂壁式空调器的安装结构
JP2010065506A (ja) スレート葺屋根における新設屋根材取付方法及び取付け作業器
US2687864A (en) Pipe hanger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CN203769265U (zh) 线盒口抹灰规方装置
CN108252326A (zh) 一种装配式地下管廊
CN203980191U (zh) 建筑工地用灯架
CN103899894B (zh) 平板电视机承载装置
CN204012453U (zh) 一种电线管支架
US3507141A (en) Apparatus for bending pipe
CN206511604U (zh) 一种自动翻转装置
JP5061684B2 (ja) 配管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419926Y1 (ko) 긴 자재를 탑재할 수 있는 시져스 리프트의 작업함
CN204757979U (zh) 一种玻璃安装用调垂装置
CN203421308U (zh) 电缆挂钩
CN220574422U (zh) 一种管平面固定式接地圆钢加工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