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03Y1 - 콘밸브 - Google Patents

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03Y1
KR200472603Y1 KR2020120004885U KR20120004885U KR200472603Y1 KR 200472603 Y1 KR200472603 Y1 KR 200472603Y1 KR 2020120004885 U KR2020120004885 U KR 2020120004885U KR 20120004885 U KR20120004885 U KR 20120004885U KR 200472603 Y1 KR200472603 Y1 KR 200472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ate
valve body
flange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235U (ko
Inventor
이병순
Original Assignee
이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순 filed Critical 이병순
Priority to KR2020120004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0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treamlined valve member around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valve is op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5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conical 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길이를 가지며,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콘부재;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와 콘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게이트;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게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전방 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드게이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밸브 본체의 외주면과 마찰하여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이물질 스트리퍼;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이물질 스트리퍼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이물질에 의해 실링부재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밸브{CONE VALVE}
본 고안은 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내주면에 설치된 실링부재의 파손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을 정밀하게 안내함으로써 슬라이드게이트의 원주방향 미끄럼 또는 변형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콘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밸브는 자유방류밸브(free discharge valve)로서, 낙차의 고압에 관계없이 자유방류시 유량의 조절 및 제어가 극히 간단하고 용이한 밸브이다. 이러한 콘밸브는 댐 또는 저수지의 사수방류, 하류의 농업용수의 유량조절, 수차의 보호방류 등에 사용되며, 방류시 유선형상이 원추형 상으로 확산되어 유체의 에너지를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콘밸브는 유체가 통과하는 원통형상의 밸브 본체, 밸브 본체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밸브 본체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드게이트("실린더게이트"라고도 함), 슬라이드게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밸브 본체의 토출구 단부에 인접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 콘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토출구에 인접한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게이트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패킹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설치되며, 이에 밸브 본체의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드 게이트의 내주면 사이에는 기밀성이 확보됨으로써 콘밸브의 폐쇄작동 시에 내압 누수방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기어박스 측에 연결된 복수의 리드스크류 또는 복수의 유압실린더 등을 통해 슬라이드게이트의 외주면 측에 연결되고, 이에 구동부는 슬라이드게이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콘밸브는 밸브 본체의 외주면 상에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콘밸브의 개폐 작동을 위해 슬라이드게이트가 이동하면 실링부재는 밸브 본체의 슬라이딩면 상의 이물질과 접촉함에 따라 쉽게 손상 내지 파손될 수 있고, 이러한 실링부재의 파손에 의해 누수발생 및 수명단축 등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밸브는 복수의 리드스크류 또는 복수의 유압실린더 등에 의해 슬라이드 게이트가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리드스크류들 사이의 서로 다른 나사이송효율 또는 유압실린더들 사이의 서로 다른 동력전달효율 등으로 인해 그 이송속도가 상이해질 수 있고, 이에 슬라이드게이트가 원주방향으로 미세한 회전이 발생함과 더불어 유체의 방류 시에 슬라이드게이트의 흔들림 및 처짐 등과 같은 변형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시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실링부재의 전방에서 선행제거하여 슬라이드게이트에 설치된 실링부재가 이물질에 의해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하는 슬라이드게이트를 지지하여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슬라이드게이트의 원주방향 미끄럼 또는 변형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콘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콘밸브는, 길이를 가지며, 토출구가 마련된 중공형의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콘부재;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와 콘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드게이트;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게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전방 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드게이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밸브 본체의 외주면과 마찰하여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이물질 스트리퍼;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재는 예컨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게이트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예컨대, 상기 밸브 본체에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슬라이드게이트와 함께 이동하는 제2플랜지부; 및 상기 제1플랜지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 타측이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을 상기 제2플랜지부를 통해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스트리퍼는 예컨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밸브 본체의 외주면과 슬라이딩접촉하는 와이퍼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상기 제2플랜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에 일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게이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된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와 함께 이동하되, 관통상태로 설치된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제2플랜지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된 이물질 스트리퍼가 실링부재의 전방에서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실링부재의 파손을 방지하여 밸브 본체와 슬라이드게이트 사이의 기밀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실링부재의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밸브 본체의 제1플랜지부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슬라이드게이트의 제2플랜지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이송부재들 사이의 서로 다른 나사이송효율 또는 서로 다른 동력전달효율 등으로 인해 그 이송속도가 상이해지더라도 슬라이드게이트가 원주방향으로 미세한 회전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대구경의 밸브 본체를 통해 유체를 방류하거나 유체가 고속으로 방류할 경우에도 슬라이드게이트의 흔들림 및 처짐 등과 같은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콘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콘밸브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콘밸브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밸브는 토출구(11)를 가진 밸브 본체(10),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에 인접하여 설치된 콘부재(15), 밸브 본체(10)의 토출구와 콘부재(15)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게이트(20), 이송부재(31), 구동부(30), 실링부재(21) 및 후술되는 이물질 스트리퍼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10)는 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밸브 본체(10)의 내부로 유체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본체(10)의 후방단부에는 토출구(11)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11)에 인접한 밸브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게이트(20)의 내주면과 슬라이딩접촉하는 슬라이딩면(13)이 형성된다.
밸브 본체(10)의 일측 외주면에는 제1플랜지부(18)가 형성되고, 제1플랜지부(18)에는 구동부(30)의 이송부재(31)가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플랜지부(18)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8a)에 의해 밸브 본체(10)의 외주면 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랜지부(18)는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로부터 전방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특히 제1플랜지부(18)는 슬라이딩면(13)의 전방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4와 같이 슬라이드게이트(20)가 밸브 본체(1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부는 제1플랜지부(18)의 하부에 걸려짐에 따라 제1플랜지부(18)는 슬라이드게이트(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콘부재(15)는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에 인접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도 4와 같이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가 개방될 경우 유체는 콘부재(15)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화살표 참조)됨에 따라 유체는 원추형상으로 확산되면서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감소하여 토출된다.
슬라이드게이트(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와 콘부재(15)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게이트(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게이트(20)의 내경은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에 인접한 외주면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드게이트(20)의 내주면은 밸브 본체(10)의 슬라이딩면(13) 측에 슬라이딩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도 3과 같이 슬라이드게이트(20)가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에서 후방측으로 이동한 경우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는 폐쇄되고, 도 4와 같이 슬라이드게이트(20)가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에서 전방측으로 이동한 경우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가 개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 측에는 실링부재(21)가 환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실링부재(21)는 제2플랜지부(28)의 하측에 제1장착지그(23)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21)는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로 밸브 본체(10)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 측을 실링한다. 따라서, 슬라이드게이트(20)는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를 폐쇄한 상태에서 실링부재(21)에 의해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과 밸브 본체(10)의 슬라이딩면(13)을 수밀하여 유체의 내압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전술한 이물질 스트리퍼는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실링부재(21)의 전방 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드게이트(20)와 함께 이동하면서 밸브 본체(10)의 외주면과 마찰하여 밸브 본체(10)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박리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실링부재(2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이물질 스트리퍼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 측에서 실링부재(21) 측에 인접하여 환형으로 설치되는 와이퍼부재(22)로 구성할 수 있다. 와이퍼부재(22)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와이퍼부재(22)는 제2장착지그(24)를 통해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 측에 설치된다. 제2장착지그(24)는 제1장착지그(23)의 전방 측에 체결구(25)를 통해 결합되고, 이 제2장착지그(24)의 내측에 와이퍼부재(22)가 끼워지며, 와이퍼부재(22)는 밸브 본체(10)의 슬라이딩면(13)과 접촉하는 예리한 제거날부(22a)가 형성된 삼각형 단면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와이퍼부재(22)는 슬라이드게이트(20)의 이동시 밸브 본체(10)의 슬라이딩면(13)과 슬라이딩마찰하면서 슬라이딩면(13)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특히, 와이퍼부재(22)는 실링부재(21)의 전방(도면 상에서 콘밸브의 개방방향측으로) 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이에 슬라이드게이트(20)가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 전방 측으로 이동할 때 와이퍼부재(22)가 밸브 본체(10)의 슬라이딩면(13)에 부착된 이물질을 사전에 선행제거함에 따라 후방측에 위치한 실링부재(21)가 이물질로 인해 손상되거나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슬라이드게이트(2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게이트(20)의 와이퍼부재(22)에 의해 밸브 본체(10)의 슬라이딩면(13)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슬라이드게이트(20)의 실링부재(21)가 이물질에 의해 파손 내지 손상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슬라이드게이트(20)와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실링부재(21)의 사용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슬라이드게이트(20)의 일측 외주면 특히, 슬라이드게이트(20)의 선단 외주면 측에는 제2플랜지부(28)가 설치되고, 제2플랜지부(28)는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28a)에 의해 슬라이드게이트(20)의 외주면 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게이트(20)는 이송부재(31)에 의해 밸브 본체(10)의 토출구(11)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송부재(31)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에 의해 이동한다. 구동부(30)는 통상의 모터나 유압펌프 또는 이송부재(31)에 직접 또는 기어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이송부재(31)를 회전시키는 통상의 핸들이나 휠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0)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부재(31)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2)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리드스크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이송부재(31)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송부재(31)는 단부가 슬라이드게이트(20)의 제2플랜지부(28)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드게이트(20)와 연결된다. 즉, 이송부재(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랜지부(28)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2플랜지부(28)를 통해 슬라이드게이트(2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송부재(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의 구동력에 의해 밸브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게이트(20)를 이동시킨다.
이송부재(31)는 리드스크류로 구성될 경우 기계적 구조로 인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어박스(32)에 의해 나선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게이트(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이송부재(31)가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경우 전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슬라이드게이트(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리드스크류 보다 신속하게 슬라이드게이트(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부재(31)는 밸브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게이트(20)를 이동시킨다. 즉, 이송부재(31)는 밸브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면서 슬라이드게이트(20)를 이동시킨다.
한편, 본 고안은 밸브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게이트(20)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10)에 외주면에 마련되는 전술한 제1플랜지부(18), 슬라이드게이트(2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슬라이드게이트(20)와 함께 이동하는 전술한 제2플랜지부(28) 및 제1플랜지부(18)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2플랜지부(28)에 타측이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이송부재(31)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드게이트(20)의 이동을 전술한 제2플랜지부(28)를 통해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3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봉(3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10)의 길이방향, 즉 슬라이드게이트(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봉(35)은 이동하는 슬라이드게이트(20)를 가이드하여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한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가이드유닛은, 가이드봉(35)이 관통된 제2플랜지부(28)가 슬라이드게이트(20)와 함께 이동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상태로 설치된 가이드봉(35)을 따라 제2플랜지부(28)가 이동함으로써, 제2플랜지부(28)를 통해 슬라이드게이트(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봉(35)에 의해, 이송부재(31)들 사이의 서로 다른 나사이송효율 또는 서로 다른 동력전달효율 등으로 인해 그 이송속도가 상이해지더라도 슬라이드게이트(20)는 원주방향으로 미세한 회전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대구경의 밸브 본체(10)를 통해 유체를 방류하거나 유체가 고속으로 방류할 경우에도 슬라이드게이트(20)의 흔들림 및 처짐 등과 같은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밸브 본체 11: 토출구
13: 슬라이딩면 15: 콘부재
18: 제1플랜지부 20: 슬라이드게이트
21: 실링부재 22: 와이퍼부재
28: 제2플랜지부 30: 구동부
31: 이송부재 35: 가이드봉

Claims (4)

  1. 길이를 가지며, 토출구가 마련된 중공형의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콘부재;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와 콘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 본체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드게이트;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게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외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전방 측에 위치하고, 슬라이드게이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밸브 본체의 외주면과 마찰하여 밸브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박리시키는 이물질 스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게이트를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밸브 본체에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슬라이드게이트와 함께 이동하는 제2플랜지부; 및
    상기 제1플랜지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 타측이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을 상기 제2플랜지부를 통해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상기 제2플랜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에 일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밸브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게이트를 이동시키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된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와 함께 이동하되, 관통상태로 설치된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제2플랜지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밸브.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스트리퍼는,
    상기 슬라이드게이트의 선단 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밸브 본체의 외주면과 슬라이딩접촉하는 와이퍼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밸브.
KR2020120004885U 2012-06-08 2012-06-08 콘밸브 KR200472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85U KR200472603Y1 (ko) 2012-06-08 2012-06-08 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85U KR200472603Y1 (ko) 2012-06-08 2012-06-08 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35U KR20130007235U (ko) 2013-12-18
KR200472603Y1 true KR200472603Y1 (ko) 2014-05-09

Family

ID=5244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85U KR200472603Y1 (ko) 2012-06-08 2012-06-08 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263B1 (ko) 2019-12-05 2020-05-04 주식회사 덕양에코 콘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954A (ja) * 2001-08-07 2003-02-21 Kubota Corp ホロージェットバル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954A (ja) * 2001-08-07 2003-02-21 Kubota Corp ホロージェットバル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263B1 (ko) 2019-12-05 2020-05-04 주식회사 덕양에코 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35U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1071B1 (fr) Dispositif de nettoyage d'un cap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RU2011142900A (ru) Закрытое охватываемое люэров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безыго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доступа
JP6058697B2 (ja) 駆動装置
JP6466699B2 (ja) 伸縮駆動装置及び開閉機構
AR052579A1 (es) Dispositivo de control de flujo de fluidos con un sello para un elemento de regulacion
KR20160119819A (ko) 도포 장치
WO2008126414A1 (ja) 粘性液体材料の吐出方法および装置
JP2013544602A5 (ko)
KR200472603Y1 (ko) 콘밸브
WO2008099648A1 (ja) 密封装置
CN101997282A (zh) 插线装置
EP3056282B1 (en) A rotary jet nozzle
EP1832746A3 (en) Dosage pump
KR101889435B1 (ko) 버터플라이형 스윙 체크밸브
JP4781057B2 (ja) 液体充填装置
JP2009160543A (ja) 排水管などの管路洗浄装置
EP2386785A1 (fr) Vis notamment de purge pour un système de frein d'un véhicule automobile
EP0630185B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etourage et d'obturation de l'orifice anal des animaux de boucherie apres abattage
CN210423830U (zh) 一种制冷机组油路管道防回流装置
KR101375477B1 (ko) 콘밸브
JP2007069960A (ja) 液体充填装置
US8079386B1 (en) Variable pressure reducing device
CN211599927U (zh) 一种具有疏通功能的异径管
CN203488354U (zh) 一种出料泵
CH641727A5 (fr) Appareil d'avance de bil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