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10Y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10Y1
KR200472310Y1 KR2020130009640U KR20130009640U KR200472310Y1 KR 200472310 Y1 KR200472310 Y1 KR 200472310Y1 KR 2020130009640 U KR2020130009640 U KR 2020130009640U KR 20130009640 U KR20130009640 U KR 20130009640U KR 200472310 Y1 KR200472310 Y1 KR 200472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d
tubular member
roller
exercise device
fitness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실
윤영한
Original Assignee
이상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실 filed Critical 이상실
Priority to KR2020130009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서는, 메인 봉이 한 쌍의 롤러와 관형부재를 관통한다. 관형부재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있으며, 메인 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메인 봉의 둘레방향으로는 메인 봉에 고정된다. 롤러와 관형부재 사이에는 메인 봉의 길이방향에서 관형부재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가 배치된다. 롤러의 내부에는 일단이 메인 봉과 결합되고 타단이 롤러에 결합된 제2 탄성부재가 배치되며, 제2 탄성부재는 롤러의 구름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EXERCISE TOOL}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는 운동기구의 일 예로서, 사용자의 허리의 굴신 운동을 보조하는 슬라이더가 있다. 슬라이더는 외력에 의해 변형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반복적인 동작을 행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더(10)는 구동바퀴(11)와 손잡이(12)를 가진다. 사용자는 슬라이더(10)를 바닥에 놓고 슬라이더(10)를 앞뒤로 밀고 당김으로써 허리를 굴신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슬라이더(10)는 그 내부에 구동바퀴(11)의 회전에 의해 변형된 후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을 갖추고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가 슬라이더(10)를 밀 때 스프링이 변형되고 사용자가 슬라이더(10)를 당길 때 스프링은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5371호
종래의 슬라이더는 허리의 굴신 동작시 슬라이더의 진행 방향에 저항을 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슬라이더는 허리의 굴신 동작에 관련되는 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 크기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더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근육의 근력과 크기를 증가시키는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만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최근의 당해 분야의 동향으로서, 하나의 운동기구로서 여러 가지 운동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망에 부응하는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슬라이더는 단지 등장성 운동에만 적합할 뿐이고, 근육이나 관절의 움직임 없이 근육을 자극시킬 수 있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등장성 운동 및 등척성 운동에 사용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메인 봉과, 한 쌍의 롤러와, 관형부재와, 한 쌍의 제1 탄성부재와, 한 쌍의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봉은 상기 한 쌍의 롤러를 관통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메인 봉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구름방향과 상기 제1 구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구름방향으로 구름이 가능하다.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봉이 관통한다.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메인 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메인 봉의 둘레방향으로는 고정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롤러와 상기 관형부재 사이에 상기 메인 봉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관형부재에 상기 메인 봉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메인 봉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름방향 및 제2 구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은 외면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걸림핀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걸림핀에 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관형부재를 향하는 면에 의해 지지된다. 또, 상기 관형부재는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부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걸림핀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안내홈에 끼워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메인 봉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배럴과, 상기 배럴의 개방된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봉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커버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태엽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동기구는 상기 메인 봉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봉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 봉은 원기둥형, 원뿔대형, 사각기둥형 및 장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는 상기 보조 봉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발판을 더 구비하며, 보조 발판에는 지압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등장성 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슬라이더 운동기구 또는 덤벨 운동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등척성 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요동을 이용한 운동(shaking exercise)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요동 기능을 제공하는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통제함으로써 근육의 수축과 이완 없이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등척성 운동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더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운동기구의 일부분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메인 봉과 보조 봉의 결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보조 봉의 여러 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보조 봉과 보조 봉에 부착된 보조 발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운동기구의 일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하는 롤러 및 롤러 내부의 메인 봉과 제2 탄성부재를 보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운동기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 또는 요소를 지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내측", "내" 등의 방향지시어는 운동기구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의 의미하고, "외측", "외"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허리의 굴신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운동기구(이하, "슬라이더 운동기구"라 한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운동기구(이하, "덤벨 운동기구"라 한다), 요동에 대하여 사용자가 버티는 운동을 하기 위한 운동기구(이하, "지탱 운동기구"라 한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는, 메인 봉(110)과, 메인 봉(110)이 관통하고 메인 봉(110)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롤러(120)와, 한 쌍의 롤러(120)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 봉(110)이 관통하는 관형부재(130)와, 한 쌍의 롤러(120)와 관형부재(130)의 사이에서 메인 봉(11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제1 탄성부재(140)와, 각 롤러(120)의 내부에 배치된 제2 탄성부재(150)를 구비한다. 롤러(120)는 메인 봉(110)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구름방향(RD1)(도 8 참조)과 제1 구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구름방향(RD2)(도 8 참조)으로 구름이 가능하다. 관형부재(130)는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메인 봉(110)의 둘레방향으로는 메인 봉(1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1 탄성부재(140)는 롤러(120)를 지지점으로 하여 관형부재(130)에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거나 인가한다. 제2 탄성부재(150)는 그 일단에서 메인 봉(110)과 결합되고 타단에서 롤러(120)에 결합되며, 제1 구름방향(RD1) 및 제2 구름방향(RD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롤러(1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거나 인가한다.
메인 봉(110)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중공 또는 중실의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봉(110)은 강성이 양호한 금속 재료,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료나 섬유강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봉(110)은 부식을 방지하고 고광택을 내도록 그 표면이 크롬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메인 봉(110)은 사용자가 체격 조건에 맞는 운동기구(1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를 가진다. 예컨대, 메인 봉(110)은 30cm 내지 100cm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메인 봉(110)은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부 부근에 한 쌍의 환형의 유지홈(113)을 가지며, 이러한 유지홈(113)에는 C자 형상의 스냅링(114)이 스냅결합한다. 한 쌍의 유지홈(113) 간의 거리는 롤러(120)의 폭방향 길이보다 크다. 메인 봉(110)에 스냅링(114)을 채용함으로써, 메인 봉(110)을 중심으로 구름운동하는 롤러(120)의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위치를 규제하고, 롤러(120)가 메인 봉(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봉(110)은 그 외면에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115)(도 7 참조)을 가진다. 안내홈(115)은 관형부재(130)의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요동을 안내한다.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메인 봉(110)에 추가로 부착되는 보조 봉(161)을 가진다. 보조 봉(161)은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보조 봉(161)은 메인 봉(110)의 각 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메인 봉(110)은 그 각 단부면에서 돌출하는 수나사부(112)를 가지며, 또한, 보조 봉(161)은 메인 봉(110)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단부면에 수나사부(112)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169)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인 봉(110)에 수나사부(112)가 형성되고 보조 봉(161 내지 168)에 암나사부(169)가 형성되지만, 메인 봉(110)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보조 봉(161)에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g는 메인 봉(110)에 결합될 수 있는 보조 봉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하는 보조 봉(162)은 도 4에 도시하는 보조 봉(161)의 길이(L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도 5b에 도시하는 보조 봉(163)은 도 4에 도시하는 보조 봉(161)의 길이(L2)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도 5c에 도시하는 보조 봉(164)은 도 4에 도시하는 보조 봉(161)의 직경(D3)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도 5d에 도시하는 보조 봉(165)은 도 4에 도시하는 보조 봉(161)의 직경(D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도 5e에 도시하는 보조 봉(166)은 원뿔대 형상이며, 도 5f에 도시하는 보조 봉(167)은 장구 형상이다. 도 5g에 도시하는 보조 봉(168)은 사각기둥 형상을 가진다. 또한, 사각기둥 형상의 보조 봉(168)은 다양한 길이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조 봉(161 내지 168)에는, 하체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발판(17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발판(170)은 보조 봉(161 내지 168)에 끼움 방식 등으로 결합되는 발판(171)을 가진다. 발판(171)은 보조 봉(161 내지 168)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또는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발판(171)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지압 효과를 주도록 복수의 돌기(172)가 구비되며, 발판(171)에는 발등을 걸 수 있도록 걸림 밴드(173)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밴드(173)는 발등 크기에 맞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의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을 위해 벨크로 테이프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보조 발판(170)이 보조 봉(161 내지 168)에 착탈 가능하지만, 보조 봉(161 내지 168)과 일체로 될 수도 있다.
보조 봉(161)보다 길이가 짧은 보조 봉(162, 168)이 채용되는 경우, 운동 시에 신체나 주변사물에 대한 운동기구(100)의 걸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보조 봉(161)보다 길이가 긴 보조 봉(163, 168)이 채용되는 경우, 운동 시에 양팔이나 양발을 넓게 벌릴 수가 있어 보다 다양한 동작과 자세로 운동기구(1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봉(161)보다 직경이 큰 보조 봉(164)이나 보조 봉(161)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 봉(165)이 채용되는 경우 또는 다양한 길이와 단면적을 갖는 보조 봉(168)이 채용되는 경우, 운동기구(100)의 중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원뿔대 형의 보조 봉(166)이나 장구형의 보조 봉(167)이 채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그립감을 가질 수 있다.
보조 봉(161 내지 168) 및 관형부재(130)는 운동기구(100)의 사용시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봉(161 내지 168) 및 관형부재(130)의 표면에는 엠보싱 처리에 의한 음각 무늬를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봉(161 내지 168) 및 관형부재(130)에는 미끄럼 방지용 패드나 지압용 패드가 씌워질 수 있다.
관형부재(130)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 원통부를 포함하는 부재이며, 사용자가 운동시 잡을 수 있는 부재이다. 관형부재(130)는 전체가 금속 재료, 플라스틱 재료, 강화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형부재(130)는 중공의 금속 관과 이를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에서 둘러싸는 플라스틱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관형부재(130)는 중공 관의 형태로 되어 있지만, 관형부재(13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형부재(130)는 그 외주에 사용자의 그립감을 위해 오목한 환상부를 가질 수도 있다.
관형부재(130)의 내측의 중공 원통부로 메인 봉(110)이 삽입된다. 또한, 메인 봉(110)과 관형부재(130)의 내주면 사이에 제1 탄성부재(140)의 일단 부분이 개재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140)는 압축 코일 스프링 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관형부재(130)는 코일 스프링인 제1 탄성부재(140)의 외경(D2)(도 7 참조) 보다 큰 내경(D1)(도 7 참조)을 가진다.
또한, 관형부재(130)의 길이(L1)(도 3 참조)는 한 쌍의 롤러(120)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관형부재(130)의 길이(L1)는 관형부재(130)가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으로 요동할 때 제1 탄성부재(140)가 소망하는 정도로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관형부재(130)는 그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부에 관통공(131)과, 관통공(131)에 끼워지는 걸림핀(132)을 구비한다. 메인 봉(110)이 관형부재(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140)의 일단부는 메인 봉(110)의 외면과 관형부재(130)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탄성부재(140)의 일단은 관형부재(130)의 길이방향에서의 일단을 기준으로 관통공(131)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걸림핀(132)을 관통공(131)에 끼우면, 걸림핀(132)의 선단이 제1 탄성부재(140)의 일단부에 걸리게 된다. 즉, 제1 탄성부재(140)의 일단부가 걸림핀(132)에 의해 걸려, 제1 탄성부재(140)와 관형부재(130)가 결합된다. 또한, 걸림핀(132)의 선단부는 메인 봉(110)의 안내홈(115)에 끼워져 안내홈(115)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관형부재(130)는 안내홈(115)에 끼워진 걸림핀(132)에 의해 메인 봉(110)에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안내홈(115)이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므로, 걸림핀(132)에 의해 메인 봉(110)에 결합된 관형부재(130)는 메인 봉(110)의 둘레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관형부재(130)를 잡고서 운동기구(100)를 밀거나 당길 때, 관형부재(130)에 결합된 메인 봉(110)에 대해 롤러(120)가 구름운동하게 되고, 나아가 제2 탄성부재(150)가 변형되거나 복원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관형부재(130)를 잡고서 운동기구(100)를 밀거나 당기더라도 메인 봉(110)을 잡고서 운동기구(100)를 밀거나 당기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걸림핀(132)이 안내홈(115)에 끼워져 있으므로, 관형부재(130)는 제1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메인 봉(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형부재(130)는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부에 하나의 관통공(131)을 갖지만, 제1 탄성부재(140)의 일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걸기 위해 관형부재(13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31)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안내홈(115)도 메인 봉(110)의 외면에 관통공(131)과 동일한 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관형부재(130)로부터 제1 탄성부재(14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걸림핀(132) 대신에 나사가 채용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40)는 일단부가 걸림핀(132)에 의해 관형부재(130)와 결합되며, 반대쪽의 타단은 롤러(120)에 의해 지지된다. 관형부재(130)에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면, 제1 탄성부재(140)는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관형부재(130)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관형부재(130)가 메인 봉(11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관형부재(130)를 잡고서 운동기구(100)를 든 상태에서 운동기구(100)를 상하로 흔들면, 그 반작용에 의해 메인 봉(110)과 롤러(120)가 관형부재(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탄성부재(140) 중 어느 하나는 압축되고, 다른 하나는 인장되는 것을 반복한다. 운동기구(100)를 흔드는 것을 멈추게 되면, 메인 봉(110)과 롤러(120)의 관형부재(130)에 대한 요동은 제1 탄성부재(140)의 감쇄작용에 의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메인 봉(110)의 단부 부근에, 제1 탄성부재(140)로서 메인 봉(110)의 외주를 따라 감긴 하나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지만,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이 메인 봉(110)의 외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걸림핀과 안내홈도 코일 스프링과 동수로 구비될 수 있다.
롤러(120)는 운동기구(100)를 슬라이더 운동기구로 사용하는 경우 구동바퀴로서 기능하며, 운동기구(100)를 덤벨 운동기구로 사용하는 경우 중량물로서 기능한다. 롤러(12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섬유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 금속 재료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합 재료로 롤러(120)가 이루어지는 경우, 롤러(120)의 내측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외측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롤러(120)는 원통형의 배럴(121)과 배럴(121)에 결합되는 원형의 커버(126)를 가진다. 배럴(121)은 그 원형의 바닥에 메인 봉(110)이 통과하는 통공(122)을 가지며, 커버(126)는 그 중앙에 메인 봉(110)이 통과하는 통공(127)을 가진다. 배럴(121)의 통공(122)과 커버(126)의 통공(127)에는 메인 봉(111)과 결합하는 구름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커버(126)는 배럴(121)을 개폐하도록 배럴(121)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126)는 배럴(121)과 나사(124)의 체결로 결합되며, 이를 위해, 배럴(121)의 개방측 단부면에는 복수의 나사구멍(123)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126)에는 나사구멍(123)에 맞춰지는 복수의 통공(12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6)와 배럴(121)은 전술한 나사 체결 방식이 아닌,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커버(126)의 외주를 따라 끼워맞춤을 위한 핀, 돌기, 후크 등이 형성될 수 있고, 배럴(121)은 상기 핀, 돌기, 후크 등과 상보적 결합이 가능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롤러(120)와 스냅링(114) 사이에는 메인 봉(110)이 끼워지는 부싱(129)이 배치된다. 부싱(129)은 제1 탄성부재(140)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돌출부(129a)를 가진다.
롤러(120)는 운동기구(100)를 바닥에 놓고 밀거나 당길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드 또는 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 또는 시트는 고무 또는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되며, 배럴(121)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운동기구(100)의 사용시 소음을 줄이고, 충격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50)는 배럴(121)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제2 탄성부재(150)는 일단에서 메인 봉(110)과 결합되고 타단에서 롤러(120)와 결합되어, 메인 봉(110)과 롤러(120)의 상대 회전 운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복원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재(150)로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엽 스프링(spiral spring)이 채용된다. 종래의 슬라이더는, 복귀 이동을 위해 코일 스프링이 채용되는 것에 비하여,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에서는 제2 탄성부재(150)로서 태엽 스프링이 채용되기 때문에 사용중의 끊어짐 관련하여 안전성이 우수하고, 탄성 에너지 축적량과 관련하여 복원성이 우수하다. 제2 탄성부재(150)는 메인 봉(110)의 외면과 배럴(121)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메인 봉(110)에서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메인 봉(110)의 외면 및 배럴(121)의 내면에는 제2 탄성부재(150)의 꺾어진 일단부 및 타단부를 끼워서 제2 탄성부재(1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홈이 각각 형성된다. 사용자가 운동기구(100)를 밀어 롤러(120)가 제1 구름방향(RD1)으로 구름에 따라, 제2 탄성부재(150)는 더욱 더 감아지면서 그 내부에 탄성 에너지를 축적한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기구(100)를 당겨서 롤러(120)가 제2 구름방향(RD2)으로 구르면, 제2 탄성부재(150)는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게 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메인 봉(110)에 가하게 되어,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허리를 굽히는 동작에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의 조립예를 설명한다. 먼저, 메인 봉(110)을 관형부재(130)에 끼운다. 이어서,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에서의 양단에 한 쌍의 제1 탄성부재(140)를 각각 끼우고, 관형부재(130)의 길이방향에서의 양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31)에 걸림핀(132)을 체결하여, 제1 탄성부재(140)의 일단부를 관형부재(130)에 걸리게 한다. 다음으로, 부싱(129)을 그 돌출부(129a)가 제1 탄성부재(140)의 타단부에 삽입되도록 위치시키고,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롤러(120)의 배럴(121)을 설치한다. 배럴(121)은 그 개방된 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메인 봉(110)에 위치된다. 이어서, 배럴(121)의 내측에 제2 탄성부재(150)를 설치한다. 제2 탄성부재(150)는 그 중심에 메인 봉(110)이 지나도록 위치되고, 제2 탄성부재(15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끼워맞춤에 의해 메인 봉(110)과 배럴(121)에 고정된다. 제2 탄성부재(150)의 설치 후, 배럴(121)에 커버(126)를 결합시킨다. 메인 봉(110)을 따라 롤러(120)가 이동하지 않도록 롤러(120)의 외측에 스냅링(114)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커버(126)를 관통하여 돌출하는 메인 봉(110)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에 보조 봉(161 내지 168)을 결합시킨다. 메인 봉(110)이 충분히 긴 예에서는, 보조 봉의 결합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수순으로 조립되는 운동기구(100)를 보수를 위해 분해하는 경우, 이러한 분해는 전술한 조립 수순과는 반대의 수순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운동기구(100)는 슬라이더 운동기구, 덤벨 운동기구 및 지탱 운동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운동기구(100)가 슬라이더 운동기구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무릎을 꿇은 자세에서 운동기구(100)의 메인 봉(110)의 양단부, 관형부재(130), 또는 보조 봉(161 내지 168)을 설치한 경우 보조 봉(161 내지 168)을 양손으로 잡고 허리를 굴신하면서 운동기구(100)를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길 수 있다. 운동기구(100)를 앞으로 미는 경우, 롤러(120)가 제1 구름방향(RD1)으로 구르면서 롤러(120) 내부의 제2 탄성부재(150)는 탄성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부재(150)는 메인 봉(110)에 더욱 더 조밀하게 감기면서 그 내부에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운동기구(100)를 뒤로 당기면, 롤러(120)는 제2 구름방향(RD2)으로 구르게 된다. 이때, 제2 탄성부재(150)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2 구름방향(RD2)으로 롤러(120)를 지지점으로 하여 메인 봉(110) 쪽으로 또는 메인 봉(110)을 지지점으로 하여 롤러(120) 쪽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운동기구(100)를 원래의 위치로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기구(100)를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허리를 굴신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체, 특히 허리, 복부 및 팔(어깨, 손목) 부위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채로, 메인 봉(110)의 양단부, 관형부재(130), 보조 봉(161 내지 168) 또는 보조 발판(170)에 양발을 대고 운동기구(10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하체, 특히 다리, 발목, 골반 부위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하체의 피로(예컨대, 종아리 근육의 뭉침 등)를 풀 수 있다.
운동기구(100)가 덤벨 운동기구로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한손으로 관형부재(130)를 잡거나 또는 양손으로 메인 봉(110)의 양단부, 관형부재(130) 또는 한 쌍의 보조 봉(161 내지 168)을 잡고 운동기구(1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들어올린 운동기구(100)를 전후, 좌우로 흔들거나 팔을 굴신 또는 위나 옆으로 뻗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운동기구(100)를 든 상태에서 어깨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 또는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팔 근육, 어깨 근육 또는 다리 근육을 발달(근력 및 크기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근육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해 다양한 보조 기구, 예컨대 의자, 벤치, 짐볼 등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운동기구(100)를 들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완이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벤치에 구부려 기댄 자세에서 운동기구(1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완삼두근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운동기구(100)를 든 상태에서 어깨를 위,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을 반복하여 삼각근 또는 승모근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운동기구(100)를 든 상태에서 앉고 일어나는 동작을 반복하여 대퇴사두근과 둔근을 발달시킬 수 있다. 운동기구(100)를 덤벨 운동기구로서 사용하는 운동 방식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나 동작을 통해 다양한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운동기구(100)를 사용할 수 있다.
운동기구(100)가 지탱 운동기구로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운동기구(100)를 사용하여 등척성 운동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관형부재(130)를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고 운동기구(100)를 들어올린 후 상하로 흔들 수 있다. 그러면, 관형부재(130)에 대해 메인 봉(110) 및 롤러(120)가 상하로 요동하게 되며, 사용자는 요동하는 메인 봉(110) 및 롤러(120)를 지탱하기 위해 손에서 시작하여 팔과 어깨, 몸통까지 힘을 주게 된다. 즉, 요동하는 운동기구(100)에 저항하기 위해 사용자는 그에 관련되는 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시키기 때문에 근육의 크기는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근육에 긴장을 초래하는 자극을 줄 수 있어 근신경계 등을 발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는 슬라이더 운동기구 또는 덤벨 운동기구로서 등장성 운동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지탱 운동기구로서 등척성 운동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운동기구
110: 메인 봉
120: 롤러
130: 관형부재
140: 제1 탄성부재
150: 제2 탄성부재
161 내지 168: 보조 봉
170: 보조 발판

Claims (11)

  1. 메인 봉과,
    상기 메인 봉이 관통하고, 상기 메인 봉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구름방향과 상기 제1 구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구름방향으로 구름이 가능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봉이 관통하며 상기 메인 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메인 봉의 둘레방향으로는 고정된 관형부재와,
    상기 롤러와 상기 관형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관형부재에 상기 메인 봉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메인 봉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름방향 및 제2 구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은 외면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걸림핀을 구비하는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걸림핀에 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롤러의 상기 관형부재를 향하는 면에 의해 지지되는
    운동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재는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부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걸림핀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메인 봉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배럴과, 상기 배럴의 개방된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봉이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커버를 구비하는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의 길이방향에서의 각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봉을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봉은 원기둥형, 원뿔대형, 사각기둥형 및 장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운동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봉에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발판을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발판은 지압용 돌기를 가지는
    운동기구.
KR2020130009640U 2013-11-22 2013-11-22 운동기구 KR200472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40U KR200472310Y1 (ko) 2013-11-22 2013-11-22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640U KR200472310Y1 (ko) 2013-11-22 2013-11-22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10Y1 true KR200472310Y1 (ko) 2014-04-16

Family

ID=5148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640U KR200472310Y1 (ko) 2013-11-22 2013-11-22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1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18A (ko) * 2001-07-31 2001-09-29 김 낙 권 덤벨슬라이드
KR200261695Y1 (ko) 2001-08-24 2002-01-24 지민식 슬라이드 운동기구의 다리운동용 보조기구
KR200271300Y1 (ko) 2001-07-12 2002-04-10 김용성 연결봉이 구비된 슬라이드식 다기능 운동장치.
US20060276314A1 (en) 2003-10-22 2006-12-07 Wilson Jeffrey D Bar with sliding handgrips for resistance exercise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300Y1 (ko) 2001-07-12 2002-04-10 김용성 연결봉이 구비된 슬라이드식 다기능 운동장치.
KR20010088918A (ko) * 2001-07-31 2001-09-29 김 낙 권 덤벨슬라이드
KR200261695Y1 (ko) 2001-08-24 2002-01-24 지민식 슬라이드 운동기구의 다리운동용 보조기구
US20060276314A1 (en) 2003-10-22 2006-12-07 Wilson Jeffrey D Bar with sliding handgrips for resistance exercis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115B2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7285079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8506460B2 (en) Exercise apparatus for exercising
US9795818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40073496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40221173A1 (en) Exercise weight lifting bar
US20150297948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WO19970288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US20180185693A1 (en) Rehabilitation fitness and exercise system
KR200484175Y1 (ko) 재활운동기구
KR20140060130A (ko) 악력완력기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KR101595558B1 (ko) 마사지베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JP4523988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150077894A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1479172B1 (ko)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US11116688B2 (en) Apparatus for improving exercise equipment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472310Y1 (ko) 운동기구
WO2012071061A1 (en) Exercise apparatus
KR102591446B1 (ko)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200485865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실내용 운동기구
US20210260436A1 (en) Glide handle training device
JP3212138U (ja) 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