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70Y1 - 용기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용기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70Y1
KR200472170Y1 KR2020120007054U KR20120007054U KR200472170Y1 KR 200472170 Y1 KR200472170 Y1 KR 200472170Y1 KR 2020120007054 U KR2020120007054 U KR 2020120007054U KR 20120007054 U KR20120007054 U KR 20120007054U KR 200472170 Y1 KR200472170 Y1 KR 200472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xtension
container
handl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040U (ko
Inventor
김병철
박지용
박재옥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원정제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제관(주) filed Critical 원정제관(주)
Priority to KR2020120007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7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용기의 손잡이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용기의 손잡이는 용기에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이어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한 쌍의 고정후크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고정후크부는, 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되어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 및 걸림고정부에서 이격되도록 연장부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되어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의 손잡이{HANDLE OF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이어부와 손잡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이어부에 손잡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용기를 운반 또는 이동할 때, 손잡이가 용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나 그리스 또는 젓갈류 등을 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기의 손잡이는 용기의 상부 양측면으로 돌출된 이어부의 관통공에 결합된다.
이러한 손잡이는 라운딩된 철사로 구성되고, 이어부의 관통공에 끼움 결합하기 위해 철사의 양단을 절곡하여 절곡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철사로 구성되는 손잡이는 금속성인 이어부와의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용기가 무거운 경우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주며, 운송 및 적재시 용기의 인쇄면을 손상시킨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6946호 (2001. 03. 30. 등록, 고안의 명칭 : 용기의 손잡이) 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이어부와 손잡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이어부에 손잡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용기를 운반 또는 이동할 때, 손잡이가 용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는 용기에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이어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후크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되어 상기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 및 상기 걸림고정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에서 돌출 지지되고, 결합되는 상기 이어부에 걸림 지지되는 고정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지지돌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돌부 또는 상기 연장부에서 돌출되는 지지리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되는 탄성돌부; 및 상기 탄성돌부에서 돌출 지지되고, 결합되는 상기 이어부에 걸림 지지되는 탄성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어부를 감싸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뚜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어부에는, 상기 고정후크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고정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후크부는, 상기 고정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걸림고정부와 상기 탄성고정부의 삽입량을 제한하는 밀착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후크부에 마련되는 제1연장부; 및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 중 다른 하나의 고정후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는 제2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장부에 마련되는 결합바디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에 마련되는 결합후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바디부에는, 상기 결합후크부 또는 상기 제2연장부가 삽입되는 결합홀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바디부와 상기 결합후크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탈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안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에는,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제2연장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가림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사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의 이어부와 손잡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이어부에 손잡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용기를 운반 또는 이동할 때, 손잡이가 용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어부와의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어부와의 마찰음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2결합부의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의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서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부와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부와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를 도시한 요부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지부가 한 쌍의 안내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지부가 한 쌍의 안내부 사이를 통과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후크부가 결합바디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장부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는 용기(10)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써,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력에 의해 구부러졌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용기(10)는 페인트나 그리스 또는 젓갈류 또는 물 등을 담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여기서 용기(10)에 담겨지는 물질의 종류나 용기(10)의 사용 용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용기(10)에는 상호 대칭되도록 상부 측면에 한 쌍의 이어부(11)가 마련된다.
이때, 이어부(11)에는 후술하는 고정후크부(130)가 삽입되는 고정홀부(13)가 마련된다. 고정후크부(130)는 고정홀부(13)에 삽입되어 이어부(11)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는 연결부(100)와, 연장부(200)를 포함한다.
연결부(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용기(10)에 마련된 한 쌍의 이어부(11)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부(100)는 고정후크부(130)를 포함한다.
고정후크부(130)는 이어부(11)에 걸림 결합되도록 연장부(200)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고정후크부(130)는 걸림고정부(140)와, 탄성고정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고정부(140)는 연장부(200)의 중심 쪽으로 배치되고, 탄성고정부(160)는 연장부(200)의 단부 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연결부(100)와 이어부(11)가 결합되었을 때, 이어부(11)에 연결부(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고정부(140)는 연장부(200)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되어 이어부(11)에 걸림 결합된다.
걸림고정부(140)는 지지돌부(141)와 고정걸림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부(141)는 연장부(200)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홀부(13)는 원형을 이루고, 지지돌부(141)는 중심각이 180도와 같거나 큰 호 형상의 단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돌부(141)는 단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만곡지거나 절곡된 형상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탄성 변형에 의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때, 지지돌부(141)의 단면 형상은 고정홀부(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걸림고정부(140)와 이어부(11)의 걸림 결합 상태를 향상시키고, 걸림고정부(14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고정걸림부(143)는 지지돌부(141)에서 돌출 지지되고, 결합되는 이어부(11)에 걸림 지지된다.
고정걸림부(143)는 지지돌부(141)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걸림부(143)는 지지돌부(14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걸림부(143)는 탄성 변형에 의해 구부러지는 것이 억제 또는 방지될 수 있고, 걸림고정부(140)와 이어부(1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고정부(140)는 지지리브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부(145)는 지지돌부(141)가 고정되도록 지지돌부(141) 또는 연장부(200)에서 돌출된다.
지지리브부(145)는 지지돌부(141)를 지지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돌부(141)가 탄성 변형에 의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리브부(145)는 지지돌부(14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리브부(145)는 지지돌부(141)의 중심을 지지하도록 연장부(200)에서 돌출되어 지지돌부(1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고정부(160)는 걸림고정부(140)에서 이격되도록 연장부(200)에서 돌출되어 이어부(11)에 걸림 결합된다. 탄성고정부(160)는 연장부(200)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되어 이어부(11)의 고정홀부(13)에 삽입될 때, 탄성 변형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탄성고정부(160)는 걸림고정부(140)에서 이격됨으로써, 탄성 변형에 의해 구부러질 때, 걸림고정부(14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탄성고정부(160)는 탄성돌부(161)와 탄성걸림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돌부(161)는 연장부(200)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된다.
탄성걸림부(163)는 탄성돌부(161)에서 돌출 지지되고, 결합되는 이어부(11)에 걸림 지지된다.
탄성걸림부(163)는 탄성돌부(161)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탄성걸림부(163)는 탄성돌부(161)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걸림부(163)는 이어부(11)에 안정되게 걸림 지지되고, 탄성고정부(160)와 이어부(1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걸림부(163)에는 인입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탄성고정부(160)가 고정홀부(13)에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고, 탄성돌부(161)의 탄성 변형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입경사면(미도시)은 탄성돌부(161)의 단부에서 탄성걸림부(163)의 단부를 향해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고정부(160)는 탄성 변형에 따라 탄성돌부(161)의 구부러짐과 더불어 탄성걸림부(163)의 형상 변형을 통해 이어부(11)의 고정홀부(13)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후크부(130)는 밀착턱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턱부(180)는 고정홀부(13)에 삽입되는 걸림고정부(140)와 탄성고정부(160)의 삽입량을 제한한다. 밀착턱부(180)는 걸림고정부(140)와 탄성고정부(16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밀착턱부(180)는 걸림고정부(140)와 탄성고정부(160)가 이어부(11)의 고정홀부(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걸림부(143)와 탄성걸림부(163)가 이어부(11)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연결부(100)는 뚜껑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부(110)는 이어부(11)를 감싸도록 연장부(200)의 단부에 구비된다. 연결부(100)가 뚜껑부(110)를 더 포함하는 경우, 고정후크부(130)는 뚜껑부(110)에서 돌출 형성된다.
뚜껑부(110)는 지지부(111)와, 덮개부(113)를 포함한다.
지지부(111)는 연장부(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고정후크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덮개부(113)는 이어부(11)를 감싸도록 지지부(111)에서 연장 형성된다. 덮개부(113)는 이어부(11)에 지지되어 고정후크부(130)가 이어부(11)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연장부(2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한 쌍의 연결부(100)를 상호 연결시킨다. 연장부(200)의 양단부에는 각각 연결부(100)에 일체로 마련된다.
연장부(200)는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210)는 한 쌍의 연결부(100)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에 마련되고, 제2연장부(220)는 한 쌍의 연결부(100) 중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1연장부(210)에는 가림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가림부(211)는 제1연장부(210) 또는 제2연장부(22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제1연장부(210)에 형성된다.
가림부(211)는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가 결합될 때, 제2연장부(220)가 폭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튀어나온 제2연장부(2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가림부(21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 또는 방지시킬 수 있다.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는 상호 길이를 다르게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연장부는 제2연장부에 비해 길게 형성되었지만, 제2연장부(220)가 제1연장부(210)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1연장부(210)는 제2연장부(220)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1연장부(210)를 파지할 때, 제2연장부(220) 또는 결합부(300)가 사용자의 손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연결부(100)와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는 제1보강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보강리브는 제1연장부(210)의 일단부와 제2연장부(220)의 일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100)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1보강리브는 연장부(200)의 단부에서 연결부(100)와의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부(300)와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는 제2보강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보강리브는 제1연장부(210)의 타단부와 제2연장부(220)의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300)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2보강리브는 연장부(200)의 단부에서 결합부와의 결합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지지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리브는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지지리브는 제1보강리브 또는 제2보강리브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리브는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손에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 또는 방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는 결합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연장부(200)가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로 분리됨에 따라 제1연장부(210)와 제2연장부(220)를 결합시킨다.
결합부(300)는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를 포함한다.
결합바디부(310)는 제1연장부(210)에 마련된다.
여기서 결합바디부(310)에는 결합후크부(330) 또는 제2연장부(220)가 삽입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결합홀부(311)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홀부(311)는 결합후크부(330) 또는 제2연장부(220)가 삽입되도록 한다. 결합홀부(311)는 결합후크부(330) 또는 제2연장부(2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홀부(311)는 결합바디부(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결합후크부(330) 또는 제2연장부(220)가 이동에 따른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후크부(330)는 결합바디부(310)에 걸림 결합되도록 제2연장부(220)에 마련된다.
결합후크부(330)는 결합리브(331)와, 걸림결합부(333)를 포함한다.
결합리브(33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제2연장부(220)에 마련된다.
걸림결합부(333)는 결합홀부(311)를 통과하여 결합바디부(310)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리브(331)는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제2연장부(220)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걸림결합부(333)는 결합리브(331)에 각각 마련된다.
결합부(300)는 이탈방지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50)는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가 걸림 결합될 때,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의 걸림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이탈방지부(350)는 이탈방지돌부(351)와 이탈방지홈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부(351)는 결합바디부(310)에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돌부(351)는 지지리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탈방지홈부(353)는 결합후크부(330)에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가 걸림 결합되면, 이탈방지돌부(351)는 이탈방지홈부(353)에 삽입되어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부(351)가 결합후크부(330)에 돌출 형성되는 경우, 이탈방지홈부(353)는 결합바디부(3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의 손잡이는 길이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600)는 한 쌍의 연결부(100) 사이 길이를 조절한다. 다른 표현으로, 길이조절부(600)는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서 이동되는 제2연장부(220)의 이동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600)는 요철부(610)와, 조정후크부(630)를 포함한다.
요철부(6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제2연장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조정후크부(630)는 요철부(610)에 걸림 결합되도록 결합바디부(310)에 마련된다.
지금부터는 용기(10)의 이어부(11)에 손잡이의 연결부(10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부와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부와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용기(10)의 이어부(11)에 손잡이의 연결부(1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이어부(11)에 형성된 고정홀부(13)에 고정후크부(130)를 삽입한다.
좀더 자세하게, 이어부(11)와 연결부(100)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연결부(100)를 기울여 걸림고정부(140)의 고정걸림부(143)를 이어부(11)의 고정홀부(13)에 삽입한다.
이때, 걸림고정부(140)는 탄성 변형이 제한 또는 금지되어 고정걸림부(143)가 고정홀부(13)의 가장자리에서 이어부(11)에 걸린다.
그리고 연결부(100)를 이어부(11) 쪽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고정걸림부(143)가 이어부(11)에 걸린 상태에서 탄성고정부(160)가 탄성 변형되어 이어부(11)의 고정홀부(13)에 삽입된다.
좀더 자세하게, 연결부(100)를 이어부(11) 쪽으로 가압하면, 탄성고정부(160)의 탄성돌부(161)가 탄성 변형되어 구부러지고, 탄성걸림부(163)가 고정홀부(13)에 삽입된다.
그리고 탄성돌부(161)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탄성걸림부(163)가 고정홀부(13)의 가장자리에서 이어부(11)에 걸린다.
여기서 연결부(100)를 이어부(11)에서 분리하려고 하더라도 탄성돌부(161)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돌부(141)와 탄성돌부(161)가 고정홀부(13)에 지지됨은 물론 고정걸림부(143)와 탄성걸림부(163)가 고정홀부(13)의 가장자리에서 이어부(11)에 걸림 지지됨으로써, 이어부(11)에 연결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고, 이어부(11)에서 연결부(1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뚜껑부(110)는 이어부(11)를 감싸 지지한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를 도시한 요부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지부가 한 쌍의 안내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지부가 한 쌍의 안내부 사이를 통과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후크부가 결합바디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손잡이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의 손잡이는 결합안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안정부(500)는 결합부(30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킨다.
결합안정부(500)는 안내부(510)와, 저지부(530)를 포함한다.
안내부(510)는 제1연장부(210)에 마련된다.
한편, 안내부(510)는 결합바디부(310)에 마련될 수 있다. 안내부(510)가 결합바디부(310)에 마련되는 경우,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부(510)는 한 쌍이 제1연장부(210)에 돌출 형성된다. 안내부(510)는 한 쌍이 결합바디부(31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부(510)는 상호 이격 배치되고, 제1연장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장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는 것은 한 쌍의 안내부(510)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이 경사면을 이룰 수도 있고, 한 쌍의 안내부(51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저지부(53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안내부(510) 사이로 안정되게 통과될 수 있고, 통과한 다음, 저지부(5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안내부(510)가 저지부(5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저지부(530)는 안내부(510)에 결합되도록 결합후크부(330)에 마련된다.
저지부(530)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결합후크부(330)에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저지부(530)는 상호 이격된 결합후크부(330)에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결합후크부(330)가 탄성에 의해 이격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한 쌍의 저지부(530)도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안내부(510) 사이로 안정되게 통과될 수 있다.
여기서 저지부(530)는 제2연장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연장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는 것은 한 쌍의 저지부(530)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이 경사면을 이룰 수도 있고, 한 쌍의 저지부(53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저지부(530)는 한 쌍의 안내부(510) 사이를 안정되게 통과할 수 있고, 통과한 후에 저지부(5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안내부(510)가 저지부(5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안정부(500)는 가이드홈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부(550)는 안내부(51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2연장부(220)에 마련된다.
결합후크부(330) 또는 제2연장부(220)가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를 따라 이동될 때, 가이드홈부(550)에는 돌출 형성된 안내부(510)가 삽입되고, 안내부(51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2연장부(220)에 함몰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결합안정부(500)에 따른 결합부(300)의 결합 상태를 살펴보면, 결합부(300)는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를 포함하고, 결합안정부(500)는 안내부(510)와 저지부(53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가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후크부(330)를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 삽입하면, 결합후크부(330)는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결합부(333)가 결합홀부(311)에 안정되게 삽입된다.
계속해서 삽입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후크부(330)가 탄성 변형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결합후크부(330)가 오무린 상태를 이루고, 한 쌍의 저지부(53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안내부(510) 사이를 통과한다.
한 쌍의 저지부(530)가 안내부(510) 사이를 통과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후크부(330)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결합후크부(330)가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후크부(330)의 걸림결합부(333)는 결합홀부(311)의 가장자리에서 결합바디부(310)에 걸림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저지부(530) 사이에 한 쌍의 안내부(510)가 지지되고, 한 쌍의 저지부(530)는 한 쌍의 안내부(51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결합후크부(330)는 결합바디부(31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제2연장부(220)가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 안내부(510)는 제2연장부(22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550)에 삽입되어 이동됨에 따라 안내부(510)가 제2연장부(22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디부(310)에 결합후크부(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바디부(310)와 결합후크부(330)를 분리하는 경우, 결합후크부(330)를 삽입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510)와 저지부(530)가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벌어진 상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후크부(330)를 오무린 상태에서 결합후크부(330)를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저지부(530)가 한 쌍의 안내부(51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결합후크부(330)의 걸림결합부(333)는 안정되게 결합홀부(311)에 삽입될 수 있다.
계속해서 결합후크부(330)를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디부(310)에서 결합후크부(33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장부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부(600)는 요철부(610)와 조정후크부(630)를 포함하고, 조정후크부(630)는 조정리브(620)와, 걸림조정부(640)를 포함한다.
조정리브(620)는 결합바디부(310)에서 돌출 형성되고, 걸림조정부(640)는 요철부(610)에 걸림 결합되도록 조정리브(620)에 마련된다.
그러면, 제2연장부(220)가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서 이동됨에 따라 조정후크부(630)가 요철부(610)에 걸림 결합되어 한 쌍의 연결부(100) 사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요철부(610)와 걸림조정부(640)의 형상을 변형함에 따라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서 이동되는 제2연장부(220)의 이동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길이조절부(600)는 요철부(610)가 결합홀부(311)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정후크부(630)를 탄성 변형시키는 단계조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계조정부(미도시)를 조작함에 따라 조정후크부(630)를 구부릴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길이조절부(600)는 조정공간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정공간부(650)는 조정후크부(630)의 탄성 변형에 따른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바디부(310)에 마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조정후크부(630)가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조정공간부(650)는 결합홀부(311)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조정후크부(630)의 탄성 변형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길이조절부(600)의 결합 동작을 살펴보면, 길이조절부(600)는 요철부(610)와, 조정후크부(630)를 포함한다.
결합후크부(330) 또는 제2연장부(220)가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 삽입되면, 진행 방향의 선단에 배치된 요철부(610)는 조정후크부(630)의 걸림조정부(640)를 지나간다.
이때, 조정리브(620)는 탄성 변형되어 요철부(610)가 안정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진행 방향의 선단에 배치된 요철부(610)가 걸림조정부(640)를 지나가면, 조정리브(620)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걸림조정부(640)가 상호 이격된 요철부(610) 사이에서 요철부(61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결합후크부(330) 또는 제2연장부(220)가 결합바디부(310)의 결합홀부(3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연장부(220) 또는 결합후크부(330)를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조정리브(620)가 탄성 변형되어 요철부(610)와 걸림조정부(640)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통해 한 쌍의 연결부(100) 사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용기 11: 이어부
13: 고정홀부 100: 연결부
110: 뚜껑부 111: 지지부
113: 덮개부 130: 고정후크부
140: 걸림고정부 141: 지지돌부
143: 고정걸림부 145: 지지리브부
160: 탄성고정부 161: 탄성돌부
163: 탄성걸림부 180: 밀착턱부
200: 연장부 210: 제1연장부
211: 가림부 220: 제2연장부
300: 제2결합부 310: 결합바디부
311: 결합홀부 330: 결합후크부
331: 결합리브 333: 걸림결합부
350: 이탈방지부 351: 이탈방지돌부
353: 이탈방지홈부 500: 결합안정부
510: 안내부 530: 저지부
550: 가이드홈부 600: 길이조절부
610: 요철부 630: 조정후크부
620: 조정리브 640: 걸림조정부
650: 조정공간부

Claims (15)

  1. 용기에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이어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후크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되어 상기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 및
    상기 걸림고정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후크부에 마련되는 제1연장부;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 중 다른 하나의 고정후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장부에 마련되는 결합바디부;
    상기 결합바디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에 마련되는 결합후크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와 상기 결합후크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안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안정부는,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결합바디부에 마련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후크부에 마련되는 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2. 용기에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이어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 중 어느 하나의 고정후크부에 마련되는 제1연장부;
    한 쌍의 상기 고정후크부 중 다른 하나의 고정후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에 결합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연장부에 마련되는 결합바디부;
    상기 결합바디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에 마련되는 결합후크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와 상기 결합후크부의 걸림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결합바디부와 상기 결합후크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부; 및
    상기 결합바디부와 상기 결합후크부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돌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되어 상기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 및
    상기 걸림고정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이어부에 걸림 결합되는 탄성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지지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에서 돌출 지지되고, 결합되는 상기 이어부에 걸림 지지되는 고정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부는,
    상기 지지돌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돌부 또는 상기 연장부에서 돌출되는 지지리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되는 탄성돌부; 및
    상기 탄성돌부에서 돌출 지지되고, 결합되는 상기 이어부에 걸림 지지되는 탄성걸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어부를 감싸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뚜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부에는,
    상기 고정후크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고정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부는,
    상기 고정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걸림고정부와 상기 탄성고정부의 삽입량을 제한하는 밀착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디부에는,
    상기 결합후크부 또는 상기 제2연장부가 삽입되는 결합홀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에는,
    상기 제1연장부 또는 상기 제2연장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가림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사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20120007054U 2012-08-07 2012-08-07 용기의 손잡이 KR200472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54U KR200472170Y1 (ko) 2012-08-07 2012-08-07 용기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054U KR200472170Y1 (ko) 2012-08-07 2012-08-07 용기의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40U KR20140001040U (ko) 2014-02-18
KR200472170Y1 true KR200472170Y1 (ko) 2014-04-11

Family

ID=5148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054U KR200472170Y1 (ko) 2012-08-07 2012-08-07 용기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97B1 (ko) * 2016-03-04 2017-12-07 (주)코리아에코웍스 휴대용 관찰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966U (ja) * 1982-03-02 1983-09-09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の把手装置
JPH0529935U (ja) * 1991-09-27 1993-04-20 サンセイ工業株式会社 容器の把手取付用連結具
US20060043098A1 (en) * 2004-08-24 2006-03-02 Backes Cory R Container with breakaway handle
KR20090025731A (ko) * 2007-09-07 2009-03-11 조재영 휴대의 편리성을 갖는 음료용기용 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966U (ja) * 1982-03-02 1983-09-09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用電子機器の把手装置
JPH0529935U (ja) * 1991-09-27 1993-04-20 サンセイ工業株式会社 容器の把手取付用連結具
US20060043098A1 (en) * 2004-08-24 2006-03-02 Backes Cory R Container with breakaway handle
KR20090025731A (ko) * 2007-09-07 2009-03-11 조재영 휴대의 편리성을 갖는 음료용기용 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97B1 (ko) * 2016-03-04 2017-12-07 (주)코리아에코웍스 휴대용 관찰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40U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1999B2 (en) Self-locking cord lock with housing and slide piece
JP5544019B2 (ja) カムロックバックル
FR2584465A1 (fr) Crampon a ecrou
US6192894B1 (en) Hair clip
US9884708B2 (en) Anti-slip tie with wave springs
US20170035614A1 (en) Fixed structure for the constricting band of snow goggles
KR200472170Y1 (ko) 용기의 손잡이
US8813321B2 (en) Buckle
KR20080000729U (ko) 박스 커버의 체결구조
US10093465B2 (en) Anti-slip cable tie
US20160145019A1 (en) Non-slip cable tie
KR200470422Y1 (ko) 용기의 손잡이
KR101846272B1 (ko) 모발 파지력에 의해 모발 빠짐이 방지되는 헤어클립
JP2004204376A (ja) 紐状ないしは帯状物の端部カバー
JP7108441B2 (ja) 吊架線保護カバー
JP6097161B2 (ja) 結束バンドおよび結束具
US20130097828A1 (en) Configuration of a Belt Attachment Part
US20210015245A1 (en) Holding device
US20140250632A1 (en) Snap-lock handle for straps
KR200485802Y1 (ko) 케이블 타이
JP6971106B2 (ja) 運搬用具
JP6871800B2 (ja) ヘルメットの内装体係止装置
JP2017217125A (ja) コードロック
KR101689682B1 (ko) 클램프용 락 구조
JP6703464B2 (ja) 取手付き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