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43Y1 - 배드민턴 공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43Y1
KR200471743Y1 KR2020120007638U KR20120007638U KR200471743Y1 KR 200471743 Y1 KR200471743 Y1 KR 200471743Y1 KR 2020120007638 U KR2020120007638 U KR 2020120007638U KR 20120007638 U KR20120007638 U KR 20120007638U KR 200471743 Y1 KR200471743 Y1 KR 200471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ead
flow hole
ball
badmin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385U (ko
Inventor
박선호
이헌영
Original Assignee
이헌영
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영, 박선호 filed Critical 이헌영
Priority to KR2020120007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4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97Feathered missiles with special functions, e.g. light emission or sound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가 유동되는 홀(hole)이 헤드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배드민턴 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은, 헤드(100)와 날개(20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100)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홀(11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홀(110)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유동홀(110)에는 유동홀(110)과 대응되는 캡유로(120')가 구비된 캡(12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캡(120)에는 상기 캡유로(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편(13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배드민턴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공기에 의해 소리가 생성되므로 청각적으로 사용자가 공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므로 박진감과 흥미가 유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드민턴 공{A Shuttlecock}
본 고안은 배드민턴 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가 유동되는 홀(hole)이 헤드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배드민턴 공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 운동은, 공을 가격하여 상대방에게 보내고 상대방도 다시 공을 가격하여 보내는 공 주고받기의 반복적 운동이다. 따라서, 공의 진행방향과 낙하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공을 가격하는 것이 중요한 운동이다.
일반적인 배드민턴 공의 구조는, 쿠션재로 처리된 헤드와 이동방향과 속도의 제어를 위한 날개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드민턴 공은 단순히 라켓으로 가격하여 보내고 상대방이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만들어졌으므로, 비교적 운동이 단조로워 배드민턴 운동에 대한 흥미 유발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용신안 등록 제20-02401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드민턴 공에 다양한 색의 광을 낼 수 있도록 하여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야광을 이용한 식별력 증가는 주간에는 이용할 수 없는 약점과, 부품수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실제로 제작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실용성과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20-0240117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홀(hole)이 헤드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공기 유동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배드민턴 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은, 헤드와 날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배드민턴 공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홀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홀에는, 유동홀과 대응되는 캡유로가 구비된 캡이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에는, 상기 캡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에 의하면, 헤드에 유동홀이 관통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유동홀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소리가 생성되므로 청각적으로 사용자가 공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므로 박진감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탄성재질의 캡이 헤드의 유동홀에 삽입 장착된다. 따라서, 유동홀로 인한 탄성의 감소를 방지하여 배드민턴 공의 반발력이 감소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헤드에 형성된 유동홀이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줄어드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유동이 점점 증가하다가 다시 내경이 확대됨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홀의 단면적을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배드민턴 공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캡의 내부에 별도의 진동편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유동홀로 인한 소리는 물론, 진동편의 진동으로 인하여 소리가 추가되므로, 공의 이동속도가 작은 경우에도 소리가 발생된다. 따라서, 노약자나 여성도 청각적으로 공의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운동할 수 있으므로 흥미가 한층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캡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캡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면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의 일실시예가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드민턴 공(10)은, 탄성을 가지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져 배드민턴 라켓(도시되지 않음)의 와이어에 닿을 때 탄력을 받도록 구성된 헤드(100)와, 상기 헤드(100)에 결합되어 헤드(100)가 라켓에 의해 가격되면 헤드(10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날개(2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100)는 주로 고탄성과 반발력이 있는 고(高)쿠션재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무를 둥근 원형상(반구형)으로 성형하여 날개(200)와 결합된다.
상기 날개(200)는 닭의 깃털이 사용되기도 하며, 근래에는 대량생산으로 인하여 합성수지를 가공하여 제작된다.
사용자가 배드민턴 라켓으로 배드민턴 공(10)의 헤드(100)를 가격하면, 배드민턴 공(10)은 가격한 힘의 방향을 따라 비행하다가 중력에 의해 낙하된다.
이와 같이 배드민턴 공이 비행하거나 낙하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헤드(100)가 비행 방향과 지면 방향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날개(200)는 헤드(100)의 이동 방향이 포물선 또는 직진성을 갖도록 방향을 조율하고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100)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홀(11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드민턴 공(10)이 라켓에 의해 가격되어 유동할 때, 상기 유동홀(110)을 통해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홀(110)에는, 캡(120)이 더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 헤드(100)에 유동홀(110)이 생성됨으로 인하여 감소되는 탄성 반발력을 보강하고, 유동홀(110)의 끝단부와 내부면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배드민턴 공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분해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홀(110)은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동홀(110)은 헤드(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유입부(112)와, 헤드(100)의 상반부에 형성되는 배출부(114)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11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의 단면적이 감소한다. 즉 상기 유입부(112)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14)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부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즉,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배출부(114)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유입부(112)의 상단과 상기 배출부(114)의 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게 되며, 이러한 유입부(112)와 배출부(114)의 연결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배드민턴 공(10)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동홀(110)을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에는, 먼저 유입부(112)의 하단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부(114)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입부(112)는 점차 내경이 감소하므로 공기의 유동 속도는 점차 증가하게 될 것이고, 배출부(114)의 내경은 점차 증가하므로 공기의 유동 속도는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112)와 배출부(114)의 내경이 증가되는 비율과 감소되는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유동 속도가 조절될 것이며, 이로 인하여 배드민턴 공(10)이 비행하거나 낙하할 때의 이동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거나, 늦어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캡(120)은, 상기 헤드(100)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유동홀(110)과 대응되는 캡유로(120')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캡(120)은 상기 유입부(112)에 끼워져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캡(120)은 상기 유입부(112)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되는 나팔관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캡(12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캡유로(120')가, 상기 유입부(112)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캡(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의 몸체(122)와, 상기 몸체(12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100)의 하단에 밀착되는 밀착부(124)와, 상기 몸체(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캡(120)이 유동홀(11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1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부(1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벤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부(112)의 하단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밀착부(124)는, 상기 헤드(100)의 하단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부(124)는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헤드(100)의 하면에 완전히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26)는, 상기 몸체(122)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14)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126)과 상기 배출부(114)의 하단에 걸어지게 되므로, 캡(120)이 유동홀(110) 내부에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캡(12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상기 캡(120) 중 밀착부(124)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헤드(100)가 라켓(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타격될 때 탄성에 의해 반발력이 생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캡(120)의 내부에는 상기 캡유로(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편(1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진동편(130)은 얇은 편으로 이루어져, 떨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유로(120')를 통해 헤드(1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진동편(130)에 부딪히면, 상기 진동편(130)이 떨림으로 인하여 소리가 생성된다. 즉, 상기 진동편(130)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유동홀(110)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게 되면 공기의 흐름으로 인하여 소리가 생성될 것이나, 상기 진동편(130)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소리의 생성이 더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진동편(130)의 중앙부에는 통기공(132)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캡(120)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공기의 통로가 되는 통기공(132)이 상기 진동편(130)에 관통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공(1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헤드(100)에 상기 캡(120)을 장착하여 고정하게 되면, 도 1 및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10)을 사용자가 배드민턴 라켓(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가격한다. 즉, 사용자는 라켓(도시되지 않음)으로 상기 공(10)의 헤드(100) 부분을 가격한다.
이렇게 되면, 탄성을 가지는 공(10)의 헤드(100)가 라켓(도시되지 않음) 와이어의 탄성을 받아 공중으로 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100)의 유동홀(110)을 통해 공기가 지나가게 되므로, 소리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캡(120)의 캡유로(120')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하게 되므로, 좁은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쉬이익~'하는 통과음이 생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진동편(13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진동편(130)의 떨림으로 인하여 더 큰 소리가 생성될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들 들어, 상기의 실시에서는, 상기 캡(120)이 유동홀(110)의 유입부(112)에만 끼워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캡(120)이 유동홀(110) 전체를 덮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캡(120)이 유입부(112)는 물론, 배출부(114)에도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120)이 유동홀(110) 내부에 삽입되고, 밀착부(124)가 접착제에 의해 헤드(10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캡(120)이 헤드(10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캡(120)이 상기 유동홀(110) 내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홀(110)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동홀(110)이 사각형이나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 헤드 110. 유동홀
120. 캡 130. 진동편
200. 날개

Claims (3)

  1. 헤드(100)와 날개(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배드민턴 공에 있어서,
    상기 헤드(100)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홀(11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홀(110)은 유동홀(110)의 상하측 양단부로부터 중심 쪽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110)에는, 유동홀(110)과 대응되는 캡유로(120')가 구비된 캡(120)이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120)에는,
    상기 캡유로(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편(13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공.
KR2020120007638U 2012-08-28 2012-08-28 배드민턴 공 KR200471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38U KR200471743Y1 (ko) 2012-08-28 2012-08-28 배드민턴 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38U KR200471743Y1 (ko) 2012-08-28 2012-08-28 배드민턴 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85U KR20140001385U (ko) 2014-03-10
KR200471743Y1 true KR200471743Y1 (ko) 2014-03-17

Family

ID=5148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38U KR200471743Y1 (ko) 2012-08-28 2012-08-28 배드민턴 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802A (zh) * 2018-02-11 2018-08-10 大田县福韬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减震型羽毛球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016Y1 (ko) 2002-01-11 2002-06-21 박누리 공기 저항이 적은 배드민턴의 비전원식 발성셔틀콕
KR200391327Y1 (ko) 2005-04-22 2005-08-02 김대일 셔틀콕
KR20100000338U (ko) * 2008-07-02 2010-01-12 박영호 셔틀콕
KR20100012676U (ko) * 2009-06-12 2010-12-22 강정희 분리형 led 모듈이 내장된 배드민턴 셔틀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016Y1 (ko) 2002-01-11 2002-06-21 박누리 공기 저항이 적은 배드민턴의 비전원식 발성셔틀콕
KR200391327Y1 (ko) 2005-04-22 2005-08-02 김대일 셔틀콕
KR20100000338U (ko) * 2008-07-02 2010-01-12 박영호 셔틀콕
KR20100012676U (ko) * 2009-06-12 2010-12-22 강정희 분리형 led 모듈이 내장된 배드민턴 셔틀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802A (zh) * 2018-02-11 2018-08-10 大田县福韬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减震型羽毛球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85U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9582B2 (en) Toy flute
US7803033B1 (en) Pop action toy
JP6410267B2 (ja) 打撃練習装置
CN203291473U (zh) 哨音羽毛球拍
US9132328B1 (en) Shuttlecock type game device
US9114284B2 (en) Streamer ball
US10525372B2 (en) Unistructural pop-up half ball toy
KR200471743Y1 (ko) 배드민턴 공
JP5643445B1 (ja) バドミントンのシャトルおよびバドミントン練習用セット
JP2016067867A (ja) 笛玩具
JP4378382B2 (ja) シャトルコック
KR200460073Y1 (ko) 셔틀콕
US5492335A (en) Variable sound producing tethered ball toy
US20170319977A1 (en) Gyrating flying disc
KR20048683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US10052564B2 (en) Gyrating flying disc
KR100907144B1 (ko) 이동부재를 이용한 골프 클럽
KR101553829B1 (ko) 발로 차는 제기볼
WO2011001298A1 (en) A streamer ball
KR200496983Y1 (ko)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KR100627963B1 (ko) 골프 연습장 시설물
KR200461940Y1 (ko) 셔틀콕
KR200461941Y1 (ko) 셔틀콕
KR20230085296A (ko)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KR20120107682A (ko) 고 반발력을 갖는 보드용 셔틀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