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83Y1 -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 Google Patents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83Y1
KR200496983Y1 KR2020210001876U KR20210001876U KR200496983Y1 KR 200496983 Y1 KR200496983 Y1 KR 200496983Y1 KR 2020210001876 U KR2020210001876 U KR 2020210001876U KR 20210001876 U KR20210001876 U KR 20210001876U KR 200496983 Y1 KR200496983 Y1 KR 200496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golf ball
putting
hol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961U (ko
Inventor
황기룡
Original Assignee
황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룡 filed Critical 황기룡
Priority to KR2020210001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8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9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과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익힐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원판부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부, 상기 원판부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내벽돌기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진 내마찰벽부 및 상기 내마찰벽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원판부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외벽돌기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진 외마찰벽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HOLECUP FOR GOLF TRAINIG}
본 고안은 실내에서 쉽게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퍼가 홀과의 거리에 맞는 스트로크와 퍼팅강도(거리감) 조절 및 방향성을 정확하게 숙달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과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게임을 잘하기 위해서는 골프공과 홀컵의 거리 및 골프공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야 함은 물론이고,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과 거리가 일관성 있도록 클럽을 두 손으로 쥐고 일정한 궤도에 따라 스윙하는 임팩트 동작, 골프공의 타격점 및 타격강도와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어프로치샷(피치샷, 칩샷, 로브샷, 런닝샷)을 비롯하여 벙커샷, 퍼팅 등 그린까지 거리가 짧은 지점에서 핀을 향해 골프공을 쳐올리는 이른바 쇼트게임(short game)의 섬세한 타법도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습득해야 한다.
특히 퍼팅은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최종 단계로, 신중하고 안정된 자세를 바탕으로 올바른 방향과 정확한 거리측정 및 헤드업 동작 없이 일관성 있는 스트로크, 정교한 퍼팅강도의 조절을 통한 거리감의 숙달이 요구된다.
오늘날 골프의 대중화로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실내 등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퍼팅연습기가 각광받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대판(1)의 상면에 탄성 재질로 고리형 경사벽(3)을 일체로 형성하여 홀(2)이 형성되고, 그 경사벽(3)의 일부를 절제하여 홀(2) 내부로 골프공이 들어가도록 개구(3a)가 형성되고, 또한 홀(2)의 중심부에는 방울(5)이 코일스프링(5a)과 지지구(5b)에 의해 경사벽(3)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골프연습용 음향성 홀컵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 특허문헌 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1)의 상부에 유입공(7)이 형성되고, 그 홀컵(1)의 내부에 소리를 발산하는 울림통(4)이 마련되고, 그 울림통(4)에는 소리를 내는 울림판(5)이 구비된 퍼팅연습용 홀컵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퍼터(putter)로 골프공을 홀컵 방향으로 타격하면, 골프공이 구르는 회전력에 의해 경사진 고리형 벽면을 타고 넘어가서 홀인이 되는 특성상 홀컵의 정중앙부, 즉 임팩트 순간에 경사진 고리형 벽면과 골프공이 스퀘어 상태일 때 홀인되는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그런데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경사진 고리형 벽면의 형태적 특성상 타격된 골프공이 고리형 벽면의 중심부에서 약간만 벗어나기만 해도 경사진 고리형 벽면을 타고 방향이 바뀌면서 홀인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실전 감각을 익히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즉, 실제 그린의 홀컵은 그 언저리와 그린이 평면 상태이므로 골프공이 홀컵의 중심부를 약간 벗어나더라도 홀인이 되지만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이러한 실제 홀컵의 특성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어서 실전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그린에서는 퍼팅 시 골프공이 홀컵을 지나갈 정도로 스트로크하여 과감하게 구르지 않으면 홀컵 앞에서 정지하여 홀인이 될 수 없으므로 적절한 퍼팅강도(거리감)는 골프공이 홀컵의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되도록 퍼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수 있는데,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성형하는 물리·기계적 특성상 골프공이 홀인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홀컵의 탄성력 및 반발력에 대응하는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더 가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그린과 큰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필드의 실전 감각을 정확하게 익히기에는 효용성과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고안자가 보유하거나 본 고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고안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0903733 B1(2009.06.19) KR 20-0264457 Y1(2002.02.19) KR 10-1364197 B1(2014.02.11) KR 10-2013-0135453 A(2013.12.11) KR 10-2020-0075172 A(2020.06.26) KR 10-2011-0034086 A(2011.04.05) KR 10-107156 B1(2011.10.10) KR 10-2012-0135780 A(2012.12.17) KR 20-0197038 Y1(2000.09.15) KR 20-0376835 Y1(2005.03.11) KR 20-0475553 Y1(2014.12.03) KR 10-0903733 B1(2009.06.11)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골퍼가 홀과의 거리에 맞춰 퍼팅 스트로크 및 임팩트 동작을 연습 시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이 홀의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스트로크와 퍼팅강도(거리감) 조절 및 방향성을 정확하게 숙달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은 물론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충분히 익히고 극대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예의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원판부, 상기 원판부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원판부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부, 상기 원판부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내벽돌기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진 내마찰벽부 및 상기 내마찰벽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원판부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외벽돌기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진 외마찰벽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습득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은 물론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경사벽부의 높이는 상기 내마찰벽부의 내벽돌기 및 상기 외마찰벽부의 외벽돌기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벽부와 마주보는 상기 외마찰벽부의 일부에 상기 외벽돌기가 없는 외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개구부를 통해 상기 경사벽부와 마주보는 상기 내마찰벽부의 일부에 상기 내벽돌기가 없는 내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마찰벽부의 중앙에 골프공의 홀인 시 진행을 방해하는 홀인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홀인공간부는 지름이 3 내지 5cm로 형성되고, 상기 내벽돌기 및 상기 외벽돌기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2 내지 3cm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한층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습득하여 실전 감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가장 이상적인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여 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타격해야만 홀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과의 거리에 맞는 정교한 퍼팅 스트로크는 물론 퍼팅강도(거리감)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숙달할 수 있다.
따라서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올바른 실전 감각을 확실하게 익힐 수 있어 퍼팅의 정확도와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퍼팅 그린에서 과감하게 홀을 지나치게 스트로크 하기 위한 심리적인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 설정에 따라 홀에 정확하게 홀인시킬 수 있는 퍼팅 스트로크(Putting Stroke)나 속도가 달라지는 범용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10)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하여 실제 그린의 홀컵을 구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원판부(11), 경사벽부(12), 내마찰벽부(12) 및 외마찰벽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원판부(11)는 지면이나 건물의 바닥 등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그 위로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일정한 넓이를 갖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부(11)의 테두리는 골퍼의 퍼팅 동작에 따라 골프공이 굴러서 부딪칠 때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지나가도록 그 가장자리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 또는 유연한 곡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판부(11)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행거 등에 간편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구멍(16)이 뚫려 있다.
아울러 원판부(11)의 한쪽, 즉 경사벽부(12)가 있는 상면 가장자리와, 그 반대쪽 상면 가장자리에는 골프공의 퍼팅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모양 및 숫자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벽부(12)는 원판부(11)의 한쪽에서 반대쪽을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호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판부(11)의 상면 가장자리 안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벽부(12)는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도록 원판부(11)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길이와 높이 및 곡률을 가지며 이루어지고, 상부로 갈수록 원판부(11)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진 부채꼴의 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벽부(12)의 높이는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작고, 평면 상에서 볼 때의 원주각은 90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벽부(12)의 높이는 퍼팅 연습 시 실제 그린에서 골프공이 홀컵에 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내마찰벽부(13)의 내벽돌기(13a) 및 외마찰벽부(14)의 외벽돌기(13a)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마찰벽부(13)는 원판부(1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동그랗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내마찰벽부(13)는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내벽돌기(13a)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내마찰벽부(13)의 중앙에는 일정한 지름을 가지며 골프공의 홀인 시 진행을 방해하는 홀인공간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홀인공간부(15)의 영역을 이루는 지름은 골프공이 정확한 위치를 지날 때만 홀인이 되도록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거나 골프공이 일정한 범위 내를 지날 때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인공간부(15)의 영역을 이루는 지름은 3 내지 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마찰벽부(13) 중 외개구부(14b)를 통해 경사벽부(12)와 마주보는 일부에는 경사벽부(12)를 통해 원판부(11) 위로 굴러들어오는 골프공이 방해 없이 홀인공간부(15)까지 굴러가도록 내벽돌기(13a)가 없는 내개구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벽돌기(13a)는 원판부(11)의 상면 중 홀인공간부(15)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내벽돌기(13a)는 골퍼의 퍼팅 동작에 따라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도록 원판부(11)의 상면에 마치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 주위에 아주 짧게 깎고 잘 다듬은 잔디처럼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벽돌기(13a)는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홀컵과 매우 흡사한 조건을 이루는 사용환경을 제공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홀인공간부(1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퍼팅하거나 적절한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더라도 부드럽게 눕는 형태로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골프공이 자연스럽게 홀인공간부(15) 속에 홀인 되도록 작용함으로써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퍼팅하는 것처럼 실전 감각을 훨씬 확실하고 수월하게 익힐 수 있다.
여기서 내벽돌기(13a)는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한층 더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함은 물론 골프공이 홀인 또는 통과되어 외력 등의 간섭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대로 신속하게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그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하여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2 내지 3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마찰벽부(14)는 내마찰벽부(13)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판부(11)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동그랗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외마찰벽부(14)는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외벽돌기(14a)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외마찰벽부(14) 중 경사벽부(12)와 마주보는 외마찰벽부(14)의 일부에는 경사벽부(12)를 통해 원판부(11) 위로 굴러들어오는 골프공이 방해 없이 홀인공간부(15)까지 굴러가도록 외벽돌기(14a)가 없는 외개구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벽돌기(14a)는 원판부(11)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외벽돌기(14a)는 골퍼의 퍼팅 동작에 따라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도록 원판부(11)의 상면에 마치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 주위에 아주 짧게 깎고 잘 다듬은 잔디처럼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벽돌기(14a)는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홀컵과 매우 흡사한 조건을 이루는 사용환경을 제공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홀인공간부(1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퍼팅하거나 적절한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더라도 부드럽게 눕는 형태로 유연하게 변형됨으로써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퍼팅하는 것처럼 실전 감각을 훨씬 확실하고 수월하게 익힐 수 있다.
여기서 외벽돌기(14a)는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한층 더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함은 물론 골프공이 홀인 또는 통과되어 외력 등의 간섭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대로 신속하게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그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하여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2 내지 3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벽돌기(14a)들의 영역이 이루는 최외곽의 지름은 실제 퍼팅 그린에 뚫려 있는 홀의 지름과 동일 또는 비슷한 108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마찰벽부(14)와 내마찰벽부(13) 사이의 공간은 골프공이 원판부(11) 위에 놓일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부정확한 퍼팅강도 및 방향으로 골프공을 퍼팅시에는 홀인공간부(15)에 홀인이 되지 않게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10)은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퍼팅 위치에서 홀인공간부(15)까지 거리에 맞춰 골프공을 적절한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여 홀인공간부(1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타격 시에만 홀인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골프공이 실제 그린의 홀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되는 가장 이상적인 퍼팅강도와 임팩트 및 스트로크로 퍼팅 시에만 홀인공간부(15)에 홀인 될 수 있다.
이때, 원판부(11)의 상면에 마치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 주위에 아주 짧게 깎고 잘 다듬은 잔디처럼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내벽돌기(13b) 및 외벽돌기(14b)들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구르는 골프공이 벗어나지 않게 순차적, 단계적으로 마찰저항을 일으켜 세우고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이 골프공과 홀의 거리에 맞는 정교한 퍼팅 스트로크는 물론 퍼팅강도(거리감)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숙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팅 시 사용되는 근육들의 근력을 발달시켜 미세한 움직임을 기억 및 제어 가능하여 실전 감각을 확실하게 익힐 수 있다.
더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경사벽부(12)를 정면으로 대해 놓고, 이를 향해 골프공을 퍼팅할 때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마찰벽부(14)를 정면으로 대해 놓고, 이를 향해 골프공을 퍼팅할 때, 즉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 설정에 따라 홀에 정확하게 홀인시킬 수 있는 퍼팅 스트로크(Putting Stroke)나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마찰벽부(14)를 정면으로 대해 놓고 퍼팅시 골프공이 홀인공간부(15)를 지나치더라도 경사벽부(12)의 간섭 및 저항을 받아 원판부(11) 밖으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골프공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10)은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가열해도 탄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열경화성 플라스틱(thermosetting plastic)이나 합성수지를 금형 내에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홀컵 11: 원판부
12: 경사벽부 13: 내마찰벽부
13a: 내벽돌기 13b: 내개구부
14: 외마찰벽부 14a: 외벽돌기
14b: 외개구부 15: 홀인공간부
16: 걸이구멍

Claims (3)

  1.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원판부(11);
    상기 원판부(11) 상면의 한쪽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원판부(11)의 중앙부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갖는 호형의 벽 모양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부(12);
    상기 원판부(11) 상면의 가운데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며,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내벽돌기(13a)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진 내마찰벽부(13); 및
    상기 내마찰벽부(13)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원판부(11) 상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며,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복수 개의 외벽돌기(14a)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벽부(12)와 마주보는 일부에 상기 외벽돌기(14a)가 없는 외개구부(14b)를 갖는 외마찰벽부(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12)의 높이는 상기 내마찰벽부(13)의 내벽돌기(13a) 및 상기 외마찰벽부(14)의 외벽돌기(14a)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외개구부(14b)를 통해 상기 경사벽부(12)와 마주보는 상기 내마찰벽부(13)의 일부에 상기 내벽돌기(13a)가 없는 내개구부(13b)가 형성되며,
    상기 내마찰벽부(13)의 중앙에 골프공의 홀인 시 진행을 방해하는 홀인공간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인공간부(15)는 지름이 3 내지 5cm로 형성되고,
    상기 내벽돌기(13a) 및 상기 외벽돌기(14a)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2 내지 3cm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KR2020210001876U 2021-06-10 2021-06-10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KR200496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76U KR200496983Y1 (ko) 2021-06-10 2021-06-10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76U KR200496983Y1 (ko) 2021-06-10 2021-06-10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61U KR20220002961U (ko) 2022-12-19
KR200496983Y1 true KR200496983Y1 (ko) 2023-06-26

Family

ID=8453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76U KR200496983Y1 (ko) 2021-06-10 2021-06-10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8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6255A1 (en) * 2005-06-01 2006-12-07 Hutchison Earl C Putting targe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191A (en) * 1989-09-06 1990-05-15 Ogilvie Garry J Putting target
KR200197038Y1 (ko) 2000-03-24 2000-09-15 윤태혁 골프연습용 음향성 홀컵
KR200264457Y1 (ko) 2001-11-22 2002-02-19 김종성 퍼팅연습용 홀컵
KR200376835Y1 (ko) 2004-04-07 2005-03-11 정태인 고무 홀컵
KR100903733B1 (ko) 2007-11-11 2009-06-19 김진우 골프 퍼팅 연습용 라인홀
KR20110034086A (ko) 2009-09-28 2011-04-05 윤태균 퍼팅 연습용 홀링
KR101364197B1 (ko) 2011-06-07 2014-02-19 길근택 퍼팅연습용 홀컵
KR20130135453A (ko)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감지기능이 구비된 홀컵 및 홀컵이 구비된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475553Y1 (ko) 2013-03-18 2014-12-10 김홍일 파일이 세워져 있는 퍼팅연습용 실리콘 홀컵
KR20200075172A (ko) 2018-12-17 2020-06-2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각형 고무홀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6255A1 (en) * 2005-06-01 2006-12-07 Hutchison Earl C Putting targ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61U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771B1 (en) Golf training tee
KR19980703375A (ko) 골프 연습 장치
KR200496983Y1 (ko)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WO2013121576A1 (ja) ゴルフ用ティ
US20140057740A1 (en) Golf tee
US10828546B2 (en) Golf swing practice mat for strengthening swing and increasing club head speed
US20140080620A1 (en) Training golf ball
US6805639B2 (en) Target for a rolled ball
EP0773819B1 (en) Game launching mechanism
KR102642210B1 (ko)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US2888266A (en) Swing practicing device
US2788977A (en) Simulated putting hole
KR20220000350U (ko)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KR20048683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907144B1 (ko) 이동부재를 이용한 골프 클럽
KR200438370Y1 (ko) 내부 이동부재를 갖는 야구배트
JPH11507855A (ja) ゴルフ学習用の装置
EP4292680A1 (en) Golf training aid
KR101153342B1 (ko) 퍼팅 연습기
WO1995015792A1 (en) A peg device
JP2006015110A (ja) ゴルフボール用ティー
WO2019143663A1 (en) Golf swing practice mat
JP2005224579A (ja) ゴルフティ用のプレート
US20160236058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20200230481A1 (en) A golf teaching set in the form of a subconscious ha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