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17Y1 -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 Google Patents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17Y1
KR200471617Y1 KR2020120006032U KR20120006032U KR200471617Y1 KR 200471617 Y1 KR200471617 Y1 KR 200471617Y1 KR 2020120006032 U KR2020120006032 U KR 2020120006032U KR 20120006032 U KR20120006032 U KR 20120006032U KR 200471617 Y1 KR200471617 Y1 KR 200471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bracket
door lock
door
installa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424U (ko
Inventor
정재웅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120006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1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에 설치되고, 상기 강화유리문에 일 측면에 밀착되는 제1면과, 상기 강화유리면의 타 측면에 밀착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형성되어 직각으로 구부려진 형태의 절곡부와,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일 측면이 연결되어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의 주변은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과 절개된 절개부로 이루어진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설치 브라켓의 장착시 고정부를 통해 볼트를 조이면 브라켓의 설치면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설치 브라켓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설치 브라켓이 강화유리문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Bracket of doorlock for tempered glass}
본 고안은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강화유리문에 설치 브라켓의 장착시 브라켓이 강화유리문 상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강화유리문에 대한 설치 브라켓의 밀착력을 높이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란, 원판유리를 용도에 맞게 절단하고, 강화공정을 위해 4 변을 다듬고, 유리를 세척 및 건조시키면서 마킹한 후, 가열로(furnace)의 과정을 거쳐, 급냉(quenching)시키면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에 4 ~ 5배 이상으로 강한 강화유리가 된다.
상기 강화유리는 보통 3mm ~ 19mm의 두께를 형성하며, 표면에 생긴 압축능력과 내부에 생긴 인장능력으로 인하여 일반유리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시에 입자가 날카롭지 않은 조각으로 부서지는 특징이 있어 안전이 요구되는 장소에 적합하므로,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병원이나 학교, 주거공간의 진열장 및 유리가구 및 각종 도어, 산업용 강화유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를 도어(door)에 적용할 경우는, 강화유리문에 도어락 설치나 다른 기구물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강화유리의 생산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강화유리문이 완성된 상태에서는 도어락 설치 등을 위한 관통공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 강화유리문에 도어락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강화유리에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강화유리에 본체(또는 모티스 등)를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전용 브라켓이 제공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강화유리용 도어락의 설치 브라켓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설치 브라켓의 일 측면이 들뜬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설치 브라켓(20)은 강화유리(10)의 측면을 통해 설치 브라켓(20)이 억지끼움되고, 고정부(23)에 설치된 볼트를 조임으로써 강화유리(10)에 밀착력(고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설치 브라켓(20)은 고정부(23)에 볼트가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강화유리(10)에 끼워진 상태의 설치 브라켓(20)의 고정부(23)에 장착된 볼트를 회전시켜 가압함으로써 밀착력을 증대시킨다. 즉, 종래의 강화유리는 제작 후 천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강화유리(10) 면에 볼트를 밀어 넣어 설치 브라켓(20)의 제1면(21)과 제2면(22) 사이에 밀착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설치 브라켓(20)은 고정을 위해 고정부(23)의 볼트들을 회전시키면 제1면(21)에는 가압력이 작용하지만 제2면(22) 자체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다시 말해 고정부(23)에 볼트가 회전되어 강화유리(10) 면으로 돌출되면 제2면(22) 상에 작용하는 들어올리는 힘은 제1면(21)을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절곡부(25)를 중심으로 제2면(22)이 융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설치 후 제2면(22)이 들뜬 상태가 됨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제3자가 들뜬 면을 통해 도구를 삽입하고 설치 브라켓(20)을 쉽게 해체시킬 수 있어 보안상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강화유리문에 설치 브라켓의 장착시 브라켓이 강화유리문 상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강화유리문에 대한 설치 브라켓의 밀착력을 높이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강화유리문에 설치되고, 상기 강화유리문에 일 측면에 밀착되는 제1면과, 상기 강화유리면의 타 측면에 밀착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형성되어 직각으로 구부려진 형태의 절곡부와,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일 측면이 연결되어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의 주변은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과 절개된 절개부로 이루어진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의 상기 절개부는 대략 'コ' 자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절곡부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가 시작되는 선단은 말단보다 수직선상에서 감소된 길이를 갖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의 절개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브라켓 설치시 고정력을 증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 브라켓의 장착시 고정부를 통해 볼트를 조이면 브라켓의 설치면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설치 브라켓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설치 브라켓이 강화유리문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브라켓의 일면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강화유리용 도어락의 설치 브라켓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설치 브라켓의 일 측면이 들뜬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락 설치 브라켓은 강화유리문에 일 측면에 밀착되는 제1면(21)과, 강화유리면의 타 측면에 밀착되는 제2면(22)과, 제1면(21)과 제2면(22) 사이에 형성되어 직각으로 구부려진 형태의 절곡부(25)와, 제1면(21) 또는 제2면(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볼트 삽입공(H)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고정부(23)는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 중 어느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제2면;22에 형성된 걸로 예시함)에 일 측면이 연결된 연결부(26)를 형성하되, 연결부(26)의 일변을 제외한 상기 고정부(23)의 주변은 상기 제1면(21) 또는 제2면(22)과 절개된 절개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고정부(23)의 상기 절개부(30)는 대략 'コ' 자 형상으로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부(23)의 연결부(26)는 절곡부(25)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고정부(23)의 일변이 제2면(22)에서 연결되어 연결부(26)를 형성하고, 대략 'コ'자 형으로 절개된 상태를 이룬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00은 도어락 본체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부(30)의 볼트 삽입공(H)을 통해 볼트(24)가 장착되면 고정부(23)를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 작용된 힘은 연결부(26)를 기준으로 제2면(22)에 밀착력을 제공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고정부(23)에 들어 올려지는 힘은 연결부(23)를 중심으로 제2면(22)을 밀착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연결부(23)의 일변을 제외한 나머지가 대략 'コ'자 형의 절개부(30)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볼트(24)를 통해 고정부(23)에 작용하는 들어 올려지는 힘은 연결부(23)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2면(22) 전체에 가압력을 제공하지만, 종래와는 다르게 절곡부(25)에는 그 전달되는 힘이 현저히 적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고정부(23)에 볼트(24)를 통해 작용하는 들어 올려지는 힘으로 인해 제2면(22)이 들어 올려지는 것(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3)의 연결부(26)가 시작되는 선단은 말단보다 수직선상에서 감소된 폭을 갖도록 오목부(35; 도 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3)가 제2면(22) 상에서보다 유연하게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3)는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의 평면상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부(23)와 강화유리(1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부(23)는 제2면(22)의 절개부(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곡됨으로써, 브라켓이 강화유리(10)에 설치될 때 강화유리면에 밀착시키는 힘을 증대시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설치 브라켓(20)의 장착시 고정부(23)를 통해 볼트(24)를 조이면 브라켓의 설치면(제2면; 22)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설치 브라켓(20)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설치 브라켓(20)이 강화유리(1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부(23)에 작용하는 들뜨는 힘이 설치면(제2면; 22)에 그대로 전달되어 설치 브라켓(20)의 일면이 들뜨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강화유리 20: 설치 브라켓
21: 제1면 22: 제2면
23: 고정부 24: 볼트
25: 절곡부 26: 연결부
30: 절개부 35: 오목부

Claims (6)

  1. 강화유리문의 일 측변으로 끼워지며, 상기 강화유리문의 일 측면에 밀착되는 제1면(21)과, 상기 강화유리문의 타 측면에 밀착되는 제2면(22)과, 상기 제1면(21)과 상기 제2면(22)의 일 측변에서 직각으로 구부려져 상기 제1면(21)과 상기 제2면(22)을 연결하는 절곡부(25)와,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볼트 삽입공(H)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3)의 일 측변은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과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26)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26)를 제외한 상기 고정부(23)의 주변들은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과 절개된 절개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의 상기 절개부(30)는 'コ' 자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6)는 상기 절곡부(25)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6)가 시작되는 선단은 말단보다 수직선상에서 감소된 폭을 갖도록 오목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의 평면상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제1면(21) 또는 상기 제2면(22)의 절개부(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KR2020120006032U 2012-07-10 2012-07-10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KR200471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32U KR200471617Y1 (ko) 2012-07-10 2012-07-10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32U KR200471617Y1 (ko) 2012-07-10 2012-07-10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24U KR20140000424U (ko) 2014-01-21
KR200471617Y1 true KR200471617Y1 (ko) 2014-03-06

Family

ID=5148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032U KR200471617Y1 (ko) 2012-07-10 2012-07-10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25B1 (ko) * 2018-09-07 2020-10-16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휨 방지 구조를 갖는 월패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354U (ko) * 2008-04-07 2009-10-1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20100000856U (ko) * 2008-07-17 2010-01-27 인영식 유리문용 도어록의 브라켓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354U (ko) * 2008-04-07 2009-10-1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KR20100000856U (ko) * 2008-07-17 2010-01-27 인영식 유리문용 도어록의 브라켓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24U (ko)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516B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71617Y1 (ko) 강화유리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KR20180071142A (ko) 미닫이식 도어의 프레임 조립구조
KR101491072B1 (ko)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구조
KR20100098796A (ko) 외벽 모서리의 외장패널 마감부재
KR20100000856U (ko) 유리문용 도어록의 브라켓트 구조
KR200472487Y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KR200421676Y1 (ko) 강화유리 도어용 브라켓의 체결구조
ES2335558B1 (es) Dispositivo con una carcasa de campo de coccion.
JP5112947B2 (ja)
EP2778320B1 (en) Reinforcement part for lock case
KR20090012870A (ko) 강화유리 도어록의 지지장치
JP6113991B2 (ja) 扉取替方法
CN209339407U (zh) 幕墙立柱的安装结构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447069Y1 (ko) 방화문용 방범장치
KR200190594Y1 (ko) 가구문짝 손잡이 결합구조
JP2018096173A (ja) 改修戸枠
KR200390363Y1 (ko) 도어 파손 방지 장치
KR200372674Y1 (ko) 안전도어
KR200345015Y1 (ko) 철제방화문
KR200262091Y1 (ko) 강화 유리도어 보조잠금장치
KR20120001941U (ko) 유리문의 디지털 도어록 장착용 브래킷
CN204535249U (zh) 用于冰箱的门体和冰箱
KR200347431Y1 (ko) 개량된 새시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