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99Y1 -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 Google Patents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99Y1
KR200471499Y1 KR2020120002565U KR20120002565U KR200471499Y1 KR 200471499 Y1 KR200471499 Y1 KR 200471499Y1 KR 2020120002565 U KR2020120002565 U KR 2020120002565U KR 20120002565 U KR20120002565 U KR 20120002565U KR 200471499 Y1 KR200471499 Y1 KR 200471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opening
display means
main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870U (ko
Inventor
조성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2020120002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9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도포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본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개구부 상에 탈부착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공을 구비하는 고정 구조체, 상기 고정 구조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구조체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안내공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 상기 고정 구조체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 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 구조체 및 상기 제1안내공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 구조체를 덮도록 상기 고정 구조체 또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Container having roller for applying contents material}
본 고안은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상부에 차례로 고정 구조체 및 회전 구조체를 장착하고, 회전 구조체의 회전에 따라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내용물 토출공이 닫힌 상태에서만 커버가 회전 구조체와 고정 구조체에 장착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의 용기는 액상 또는 점성이 있는 화장품, 치약 및 샴푸 등의 미용제를 저장하거나 각종 세척제 등을 저장함으로써 일상 생활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튜브형 용기는 표면을 인위적으로 압착함으로써 주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또는 합성수지 등 여러 가지 재질로 형성되거나 화장품 용기로써 사용할 경우에는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저장 보관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양만큼 내부의 용적이 줄어들어 외형이 변형될 수 있고, 개구부가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시 외부 공기와의 접촉으로 내용물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구부 상에서 공회전하는 별도의 롤러를 장착하여 저장용기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을 롤러의 표면에 흡착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롤러형의 화장품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롤러형의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 상에 형성되어 내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통로를 가지면서 상부에는 노즐이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 및 상기 롤러를 덮어 본체에 탈부착하는 뚜껑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형의 용기는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을 공회전하는 롤러의 표면에 묻혀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롤러형의 용기는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개폐수단이 없기 때문에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개구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내용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여 내용물의 구성 성분의 비율이 달라져 최적의 상태로 피부에 도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가 눌려져 내용물이 유출되어 낭비되고 주위를 지저분하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롤러형의 용기는 별도의 개폐수단을 갖더라도 개폐수단에 의해 개구부가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차례로 고정 구조체 및 회전 구조체를 장착하고, 회전 구조체의 회전에 따라 내용물 토출공을 개폐함으로써 내용물 토출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 토출공을 막아 내용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여 내용물의 구성 성분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 토출공을 막아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가 눌려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 구조체 및 회전 구조체에 각각 제1표시 수단 및 제2표시 수단을 형성하고, 제1표시 수단 및 제2표시 수단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커버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토출공의 개폐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본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개구부 상에 탈부착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공을 구비하는 고정 구조체, 상기 고정 구조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구조체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안내공을 개폐하는 개폐 수단, 상기 고정 구조체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 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 구조체 및 상기 제1안내공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 구조체를 덮도록 상기 고정 구조체 또는 상기 본체에 탈부착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표시수단 수용홈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된 제1표시 수단 및 상기 회전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된 제2표시 수단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표시 수단 및 상기 제2표시 수단을 상기 표시수단 수용홈에 수용하여 상기 고정 구조체 또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제1표시 수단 및 상기 제2표시 수단이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안내공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고정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된 제1표시 수단, 상기 제1안내공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노즐 팁 및 상기 개폐 수단의 외측에 돌출된 안내편을 안내하여 상기 개폐 수단을 상기 제1안내공의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 레일이 형성된 레일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편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고정 구조체의 외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제2안내공을 구비하되, 상기 제2안내공은 상기 개폐 수단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노즐 팁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회전 구조체는 상기 회전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구조체와 동시에 회전하는 제2표시 수단, 상기 회전 구조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수단에 구비된 안내편을 수용하는 안내편 수용홈, 상기 회전 구조체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수단에 구비된 제2안내공으로부터 안내된 내용물을 상기 회전 구조체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내용물 토출공, 상기 내용물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제1롤러를 안착하기 위한 제1롤러 안착부 및 상기 제1롤러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롤러로부터 분배된 내용물을 흡착시켜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제2롤러를 지지하는 제2롤러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상기 제1롤러는 그 표면에 상기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본체의 상부에 차례로 고정 구조체 및 회전 구조체를 장착하고, 회전 구조체의 회전에 따라 내용물 토출공을 개폐함으로써 내용물 토출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화장품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 토출공을 막아 내용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여 내용물의 구성 성분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 토출공을 막아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가 눌려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에 의하면, 본체의 상부에 차례로 장착된 고정 구조체 및 회전 구조체에 각각 형성된 제1표시 수단 및 제2표시 수단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커버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토출공의 개폐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를 내용물 도포 용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하여 그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토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 상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에서 내용물 토출구가 열린 경우에는 뚜껑이 닫히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를 내용물 도포 용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하여 그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100)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1), 상기 본체(11) 상에 장착되는 고정 구조체(13), 상기 고정 구조체(13)의 내측에 위치하는 개폐 수단(15), 상기 고정 구조체(13) 상에 장착되는 회전 구조체(17) 및 상기 회전 구조체(17)와 고정구조체(13)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19)를 구비한다.
상기 내용물 도포 용기(100)는 화장품 용기, 샴푸 등의 미용제 또는 각종 세척제 등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화장 물질이 저장되는 화장품 용기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1)의 상부에는 내용물을 충전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본체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는 연질의 합성수지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금속재의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의 본체 개구부(21) 상에 고정 구조체(13)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 구조체(13)는 회전 결합 방식으로 본체 개구부(21)에 탈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구조체(13)는 외측에 형성된 제1표시 수단(23), 레일 형성부(25), 노즐 팁(27) 및 상기 본체(11)에 수용된 내용물을 고정 구조체(13)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공(29)을 구비한다.
상기 제1표시 수단(23)은 후술하는 회전 구조체(17)의 제2표시 수단(41)과 함께 회전 구조체(17)에 형성된 내용물 토출공(39)이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표시 수단(23)은 본원 고안에서 고정 구조체(13)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방식으로 채택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 토출공(39)의 개폐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표시 수단(23)은 글자체를 양각하거나 입체 도형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되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형성부(25)는 고정 구조체(13)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 구조체(13)의 내측에서 개폐 수단(15)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 레일(31)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 레일(31)은 원통으로 형성된 레일 형성부(25)의 외면을 따라 개폐 수단(15)을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 레일(31)은 레일 형성부(25)의 외벽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나선형(spiral)의 방식, 즉 두 개의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팁(27)은 고정 구조체(13)의 내측, 예를 들어 상기 고정 구조체(13)가 본체 개구부(21)에 장착된 경우에는 본체 개구부(21)의 상부에 인접한 고정 구조체(13)의 내측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노즐 팁(27)은 본체(11)에 수용된 내용물이 본체 개구부(21)를 통해 제1안내공(29)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내용물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안내공(29)은 레일 형성부(25)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안내공(29)의 내측에는 고정 구조체(13)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개폐 수단(15)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개폐 수단(15)은 레일 형성부(25)에 마련된 안내 레일(31)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편(33) 및 상기 개폐 수단(15)의 상부에 형성된 제2안내공(35)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편(33)은 안내 레일(31)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레일 형성부(25)의 내측에서 안내 레일(31)을 관통하여 회전 구조체(17)의 내벽에 마련된 안내편 수용홈(37)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레일(31), 안내편(33) 및 안내편 수용홈(37)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안내공(35)은 본체 개구부(21) 및 제1안내공(29)의 내측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을 고정 구조체(13)의 외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안내공(35)은 레일 형성부(25)의 내측에서 개폐 수단(15)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안내공(35)은 안내편(33)이 안내 레일(31)을 따라 레일 형성부(25)의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구조체(13)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노즐 팁(27)에 의해 폐쇄되어 닫힌다. 또한, 상기 제2안내공(35)은 안내편(33)이 안내 레일(31)을 따라 레일 형성부(25)의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 팁(27)으로부터 이격되어 본체 개구부(21)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회전 구조체(17)의 내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 도포 용기(100)는 제2안내공(35)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본체(11)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의 공기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도치 않게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여 내용물의 구성 성분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최적의 상태에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회전 구조체(17)는 고정 구조체(13) 상에서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전 구조체(17)는 고정 구조체(13) 상에서 공회전하는 동안 레일 형성부(25)의 내측에서 개폐 수단(15)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 구조체(17)는 내측에 형성된 안내편 수용홈(37)에 개폐 수단(15)에 구비된 안내편(33)을 수용하여 개폐 수단(15)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제2안내공(35)이 노즐 팁(27)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 구조체(17)는 회전 구조체(17)의 내측에 형성되어 안내편(33)을 수용하는 안내편 수용홈(37), 내용물 토출공(39), 회전 구조체(17)의 외측에 형성된 제2표시 수단(41), 제1롤러 안착부(43) 및 제2롤러 지지부(45)를 구비한다.
상기 내용물 토출공(39)은 회전 구조체(17)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개폐 수단(15)에 구비된 제2안내공(35)으로부터 안내된 내용물을 회전 구조체(17)의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제2표시 수단(41)은 고정 구조체(13)에 구비된 제1표시 수단(23)과 함께 내용물 토출공(39)이 개폐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2표시 수단(41)은 본 고안에서 회전 구조체(17)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방식으로 채택되었지만, 상기 제1표시 수단(23)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어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표시 수단(41)이 제1표시 수단(23)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개폐 수단(15)의 제2안내공(35)은 고정 구조체(13)에 구비된 노즐 팁(27)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본체(11)의 내용물은 본체 개구부(21)의 외부로 토출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커버(19)에 구비된 표시수단 수용홈(47)은 제1표시 수단(23) 및 제2표시 수단(41)을 수용하여 커버(19)가 회전구조체(17)와 고정 구조체(13) 상에 장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롤러 안착부(43)는 제1롤러(49)가 안착하도록 회전 구조체(17)의 상부 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롤러 안착부(43)의 바닥 면에는 내용물 토출공(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롤러(49)는 제2롤러 지지부(45)에 장착된 제2롤러(51)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롤러(49)는 그 표면에 복수의 분배홈(49a)을 형성하여 내용물 토출공(39)으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제2롤러(51)의 표면에 골고루 분배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롤러 지지부(45)는 제2롤러(51)가 끼워진 회전축(53)의 양 단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55)을 구비한다. 상기 제2롤러(51)는 내용물을 흡수하기에 적합하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더라도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물질, 예를 들어 스펀지 또는 탄성이 우수한 섬유 등과 같은 복원력을 갖는 탄성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의 내용물 토출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토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 상태도들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물 도포 용기에서 내용물 토출구가 열린 경우에는 뚜껑이 닫히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내용물 도포 용기(100)에 채택된 고정 구조체(13)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노즐 팁(27)은 개폐 수단(15)의 제2안내공(35)을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11)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은 개폐 수단(15)에 구비된 제2안내공(35)의 외부로 토출되지 못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구조체(13)의 제1표시 수단(23) 및 회전 구조체(17)의 제2표시 수단(41)은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커버(19)의 표시수단 수용홈(47)은 제1표시 수단(23) 및 제2표시 수단(41)을 수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표시수단 수용홈(47)에 제1표시 수단(23) 및 제2표시 수단(41)을 수용하여 고정 구조체(13) 상에 커버(19)를 장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해 우선 본체(11)로부터 커버(19)를 제거하고 회전 구조체(17)를 공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구조체(17)의 공회전은 개폐 수단(15)을 상승시켜 노즐 팁(27)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제2안내공(35)을 노즐 팁(27)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 후에, 사용자는 본체(11)에 압력을 가해 본체 개구부(21) 및 제2안내공(35)을 거쳐 회전 구조체(17)의 상부에 형성된 내용물 토출공(39)으로 토출된 내용물을 제1롤러(49)에 도포되도록 하고, 상기 내용물은 제1롤러(49)에 의해 넓게 분배되어 제2롤러(51)에 균일하게 흡착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 구조체(17)의 제2표시 수단(41)은 회전 구조체(17)와 함께 회전하여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구조체(13)의 제1표시 수단(23)과는 다른 위치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제2롤러(51)에 균일하게 흡착된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한 후에는 커버(19)를 회전구조체(17)와 고정구조체(13)위에 덮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커버(19)를 덮기 전에 회전구조체(17)를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위치로 회전시켜 노즐팁(27)이 안내편(33)의 안내편 수용홈(37)을 폐쇄시켜 화장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회전구조체(17)의 제2표시수단(41)이 고정구조체(13)의 제1표시수단(23)과 일치되도록 한 후에 커버(19)를 덮어야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가끔 회전구조체(17)를 회전시켜 내용물토출공(39)을 폐쇄시켜야 한다는 것을 잊은 채 커버(19)를 덮어서 핸드백이나 가방 등에 보관할 때가 있다. 이때에 만일 핸드백이나 가방이 외부 압력에 의해 눌려서 화장품용기 본체(11)가 눌릴 경우에는 본체(11)내의 내용물이 제2안내공(35)과 내용물 토출공(39)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내용물이 낭비되고 심지어는 핸드백이나 가방 내부를 심하게 오염시키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회전구조체(17)를 회전시켜 제2안내공(35)을 폐쇄시키지 않았다면 커버(19)가 덮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에서는 이때 도 5a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구조체(17)의 제2표시수단(41)이 고정구조체(13)의 제1표시수단(23)과 일치하지 않으면 커버(19)를 어떤 방향으로 덮더라도 닫히지 않도록 하였다. 즉, 회전구조체(17)의 제2표시수단(41)과 고정구조체(13)의 제1표시수단(23)이 일치하지 않으면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19)의 표시수단수용홈(47)의 반대측 단부가 회전구조체(17)의 제2표시수단(41)에 걸려서 덮어지지 않게 되며, 커버(19)를 180도 회전시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덮으려 해도 커버(19)의 표시수단수용홈(47) 반대측 단부가 고정구조체(13)의 제1표시수단 (23)에 걸려서 덮어지지 않게 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제1표시 수단(23) 및 제2표시 수단(41)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어 커버(19)가 고정 구조체(13)에 장착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표시 수단(23) 및 제2표시 수단(41)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커버(19)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내용물 토출공(39)의 개폐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 본체 13: 고정 구조체
15: 개폐 수단 17: 회전 구조체
19: 커버 21: 본체 개구부
23: 제1표시 수단 25: 레일 형성부
27: 노즐 팁 29: 제1안내공
31: 안내 레일 33: 안내편
35: 제2안내공 37: 안내편 수용홈
39: 내용물 토출공 41: 제2표시 수단
43: 제1롤러 안착부 45: 제2롤러 지지부
47: 표시수단 수용홈 49: 제1롤러
51: 제2롤러 53: 회전축
100: 내용물 도포 용기

Claims (7)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본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개구부 상에 탈부착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공을 구비하며, 외측에 제1표시 수단이 형성된 고정 구조체;
    상기 고정 구조체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측에 제2표시수단이 형성되며, 내용물 토출공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 토출공이 개폐되는 회전 구조체; 및
    상기 제1안내공과 내용물 토출공이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회전 구조체와 고정구조체가 덮히도록 외측에 표시수단 수용홈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구조체는
    상기 고정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된 제1표시 수단;
    상기 제1안내공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노즐 팁; 및
    개폐 수단의 외측에 돌출된 안내편을 안내하여 상기 개폐 수단을 상기 제1안내공의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 레일이 형성된 레일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2.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본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개구부 상에 탈부착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제1안내공을 구비하며, 외측에 제1표시 수단이 형성된 고정 구조체;
    상기 고정 구조체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측에 제2표시수단이 형성되며, 내용물 토출공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 토출공이 개폐되는 회전 구조체; 및
    상기 제1안내공과 내용물 토출공이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회전 구조체와 고정구조체가 덮히도록 외측에 표시수단 수용홈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구조체는
    상기 회전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구조체와 동시에 회전하는 제2표시 수단;
    상기 회전 구조체의 내측에 형성되어 개폐 수단에 구비된 안내편을 수용하는 안내편 수용홈;
    상기 회전 구조체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수단에 구비된 제2안내공으로부터 안내된 내용물을 상기 회전 구조체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내용물 토출공;
    상기 내용물 토출공으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제1롤러를 안착하기 위한 제1롤러 안착부; 및
    상기 제1롤러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롤러로부터 분배된 내용물을 흡착시켜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제2롤러를 지지하는 제2롤러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토출공이 개폐되는 수단은,
    상기 회전구조체가 고정구조체 상에서 회전될 때 상기 고정구조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구조체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개폐수단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표시수단 수용홈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된 제1표시 수단과 상기 회전 구조체의 외측에 형성된 제2표시 수단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서만 상기 제1표시 수단 및 상기 제2표시 수단을 상기 표시수단 수용홈에 수용하여 상기 고정 구조체 또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편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고정 구조체의 외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제2안내공을 구비하되,
    상기 제2안내공은 상기 개폐 수단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노즐 팁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는 그 표면에 상기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KR2020120002565U 2012-03-29 2012-03-29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KR200471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65U KR200471499Y1 (ko) 2012-03-29 2012-03-29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65U KR200471499Y1 (ko) 2012-03-29 2012-03-29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70U KR20130005870U (ko) 2013-10-10
KR200471499Y1 true KR200471499Y1 (ko) 2014-02-28

Family

ID=5148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565U KR200471499Y1 (ko) 2012-03-29 2012-03-29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89A (ko) * 2016-11-30 2018-06-08 기 수 한 미세침 롤러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5774A (zh) * 2016-12-29 2018-07-06 株式会社基纳希施 配备微针滚轮的化妆品容器
KR200491232Y1 (ko) * 2019-07-15 2020-03-06 (주)송학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KR200494434Y1 (ko) * 2020-03-25 2021-10-13 박지현 애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58U (ko) * 2007-01-25 2008-07-3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을 쉽게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100007606U (ko) * 2009-01-19 2010-07-28 (주)톨리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110048227A (ko) * 2009-11-02 2011-05-11 (주)연우 회전 개폐식 브러쉬 튜브의 오버캡부 구조
KR20110084078A (ko) * 2010-01-15 2011-07-21 (주)에스엔피월드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58U (ko) * 2007-01-25 2008-07-3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을 쉽게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100007606U (ko) * 2009-01-19 2010-07-28 (주)톨리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110048227A (ko) * 2009-11-02 2011-05-11 (주)연우 회전 개폐식 브러쉬 튜브의 오버캡부 구조
KR20110084078A (ko) * 2010-01-15 2011-07-21 (주)에스엔피월드 이중 롤러부가 구비된 액상 도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89A (ko) * 2016-11-30 2018-06-08 기 수 한 미세침 롤러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KR101991156B1 (ko) * 2016-11-30 2019-06-19 기 수 한 미세침 롤러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70U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71499Y1 (ko)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KR101182011B1 (ko) 토출용기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US20110250006A1 (en) Fluid-material spread apparatus having double roller
KR100920203B1 (ko)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KR101209874B1 (ko) 회전형 화장품 케이스
KR101159243B1 (ko) 자동 밀폐 구조를 갖는 원터치식 겔 용기
US7175358B1 (en) Cosmetic applicator
KR101354644B1 (ko)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KR101124285B1 (ko) 화장품용 회전 개폐식 브러쉬 튜브
KR200471795Y1 (ko) 복수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펌프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ES2729524T3 (es) Envase estanco para cosméticos
US20070181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elongated items
KR200478920Y1 (ko) 승강 개폐장치를 갖는 클렌징용 액상 화장용기
KR101180737B1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KR20160124967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0522308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77973Y1 (ko) 화장품 용기
KR200464033Y1 (ko) 화장브러쉬를 포함한 튜브용기의 배출장치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1570132B1 (ko) 화장퍼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1221412B1 (ko) 액상물질 내용물의 개폐장치 및 그 개폐장치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5894926A (en) Non-spill liquid toothpaste dispenser with simplified liquid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