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32Y1 -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 Google Patents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32Y1
KR200491232Y1 KR2020190002967U KR20190002967U KR200491232Y1 KR 200491232 Y1 KR200491232 Y1 KR 200491232Y1 KR 2020190002967 U KR2020190002967 U KR 2020190002967U KR 20190002967 U KR20190002967 U KR 20190002967U KR 200491232 Y1 KR200491232 Y1 KR 200491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liquid
rolling
applying
guid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지
김기남
Original Assignee
(주)송학
(주)대동아이앤씨
강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학, (주)대동아이앤씨, 강은지 filed Critical (주)송학
Priority to KR2020190002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32Y1/ko
Priority to PCT/KR2020/009276 priority patent/WO20210107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충진된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 롤링파우더구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도어가 마련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액상의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 롤링도포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링도포유닛은 내주에 화장액이 충진되고 일단에 배출관이 형성된 충진하우징과, 상기 충진하우징의 일단이 끼움되고 내부에 중공의 토출관이 형성되며, 일단에 한쌍의 안내브라켓이 마련된 마감캡과, 상기 배출관과 상기 토출관을 연결하는 밸브관과, 상기 브라켓들을 연결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도포롤러로 이루어진 롤링부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액을 균일한 두께로 바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염이 방지되게 보관 되며, 화장액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 Rolling powder structure for application of cosmetic liquid }
본 고안은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액을 균일한 두께로 바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염이 방지되게 보관 되며, 화장액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 화장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투웨이 케익용 화장품, 리퀴드 파운데이션용 화장품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사각 혹은 원형의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퍼프를 이용하여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퍼프에 화장품을 묻힌 후, 사용자의 피부에 두드리고 문지르면서 화장을 한다.
그런데 화장품을 묻혀서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화장품의 가장자리 부분은 많이 남고, 가운데 부분은 빨리 소모가 되는 것을 종종 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소모가 되어 바닥이 보이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는 화장품을 폐기하고 새로운 화장품을 구매하게 된다.
또한, 퍼프의 어느 한쪽으로 화장품이 많이 묻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 일부에만 화장품이 두껍게 발라져서 화장이 뜨게 될 수 있으며, 얼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화장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아울러 퍼프를 손으로 만지게 되므로, 손에 의해 퍼프의 성능이 감소되며, 오염의 위험성도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신안 제0436240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액을 균일한 두께로 바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염이 방지되게 보관 되며, 화장액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피부에 충진된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 롤링파우더구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도어가 마련된 케이싱본체와,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액상의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 롤링도포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링도포유닛은 내주에 화장액이 충진되고 일단에 배출관이 형성된 충진하우징과, 상기 충진하우징의 일단이 끼움되고 내부에 중공의 토출관이 형성되며, 일단에 한쌍의 안내브라켓이 마련된 마감캡과, 상기 배출관과 상기 토출관을 연결하는 밸브관과, 상기 브라켓들을 연결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도포롤러로 이루어진 롤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에는 이동자성체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고정자성체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자성체와 상기 고정자성체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관에는 외면에 한쌍의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에는 내측면에 환형의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관에는 상기 충진하우징의 배출관에서 상기 마감캡의 토출관으로 전달되는 화장액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밸브유닛이 더 체결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가이드돌부가 끼움되도록 사선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관에 끼움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이송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관에는 일단이 배출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상기 롤러에 진동을 전달하여 도포되는 화장액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액도포시 회전되는 도포롤러가 사용자의 피부나 축부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장액도포용 진동안내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화장액도포용 진동안내수단은 상기 마감캡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장돌부와, 상기 연장돌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결착패널과, 상기 결착패널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코일스프링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연결지지패널과, 상기 연결지지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지지패널과, 상기 탄성지지패널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마감캡을 통해 상기 도포롤러에 전달시키는 진동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지지패널에는 상기 도포롤러에 의해 도포된 화장액과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전달함과 아울러 도포된 화장액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도록 균일포장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균일포장부는 상기 연결지지패널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규일포장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는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액을 균일한 두께로 바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염이 방지되게 보관 되며, 화장액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롤링도포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밸브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밸브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롤링도포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밸브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밸브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롤링파우더구조라 명명함)는 사용자의 피부에 충진된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 롤링파우더구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롤링파우더구조(10)는 케이싱본체(20)와 롤링도포유닛(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본체(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도어(21)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싱본체(20)에는 상기 롤링도포유닛(30)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인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도어(21)는 상기 인출구(일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케이싱본체(2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개폐도어(21)에는 이동자성체(211)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본체(20)에는 고정자성체(22)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자성체(211)와 상기 고정자성체(22)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21)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된다.
상기 이동자성체(211)는 상기 개폐도어(21)의 내측면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자성체(22)는 상기 케이싱본체(20)의 내측면에 접착 또는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롤링도포유닛(30)은 상기 케이싱본체(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점성을 갖는 액상의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다.
상기 롤링도포유닛(30)은 내주에 화장액이 충진되고 충진된 화장액을 배출시키도록 일단에 배출관(311)이 형성된 충진하우징(31)과, 상기 충진하우징(31)의 일단이 끼움되고 내부에 중공의 토출관(3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일단에 한쌍의 안내브라켓(322)이 일체로 형성되게 마련된 마감캡(32)과, 상기 배출관(311)과 상기 토출관(321)을 연결하며 끼움되어 상기 충진하우징(31)의 화장액을 안내하는 밸브관(33)과, 상기 브라켓들을 연결하는 축부(341)와 상기 축부(341)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도포롤러(342)로 이루어진 롤링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진하우징(31)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켜, 가압하여 내부의 화장액을 상기 배출관(3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도포롤러(342)는 스폰지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충진하우징(31)에서 배출되는 화장액을 상기 마감캡(32)의 토출관(321)을 통해 전달받아 외면에 묻힌 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시키게 된다.
상기 마감캡(32)은 상기 배출관(311)을 덮으면서 상기 충진하우징(31)의 일단에 억지끼움 또는 끼움된 후 접착되어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롤링도포유닛(30)을 상기 케이싱본체(20)에서 인출하여 충진하우징(31)을 가압하게 되면, 내부의 화장액이 상기 밸브관(33)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토출관(32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면서 상기 토출관(321)과 맞닿거나 근접되게 배치되는 상기 도포롤러(342)에 토출되는 화장액을 묻히게 되고, 사용자가 도포롤러(342)를 피부에 문지르면서 이동시켜 도포롤러(342)에 묻거나 함침된 화장액을 균일한 두께어 피부에 도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관(33)에는 외면에 한쌍의 가이드돌부(3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321)에는 내측면에 환형의 턱부(32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관(33)에는 상기 충진하우징(31)의 배출관(311)에서 상기 마감캡(32)의 토출관(321)으로 전달되는 화장액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밸브유닛(40)이 더 체결되며, 상기 밸브유닛(40)은 상기 가이드돌부(331)가 끼움되도록 사선의 가이드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관(33)에 끼움되는 가이드관(41)과, 상기 가이드관(41)의 외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이송바(4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관(33)에는 일단에 배출공(332)들이 더 형성된다.
즉, 최초 도면상 상기 가이드관(41)에 형성되는 이송바(42)들중 상부에 형성되는 이송바(42)의 단부가 상기 롤링도포유닛(3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사선의 가이드홈(411)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돌부(331)에 끼움된 상태로 배치되며, 배출공(332)이 형성된 밸브관(33)의 단부가 상기 턱부(321a)와 일정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배출되어, 밸브관(33)으로 이동된 화장액이 상기 배출공(332)을 통해 상기 배출관(311)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돌출된 이송바(42)를 가압하여 도면상 하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관(41)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사선의 가이드홈(411)에 안내되면서, 상기 밸브관(33)이 상기 턱부(321a)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관(33)에 형성된 배출공(332)이 상기 턱부(321a)와 맞닿아 화장액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밸브관(33)을 일단이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폐쇄된 일단의 테두리 부분에 일정간격을 상기 배출공(332)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케이싱본체(20)에는 상기 롤러에 진동을 전달하여 도포되는 화장액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액도포시 회전되는 도포롤러(342)가 사용자의 피부나 축부(341)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장액도포용 진동안내수단(5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화장액도포용 진동안내수단(50)은 상기 마감캡(32)의 외면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돌부(51)와, 상기 연장돌부(51)의 일면에 부착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결착패널(52)과, 상기 결착패널(52)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융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코일스프링(53)과, 상기 탄성코일스프링(53)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융착되어 고정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연결지지패널(54)과, 상기 연결지지패널(54)의 일면에 부착되는 탄성지지패널(55)과, 상기 탄성지지패널(55)에 융착 또는 나사체결되게 설치되어,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마감캡(32)을 통해 상기 도포롤러(342)에 전달시키는 진동기(56)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기(56)의 진동이 상기 도포롤러(342)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되어 마사지할 수 있게 되고, 화장액에 전달되어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패널(55)이 진동기(56)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지지패널(54)에는 상기 도포롤러(342)에 의해 도포된 화장액과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전달함과 아울러 도포된 화장액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도록 균일포장부(60)가 더 마련된다.
상기 균일포장부(60)는 상기 연결지지패널(54)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61)과, 상기 지지브라켓(61)을 연결하며 끼움식으로 축결합되는 지지축(62)과, 상기 지지축(62)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관구조의 균일포장롤러(63)로 이루어져, 상기 도포롤러(342)를 통해 피부에 도포된 화장액을 재차 상기 균일포장롤러(63)로 롤링하여 균일하게 화장액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균일포장롤러(63)는 스폰지와 같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코일스프링(53)에 의해 진동기(56)의 진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면서 진동을 균일포장롤러(63)에 전달할 수 있게 되고, 균일포장롤러(63)를 피부에 가압하면서 롤링시 상기 탄성코일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이물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돌부(51)를 상기 마감캡(32)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돌부와 상기 상부돌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착패널(52)이 부착되는 하부돌부로 구성시키고, 상기 상부돌부와 상기 하부돌부를 상호 연결코일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재차 진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키면서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되고, 균일포장롤러(63)를 피부에 가압하면서 롤링시 상기 연장돌부(51)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롤링파우더구조
20 : 케이싱본체
21 : 개폐도어
211 : 이동자성체
22 : 고정자성체
30 : 롤링도포유닛
31 : 충진하우징
311 : 배출관
32 : 마감캡
321 : 토출관
321a : 턱부
322 : 안내브라켓
33 : 밸브관
331 : 가이드돌부
332 : 배출공
34 : 롤링부
341 : 축부
342 : 도포롤러
40 : 밸브유닛
41 : 가이드관
411 : 가이드홈
42 : 이송바
50 : 진동안내수단
51 : 연장돌부
52 : 결착패널
53 : 탄성코일스프링
54 : 연결지지패널
55 : 탄성지지패널
56 : 진동기
60 : 균일포장부
61 : 지지브라켓
62 : 지지축
63 : 균일포장롤러

Claims (4)

  1. 사용자의 피부에 충진된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 롤링파우더구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폐도어가 마련된 케이싱본체; 및
    상기 케이싱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액상의 화장액을 도포하도록 된 롤링도포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롤링도포유닛은 내주에 화장액이 충진되고 일단에 배출관이 형성된 충진하우징과,
    상기 충진하우징의 일단이 끼움되고 내부에 중공의 토출관이 형성되며, 일단에 한쌍의 안내브라켓이 마련된 마감캡과,
    상기 배출관과 상기 토출관을 연결하는 밸브관과,
    상기 한쌍의 안내브라켓을 연결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도포롤러로 이루어진 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상기 도포롤러에 진동을 전달하여 도포되는 화장액이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액도포시 회전되는 도포롤러가 사용자의 피부나 축부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장액도포용 진동안내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화장액도포용 진동안내수단은 상기 마감캡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장돌부와,
    상기 연장돌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결착패널과,
    상기 결착패널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코일스프링들의 타단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연결지지패널과,
    상기 연결지지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지지패널과,
    상기 탄성지지패널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마감캡을 통해 상기 도포롤러에 전달시키는 진동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지지패널에는 상기 도포롤러에 의해 도포된 화장액과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전달함과 아울러 도포된 화장액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도록 균일포장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균일포장부는 상기 연결지지패널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균일포장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에는 이동자성체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본체에는 고정자성체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자성체와 상기 고정자성체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관에는 외면에 한쌍의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에는 내측면에 환형의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관에는 상기 충진하우징의 배출관에서 상기 마감캡의 토출관으로 전달되는 화장액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밸브유닛이 더 체결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가이드돌부가 끼움되도록 사선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관에 끼움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이송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관에는 일단이 배출공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4. 삭제
KR2020190002967U 2019-07-15 2019-07-15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KR200491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67U KR200491232Y1 (ko) 2019-07-15 2019-07-15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PCT/KR2020/009276 WO2021010735A1 (ko) 2019-07-15 2020-07-14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67U KR200491232Y1 (ko) 2019-07-15 2019-07-15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32Y1 true KR200491232Y1 (ko) 2020-03-06

Family

ID=6976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967U KR200491232Y1 (ko) 2019-07-15 2019-07-15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1232Y1 (ko)
WO (1) WO20210107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35A1 (ko) * 2019-07-15 2021-01-21 (주) 송학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900Y1 (ko) * 2002-11-28 2003-05-14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용기 덮개 개폐장치
KR100436240B1 (ko) 2001-11-01 2004-06-16 김대승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000444A (ja) * 2009-06-17 2011-01-06 L'oreal Sa 塗布ローラを有するパッケージ及び塗布器のデバイス
KR20130005870U (ko) * 2012-03-29 2013-10-10 (주)에스엔피월드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58B1 (ko) * 2016-11-18 2018-09-13 주식회사 피코바이오 피부 자극을 위한 미용기
KR101991156B1 (ko) * 2016-11-30 2019-06-19 기 수 한 미세침 롤러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KR200491232Y1 (ko) * 2019-07-15 2020-03-06 (주)송학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40B1 (ko) 2001-11-01 2004-06-16 김대승 항균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12900Y1 (ko) * 2002-11-28 2003-05-14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용기 덮개 개폐장치
JP2011000444A (ja) * 2009-06-17 2011-01-06 L'oreal Sa 塗布ローラを有するパッケージ及び塗布器のデバイス
KR20130005870U (ko) * 2012-03-29 2013-10-10 (주)에스엔피월드 롤러를 구비하는 내용물 도포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35A1 (ko) * 2019-07-15 2021-01-21 (주) 송학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735A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6633B2 (ja) 製品を包装および適用するための容器アセンブリ
JP6277561B2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KR101464191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KR200491232Y1 (ko) 화장액 도포용 롤링파우더구조
JP5686102B2 (ja) 異種内容物を混合して使用する化粧品容器
EP3449762A1 (en) Powder discharge container
JP6669857B2 (ja) 折りたたみ式化粧品容器
US20190098985A1 (en) Cosmetic container
KR100979966B1 (ko) 매니큐어 용기
KR101223038B1 (ko) 회전롤러 탄성지지부가 구비된 액상도포장치
JP2019099274A5 (ko)
US20170360176A1 (en) Sealing structure of cream-type cosmetics container
KR100571507B1 (ko)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KR200190860Y1 (ko) 파우더통을 갖춘 브러쉬
EP3335588A1 (en) Compact container using magnet
US20130008922A1 (en) Paste dispenser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H05506170A (ja) 液体製品適用具の密閉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適用具
KR20040110077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649099B1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CN210726993U (zh) 一种可振动包装容器
CN209172157U (zh) 一种餐巾纸盒
KR101973291B1 (ko) 리필형 화장품 용기
JP2016132897A (ja) 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