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60Y1 - 운동기구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운동기구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60Y1
KR200471460Y1 KR2020120011915U KR20120011915U KR200471460Y1 KR 200471460 Y1 KR200471460 Y1 KR 200471460Y1 KR 2020120011915 U KR2020120011915 U KR 2020120011915U KR 20120011915 U KR20120011915 U KR 20120011915U KR 200471460 Y1 KR200471460 Y1 KR 200471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exercise
standing
fix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체육산업(주) filed Critical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to KR2020120011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63B7/02Swinging rings; Trapez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6Supports, e.g. poles stabilised by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금구를 체육관의 바닥에 설치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운동기구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매달린 채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링 또는 바를 구비하는 입식 구조체; 상기 입식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입식 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구조체; 및 상기 베이스 구조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구조를 갖고, 그 끝단에는 중량물인 웨이트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입식 구조체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고정 구조체로 구성된 운동기구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용 구조물{Structure for artistic gymnastics}
본 고안은 운동기구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육관 내에 링기구, 철봉, 이단평행봉과 같은 운동기구를 설치함에 있어서 체육관 바닥의 손상없이 운동기구의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기계체조의 일종인 링은 길게 늘어진 한 쌍의 줄 끝단에 설치된 링을 이용하여 연기를 행하는 종목이고, 철봉은 수직한 지주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바에 매달린 채 연기를 행하는 종목이며, 이단평행봉은 높이가 다른 두 바에 번갈아 매달리며 연기를 펼치는 종목이다.
도 1은 링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 2는 철봉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 3은 이단평행봉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링 경기를 위한 링기구의 높이는 약 5.75m이고, 상기 철봉 경기를 위한 철봉의 높이는 약 2.5m이며, 상기 이단평행봉 경기를 위한 평행봉의 높이는 약 2m이다.
이러한 링기구, 철봉, 이단평행봉과 같이 높게 세워지는 운동기구용 구조물(1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체육관의 바닥에 다수개의 고정금구(20)를 설치하고, 고정금구(20)와 운동기구용 구조물(10)을 와이어(30)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금구의 설치를 위해서는 체육관의 바닥에 구멍을 천공해야만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것은 물론이고, 체육관의 바닥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금구를 체육관의 바닥에 설치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운동기구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매달린 채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링 또는 바를 구비하는 입식 구조체; 상기 입식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입식 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구조체; 및 상기 베이스 구조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구조를 갖고, 그 끝단에는 중량물인 웨이트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입식 구조체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고정 구조체로 구성된 운동기구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놓여진 웨이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웨이트를 덮는 구조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웨이트와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재로 구성된 덮개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각각의 고정 구조체가 베이스 구조체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볼팅 작업에 의해 베이스 구조체와 결속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각각의 고정 구조체는 베이스 구조체로부터 45°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설치된 운동기구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체육관의 바닥에 고정금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링기구, 철봉, 이단평행봉과 같은 운동기구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운동기구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운동기구의 설치로 인하여 체육관 바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링기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철봉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이단평행봉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철봉을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 은 도 4에 도시된 운동기구용 구조물로서 웨이트의 설치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구조체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 구조체의 저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 구조체가 더 설치된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링기구를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1 은 링기구를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2 는 이단평행봉을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3 은 이단평행봉을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철봉을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운동기구용 구조물로서 웨이트의 설치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구조체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은 링기구, 철봉, 이단평행봉과 같은 운동기구를 체육관 내에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금구를 체육관의 바닥에 시공하지 않고 운동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입식 구조체(110)와, 베이스 구조체(120)와, 고정 구조체(130)로 구성된다.
상기 입식 구조체(110)는 사용자가 공중에 매달린 채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지주(111)와, 상기 지주(111)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바(112)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철봉 운동기구의 경우, 상기 지주(111)는 2개로 구성되며, 2개의 지주(111)는 일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배치된다.
이처럼 배치된 두 지주(111)의 상단부를 바(112)가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철봉 운동을 위한 입식 구조체(1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철봉 운동을 위한 입식 구조체(110)는 공지의 철봉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구조체(120)는 입식 구조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입식 구조체(11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 구조체(120)는 서로 이격된 두 지주(11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판(121)과, 상기 연결판(121)과 직교하는 구조는 갖도록 연결판(121)의 양 끝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바(12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구조체(130)는 입식 구조체(110)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30)가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베이스 구조체(120)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고정 구조체(130)가 베이스 구조체(1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처럼 베이스 구조체(120)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나가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각각의 고정 구조체(130)는 베이스 구조체(120)로부터 45°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4개의 고정 구조체(130)가 베이스 구조체(120)의 각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45° 대각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 고정 구조체(130)는 고정바(122)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연장바(131)와, 상기 연장바(131)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체육관의 바닥과 밀착되며 그 위로 중량물인 웨이트(W)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32)와, 상기 연장바(131)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32)에 형성되어 와이어(30)가 결속되는 와이어 고정부(1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체(130)는 고정바(122)와 일체형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베이스 구조체(120)와 고정 구조체(130)의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구조체(130)는 베이스 구조체(120)에 대하여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장바(131)는 고정바(122)와 평행한 구조를 가지며 볼팅 작업에 의해 고정바(122)와 결합되는 제1 영역(1311)과, 상기 제1 영역(1311)으로부터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끝단에 베이스 플레이트(132)가 설치되는 제2 영역(131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2)의 둘레에는 웨이트(W)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편(1321)이 수직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사각바의 구조를 갖는 4개의 대리석이 웨이트(W)로 사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2)상에 놓여진 웨이트(W)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더불어 사람이 웨이트(W)와 충돌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덮개 구조체(140)가 더 구비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 구조체의 저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 구조체가 더 설치된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덮개 구조체(140)는 저면(140a)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탄성재로 구성되며, 외면에는 운동기구와 함께 설치되는 바닥 매트와 동일한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133)는 연장바(131)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32)에 설치되며, 와이어(30)의 결속을 위한 링을 상단부에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10은 링기구를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11은 링기구를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링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운동기구용 구조물 또한 입식 구조체(110)와, 베이스 구조체(120)와, 고정 구조체(1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입식 구조체(110)와 베이스 구조체(120) 및 고정 구조체(130)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운동기구용 구조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바,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운동기구용 구조물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같은 명칭을 사용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링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운동기구용 구조물은 입식 구조체(110)를 구성하는 두 지주(111)의 상단부가 연결바(11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매달려 운동을 실시할 수 도록 하는 한 쌍의 링(114)이 줄을 매개로 상기 연결바(113)에 설치된 구조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운동기구용 구조물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조는 앞서 설명된 운동기구용 구조물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이단평행봉을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13은 이단평행봉을 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단평행봉을 구성하기 위한 운동기구용 구조물 또한 입식 구조체(110)와, 베이스 구조체(120)와, 고정 구조체(130)로 구성된다.
한편, 이단평행봉을 구성하기 위한 운동기구용 구조물은 앞서 철봉을 구성하기 위한 운동기구용 구조물과 지주(111)와 바(112) 및 연결판(121)의 수량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조는 철봉을 구성하기 위한 운동기구용 구조물과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이단평행봉을 구성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의 입식 구조체(110)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두 바(112)를 지지하기 위하여 4개의 지주(111)가 구비되며, 4개의 지주(111)는 한 쌍의 연결판(121)과 한 쌍의 고정바(122)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운동기구용 구조물은 철봉 또는 링 또는 이단평행봉 경기를 위한 운동기구를 체육관 내에 설치함에 있어서, 입식 구조체(110)로부터 연장된 와이어(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금구를 체육관의 바닥에 설치하지 않고, 고정 구조체(130)에 마련된 와이어 고정부(133)에 와이어(30)를 결속하는 방식으로 운동기구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체육관 바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식 구조체 111: 지주
120: 베이스 구조체 130: 고정 구조체
132: 베이스 플레이트 133: 와이어 고정부
140: 덮개 구조체

Claims (4)

  1. 다수개의 지주(111)와, 상기 지주(111)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매달린 채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링 또는 바를 구비하는 입식 구조체(110);
    상기 입식 구조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입식 구조체(110)를 지지하는 베이스 구조체(120); 및
    상기 베이스 구조체(1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구조를 갖고, 그 끝단에는 중량물인 웨이트(W)가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32)가 구비되며, 상기 입식 구조체(110)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30)가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133)를 구비하는 다수개의 고정 구조체(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2)에 놓여진 웨이트(W)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웨이트(W)를 덮는 구조로 베이스 플레이트(132)에 설치되며, 웨이트(W)와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탄성재로 구성된 덮개 구조체(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 구조체(130)는 베이스 구조체(120)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볼팅 작업에 의해 베이스 구조체(120)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 구조체(130)는 베이스 구조체(120)로부터 45° 대각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구조물.
KR2020120011915U 2012-12-17 2012-12-17 운동기구용 구조물 KR200471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15U KR200471460Y1 (ko) 2012-12-17 2012-12-17 운동기구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15U KR200471460Y1 (ko) 2012-12-17 2012-12-17 운동기구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460Y1 true KR200471460Y1 (ko) 2014-02-25

Family

ID=5141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915U KR200471460Y1 (ko) 2012-12-17 2012-12-17 운동기구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6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787A (ko) * 1997-07-04 1999-02-05 이석종 팔힘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 기구
JP2003301426A (ja) 2002-04-10 2003-10-24 Toyo Tire & Rubber Co Ltd 道路標識柱
KR100906220B1 (ko) 2008-09-30 2009-07-07 강복심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 탄력봉
KR20100006524U (ko) * 2008-12-18 2010-06-28 구명화 다용도 체육기구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787A (ko) * 1997-07-04 1999-02-05 이석종 팔힘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 기구
JP2003301426A (ja) 2002-04-10 2003-10-24 Toyo Tire & Rubber Co Ltd 道路標識柱
KR100906220B1 (ko) 2008-09-30 2009-07-07 강복심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 탄력봉
KR20100006524U (ko) * 2008-12-18 2010-06-28 구명화 다용도 체육기구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52109U (zh) 适于将蹦床转换成蹦极蹦床的框架部件和蹦极部件的组件
US20150224354A1 (en) Waterfall pit trampoline
JP2013529730A5 (ko)
EA032024B1 (ru) Батуты
EA200200406A1 (ru) Многоместная акробат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гибким тросом и трамплином
KR200471460Y1 (ko) 운동기구용 구조물
CN202185106U (zh) 一种室内健身架
EP2535088A1 (en) Trampoline
KR200472480Y1 (ko) 복싱 및 운동 트레이닝 기구
KR100823079B1 (ko) 트램폴린
KR101322472B1 (ko) 철봉 운동용 기구
KR200452947Y1 (ko) 트램펄린 착지 보조대
KR101064309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0822003B1 (ko) 트램폴린
RU166506U1 (ru)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RU76236U1 (ru) Детский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RU163430U1 (ru) Тренажер турник, брусья, штанга
KR200380518Y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04293801U (zh) 一种多功能篮球架
RU190104U1 (ru) Батутный комплекс
WO2008024011A1 (fr) Ensemble de sport pour enfant
KR20100004267U (ko) 평행봉 보조대
SU1105204A1 (ru) Комнатный гимнастический тренажер
RU28623U1 (ru) Детский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KR101630534B1 (ko)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