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534B1 -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 Google Patents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534B1
KR101630534B1 KR1020140152731A KR20140152731A KR101630534B1 KR 101630534 B1 KR101630534 B1 KR 101630534B1 KR 1020140152731 A KR1020140152731 A KR 1020140152731A KR 20140152731 A KR20140152731 A KR 20140152731A KR 101630534 B1 KR101630534 B1 KR 101630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mpoline
unit
units
mat
m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538A (ko
Inventor
이광숙
Original Assignee
이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숙 filed Critical 이광숙
Priority to KR102014015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5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도약판(120) 및 상기 복수의 도약판(120)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110)을 포함하는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상의 도약판(120)들은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지지 기둥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도약판들과 매트들로 이루어진 단위 트램펄린 유닛을 측방으로 연속하여 배치하고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들 사이에는 지지 기둥 등을 이용하여 그물망을 상하 방향으로 늘어뜨린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써, 구석진 곳을 좋아하고 미로찾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의 특징을 고려하는 경우에 트램펄린 놀이에 보다 많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Trampoline Apparatus with Maze Structure}
본 발명은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램펄린의 형상을 미로 형태로 하여 아이들이 미로 찾기 또는 숨바꼭질과 같은 재미있는 놀이를 하면서 트램펄린 놀이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램펄린은 사각이나 원형 금속틀에 안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캔버스 천을 탄성 지지한 운동기구로써, 이용자는 캔버스 천을 이용하여 높이 도약하면서 각종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트램펄린은 텀블링(Tumbling)이라고도 불리우며, 손쉽게 공중으로 도약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놀이시설이나 운동시설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체조선수들의 경우, 공중돌기나 비틀기 또는 체조기구로부터 도약 후 바닥에 안정된 자세로 착지하는 것을 연습하기 위하여 트램펄린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트램펄린은 운동과 동시에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놀이시설이나 체육 운동시설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효과에 비해 경제적인 헬스 및 다이어트 기구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 트램펄린은 원형이나 사각형 바닥부에 탄성 스프링을 이용하여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도록 한 기구이나, 형태나 형상 측면에서 단순하여 식상한 점이 있었다.
트램폴린의 프레임 구조 관련 기술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인 등록특허 제10-0823079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문헌은 트램폴린 구조의 프레임 전체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외에서의 공간 활용성을 높히고, 운반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며,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램폴린을 제공하지만, 아이들의 재미와 놀이를 충족시킬 수 있을 정도의 다양한 트램펄린을 제공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점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개선의 필요성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기둥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도약판들, 매트, 또는 그물망 등으로 이루어진 단위 트램펄린 유닛이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가 열지어 배치된 상태에서 아이들이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해서 미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도약판들, 매트 또는 그물망을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도약판(120) 및 상기 복수의 도약판(120)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110)을 포함하는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상의 도약판(120)들은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그물망(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그물망(40)은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사이를 연결하는 매트(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트는 놀이방 매트 또는 그물망 매트 형태이다.
상기 매트(20)는 상기 도약판(120)과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 형태로 조합된다.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상기 도약판(12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도약판 고정바(130), 및 상기 도약판 고정바(130)와 지지 기둥(110) 상에 결합하는 연결체(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체(140)는, 상기 지지 기둥(110)이 관통체결되는 동시에 직교하는 한 쌍의 도약판 고정바(130)의 끝단이 안착되는 연결체 바디, 및 상기 연결체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상기 한 쌍의 도약판 고정바(130)의 끝단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지지 기둥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도약판들과 매트들로 이루어진 단위 트램펄린 유닛을 측방으로 연속하여 배치하고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들 사이에는 지지 기둥 등을 이용하여 그물망을 상하 방향으로 늘어뜨린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써, 구석진 곳을 좋아하고 미로찾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의 특징을 고려하는 경우에 트램펄린 놀이에 보다 많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그물망이 설치된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그물망이 설치된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단위 트램펄린 유닛을 구성하는 4개의 지지 기둥, 수직 기둥 상에 배치되는 도약판 고정바 및 연결체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이는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연결체를 중심으로 한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단위 트램펄린 유닛을 구성하는 4개의 지지 기둥, 수직 기둥 상에 배치되는 도약판 고정바 및 연결체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위 도 8의 상태에서 커버가 씌어진 모습,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의 실제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약판, 매트 및 그물망을 미로 내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아이들이 자유롭게 놀 수 있는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응용 및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도약판(110) 및 복수의 도약판(110)의 가장자리를 연결한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120)을 포함하는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및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안전 그물망(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횡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결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의 일측은 벽면을 향하도록 하고, 노출되는 측방에 안전 그물망(30)을 설치한다. 여기에서,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상하부의 도약판(110) 및 네 모서리의 지지 기둥(120)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정사각형 형태이며,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격자형 셀 타입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이 복수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상에서의 도약판(110)들은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그 배치의 일 실시예로서 한쌍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도약판(110)이 상기 한쌍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지 기둥(120)을 연결하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지지 기둥(120) 간을 연결하는 도약판(110)은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에서 상하로 배치된 도약판(110)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식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그 배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쌍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매트(20)가 상기 한쌍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지 기둥(120)을 연결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매트(20)는 도약판(110)과는 다른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놀이방 매트 또는 그물망 매트의 형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도, 복수의 지지 기둥(120) 간을 연결하는 매트(20)는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에서 상하로 배치된 도약판(110)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식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이외에도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그물망(40)을 더 포함한다.
내부 그물망(40)은 예를 들어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지 기둥(120)을 연결하는 수평 로프(미도시) 상에 체결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수평 로프는 예를 들어 각 도약판(110)의 높이에 맞추어진 상태로 지지 기둥(120) 상에 체결된다.
내부 그물망(40)은 인접하는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사이의 개방된 영역 중 일부를 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거나, 다른 예로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과정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도약판(110)의 단차진 구역을 지나는 경우마다 좌우측 영역을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4의 경우 모두 내부 그물망(40)이 설치되지 않은 빈 공간을 통해서 아이들이 인접한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단위 트램펄린 유닛을 구성하는 4개의 지지 기둥, 지지 기둥 상에 배치되는 도약판 고정바 및 연결체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도약판(110)과 복수의 지지 기둥(120) 외에 지지 기둥(120)에 연결되는 도약판 고정바(130) 및 도약판 고정바(130)와 지지 기둥(120)을 결속하는 연결체(140)를 더 포함한다. 직사각 형상의 도약판(110)은 그 가장자리부가 탄성 스프링(112) 등을 통해 도약판 고정바(130)에 고정된다. 도약판 고정바(130)는 지지 기둥(12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고정바(131) 및 지지 기둥(120)과 제 1 고정바(131)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고정바(133)를 포함한다.
탄성 스프링(112)은 도약판(110) 상에서 아이들이 놀이를 하는 경우에 하중을 견디는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이면 되므로 탄성력 있는 섬유 소재 등으로 치환 적용할 수 있다.
연결체(140)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3개의 축을 결합하게 하는 구조물로서, 지지 기둥(120)이 관통체결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직교하는 도약판 고정바(130)의 끝단이 안착되는 연결체 바디(141) 및 연결체 바디(1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한 쌍의 도약판 고정바(130)의 끝단을 덮는 커버(146)를 포함한다.
연결체 바디(141)는 지지 기둥(120)이 관통 결합되는 기둥 연결홀(142), 제 1 고정바(131)의 끝단이 안착되는 제 1 안착구(143), 제 2 고정바(133)의 끝단이 안착되는 제 2 안착구(144) 및 커버(146)와의 접촉면 상에 형성되는 바디 체결홀(145)을 포함한다.
커버(146)는 제 1 안착구(143)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제 1 밀폐구(146), 제 2 안착구(144)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밀폐구(148), 및 바디 체결홀(145)에 대응하는 커버 체결홀(149)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체 바디(141)와 커버(146)는 커버 체결홀(149)과 바디 체결홀(145)을 통해 결합 수단이 체결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주기적인 보수를 필요로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체(140)의 커버(146)를 연결체 바디(141)로부터 분리하고, 연결체 바디(141) 상에서 그 끝단이 노출되는 도약판 고정바들(131,133)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명이 다한 도약판(110)을 어렵지 않게 교체할 수 있다.
도 8는 도 5와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단위 트램펄린 유닛을 구성하는 4개의 지지 기둥, 수직 기둥 상에 배치되는 도약판 고정바 및 연결체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이고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형태는,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의 도약판(110)이 도약판 고정바(130)에 탄성스프링(112)으로 결합되되, 탄성스프링이 직접 도약판 고정바(13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스피링이 도약판 고정바(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고정바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트램펄린의 일부(도약판 등)가 훼손된 경우 교체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위 도 8의 상태에서 커버가 씌어진 모습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로형 트램펄린의 실제모습이다. 도 10을 보면, 트램펄린의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고, 일측에는 미끄럼틀 내지 계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도약판들과 매트들로 이루어진 단위 트램펄린 유닛을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하고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들 사이에는 지지 기둥 등을 이용하여 그물망을 상하 방향으로 늘어뜨린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써, 구석진 곳을 좋아하고 미로찾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의 특징을 고려하는 경우에 트램펄린 놀이에 보다 많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단위 트램펄린 유닛
20 : 매트
30 : 안전 그물망
40 : 내부 그물망
110 : 도약판
120 : 지지 기둥
130 : 도약판 고정바
140 : 연결체

Claims (6)

  1.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도약판(110) 및 상기 복수의 도약판(110)의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 기둥(120)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의 외측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안전 그물망(30); 및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그물망(4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횡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상의 도약판(110)들은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내부 그물망(40)은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사이의 개방된 영역 중 일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내부 그물망(40)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을 통해서 인접한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간에서 미로 형태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그물망(40)은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위 트램펄린 유닛(10) 사이를 연결하는 매트(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트는 놀이방 매트 또는 그물망 매트 형태인,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20)는 상기 도약판(110)과 계단식 내지 지그재그 형태로 조합되는,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트램펄린 유닛(10)은,
    상기 도약판(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도약판 고정바(130), 및
    상기 도약판 고정바(130)와 지지 기둥(110) 상에 결합하는 연결체(140)를 더 포함하는,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40)는,
    상기 지지 기둥(110)이 관통체결되는 동시에 직교하는 한 쌍의 도약판 고정바(130)의 끝단이 안착되는 연결체 바디, 및
    상기 연결체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상기 한 쌍의 도약판 고정바(130)의 끝단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KR1020140152731A 2014-11-05 2014-11-05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KR101630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31A KR101630534B1 (ko) 2014-11-05 2014-11-05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31A KR101630534B1 (ko) 2014-11-05 2014-11-05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38A KR20160053538A (ko) 2016-05-13
KR101630534B1 true KR101630534B1 (ko) 2016-06-24

Family

ID=5602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731A KR101630534B1 (ko) 2014-11-05 2014-11-05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5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682B2 (ja) * 1989-02-01 2000-04-10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ユフアクチユアリング カンパニー 感圧接着フイルム複合体
JP2000300859A (ja) 1999-04-20 2000-10-31 Plus Alpha:Kk 立体迷路建築物
KR200325894Y1 (ko) 2003-05-30 2003-09-13 지성용 트램펄린
CN201710954U (zh) * 2010-06-13 2011-01-19 董继贤 新型娱乐健身蹦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682A (ja) * 1989-06-28 1991-02-12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682B2 (ja) * 1989-02-01 2000-04-10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ユフアクチユアリング カンパニー 感圧接着フイルム複合体
JP2000300859A (ja) 1999-04-20 2000-10-31 Plus Alpha:Kk 立体迷路建築物
KR200325894Y1 (ko) 2003-05-30 2003-09-13 지성용 트램펄린
CN201710954U (zh) * 2010-06-13 2011-01-19 董继贤 新型娱乐健身蹦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38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6215B2 (en) Half-pipe trampoline
KR840006294A (ko) 운동구조물 및 그 경기방법
US9039573B2 (en) Waterfall pit trampoline
KR101622886B1 (ko)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
KR101393650B1 (ko) 복합 놀이시설물
KR20150002805U (ko) 다목적 운동기구
JP7153389B2 (ja) ネット遊具
KR101630534B1 (ko) 미로형 트램펄린 장치
KR101347981B1 (ko) 실내에서 설치되는 트램펄린 시설
JP2004208844A (ja) 空気膜マットを用いた遊戯具
US11577154B2 (en) Game table and game equipment
KR200452947Y1 (ko) 트램펄린 착지 보조대
KR101322039B1 (ko) 트램펄린
WO2015199300A1 (ko) 유아용 볼풀
KR20200011206A (ko) 안전성이 향상된 실내용 트램폴린
US6464619B1 (en) Tactile play structure
KR100970477B1 (ko) 다인승 연동형 시소
KR101778657B1 (ko) 놀이기구
RU55610U1 (ru)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ранний старт"
KR101407891B1 (ko) 트램펄린 연결부재
KR20230123108A (ko) 탄성 징검다리
CN217119223U (zh) 一种游乐场用爬网
KR101529125B1 (ko) 삼각구조 공법으로 지지되는 놀이시설물
RU2611943C2 (ru) Детский спор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KR102219002B1 (ko) 터널식 어드벤처 놀이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